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하는 북반구 온대 및 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전역에서 발견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7~9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핀다. 박하는 잎과 줄기에서 강한 향이 나며, 잎은 차나 음식에 사용되고 약재로도 쓰인다. 과거에는 일본에서 박하유를 생산했으나, 합성 박하의 등장과 수입 자유화로 인해 재배가 감소했다. 최근에는 일부 지역에서 재배 부활을 시도하고 있으며, 멘톨을 추출하여 식품, 생활용품, 의약품 등에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하속 - 페퍼민트
페퍼민트는 Mentha viridis와 Mentha aquatica의 잡종으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활용되고 멘톨을 함유하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박하속 - 스피어민트
스피어민트는 상쾌한 향을 지닌 꿀풀과의 다년생 허브로, 요리, 차, 제과 등의 향료와 치약, 츄잉껌, 화장품 등의 향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었고 최근 약용 가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허브 - 에델바이스
에델바이스는 알프스 등 고산 지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 털로 덮인 잎과 꽃이 특징이며, 강인한 생존력과 상징성으로 관상용 재배 및 화장품 원료로 활용되지만, 과도한 채집으로 보호가 필요한 식물이다. - 허브 - 딜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박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Mentha canadensis |
명명자 | L. |
이명 | Mentha agrestis Raf. Mentha arvensis var. borealis (Michx.) Kuntze Mentha arvensis subsp. borealis Taylor & MacBryde Mentha arvensis var. canadensis (L.) Briq. Mentha arvensis var. canadensis (L.) Kuntze Mentha arvensis var. glabrata (Benth.) Fernald Mentha arvensis var. haplocalyx (Briq.) Briq. Mentha arvensis subsp. haplocalyx Briq. Mentha arvensis var. lanata Piper Mentha arvensis var. pavoniana Briq. Mentha arvensis var. penardi Briq. Mentha arvensis f. piperascens Malinv. ex Holmes Mentha arvensis var. sachalinensis Briq. Mentha arvensis var. schmitzii Briq. Mentha arvensis var. villosa (Benth.) S.R. Stewart Mentha arvensis var. zollingeri Briq. Mentha borealis Michx. Mentha canadensis var. borealis (Michx.) Piper Mentha canadensis var. glabrata Benth. Mentha canadensis var. glabrior Hook. Mentha canadensis var. lanata (Piper) J.K. Henry Mentha canadensis var. lanata (Piper) Piper Mentha canadensis var. villosa Benth. Mentha ciliata Raf. Mentha cinerea Raf. Mentha disperma Sessé́ & Moc. Mentha glabrior (Hook.) Rydb. Mentha hakka Siebold Mentha haplocalyx Briq. Mentha haplocalyx subsp. austera Briq. Mentha haplocalyx var. barbata Nakai Mentha haplocalyx var. nipponensis Matsum. & Kudo ex Kudo Mentha haplocalyx subsp. pavoniana Briq. Mentha haplocalyx var. piperascens (Malinv.) Wu and Li Mentha javanica Blume Mentha lanata (Piper) Rydb. Mentha nipponensis Kudo Mentha occidentalis Rydb. Mentha penardi (Briq.) Rydb. Mentha rubella Rydb. Mentha sachalinensis (Briq.) Kudo Mentha terebinthinacea Willd. ex Steud. Mentha trachiloma Raf.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미분류) | 국화군 |
