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림의 왕자 레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림의 왕자 레오'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로, 흰 사자 레오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레오는 인간 사회에서 자라 정글로 돌아와 동물들을 보호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1950년 만화 연재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으로 제작되었다. 흑인 묘사 문제와 라이온 킹과의 유사성 논란이 있었으며, 일본 야구단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스코트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피너츠
피너츠는 찰스 M. 슐츠가 1950년 시작한 미국의 신문 연재 만화로, 찰리 브라운과 스누피 등 아이들의 일상과 철학을 유머러스하게 그려냈으며, 2000년 연재 종료 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랑받고 있다. - 1965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찰리 브라운의 크리스마스
찰리 브라운의 크리스마스는 찰리 브라운을 비롯한 피너츠 등장인물들이 출연하는 작품으로, 피터 로빈스가 찰리 브라운 역을, 크리스토퍼 셰이가 라이너스 반 펠트 역을, 트레이시 스트랫퍼드가 루시 반 펠트 역을 맡았다. - 1965년 애니메이션 - 오바케의 Q 타로
《오바케의 Q 타로》는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로, 개를 무서워하는 귀신 Q타로와 인간 친구 쇼타의 코믹한 일상을 그린 작품이며,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큰 인기를 얻고 후대 작품에 영향을 주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다 절판 후 복간되었다. - 1965년 애니메이션 - 피너츠
피너츠는 찰스 M. 슐츠가 1950년 시작한 미국의 신문 연재 만화로, 찰리 브라운과 스누피 등 아이들의 일상과 철학을 유머러스하게 그려냈으며, 2000년 연재 종료 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랑받고 있다. -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헤일로 3
헤일로 3는 번지에서 개발하고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스튜디오에서 배급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마스터 치프가 되어 인류와 코버넌트 간의 전쟁을 종결짓는 여정을 담고 있으며,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모드, 맵 편집 도구인 포지를 특징으로 2007년 Xbox 360으로 출시되었다. -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바이오하자드 5
바이오하자드 5는 2009년 캡콤에서 출시된 서바이벌 호러 액션 게임으로, BSAA 요원 크리스 레드필드가 파트너 셰바 알로마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생물 병기 암거래를 막고, 플라가 감염, 엄브렐러사 바이러스, 웨스커와 트라이셀사의 음모를 파헤치는 내용을 3인칭 슈팅 시점의 협동 플레이로 즐길 수 있다.
밀림의 왕자 레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일본어 제목 | ジャングル大帝 |
로마자 표기 | Janguru Taitei |
장르 | 동물 만화 |
만화 정보 | |
작가 | 오사무 테즈카 |
출판사 | 가쿠도샤 고분샤 고단샤 |
영어 출판사 | 지피 영어 코믹스(이중 언어) |
대상 독자 | 소년 만화 |
잡지 | 만화 소년 |
연재 시작 | 1950년 11월 |
연재 종료 | 1954년 4월 |
단행본 권수 | 3권 |
TV 애니메이션 정보 (1965년) | |
감독 | 야마모토 에이이치 |
음악 | 이사오 토미타 토리로 미키 (주제곡) |
제작사 | 무시 프로덕션 |
영어 라이선스 | 크런치롤 |
방송사 | 후지 TV |
영어 방송사 | ABC NBC 카툰 네트워크 |
방영 시작 | 1965년 10월 6일 |
방영 종료 | 1966년 9월 28일 |
에피소드 수 | 52화 |
극장판 애니메이션 정보 (1966년) | |
감독 | 야마모토 에이이치 |
제작사 | 무시 프로덕션 |
개봉일 | 1966년 7월 31일 |
상영 시간 | 74분 |
TV 애니메이션 정보 (레오 더 라이온) | |
제목 | 레오 더 라이온 |
TV 애니메이션 정보 (새로운 밀림의 왕자 레오) | |
제목 | 새로운 밀림의 왕자 레오 |
OVA 정보 | |
제목 | 정글 대제 레오: 교향시 |
감독 | 히라타 도시오 |
음악 | 이사오 토미타 |
제작사 | 매드하우스 테즈카 프로덕션 |
출시일 | 1991년 |
상영 시간 | 51분 |
극장판 애니메이션 정보 (정글 대제 레오) | |
제목 | 정글 대제 레오 |
극장판 애니메이션 정보 (정글 대제 레오: 혼노지) | |
감독 | 요시무라 후미히로 |
제작 | 구보타 미노루 |
각본 | 모리타 마유미 |
제작사 | 베이징 샤라쿠 아트 미디어.비전 |
개봉일 | 2000년 3월 18일 |
상영 시간 | 9분 |
TV 영화 정보 | |
제목 | 정글 대제: 용기가 미래를 바꾼다 |
감독 | 타니구치 고로 |
각본 | 스즈키 오사무 |
음악 | 하케타 다케후미 |
영어 라이선스 | 디스코텍 미디어 뮤즈 커뮤니케이션 |
제작사 | 테즈카 프로덕션 |
방송사 | FNS (후지 TV) |
개봉일 | 2009년 9월 5일 |
상영 시간 | 96분 |
2. 등장인물
이 작품의 등장인물은 크게 사자, 기타 동물, 인간으로 나눌 수 있다.
