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산군은 조선 선조의 형 하원군의 손자이자 당은군의 아들로,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 생활을 하였으며, 인조 반정 이후 이괄의 난 때 인조를 호종했다. 이후 오위도총부 부총관, 도총관을 거쳐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효종 대에는 사옹원 제조를 역임했으며, 74세에 사망하여 향적산에 예장되었다. 사후 정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정궁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 도정궁 - 달선군
달선군 이영은 덕흥대원군의 7대손으로 동지돈녕부사 이형종의 아들이었으나 낙천군 이온에게 입양되어 달선군에 봉해졌고, 양어머니와의 불화로 요절 후 파양되어 본가로 돌아갔다. - 1658년 사망 -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유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아버지와 함께 우에다 성을 지키고 도쿠가와 가문의 중신이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 가족을 구하고 영지를 계승하여 마쓰시로 번주로 번영을 이끌었다. - 1658년 사망 -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잉글랜드 연방 수립에 기여했으며, 호국경으로 통치했으나 사후 부관참시를 당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1585년 출생 - 엘리자베스 케리
엘리자베스 케리는 영국의 작가로, 여성 최초로 출판된 영어 희곡 《유대의 아름다운 여왕 마리아의 비극》을 저술했으며,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시와 희곡 작품 활동을 했다. - 1585년 출생 - 사사키 코지로
사사키 코지로는 암류 검술 유파를 창시하고 츠바메가에시 검법으로 이름을 알린 검객으로, 미야모토 무사시와의 간류지마 결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여러 논란과 함께 대중매체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고 있다.
밀산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이찬 |
자 | 경징(景澄) |
시호 | 정혜(靖惠) |
출생일 | 1585년 7월 14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58년 10월 3일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국적 | 조선 |
직업 | 왕족 종실, 정치가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부 | 당은군 |
생모 | 밀양군부인 박씨 |
계모 | 풍양군부인 조씨 |
형제 | 형 응천군(동복 형) 형 밀성부정(동복 형) 아우 풍래군(동복 남동생) 아우 해성부정(동복 남동생) 아우 파성부수(동복 남동생) |
배우자 | 현부인 전의 이씨(본부인) |
자녀 | 이익한(李翊漢), 이필한(李弼漢), 이창한(李昌漢), 이경한(李經漢), 이웅한(李雄漢) |
2. 생애
인조 반정 후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 인조가 공주로 피난하자, 특명으로 내전(內殿)을 공주 쌍수산성(雙樹山城, 공산성)으로 호종하였다.
1640년(인조 18) 5월 16일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거쳐 1642년(인조 20) 도총관에 제수되었다.
1643년(인조 21) 동지상사(冬至上使)로 부사 조문수와 서장관 김태기를 대동하여 청나라에 다녀왔다.
1644년(인조 22) 중국 사신을 맞이할 때 역마를 함부로 이용한 일로 금교 찰방 허관(許灌)의 보고로 처벌받았다. 1650년(효종 1)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 김육의 부사로 서장관 이상일(李尙逸)을 대동하여 청나라에 다녀왔다.[1]
1650년(효종 1) 사옹원 제조에 제수되고, 1653년(효종 4) 중종의 후궁인 창빈 안씨의 부모(안탄대) 무덤에 마을 사람 유중임이 몰래 묘를 쓴 것을 알고 파낼 것을 요청하였다.[2]
1658년(효종 9) 회례연 대행(回禮宴 代行)을 하고 승헌대부(承憲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같은 해 10월 3일 향년 74세로 별세하여, 효종이 향적산에 예장하고 예관을 보내 치제하게 하였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선조의 큰 형 하원군 이정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당은군 이인령이며, 어머니는 판서 박계현의 딸이다. 부인은 군수 이유훈의 딸로 현부인(縣夫人)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1585년(선조 18) 7월 14일 당은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처음 밀산부정(密山副正)으로 제수되었고, 1615년(광해 7) 밀산도정(密山都正)으로 재임중 정의(正義)의 품계로 올라 밀산군(密山君)의 봉호를 받았다.