목 | 꿀풀목 |
과 | 꿀풀과 |
속 | 박하속 |
종 | 박하 |
니혼하카 (일본 박하) | |
학명 | Mentha canad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 ex Holmes) H.Hara |
일본명 | ニホンハッカ |
영어명 | Japanese peppermint (일본 페퍼민트) |
이명 | M. arvensis subsp. piperascens M. arvensis var. piperascens M. arvensis var. formosana M. sachalinensis M. haplocalyx var. nipponensis |
2. 분포
한국에서는 전국의 뜰, 습지 언저리, 도랑 근처, 경작지 주변에서 자라며,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자주 발견된다.[22] 구릉지대나 그보다 낮은 곳에서 발견된다.[22] 박하는 사람의 간섭이 미치는 서식처에서 발달하는 터주형 습지식물군락의 구성원으로, 야생 개체가 발견된다면 가까이에 사람의 거주지가 있거나 있었다는 뜻이다.[22]
원산지는 다음과 같다.[23]
지역 | 국가 및 지역 |
---|---|
아시아 (온대 및 열대) | 동아시아: 대한민국, 중국, 일본 (홋카이도, 혼슈, 규슈, 시코쿠) |
러시아 극동 | 러시아 연방 (쿠릴 열도, 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 아무르주, 사할린) |
시베리아 | 러시아 연방 (부랴트 공화국, 투바 공화국, 사하,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치타주, 이르쿠츠크주) |
인도 아대륙 | 인도, 네팔, 스리랑카 |
인도차이나 |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
북아메리카 | 캐나다 동부: 캐나다 (퀘벡, 노바스코샤, 온타리오,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뉴브런즈윅, 뉴펀들랜드) |
미국 북중부: 미국 (일리노이주, 아이오와주, 캔자스주, 미네소타주, 미주리주, 네브래스카주, 노스다코타주, 오클라호마주, 사우스다코타주, 위스콘신주) | |
미국 북동부: 미국 (코네티컷주, 인디애나주, 메인주, 매사추세츠주, 미시간주, 뉴햄프셔주, 뉴저지주, 뉴욕주, 오하이오주, 펜실베이니아주, 로드아일랜드주, 버몬트주, 웨스트버지니아주) | |
미국 북서부: 미국 (콜로라도주, 아이다호주, 몬태나주, 오리건주, 워싱턴주, 와이오밍주) | |
미국 남중부: 미국 (뉴멕시코주, 텍사스주) | |
미국 남동부: 미국 (켄터키주, 메릴랜드주, 노스캐롤라이나주, 테네시주, 버지니아주) | |
미국 남서부: 미국 (애리조나주,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유타주) | |
북극권 아메리카: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 유콘 준주), 미국 (알래스카) | |
캐나다 서부 |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앨버타주, 매니토바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박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적으로 짧고 부드러운 털이 나며, 높이는 50~100cm이다.[21] 지하경이 있으며, 땅 위 줄기의 단면은 사각형이다.[19] 다소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생하며[19] 전체에 방향성이 있다.
3. 생태
일본어 명칭인 하카(ハッカ)는, 중국의 한자 명칭인 "박하(薄荷)"를 음독하여 이름 붙여졌다. 어원은 "薄(빽빽하게 나는 것)" + "荷(지하경을 가진 것. 연꽃과 같다)"이다.[18] 옛날에는 눈의 피로에 잎으로 눈을 눌러 안약 대신 사용했기 때문에 '''메구사'''(눈풀), 졸음을 쫓기 위해 잎으로 눈을 비볐기 때문에 '''메자메구사'''(깨어나는 풀) 등으로 불렸다.
아시아 동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전국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일본 박하 외에도 일본 고유종인 히메하카(姫薄荷, 좁은잎박하)가 자생하며, 홋카이도에는 에조하카(エゾハッカ, 북박하)라고 불리는 고유종도 자생하며, 이들 3종 간의 잡종 자생도 보고되고 있다.[19]