구분 | 이름 | 설명 |
---|---|---|
사자 | 레오 | 주인공. 흰 사자. 팡자의 아들. |
라이야 | 히로인. 레오의 친구이자 연인. | |
팡자 | 레오의 아버지. 정글의 왕. | |
에라이자 | 레오의 어머니. 팡자의 아내. | |
루네 | 레오와 라이야의 아들. | |
루키오 | 레오와 라이야의 딸. | |
료나 | 피그미족 마을의 수호신. 암사자. | |
부부 | 팡자의 라이벌. 외눈박이 수사자. | |
마로디, 암지, 켈루 | 애니메이션 제3작 오리지널 캐릭터. 버펄로사자 일족. | |
기타 동물 | 토미 | 톰슨가젤. 레오의 측근. |
기타 동물 | 코코 | 앵무새. 레오의 측근. |
기타 동물 | 잭 | 쥐. 인간 세계에서 레오 보좌. |
기타 동물 | 맨디 | 맨드릴. 애니메이션 1, 2기 등장. 원로. |
기타 동물 | 파구라, 비조 | 아프리카코끼리. |
기타 동물 | 토트 | 검은 표범. 부부의 부하. |
기타 동물 | 딕, 보우 | 하이에나. 부부의 부하. |
기타 동물 | 오프크로산 | 매머드. 문산에 삶. |
사자 | 안드로크레스 | 레오와 팡자의 먼 조상. 흰사자. |
2. 1. 동물
이 작품의 등장인물인 판자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스코트로 쓰기도 했다.[38]이름 | 종 | 설명 |
---|---|---|
토미 | 톰슨가젤 | 레오의 측근. 코코와 함께 등장하며, 원작에서는 식권을 이용한 물품 교환 방식으로 동물들에게 먹을 것을 나눠주었다.[58] |
코코 | 앵무새 | 토미와 함께 등장. 루네와 루키오의 이름을 지어주었다. |
잭 | 쥐 | 원작 전반부에서 인간 세계에서 레오를 보좌했다. |
맨디 | 맨드릴 | 애니메이션 1, 2기에 등장하는 원로. |
파구라 | 아프리카코끼리 | 비조의 아버지이자 무리의 우두머리. |
비조 | 아프리카코끼리 | 파구라의 아들이며 장난꾸러기. |
토트 | 검은 표범 | 부부의 부하. |
딕, 보우 | 하이에나 | 부부의 부하들. |
오프크로산 | 매머드 | 문산에 살며, 레오를 여러 번 도왔다. |
2. 1. 1. 사자
; 레오: 이 작품의 주인공인 흰사자이다. 흰사자 판자의 아들로, 어미 엘라이자가 동물원으로 보내지는 도중 배 안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엘라이자는 레오만이라도 정글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생각하여 바다 위로 내던졌다. 그 후 야생동물이면서도 인간 사회에 섞여 살게 되고, 인간의 말도 할 수 있게 된다.[38]
: 갓난아기 시절에는 인간 사회에서 애완동물로 살면서 소심한 면도 있었지만, 인간들과의 만남과 여러 경험을 통해 성장하여 고향인 아프리카 정글로 돌아온 후에는 점차 주변 동물들의 신뢰를 얻게 된다. 가축을 증오했던 판자와는 달리, 가축이라도 동물끼리 서로 상처 입히는 것을 싫어한다. 인간 사회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하여 정글 동물들에게 밭을 만들게 하거나 노래와 인간의 말을 가르치지만, 인간과의 싸움 속에서 사자로서의 삶에 눈을 뜨고, 이후에는 인간과 거리를 두고 정글의 왕으로서 독립적인 입장에서 동물들을 보호하게 된다.
: 원작 후반에는 아버지 판자와 똑 닮은 어른 사자가 되어 라이야와 결혼하고 루네와 루키오라는 두 마리의 자식을 둔다.
; 라이야
: 이 작품의 히로인이다. 정글에 사는 암사자로 레오의 친구이자 연인이다. 성장한 후 레오와 결혼하여 루네와 루키오라는 두 마리의 아이를 낳는다.
: 원작에서는 료나라는 레오의 친척인 암사자를 섬기고 있으며, 팡자를 찾는 임무 중 레오와 만난다. 료나가 은퇴한 후에는 레오를 걱정하고 레오를 지지한다.
; 팡자
: 레오의 아버지이자 정글의 왕이다. 모델은 메이지 천황이다.
: 레오와 마찬가지로 흰 털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모 때문에 마수, 숲의 마신이라고도 불린다.
: 과거에는 피그미족 마을의 수호신이었지만, 20년 전 자유를 찾아 도망친 이후 정글에 살면서 동물들에게 왕으로서 존경받고 있다. 숲의 동물을 죽이고 자연까지 파괴하는 인간을 증오하여 원주민 마을을 자주 습격했다.
: 정글의 동물들에게는 친절하지만, 가축이나 인간에게 붙은 동물을 배신자로 여기고 습격 시 본보기로 죽인다.
: 애니메이션 제1작에서는 가축을 납치하여 정글 육식 동물의 먹이를 충당하거나, 원작에서도 아내에게 바치는 선물로 가축을 바치는 묘사가 있다. 마을 사람들로부터 토벌 의뢰를 받았던 햄 에그의 계략에 의해 에라이자가 붙잡혔기 때문에 구출하러 가지만, 매복하고 있던 햄 에그에게 총에 맞아 죽는다.
: 사후 인간들의 손에 가죽이 되지만, 레오에 의해 되찾아지고, 이후 레오와 동물들의 마음의 의지처가 된다.
; 에라이자
: 팡자의 아내이자 레오의 어머니이다. 팡자가 마을을 습격할 때 미끼가 되어 잡혔다. 눈앞에서 팡자를 잃은 후 런던 동물원으로 보내진다.
: 수송선 우리 안에서 레오를 출산하지만, 레오를 탈출시킨 직후 폭풍으로 배가 침몰하여 우리에서 나오지 못하고 사망한다.
; 루네
: 레오와 라이야의 아들이다. 호기심이 많고 용감한 성격으로 코끼리 두목 파구라를 감탄시킨다.
: 중반에 인간 세계로 떠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말을 이해하고 말할 수 있게 된다.
: 3년 후에는 레오의 뒤를 이어 정글의 왕이 되고, 아이를 낳는다.
; 루키오
: 레오와 라이야의 딸이자 루네의 여동생이다. 라이야를 닮아 상냥한 성격으로 오빠 루네의 무모함을 항상 지켜보고 걱정한다.
: 루네가 귀향했기 때문에 여왕이 되지는 않고, 3년 후에는 수사자에게 시집갔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 료나
: 피그미족 마을에서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암사자이다. 원작에서는 레오의 사촌 누나, 제1작에서는 레오의 누나, 제3작에서는 레오의 이모로 여겨진다. 모두 레오와 팡자의 대대로 이어지는 선조인 흰사자의 가죽을 지켜왔다.
; 부부
: 팡자의 라이벌인 외눈박이 수사자이다. '왼쪽 눈의 부부'라고 불린다. 왼쪽 눈의 상처는 팡자와의 싸움에서 입은 것이다. 그 때문인지 레오에게 적의를 품고 있었다.
; 마로디
: 애니메이션 제3작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바위산에 사는 버펄로사자 일족의 우두머리이다. 팡자의 친구로, 레오가 팡자처럼 성장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암지
: 애니메이션 제3작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마로디의 손자이자 켈루의 형이다.
