민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지하 세계의 신 하데스의 님프 연인이자 코키토스 강의 딸이다. 민테는 페르세포네의 질투로 인해 박하로 변했다고 전해지며,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하데스와의 관계, 데메테르와의 갈등이 묘사된다. 민테는 장례 의식, 엘레우시스 비의, 상징성 등 고대 그리스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최음제 및 피임 방법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이오 (신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헤라의 질투로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방랑을 겪고, 이집트에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를 낳는 인물이다. - 님프 - 오이노네
오이노네는 강의 신의 딸이자 이데 산에 살았던 요정으로 트로이 왕자 파리스의 연인이었으나 버림받고 파리스의 죽음에 슬퍼하다 자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님프 - 네펠레
네펠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가 익시온을 속이기 위해 구름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켄타우로스 족과 프릭소스, 헬레를 낳았고, 자녀들을 구하기 위해 황금 양을 보냈으며, 현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민테 | |
---|---|
기본 정보 | |
![]() | |
이명 | 멘테 민티 |
그리스어 | Μίνθη |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Minthē |
또 다른 그리스어 | Μένθη |
또 다른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Menthē |
또 다른 그리스어 | Μίντη |
또 다른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Mintē |
향기로운 풀 | ἡδύοσμος |
역할 | |
종류 | 나이아스 |
특징 | 저승의 님프 |
관련 | 코퀴토스의 딸 하데스의 연인 |
상징 | 박하 |
이야기 | |
내용 | 하데스에게 페르세포네가 질투하여 박하로 변했다고 전해진다. |
2. 어원
μίνθη|민테grc 또는 μίνθα|민타grc는 '민트'를 의미한다.[4] 로버트 비크스에 따르면, '-ᾰ'로 끝나는 변형 때문에 의심할 여지 없이 그리스어 이전 기원이다. ''menthe''의 ''-nth-''/''-nthos-'' 요소는 그리스어 이전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군의 특징으로, ''아칸토스'', ''자킨토스'', ''미궁'', ''코린토스'', ''히아킨토스''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단어는 청동기 시대 점토판에서 선문자 B 형태인 로 발견되기도 했다.[5]
나이아스 요정 민테는 저승의 강 코키토스의 딸이자, 그리스 신화 속 지하 세계의 지배자 하데스의 첩이었다.[6]
3. 신화 속 이야기
민테는 하데스의 사랑을 받았으나 페르세포네의 질투로 박하가 되었다. 민테는 하데스의 상징적인 식물이 되었고, 고대 장례식에서 박하가 사용되기도 했다.
스트라보에 따르면 필로스 근처의 민티 산은 민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리스에 있는 하데스의 몇 안 되는 신전 중 하나가 그곳에 있었다고 한다.
몇몇 이야기에서는 하데스가 페르세포네와 결혼하기 전 민테와 첩의 관계를 맺었고, 이후 그녀를 버렸다. 민테는 자신이 페르세포네보다 아름다우며 하데스가 곧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자랑했고, 이에 분노한 데메테르가 그녀를 짓밟아 박하가 솟아났다고 한다.[10]
3. 1. 페르세포네의 질투
하데스의 아내 페르세포네는 질투심 때문에 민테를 정원 박하로 변신시켰다.[7] 니칸데르의 주석가에 따르면, 페르세포네는 민테를 갈기갈기 찢었으나, 하데스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향기로운 식물로 바꾸었다.[8] 오비디우스는 자신의 저서 변신 이야기에서 페르세포네에 의한 민테의 변신을 간략하게 언급한다.[9]
오피아누스에 따르면 민테는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여 결혼하기 전부터 하데스의 첩이었지만, 하데스가 페르세포네와 결혼한 후 그녀를 버렸다. 그 후, 민테는 자신이 페르세포네보다 더 아름답고 하데스가 곧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자랑했다. 이에 분노한 데메테르(페르세포네의 어머니)는 민테를 짓밟았고, 그 자리에서 박하가 솟아났다.[10]
3. 2. 데메테르의 분노
μίνθη|민테|grc 또는 μίνθα|민타|grc는 '민트'를 의미한다.[4] 오피아누스에 따르면 민테는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여 결혼하기 전부터 하데스의 첩이었지만, 그는 여왕을 데려와 결혼한 후 그녀를 내버려두었다. 그 후, 그녀는 페르세포네보다 자신이 더 아름답고 하데스가 곧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자랑했다. 요정의 오만함에 화가 난 페르세포네의 어머니 데메테르는 그녀를 짓밟았고, 그리하여 땅에서 박하가 솟아났다.[10]
벨은 데메테르가 페르세포네의 납치와 부분적인 귀환 이후 너무 많은 고통을 겪었기에 딸에 대한 불륜적인 행동을 용납할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11] 오르페우스는 데메테르가 민트를 슬퍼하며 그것을 싫어하여 불모지로 만들었다고 썼다.[11]
3. 3. 하데스의 연인
페르세포네는 하데스가 자신을 납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여자인 민테와 불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분노하여 민테를 발로 짓밟아 죽였다고 한다. 민테는 죽은 뒤 박하로 변해 달콤하고 향기로운 냄새를 퍼뜨렸다고 전해진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민테가 하데스의 첫 번째 부인이 될 예정이었으나,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여 부인으로 삼으려 하자 분노와 질투심에 사로잡혀 페르세포네를 모욕했다고 한다. 이에 분노한 페르세포네의 어머니 데메테르가 민테를 짓밟아 박하로 만들어버렸다고 한다.