전초, 특히 줄기와 잎에 정유인 박하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정유 성분은 멘톨을 주로, 피넨, 캄펜, 리모넨 등이다. 정유 성분은 대뇌 피질과 연수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어, 발한,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외용하면 국소적으로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으로 인해 근육의 긴장과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3. 1.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양 끝이 좁고 길이 2cm~5cm, 폭 1cm~2.5cm이다.[25] 양면에 기름샘이 있어 향기가 좋으며,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3mm~10mm이다.[21]
3. 2. 꽃
꽃은 7~9월에 피며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25] 위쪽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둥근 모양으로 층층이 달린다.[21] 꽃받침보다 짧은 꽃자루가 있다.[25] 녹색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길이는 2.5~3m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는데, 갈래조각 가장자리에 퍼진 털이 있고 뾰족끝이다.[25]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길이는 4~5mm이고 4갈래로 갈라진다.[25] 꽃갓의 길이는 0.5cm 이하다.[22]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어긋나며, 암술이 길면 수술이 짧고, 수술이 길면 암술이 짧다.[22] 수술은 4개 있는데, 서로 길이가 비슷하며, 꽃부리 밖으로 길게 나온다.[21] 암술대는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25]
3. 3. 열매
달걀 모양의 작은 견과가 달린다.[21] 갈래열매이며, 약간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는 2/3mm 정도이다.[25] 아주 작고 가벼운 연갈색 씨가 들어 있다.[22]
3. 4. 줄기
박하는 곧게 서서 자라며, 어린 줄기는 붉은 자주색을 띠고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다.[22] 털이 많은 줄기에는 잎이 마주나기하며, 키는 20 - 60센티미터 정도이다.[19]
3. 5. 뿌리
땅속줄기를 옆으로 뻗어 번식한다.[21]
4. 재배
박하 향 기름을 얻기 위해 수경 재배를 하기도 한다.[21] 한국에서는 한때 약용 식물로 재배했다.[25] 대부분의 산지에서는 해마다 2회씩 수확하는데, 7월 초순부터 하순, 10월 초순부터 하순에 수확한다.[25]
4. 1. 재배 환경
박하는 고온건조한 곳에서 잘 자란다.[25] 특히 비가 적은 것이 중요한데, 수확기에 건조한 것이 좋다.[25] 고온에서는 3회 수확할 수 있으나, 저온에서는 1회만 수확할 수 있다.[25] 모래흙과 진흙 외에는 별로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척박한 땅보다는 겉흙이 깊고 비옥한 곳이 좋다.[25] 물빠짐이 나쁘면 땅속줄기의 발육과 생육이 나빠져 증식할 수 없으므로, 배수가 중요하다.[25]4. 2. 번식 방법
박하는 뿌리나누기, 꺾꽂이, 휘묻이, 씨앗 번식 등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25] 꺾꽂이는 어린뿌리를 짧은 시간에 빠르게 대량으로 증식시키는 방법이다.[25] 1차 수확 직전에 줄기를 3~4마디씩 잘라 2마디는 땅 위에 나오게 꺾꽂이하고, 뿌리가 내려서 활착될 때까지 적당한 습기를 유지하도록 물을 주면 2주일 후에 뿌리가 내린다.[25] 뿌리나누기는 봄에 땅속줄기(씨뿌리)를 채취하여 묵은 것, 썩은 것, 상처 입은 것을 빼고 그해에 자란 것만 골라 10cm~15cm 정도씩 잘라서 모판에 심어 모를 기르거나 밭에 바로 심는 방법이다.[25] 모 나누기는 가을 수확이 끝난 다음 씨뿌리를 그대로 내버려 두었다가 다음 해 봄에 싹이 트면 거름을 주고 키워서 키가 10cm~15cm 자랐을 때 뽑아 밭에 이식하는 방법이다.[25]4. 3. 재배 특성
박하는 미리 묘를 길러서 사이짓기로 이식하는 이식재배법을 사용한다.[25] 5~6cm마다 한 그루씩 자라게 솎아주는 것이 좋다. 박하의 새싹이 자라서 엉키기 전에 김매기를 해야 하며,[25] 땅속줄기를 손상하지 않도록 이른 봄부터 2번 정도 김을 매는 것이 좋다.[25]4. 4. 병충해
박하에는 녹병과 흰가루병이 발생한다.[25] 녹병은 박하가 자라는 동안 계속 발생하는데, 기온이 높지 않고 비가 계속 내릴 때 발생이 심하므로 한국에서는 7월에 발생이 심하다.[25] 처음에는 잎 뒷면에 흰색의 작은 반점이 생겼다가 점점 커져서 갈색 반점으로 되고 결국 잎이 떨어진다.[25] 흰가루병은 생육 초기부터 계속 발생하지만 6~8월에 가장 발생이 많다. 처음에는 주로 밑동의 잎에 흑갈색의 둥근 병반이 생겨서 병세가 진전됨에 따라 나중에는 흰색을 띤다.[25]5. 성분