; 켈루
: 애니메이션 제3작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마로디의 손자이자 암지의 동생이다. 레오를 라이벌로 여기고 툭하면 시비를 건다.
; 안드로크레스
: 이집트 왕국 페피 1세를 섬겼던 쿠프토논이 기르던 레오와 팡자의 먼 조상인 흰사자이다. 외모는 레오와 똑 닮았다.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던 왕을 걱정한 쿠프토논이 오랫동안 연구를 계속한 약을 먹인 결과 상식을 넘어서는 힘과 지혜를 얻는다. 스핑크스 옆에서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페피 1세에게 신으로 칭송받고, 왕과 백성에게 검소함을 가르치고 몸을 단련시킨 결과 나라를 번영시켰다.
2. 1. 2. 기타 동물
; 토미: 톰슨가젤. 레오의 측근으로, 코코와 함께 등장한다. 원작, 애니메이션 3기, 극장판에서는 모자를 쓰고 있다.[58]
; 코코
: 앵무새. 토미와 함께 등장하며, 루네와 루키오의 이름을 지어준다.
; 잭
: 쥐. 인간 세계에서 레오의 보좌 역할을 한다.
; 맨디
: 맨드릴. 애니메이션 1, 2기에 등장하는 원로.
; 파구라
: 아프리카코끼리 무리의 우두머리. 비조의 아버지.
; 비조
: 파구라의 아들. 장난꾸러기.
; 토트
: 부부의 부하인 검은 표범.
; 딕
: 부부의 부하인 하이에나.
; 보우
: 부부의 부하인 하이에나. 딕의 동생.
; 오프크로산
: 매머드. 문산에 살며, 레오를 돕는다.
2. 2. 인간
이름 | 설명 |
---|---|
켄이치 | 레오를 주워 기른 소년. 햄 에그의 탐험에 동행하여 레오를 아프리카로 데려온다.[38] |
메리 (애니메이션에서는 마리) | 켄이치의 옛 동급생. 햄 에그의 외동딸이다.[38] |
히게오야지 | 켄이치의 삼촌. 켄이치네 학교 선생님이다.[38] |
햄 에그 | 밀렵꾼들의 리더. 판자를 사살하고 달빛돌을 찾는다.[38] |
쿠터 | 햄 에그의 동료. 대식가.[38] |
콩가 | 원주민 정글라족의 여왕. 애니메이션 3기에 등장한다.[38] |
피에르 | 켄이치와 메리의 옛 동급생.[38] |
알베르토 (알베르토 코흐) | 켄이치와 메리의 옛 동급생. 히게오야지를 구출하고 달빛돌 조사를 돕는다.[38] |
통가 마을의 족장 | 판자에게 공격받는 통가 마을의 족장.[38] |
롬멜 | B국 월광석 조사대 대장. 전직 군인.[38] |
플러스 | 대학교수. 마이너스와 오랜 친구.[38] |
마이너스 | 박사. 플러스와 오랜 친구.[38] |
램프 | 햄 에그의 지인인 정보원.[38] |
아담 | 램프가 카스바에서 만난 남자. 흥행사로 행세하며 루네를 부려먹는다.[38] |
람네 | 표류하던 레오를 거둬준 선원.[38] |
칼피스 | 람네의 파트너. 전직 선원.[38] |
브래저 | 히히 할아버지. 극장판에 등장.[38] |
메리 | 서커스단의 일원. 극장판에 등장. 루네를 풀어준다.[38] |
파올라 | 인간에게 길러졌던 표범 새끼. 데즈카 오사무 월드 영화에 등장.[38] |
《밀림의 왕자 레오》는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과 만화로 제작되었다. 특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스코트로 채택되면서 세대를 초월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38]
3. 미디어
연도 제목 감독 비고 1966 《정글 대제》[11] 야마모토 에이이치 극장판 1991 OVA 영화[14] 교향시를 사용한 음향이 특징 1997 《정글의 제왕 레오》[15] 다케우치 히로 극장판, 원작 만화의 후반부 바탕, 4.3억엔 (430만달러) 배급 수입[16] 2000 《정글 대제 레오: 혼오지》 단편 영화, 데즈카 오사무 월드의 극장에서 상영 2009 《정글 대제 – 용기가 미래를 바꾼다》[17] TV 영화, 이전 시리즈와는 다른 새로운 이야기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1965년 10월 6일부터 1966년 9월 28일까지 일본의 후지 TV에서 처음 방송되었다.[8] 일본 최초의 컬러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였다. 1965년 일본에서의 첫 방송 외에도, 이 시리즈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방송되었다.지역 방송사 아시아 인도네시아의 라티비, 안티브(antv) 및 SCTV(1995~96), 이란의 채널 1, 필리핀의 ABC 5,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디 TV, 스리랑카의 ART TV 유럽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RTVUSK, 크로아티아의 ATV 스플리트/TV 자드란, 네자비시나 텔레비지야(NeT), TV 노바 풀라 및 그라드스카 TV 자다르, 독일 ZDF(1977년), 프랑스 ORTF(1972년) 및 TF1, 이탈리아에서는 1977년부터 신디케이션으로, 이후 이탈리아 1(1999년 및 2003년, Una giungla di avventure per Kimba[직역: 김바를 위한 모험의 정글] 제목으로)과 부잉(2010년), 그리고 스페인 TV3 북미 캐나다 지식 네트워크, 멕시코의 부메랑 오세아니아 ABC, 31 브리즈번, 액세스 31(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의 NZBC
영어 더빙판은 1966년 9월 11일부터 미국과 다른 영어권 시장에서 방송되었다. 1989년에는 《정글 제국의 황제》(ジャングル大帝)의 리메이크 작품인 《김바, 백색 사자의 새로운 모험》(Kimba The White Lion)이 일본에서 방영되었다.[13]
타이토에서 패미컴용 8비트 플랫폼 액션 게임인 정글 대제(ジャングル大帝)를 개발하였으나, 1990년 11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취소되었다.[20] 닌텐도 64용 게임도 계획되었으나 역시 취소되었다.[20]
3. 1. 만화
1950년, 데즈카 오사무의 원작 ''정글의 제왕''이 만화소년 잡지에 연재되기 시작했다.[6][7]
데즈카 오사무가 의학도 시절 그림 중심으로 작업했던 것이 본격적인 데뷔작이다. 학도사(学童社)의 월간 만화 잡지 「만화 소년」에 1950년 11월호부터 1954년 4월호까지 총 43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원래는 『밀림대제(密林大帝)』라는 제목으로 단행본을 낼 예정이었으나, 가토 켄이치(加藤謙一) 편집장의 권유로 연재하게 되었다.[39] 연재 초기에는 4페이지였으나, 2회부터는 10페이지로 확대되었고, 연재 중에는 최대 16페이지까지 늘어나 「만화 소년」의 간판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40] 이후 데즈카 오사무는 단행본 그림에서 월간 만화 잡지 연재로 전환하여, 대학 졸업 후에는 만화가로 전념했다. 1951년에 철완 아톰을 「소년」에서 연재하기 시작할 때까지, 소년 잡지에서 데즈카 오사무의 대표적인 작품이었다.