오피아누스에 따르면 민테는 하데스가 페르세포네를 납치하기 전부터 그의 첩이었지만, 하데스가 페르세포네와 결혼한 후 버려졌다. 민테는 자신이 페르세포네보다 아름답고 하데스가 곧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자랑했다. 이에 분노한 데메테르는 그녀를 짓밟았고, 땅에서 박하가 솟아났다고 한다.[10]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는 하데스가 민테를 붙잡으려 하자 페르세포네가 그녀를 작은 풀로 바꿔 숨겨주었다는 다른 이야기가 전해진다. 페르세포네가 민테를 잡초로 바꾸었고, 하데스가 불쌍히 여겨 향기로운 민트로 바꾸었다는 설도 있다.
4. 문화적 의의
고대 그리스에서 민트는 로즈마리, 머틀과 함께 장례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단순한 부패 냄새를 없애는 것 이상으로 엘레우시스 비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효된 보리 음료인 ''kykeon''의 구성 요소였으며,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을 제공하는 환각제로 사용되었다.[12] 민테는 바우보, 켈레우스의 딸들과 함께 데메테르의 신비 종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12]
민트는 방향 특성과 음식의 맛을 돋우는 조미료로 높이 평가받았다. 식욕을 돋우는 향신료, 향수 재료, 화환 등으로 사용되었고,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방에 걸어두기도 했다.[12] 또한 강력한 최음제이자 피임 방법으로도 여겨져 하데스의 연인이라는 민테의 역할과 연결된다.[12]
하데스와 민테의 관계는 고대 그리스 텍스트에서 '첩' 또는 '어린 소녀'를 의미하는 παλλακή|팔라케grc(''pallakḗ'')로 묘사된다.[8][9] ''팔라케''는 법적 아내보다 지위는 낮았지만, 일반적인 매춘부나 ''hetaira''보다는 높은 미혼 배우자를 지칭했다.[10]
4. 1. 장례 의식
민트는 로즈마리, 머틀과 함께 고대 그리스의 장례 의식에 사용되었다. 단순히 부패 냄새를 없애는 용도 외에도, 발효된 보리 음료인 ''kykeon''의 재료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엘레우시스 비의 참가자들에게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을 제공하는 필수적인 준비 환각제였다.[12] 하데스의 상징적인 식물로 여겨졌던 민트는 죽은 사람의 냄새를 감추기 위해 고대 장례식에 사용되었다.4. 2. 엘레우시스 비의
민트는 발효된 보리 음료인 키케온의 재료였으며, 엘레우시스 비의 참가자들의 환각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엘레우시스 비의는 참가자들에게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을 제공했다.[12] 민테는 바우보, 켈레우스의 딸들과 함께 데메테르 숭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4. 3. 상징성
민트는 방향 특성과 음식의 맛을 돋우는 능력으로 높이 평가되었으며, 식욕을 돋우는 향신료, 향수 재료, 화환 등으로 사용되었다.[12] 또한 강력한 최음제로 여겨졌으며, 하데스의 연인이 되는 민테의 역할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행위 전에 섭취하면 임신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믿어졌기 때문에, 피임 방법으로도 사용되었다.[12]데티엔은 불임의 식물인 민트가 다산의 여신 데메테르의 적으로 여겨졌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포브스 어빙은 민트가 이미 키케온을 통해 데메테르와 연관되어 있으며, 하데스와 민테의 관계가 자녀를 낳지 못하는 무자녀 관계라는 점은 하데스와 페르세포네의 관계와도 유사하다고 반박한다.
4. 4. 기타
율리우스 폴룩스의 ''오노마스티콘''에 따르면, 민테는 고대 희극 작가 크라티누스의 ''노모이''에서 언급되었다.[6] 민테 산은 민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하데스 신전이 그곳에 위치해 있었다.[7] 고대 그리스 텍스트에서 하데스와 민테의 관계는 '첩' 또는 '어린 소녀'를 의미하는 παλλακή|팔라케grc (''pallakḗ'')로 묘사되었다.[8][9] ''pallake''는 법적 아내보다 지위가 낮았지만, 매춘부나 ''hetaira''보다는 높은 미혼 배우자를 지칭했다.[10]참조
[1]
서적
William Smith (lexicographer) s.v. Mintha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Summary of Transformations
http://mythandreligi[...]
University of Patras
2023-01-03
[3]
서적
Strabo, Geographica 8.3
https://www.perseus.[...]
[4]
서적
Liddell & Scott s.v. μίνθα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mi-ta
http://www.palaeolex[...]
2023-02-08
[6]
서적
Patriarch Photius, Lexicon μίνθα
https://books.google[...]
[7]
서적
Strabo, Geographica 8.3.14
https://www.perseus.[...]
[8]
서적
Scholia ad Nicandri Alexipharmaca 375
https://books.google[...]
[9]
서적
Ovid, Metamorphoses 10.728
https://ovid.lib.vir[...]
[10]
서적
Oppian, Halieutica 3.485 ff
https://penelope.uch[...]
[11]
문서
Etymologicum Graecae Linguae Gudianum, Μίνθη
https://books.google[...]
[12]
간행물
Mint
https://referencewor[...]
Brill Reference Onlin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