신선한 잎은 방향유를 0.8~1% 함유하며, 말린 줄기잎은 1.3~2% 함유한다.[25] 기름의 주성분은 멘톨(77~78%)이며, 멘톤(8~12%), 초산 멘톨, 캄펜, 리모넨, 이소멘톤, 피넨, 멘테논, 수지, 소량의 타닌, 로즈메리산을 함유한다.[25]
6. 쓰임새
강한 박하 향이 있어 채소로 먹거나 차로 마신다.[21] 잎과 줄기는 약으로 쓴다.[21] 소화 작용을 돕고 방부제나 마취제 기능도 있다.[21] 그러나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은 위험하며 특히 임산부는 유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26]
잎은 꼬집거나 으깨면 뚜렷한 페퍼민트 냄새가 나는데, 이는 식물이 향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잎은 식물 성장 중 언제든지 채취할 수 있으며, 건조시킬 수도 있다. 잎은 민트 젤리, 민트 차 및 민트 잎 사탕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3] 원주민들은 민트 차를 입 냄새나 치통 치료 또는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 데 사용했다. 또한 여우나 스라소니 미끼로도 사용할 수 있다.[14]
민트 에센셜 오일은 ''초파리''와 같은 곤충의 곤충 기피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민간 요법으로 식욕 부진, 위 부진, 장내 가스 배출 등에 하루에 2~3회 박하 또는 박하엽을 잘게 썰어 컵에 1작은 술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잠시 둔 다음 마시면 좋다고 한다. 초조하고 화를 잘 내는 경우, 쉽게 흥분하고, 갑자기 몸이 뜨거워지는 것 같은 갱년기 장애에 좋다고 한다. 외용으로 사용할 때는 벌레 물린 곳의 가려움증을 완화하기 위해 생잎을 비벼 즙을 환부에 바르거나, 두통, 근육통, 어깨 결림에도 환부에 바르면 통증을 완화한다고 한다. 향기가 남아있는 박하가 있다면, 천 주머니에 넣어 목욕하면 어깨 결림, 근육통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7. 역사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후기 덴포 연간에 에치고 국시오자와(현재의 니가타현미나미우오누마시)에서 박하유를 채취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지역에는 전국 다이묘 우에스기 겐신이 약초로 애용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17] 안세이 연간에는 오카야마현과 히로시마현에서 환금 작물로 재배가 시작되었다.
7. 1. 한국에서의 박하 생산

한국에서의 박하 생산은 기록이 많지 않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일제강점기 홋카이도에서 박하 재배가 성행했던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도 재배가 시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해방 이후, 한국 전쟁 등의 영향으로 박하 생산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 이후 합성 박하가 등장하고, 1971년 박하 수입 자유화로 저렴한 인도와 브라질산 박하가 수입되면서 국내 박하 생산은 거의 사라졌다.
최근 경상북도 봉화군 등 일부 지역에서 박하 재배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7. 2. 일본에서의 박하 생산
메이지 초기, 박하 생산 중심지는 야마가타현에서 홋카이도로 이동했다. 1890년대에는 야마가타 출신 이주민들이 아사히카와시 등지에서 본격적으로 박하 재배를 시작했다.[17]1902년, 노츠케우시 촌(현재의 키타미시)에서 둔전병 출신 이토 덴베에 등이 박하 재배를 시작하여 아바시리 관내 일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민간 업자들이 농가에서 박하를 매입하는 방식이었으나, 투기적인 거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호쿠렌이 박하 거래에 참여하여 농가 소득 안정에 기여했다. 1932년 호쿠렌은 기타미 박하 공장 건설을 계획, 1938년에는 해당 공장의 박하유 출하량이 세계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그러나 중일 전쟁으로 인해 생산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전쟁 특수로 1950년경부터 박하 경작 면적이 다시 확대되었다. 1951년 이후에는 홋카이도 농업 시험장 등에서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1960년대 이후 합성 박하의 등장과 1971년 박하 수입 자유화로 일본 내 박하 생산은 거의 소멸했다. 1983년에는 호쿠렌 기타미 박하 공장도 폐쇄되었다.