데즈카 오사무는 적본 만화 시대에 「SF 3부작」을 구상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했고, 이와 대응하는 「동물 3부작」 중 하나가 「정글 대제」였다. 처음에는 적본 만화 단행본으로 출판할 예정이었으나, 『만화 소년』 연재가 결정되었다. 두 개의 3부작에는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 「정글 대제」와 SF 3부작 중 하나인 「로스트 월드(ロストワールド)」의 이야기 전개는 강한 공통점을 보인다.
데즈카 오사무는 본 작품 연재 후(연재 중) 일본에서 개봉된 애니메이션 영화 밤비를 백 번 정도 보았다고 하며, 그 영향으로 살아남기 위한 고통을 그리려고 처음에는 해피엔딩으로 할 예정이었지만 계획을 바꿔 비극으로 했다고 한다.[41]
「흰 사자」라는 아이디어는, 데즈카 오사무가 예전에 동물 그림책 의뢰를 받았을 때 백열등 아래에서 사자 그림을 그리던 중, 노란색을 칠하려고 했는데 백열전구의 노란색 빛 때문에 흰색과 노란색 물감을 잘못 칠하여 흰 사자가 되었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42]
정글을 무대로 하는 기획은, 데즈카 오사무가 소년이었던 1930년대 초기에 타잔 영화 등을 대표로 하는 미지의 땅 모험 영화, 맹수 영화 등 인기를 끌었던 미국 영화의 영향을 받았다. 레오의 아버지 판자의 이름은 1934년의 Wild Cargo (film)|판자|영어라는 맹수 사냥 영화, 설정은 1933년의 King of the Jungle (1933 film)|밀림의 왕자 (영화)|밀림의 왕자영어 등에서 따왔다는 설이 있다.[43][44]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0년대 일본에서는 다시 타잔 영화가 개봉되었고, 당시 일본의 어린이 만화나 그림 이야기에서는 타잔이나 정글물이 가장 인기 있는 장르 중 하나였다.[45][46]
데즈카 오사무의 동료 만화가들 사이에서는 판자의 이름은 「Japan」을 앞뒤로 바꾼 애너그램이라는 설이 있으며, 실제로 레오의 아이들(판자의 손자)인 루네와 루키오는 앞뒤를 바꾸면 「잠자다(寝る)」와 「일어나다(起きる)」가 된다.[47]
데즈카 오사무 탄생 90주년 기념 서적 「테즈코미(テヅコミ)」 Vol.3(마이크로 매거진사)에서 프랑스 작가 레노 루메르(ルノー・ルメール)의 그림(번역: 하라 마사토(原正人))으로 본 작품을 소재로 한 단편 만화 『문산의 수호자(ムーン山の守護者)』가 발표되었다.
첫 번째 만화 단행본은 '''정글의 제왕 레오 – 레오 에디션'''으로 일본어-영어 이중 언어판으로 출시되었다.[6][7]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데즈카 오사무 팬클럽 교토에서 만화소년 연재 당시 오리지널 버전을 복각했다. 2009년 쇼가쿠칸 크리에이티브에서 만화소년 연재판을 만화소년판 정글 대제로 복각했다.
3. 2. 애니메이션
《밀림의 왕자 레오》는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프로야구 구단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스코트로 채택되면서 세대를 초월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38]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1966 | 《정글 대제》[11] | 야마모토 에이이치 | 극장판 |
1991 | OVA 영화[14] | 교향시를 사용한 음향이 특징 | |
1997 | 《정글의 제왕 레오》[15] | 다케우치 히로 | 극장판, 원작 만화의 후반부 바탕, 4.3억엔 (430만달러) 배급 수입[16] |
2000 | 《정글 대제 레오: 혼오지》 | 단편 영화, 데즈카 오사무 월드의 극장에서 상영 | |
2009 | 《정글 대제 – 용기가 미래를 바꾼다》[17] | TV 영화, 이전 시리즈와는 다른 새로운 이야기 |
3. 2. 1. TV 시리즈
이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1965년 10월 6일부터 1966년 9월 28일까지 일본의 후지 TV에서 처음 방송되었다.[8] 일본 최초의 컬러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였다.
1965년 일본에서의 첫 방송 외에도, 이 시리즈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방송되었다.
지역 | 방송사 |
---|---|
아시아 | 인도네시아의 라티비, 안티브(antv) 및 SCTV(1995~96), 이란의 채널 1, 필리핀의 ABC 5,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디 TV, 스리랑카의 ART TV |
유럽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RTVUSK, 크로아티아의 ATV 스플리트/TV 자드란, 네자비시나 텔레비지야(NeT), TV 노바 풀라 및 그라드스카 TV 자다르, 독일 ZDF(1977년), 프랑스 ORTF(1972년) 및 TF1, 이탈리아에서는 1977년부터 신디케이션으로, 이후 이탈리아 1(1999년 및 2003년, Una giungla di avventure per Kimba[직역: 김바를 위한 모험의 정글] 제목으로)과 부잉(2010년), 그리고 스페인 TV3 |
북미 | 캐나다 지식 네트워크, 멕시코의 부메랑 |
오세아니아 | ABC, 31 브리즈번, 액세스 31(호주), 그리고 뉴질랜드의 NZBC |
영어 더빙판은 1966년 9월 11일부터 미국과 다른 영어권 시장에서 방송되었다. 미국 개발은 NBC 엔터프라이즈(현재 CBS 텔레비전 배급의 일부)가 처음 의뢰했으며, 프레드 래드가 신디케이션 방송을 위해 각색했고, 김바는 빌리 루 왓이 목소리를 연기했다.[9] 2005년, 오리지널 1965년 더빙판 ''흰 사자 김바''가 호주의 매드맨 애니메이션과 미국의 라이트 스터프 인터내셔널에서 11장짜리 DVD 세트로 출시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93년에는 김바의 목소리를 이본 머리가 연기하고 새로운 오프닝과 폴 J. 자자가 작곡한 새로운 사운드트랙을 갖춘 영어 더빙판이 새로 제작되었다. 2012년 베이뷰 엔터테인먼트/위도우메이커는 오리지널 1965년 시리즈의 "흰 사자 김바: 완전판 시리즈" 10장짜리 DVD 박스 세트를 출시했다.[10] 미국에서는 KHJ-TV(1965~1967; 빌리 루 왓 더빙), NBC(1965~1977, 1980년까지 재방송; 빌리 루 왓 더빙), 신디케이션(1965~1977; 빌리 루 왓 더빙; 1993년, 1995년까지 재방송; 이본 머리 더빙), 키즈 & 틴즈 TV(1993년 재방송; 2005~2009), 인스피레이션 라이프 TV(1993년 재방송; 2005~2009)에서 여러 번 방송되었다.
1989년 2월 9일, 데즈카 오사무(手塚 治虫) 박사가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정글 제국의 황제》(ジャングル大帝)의 리메이크 작품인 《김바, 백색 사자의 새로운 모험》(Kimba The White Lion)이 1989년 10월 12일부터 1990년 10월 11일까지 일본에서 방영되었다.[13] 이 시리즈는 원작 만화나 첫 번째 TV 시리즈와는 거의 유사하지 않다. 줄거리가 매우 다르고 등장인물이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의 여러 편이 편집된 후 더빙되어 1998년에 파이오니어 패밀리 엔터테인먼트(Pioneer Family Entertainment)에 의해 "김바, 백색 사자의 새로운 모험"이라는 이름으로 비디오로 직접 출시되었다. 김바 역에는 브래드 스웨일(Brad Swaile)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3. 2. 2. 영화
- '''1966년 극장판 (《정글 대제》)'''[11]
- 야마모토 에이이치 감독.
- '''1991년 OVA 영화'''[14]
- 교향시를 사용한 음향이 특징.
- '''1997년 극장판 (《정글의 제왕 레오》)'''[15]
- 다케우치 히로 감독.
- 원작 만화의 후반부를 바탕으로 함.
- 1997년 일본 박스오피스에서 4.3억엔 (430만달러)의 배급 수입.[16]
- '''2000년 단편 영화 (《정글 대제 레오: 혼오지》)'''
- 데즈카 오사무 월드의 극장에서 상영.
- '''2009년 TV 영화 (《정글 대제 – 용기가 미래를 바꾼다》)'''[17]
- 이전 시리즈와는 다른 새로운 이야기.
3. 3. 기타 미디어
타이토에서 패미컴용 8비트 플랫폼 액션 게임인 정글 대제(ジャングル大帝)를 개발하였으나, 1990년 11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취소되었다.[20] 닌텐도 64용 게임도 계획되었으나 역시 취소되었다.[20] 64DD 주변기기용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던 '정글의 황제(Emperor of the Jungle)'라는 제목의 게임도 취소되었는데, 닌텐도 스페이스 월드의 짧은 영상 클립만이 그 존재를 증명한다.[20] 이 게임은 1996년 도쿄 쇼슈인카이 쇼에서 처음 영상으로 공개되었으며, 1999년 봄 출시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20] E3 1998 인터뷰에서 미야모토 시게루는 프로젝트에 문제가 있어 완료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20]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아톰: 오메가 팩터에 ''정글 대제'' 캐릭터들이 카메오 출연했다.[20]
이에이리 레오의 노래 "소년(A Boy)" 뮤직비디오에는 데즈카 프로덕션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가수를 모델로 한 애니메이션 버전의 가수가 ''흰 사자 김바'' 시리즈의 다른 캐릭터들을 만나는 장면이 등장한다.[21]
4. 주제
나츠메 후사노스케와 니카이도 레이진은 주인공 레오가 인간과 동물 사이에 서 있으며, 이질적인 존재 간의 갈등과 화해를 다룬다고 분석했다.[48][49]
오 고에이는 『정글의 제왕』에서 레오의 내면 갈등이 전후 일본에서 민족주의와 근대주의 모두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다고 해석했다. 그는 이 작품이 근대주의와 민족주의의 조화를 호소하는 작품으로 읽는 것은 안이한 해석이라고 주장했다.[50][51]
데즈카 오사무 자신은 “대자연과 생명체와의 끊임없는 투쟁과 정복과 좌절의 역사”[52]가 주제라고 말했다. 또한 “아프리카가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 에너지가 무엇일까”[53]라는 질문을 던지며 대륙 이동설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고 언급했다.