현재는 다키노우에정 등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생산을 이어가고 있다. 키타미시는 기타미 박하 공장의 구 사무소를 키타미 박하 기념관으로 보존하고 있으며, 박하 공원을 조성하여 박하 관련 제품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8. 활용
박하는 민트 젤리, 민트 차, 민트 잎 사탕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3] 원주민들은 민트 차를 입 냄새나 치통 치료, 딸꾹질 완화에 사용했다.[14] 민트 에센셜 오일은 곤충 기피제로 효과가 있다.[14] 일본 박하유는 의약품에 사용되는 중요한 정유 중 하나로, 천연 멘톨 함량이 높아 제약 제제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1930년대 일본은 박하 생산으로 세계 시장의 약 7할을 차지했으며, 미국제 멘소래담 등의 원료로 수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0년대에는 외국산 박하가 대두되었고, 1990년대에는 석유를 원료로 하는 합성 박하가 증가하면서 일본에서 산업으로서의 박하 재배는 거의 중단되었다.[17]
8. 1. 약용
오래전부터 위장약, 진통제, 향료로 사용되어 왔다.[21] 잎과 줄기는 약으로 쓰이며,[21] 소화 작용을 돕고 방부제나 마취제 기능도 있다.[21] 멘톨은 다수의 제약 제제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민간 요법으로 식욕 부진, 위 부진, 장내 가스 배출 등에 박하 또는 박하엽을 차로 마시면 좋다고 한다. 갱년기 장애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외용으로는 벌레 물린 곳의 가려움증을 완화하기 위해 생잎을 즙 내어 환부에 바르거나, 두통, 근육통, 어깨 결림에도 환부에 바르면 통증을 완화한다고 한다. 천 주머니에 박하를 넣어 목욕하면 어깨 결림, 근육통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도 한다.
8. 2. 멘톨 이용
증기 증류를 통해 잎에서 박하유를 추출하고, 이를 냉각하여 박하뇌(주성분은 ''l-''멘톨)를 얻는다. 박하뇌는 식품, 생활용품, 담배 등의 향료, 의약품(박하유·박하뇌 모두 일본 약국방에 수재)으로 사용된다. 식품 분야에서는 과자, 사탕 등의 향료로 쓰인다.[25]청량감은 멘톨의 성질(차가움을 느끼는 수용체 자극, 상온에서 승화하여 기화열을 빼앗음)과 상쾌한 향 때문이다. 일본 약국방에서는 방향·취기 교정·향미 교정(냄새, 맛) 목적으로 조제에 사용한다.
9. 근연종
페퍼민트
참조
[1]
NatureServe
"''Mentha canadensis''"
2024-11-01
[2]
웹사이트
"''Mentha arvensis'' L."
https://www.itis.gov[...]
ITIS Report
[3]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 common names, scientific names, eponyms, synonyms, and etym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
[4]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6-06
[5]
Citation
Wildflowers Across the Prairies
Western Producer Books
[6]
웹사이트
"''Mentha canadensis'': American wild mint"
https://gobotany.nat[...]
Go Botany
2013-12-10
[7]
웹사이트
"''Mentha canadensis'' L."
https://www.ipni.org[...]
2019-07-15
[8]
서적
Mint: The Genus ''Mentha''
CRC Press, Taylor and Francis Group
[9]
서적
Flora of China ''(online)''
http://www.efloras.o[...]
eFloras.org
1994
[10]
웹사이트
"''Mentha canadensi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7-15
[11]
서적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medicinal plants
https://books.google[...]
Wiley
1992
[12]
서적
The essential oils
https://books.google[...]
D. Van Nostrand Co.
1949
[13]
Citation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14]
Citation
Plants of the Western Boreal Forest and Aspen Parkland
Lone Pine Publishing and the Canadian Forest Service.
[15]
간행물
Conservation of Medicinal Plants, Edited by Olayiwola Akerele, Vernon Heywood & Hugh Sy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6]
웹사이트
簡易検索結果 和名: ハッカ
http://ylist.info/yl[...]
2024-12-21
[17]
웹사이트
涼を呼ぶ和ハッ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02
[18]
웹사이트
"「ハッカの名前の由来」"
https://kitamihakka.[...]
[19]
웹사이트
ミントの植物学と栽培
https://www.medicalh[...]
日本メディカルハーブ協会
2021-01-14
[20]
웹인용
"''Mentha canadensis'' L."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2-03-23
[21]
웹인용
오늘의 식물 향이 진한 박하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v. ex Holmes
http://www.nie.re.kr[...]
2015-10-02
[22]
서적
한국 식물 생태 보감 1: 주변에서 늘 만나는 식물
자연과생태
2013
[23]
웹인용
"''Mentha canadensis''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0-10-12
[24]
웹인용
"''Mentha canadensis''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0-10-12
[25]
웹인용
박하 ''Mentha piperascens'' (Malinv.) Holmes
http://nature.go.kr/[...]
국립수목원
[26]
서적
Medicinal Plants of China
Reference publication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