애니메이션판 음악을 담당한 토미타 이사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작품에 영향을 주었으며, 레오는 넬슨 만델라를 상징하는 인물일 수 있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밝혔다.[54]
5. 논란
밀림의 왕자 레오일본어는 원작 만화에서 흑인 묘사가 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흑인차별을 없애는 모임" 등에서 항의를 받았다.[1] 이에 데즈카 프로덕션은 단행본 출하를 중지하고, 작품 말미에 단서를 추가하는 조치를 취했다.[1]
1994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라이온 킹이 개봉된 후, 등장인물, 줄거리, 장면, 사건 등의 이야기 구성이 ''밀림의 왕자 레오''와 유사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22] 영어 더빙판 제작자인 프레드 래드는 그 유사성을 "놀라울 정도"라고 언급했다.[23] 애니메이션 역사가 프레드 패튼(Fred Patten)은 시각적 연출의 유사성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22] 그러나 패튼은 ''라이온 킹''이 ''밀림의 왕자 레오''를 단순히 모방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고,[24] 어린 시절 이후로 해당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았거나 전혀 보지 않은 많은 팬들이 "유사성을 과장했다"고 덧붙였다.[25] 성인 심바의 목소리를 연기한 매슈 브로데릭(Matthew Broderick)은 1994년 인터뷰에서 자신이 한때 ''밀림의 왕자 레오'' 관련 프로젝트에 캐스팅되었다고 생각했으며, 어린 시절 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했던 기억을 회상했다고 밝혔다.[26]
''라이온 킹''이 일본에서 개봉되자 여러 일본 만화가들이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서한을 보내 ''라이온 킹'' 제작 과정에서 ''정글의 제왕''에 대한 적절한 공로를 인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27] 데즈카 오사무와 ''밀림의 왕자 레오''는 일본 문화의 아이콘이기 때문에, 488명의 일본 만화가와 애니메이터가 서명한 이 청원은 일본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8][29]
''라이온 킹'' 감독 로저 앨러스(Roger Allers)는 등장인물의 유사성에 대해,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개코원숭이, 새, 하이에나와 같은 등장인물을 등장시키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30] 또한 simbasw는 스와힐리어로 '사자'를 뜻하는 단어일 뿐이며,[31] 프레드 래드는 이것이 유사한 이름의 주인공을 설명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32]
데즈카 프로덕션(Tezuka Productions)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다. 회사의 감독인 요시히로 시미즈는 많은 직원들이 두 작품의 유사성을 인지했지만, "두 작품의 줄거리 유사성은 자연의 사실에 근거한 것이므로 두 작품은 별개의 작품이다"라고 말했다.[32] 데즈카 오사무의 저서에 따르면, 이 논쟁은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디즈니의 사업 관행에 대한 반대 때문에 사람들이 이 문제를 과장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디즈니에 대한 이러한 비난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자신의 아버지 작품이 그러한 사람들의 무기로 변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데즈카는 ''밀림의 왕자 레오''와 ''라이온 킹''이 서로 다른 주제를 가진 서로 다른 이야기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후자가 인간과 말하는 흰 사자에 관한 것이었다면, 그는 그 유사성을 용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33]
5. 1. 흑인 묘사 문제
원작 만화에서 흑인 묘사가 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 "흑인차별을 없애는 모임" 등에서 항의를 받았다.[1] 데즈카 프로덕션은 단행본 출하를 중지하고, 작품 말미에 단서를 추가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1]5. 2. 《라이온 킹》과의 유사성 논란
1994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라이온 킹이 개봉된 후, 등장인물, 줄거리, 장면, 사건 등의 이야기 구성이 ''밀림의 왕자 레오''와 유사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22] 영어 더빙판 제작자인 프레드 래드는 그 유사성을 "놀라울 정도"라고 언급했다.[23] 애니메이션 역사가 프레드 패튼(Fred Patten)은 시각적 연출의 유사성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22] 그러나 패튼은 ''라이온 킹''이 ''밀림의 왕자 레오''를 단순히 모방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고,[24] 어린 시절 이후로 해당 애니메이션을 보지 않았거나 전혀 보지 않은 많은 팬들이 "유사성을 과장했다"고 덧붙였다.[25] 성인 심바의 목소리를 연기한 매슈 브로데릭(Matthew Broderick)은 1994년 인터뷰에서 자신이 한때 ''밀림의 왕자 레오'' 관련 프로젝트에 캐스팅되었다고 생각했으며, 어린 시절 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했던 기억을 떠올렸다고 회상했다.[26]
''라이온 킹''이 일본에서 개봉되자 여러 일본 만화가들이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서한을 보내 ''라이온 킹'' 제작 과정에서 ''정글의 제왕''에 대한 적절한 공로를 인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27] 데즈카 오사무와 ''밀림의 왕자 레오''는 일본 문화의 아이콘이기 때문에, 488명의 일본 만화가와 애니메이터가 서명한 이 청원은 일본에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8][29]
''라이온 킹'' 감독 로저 앨러스(Roger Allers)는 등장인물의 유사성에 대해, 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개코원숭이, 새, 하이에나와 같은 등장인물을 등장시키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30] 또한 simbasw는 스와힐리어로 '사자'를 뜻하는 단어일 뿐이며,[31] 프레드 래드는 이것이 유사한 이름의 주인공을 설명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32]
데즈카 프로덕션(Tezuka Productions)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다. 회사의 감독인 요시히로 시미즈는 많은 직원들이 두 작품의 유사성을 인지했지만, "두 작품의 줄거리 유사성은 자연의 사실에 근거한 것이므로 두 작품은 별개의 작품이다"라고 말했다.[32] 데즈카 오사무의 저서에 따르면, 이 논쟁은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디즈니의 사업 관행에 대한 반대 때문에 사람들이 이 문제를 과장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디즈니에 대한 이러한 비난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자신의 아버지 작품이 그러한 사람들의 무기로 변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데즈카는 ''밀림의 왕자 레오''와 ''라이온 킹''이 서로 다른 주제를 가진 서로 다른 이야기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후자가 인간과 말하는 흰 사자에 관한 것이었다면, 그는 그 유사성을 용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33]
6. 기타
이 작품의 등장인물인 판쟈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의 마스코트로 사용되었다.[38] 세이부 철도, 세이부 버스 등 세이부 그룹 관련 시설 및 교통수단에서 레오 캐릭터를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英語コミックス ジャングル大帝
[2]
웹사이트
Which Is The Real Kimba?
https://www.awn.com/[...]
[3]
웹사이트
Kimba Boxed Set : DVD Talk Review of the DVD Video
http://www.dvdtalk.c[...]
Dvdtalk.com
[4]
뉴스
Kimba the White Lion Dub.DVD – Review
http://www.animenews[...]
[5]
뉴스
Tezuka Lion King | 'Lion King' recalls beast of another reign
https://www.baltimor[...]
1994-07-12
[6]
서적
Eigo komikkusu janguru taitei (Leo hen)
実業之日本社
[7]
웹사이트
Bilingual Manga: Comics for language learners young and old
https://metropolisja[...]
2014-04-22
[8]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9]
웹사이트
Kimba The White Lion: History of the original series
http://www.kimbawlio[...]
Kimbawlion.com
[10]
웹사이트
Kimba the White Lion: The Complete Series
https://www.amazon.c[...]
2013-07-09
[11]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2]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3]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4]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5]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6]
간행물
1997年邦画作品配給収入
キネマ旬報社
[17]
웹사이트
http://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8]
웹사이트
TAF 2009: Osamu Tezuka's "Kimba the White Lion" to be renewed in summer 2009 – GIGAZINE
http://en.gigazine.n[...]
En.gigazine.net
2009-03-19
[19]
웹사이트
Cartoon Network Philippines - free online games & videos
http://www.cartoonne[...]
Cartoon Network Philippines
[20]
웹사이트
Leo Ieiri Makes Jungle Emperor/Kimba the White Lion Music Video
https://www.animenew[...]
Anime News Network
2014-02-18
[21]
웹사이트
Crunchyroll – VIDEO: Leo Ieiri Collaborates with Osamu Tezuka's "Jungle Emperor" in the Latest PV
http://www.crunchyro[...]
Crunchyroll
[22]
서적
Watching Anime, Reading Manga: 25 Years of Essays and Reviews
https://books.google[...]
Stone Bridge Press
[23]
웹사이트
'Lion King' recalls beast of another reign
https://www.baltimor[...]
1994-07-12
[24]
문서
"...And this made it look, uh, to fans who didn't know the full story, as additional proof that ''The Lion King'' was simply a, uh, imitation of, uh, the 1960s, uh, ''Kimba'' TV series, which was not true."
[25]
문서
"Now, a lot of the American fans had not seen Kimba themselves, or if they had it was only when they were young children, because it hadn't been on American television since the late 1970s. So they were not that familiar with the details themselves, and some of them, uh, exaggerated the similarities between ''Kimba'' and Disney's movies."
[26]
웹사이트
Was 'The Lion King' Copied from a Japanese Cartoon? Here's the Real Story
https://www.huffpost[...]
2015-01-27
[27]
뉴스
'Lion King' sparks debate in Japan
https://news.google.[...]
1994-08-10
[28]
서적
Riding the Black Ship: Japan and Tokyo Disneylan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29]
뉴스
Japanese animator protests 'Lion King'
https://www.upi.com/[...]
1994-08-18
[30]
뉴스
A 'Kimba' Surprise for Disney : Movies: 'The Lion King' is a hit, but reported similarities to the Japanese-created American cartoon of the '60s are raising some questions.
https://www.latimes.[...]
1994-07-13
[31]
뉴스
Emperor of the Jungle
https://www.ign.com/[...]
1998-04-22
[32]
뉴스
'Lion King' has been clouded by intellectual property controversy for 25 years. Here's the story behind it.
https://www.washingt[...]
[33]
서적
天才の息子―ベレー帽をとった手塚治虫
ソニ-・マガジンズ
2003-04-01
[34]
뉴스
Seibu reo māku yunifōmu ni hatsu tōjō! Oyagaisha 100 shūnen kinen
https://www.sponichi[...]
2013-12-19
[35]
웹사이트
Jungle Emperor appears on the uniform of Seibu Lions! : News : TezukaOsamu.net(EN)
http://tezukaosamu.n[...]
TezukaOsamu.net
[36]
서적
Architects of affluence: the Tsutsumi family and the Seibu-Saison Enterprises in twentieth-century Japan
https://books.google[...]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37]
웹사이트
Designer Hiroaki Ohya Speaks on LACOSTE L!VE x Osamu Tezuka Collaboration
http://lifeandtimes.[...]
lifeandtimes.com
2014-03-24
[38]
웹사이트
球団ペットマークの誕生 執筆 プロ野球史家 綱島理友
https://www.seibulio[...]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24-12-19
[39]
서적
ぼくはマンガ家
大和書房
[40]
서적
漫画少年と赤本マンガ 戦後マンガの誕生
ゾーオン社
[41]
서적
手塚治虫 ぼくのマンガ道
新日本出版社
[42]
서적
手塚治虫漫画全集399 手塚治虫のマンガの描き方
講談社
[43]
서적
手塚少年と幻の戦前映画
朝日ソノラマ
[44]
서적
手塚治虫 時代と切り結ぶ表現者
講談社現代新書
[45]
서적
「漫画少年」と赤本マンガ 戦後マンガの誕生
ゾーオン社
[46]
서적
戦後野球マンガ史 手塚治虫のいない風景
平凡社新書
[47]
라디오
島本和彦のマンガチックにいこう! 第12回ジャングル大帝
STVラジオ
2001-12-22
[48]
서적
マンガの力 成熟する戦後マンガ
晶文社
[49]
서적
僕らが愛した手塚治虫2
小学館
[50]
잡지
座談会『手塚治虫』検証 戦後民主主義とヒューマニズムの人だったか
[51]
서적
手塚治虫の意味
潮出版社
[52]
서적
「ジャングル大帝」について
講談社
[53]
서적
失われたロマンを求めて
講談社
[54]
블로그
サラウンド寺子屋塾 5.1 Surround Terakoya Lab
https://surroundtera[...]
[55]
서적
手塚治虫漫画全集 ジャングル大帝(3)
講談社
[56]
서적
マンガ学入門
ミネルヴァ書房
[57]
웹사이트
漫画少年版『ジャングル大帝』豪華限定版発売!!
https://tezukaosamu.[...]
2009-12-18
[58]
서적
漫画少年版 ジャングル大帝 普及版1
小学館クリエイティブ
[59]
서적
アニメージュ アニメポケットデータ2000
徳間書店
[60]
서적
日本のアニメ全史 世界を制した日本アニメの奇跡
テン・ブックス
[61]
서적
日本アニメーションの力 85年の歴史を貫く2つの軸
NTT出版
[62]
서적
ジャングル大帝 あらゆる様相を閉じ込めた大河ロマン
河出書房新社
[63]
서적
キネ旬ムック 富野由悠季 全仕事
株式会社キネマ旬報社
1999-06-09
[64]
서적
増補改訂版 だから僕は…
徳間書店アニメージュ文庫
[65]
서적
吉田豪の巨匠ハンター
毎日新聞出版
2020-04-05
[66]
잡지
日本映画音楽史を形作る人々50 アニメーション映画の系譜11 手塚治虫と虫プロの足跡
手塚プロダクション
[67]
서적
日本のアニメ全史―世界を制した日本アニメの奇跡
テンブックス
[68]
웹사이트
LPファクトリー / コラム 第16回:1965年の弘田三枝子を検証する
https://columbia.jp/[...]
日本コロムビア
2015-10-29
[69]
문서
実際には、前編後編の2話で完結のエピソードも2組(11話と12話、34話と35話)制作されている。
[70]
서적
アニメが「ANIME」になるまで 鉄腕アトム、アメリカを行く
NTT出版
[71]
서적
アメリカで日本のアニメは、どう見られてきたか?
徳間書店
2003
[72]
간행물
キネ旬ムック 富野由悠季 全仕事
株式会社キネマ旬報社
1999-06-09
[73]
뉴스
河北新報 テレビ欄
河北新報
1965-10-06 - 1967-03-29
[74]
뉴스
福島民報 テレビ欄
福島民報
1965-10-06 - 1967-03-29
[75]
뉴스
北日本新聞 テレビ欄
北日本新聞
1966-11-02
[76]
뉴스
福島民報 テレビ欄
福島民報
1965-10-13 - 1967-03-29
[77]
뉴스
福島民報 テレビ欄
福島民報
1965-10-05
[78]
뉴스
北國新聞 テレビ欄
北國新聞
1965-10-06
[79]
뉴스
徳島新聞 テレビ欄
徳島新聞
1965-12-29
[80]
뉴스
北海道新聞 テレビ欄
北海道新聞
1965-10 - 1966-03
[81]
뉴스
北海道新聞 テレビ欄
北海道新聞
1966-04 - 1966-09
[82]
뉴스
河北新報 テレビ欄
河北新報
1965-10-15 - 1967-03-29
[83]
간행물
マーチャンダイジングライツレポート
1989-08
[84]
간행물
アニメディア 1990年10月号
学研パブリッシング
1990
[85]
뉴스
信濃毎日新聞 テレビ欄
信濃毎日新聞
1989-10-22, 1990-10-14
[86]
뉴스
富山新聞 テレビ欄
富山新聞
1990-05-25, 1991-06-21
[87]
서적
ゲゲゲの娘、レレレの娘、らららの娘
文藝春秋
2010
[88]
서적
日本映画への戦略
希林館
2000
[89]
서적
ジャングル大帝とライオン・キングの関係
キルタイ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
1997
[90]
간행물
1997年邦画作品配給収入
キネマ旬報社
1998-02
[91]
웹사이트
「フジテレビ開局50周年」「手塚治虫生誕80周年」記念アニメ『ジャングル大帝』2009年夏放送決定!
http://wwwz.fujitv.c[...]
フジテレビ
2009-01-27
[92]
뉴스
手塚治虫原作アニメ『ジャングル大帝』、韓国初の劇場公開決定
https://www.zaikei.c[...]
財経新聞社
2012-02-08
[93]
뉴스
鈴木おさむ氏オリジナル!ジャングル大帝20年ぶり復活
http://hochi.yomiuri[...]
報知新聞社
2009-01-27
[94]
뉴스
松嶋菜々子、子供気に入る…「ジャングル大帝」試写会
http://hochi.yomiuri[...]
報知新聞社
2009-08-28
[95]
뉴스
時任&松嶋:ジャングル大帝で声優デビュー(まんたんウェブ)
http://mainichi.jp/e[...]
毎日新聞社
2009-08-28
[96]
뉴스
岡田ジャパン、サポーターも見放した?オランダ戦視聴率↓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09-09-07
[97]
웹사이트
ジャングル大帝
http://www.fujitv.co[...]
2009-06-23
[98]
웹사이트
サイエンスアート社プラネタリウム番組ライブラリー ジャングル大帝レオ ~空を染める謎の星~
http://sc-art.jp/lib[...]
[99]
뉴스
京都新聞記事
https://www.kyoto-np[...]
2003-05-08
[100]
웹사이트
夏休みはエンゲキ!舞台「ジャングル大帝」
https://www.acc-arak[...]
荒川区芸術文化振興財団
2016-08
[101]
웹사이트
「ジャングル大帝」舞台化、小中高生がダンスや楽器演奏で魅せる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16-07-02
[102]
웹사이트
公演詳細|Stage Gate(ステージゲート)
https://www.stagegat[...]
シーエイティプロデュース
[103]
웹사이트
スタイリッシュジャングルへカモン!リーディング音楽劇「ジャングル大帝」開幕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23-06-05
[104]
웹사이트
わらび劇場開場50年記念作品 ミュージカル『ジャングル大帝レオ』2024年4月上演決定!
https://www.warabi.o[...]
あきた芸術村
2024-01-01
[105]
웹사이트
2024年度 わらび座役者配属発表
https://www.warabi.o[...]
あきた芸術村
2024-01-01
[106]
웹사이트
【W主演発表】「ジャングル大帝レオ」取材会を行いました[3/1チケットオンセール]
https://www.warabi.o[...]
あきた芸術村
2024-03-02
[107]
서적
アニメ・ビジネスが変わる―アニメとキャラクター・ビジネスの真実
日経BP社
1999-06-17
[108]
서적
ディズニーとは何か
NTT出版
2001
[109]
서적
ジャパメリカ 日本発ポップカルチャー革命
ランダムハウス講談社
2007
[110]
서적
ボトムズ・アライヴ
太田出版
2000
[111]
서적
アニメへの変容 原作とアニメの微妙な関係
現代書館
2006
[112]
뉴스
『ライオン・キング』の独自性 漫画家ら疑問呈す 映画配給会社にメッセージ送付
朝日新聞
1994-08-20
[113]
뉴스
里中満智子さんら488人、ディズニー側へ抗議文
読売新聞
1994-08-21
[114]
서적
一億人の手塚治虫
JICC出版局
1989
[115]
라디오
Earth Dreaming~ガラスの地球を救え~
https://www.asahi.co[...]
2003-02-15
[116]
웹사이트
(4ページ目)「手塚先生が僕の描いた“吹雪”を気に入ってくれた。いまだに嬉しくてしょうがないんですよ」 藤子不二雄(A)が語る“兄弟のような”トキワ荘の漫画家たち
https://bunshun.jp/a[...]
[117]
Youtube
藤子不二雄Aさん、手塚治虫さんとの“秘話”を紹介(2021年4月6日)
https://www.youtube.[...]
[118]
웹사이트
幻のソフト研究所(「たった一人のファミコン少年」内)
http://www.ne.jp/asa[...]
2023-03
[119]
웹사이트
MOTHER3 待っていてくださった皆さまへ
https://www.1101.com[...]
2021-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