이이첨 일파가 인목왕후 폐모론을 정청할 때 불참하고, 집을 떠나 강호를 방랑하며 부여 일촌(日村)에 집을 짓고 살면서 비분을 삼켰다.
2. 2. 광해군 대의 행적
1615년(광해군 7) 밀산도정(密山都正)으로 재임중 정의(正義)의 품계로 올라 밀산군(密山君)에 봉해졌다. 이이첨 일파가 인목대비 폐모론을 정청 할 때 불참하고, 집을 떠나 강호를 방랑하며 부여 일촌(日村)에 집을 짓고 살면서 비분을 삼켰다.[1]2. 3. 인조반정 이후의 활동
인조 반정 이후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이 일어나 인조가 공주로 피난할 때 특명으로 내전(內殿)을 공주 쌍수산성(雙樹山城, 공산성)으로 호종하였다.[1]1640년(인조 18) 5월 16일 오위도총부 부총관(副摠管)을 거쳐 1642년(인조 20) 도총관(都摠管)에 제수되었다.[1]
1643년(인조 21) 동지상사(冬至上使)로 부사(副使) 조문수와 서장관(書狀官) 김태기를 대동하여 청나라에 다녀왔다.[1]
1644년(인조 22) 중국 사신을 맞이할 때 역마를 함부로 이용한 일로 금교 찰방(金郊察訪) 허관(許灌)의 보고로 처벌받았으며, 1650년(효종 1)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 김육의 부사로 서장관 이상일(李尙逸)을 대동하여 청나라에 다녀왔다.[1]
1650년(효종 1) 사옹원 제조(司饔院 提調)에 제수되고, 1653년(효종 4) 중종의 후궁인 창빈 안씨의 부모(父母, 안탄대) 무덤에 마을 사람인 유중임이 몰래 묘를 쓴 것을 알고 이를 파낼 것을 요청하였다.[2]
1658년(효종 9) 회례연 대행(回禮宴 代行)을 하고, 승헌대부(承憲大夫)의 품계를 받았다.[1]
2. 4. 효종 대의 활동과 사망
1644년(인조 22) 중국 사신을 맞이할 때 역마를 함부로 이용한 일로 금교 찰방(金郊察訪) 허관(許灌)의 보고로 처벌받았다. 1650년(효종 1)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 김육의 부사로 서장관 이상일(李尙逸)을 대동하여 청나라에 다녀왔다.[1]1650년 사옹원 제조(司饔院 提調)에 제수되었다. 1653년(효종 4) 중종의 후궁인 창빈 안씨의 부모(안탄대) 무덤에 마을 사람 유중임이 몰래 묘를 쓴 것을 알고 이를 파낼 것을 요청하였다.[2]
1658년 회례연 대행(回禮宴 代行)을 하고, 승헌대부(承憲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같은 해 10월 3일 향년 74세로 별세하여 효종이 향적산에 예장하고, 예관을 보내 치제하게 하였다.
2. 5. 사후
1713년에 시호는 정혜(靖惠)라고 추증되었다.靖惠|정혜중국어3. 가족 관계
wikitext
- 아버지 : 당은군 이인령(1562년 - 1615년)
- 어머니(생모) : 밀양군부인 박씨(1562년 - 1588년), 박계현의 3녀
- 어머니(계모) : 풍양군부인 조씨(1571년 - 1629년), 조희철의 딸
- 서모 1: 양녀(良女) 예란(禮蘭)
- 얼모 2: 은금(銀今)[3]
- 정실 : 현부인(縣夫人)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유훈의 딸
- 첩실 : 양녀(良女) 옥섬(玉暹)
3. 1. 형제 관계
적형제 |
---|
응천군 이돈(1579년 - 1617년) |
밀성부정 이면(1582년 - 1606년) |
이복 형제자매 |
풍래군 이번(1593년 - 1647년) |
장령(掌令) 전주인(全州人) 최계훈에게 출가. |
증 승지(承旨) 풍천인(豊川人) 임형백에게 출가. |
서형제 |
해성부정 이권(1595년 - 1637년) |
여흥인(驪興人) 이우백에게 출가. |
전주인(全州人) 최숙에게 출가. |
얼형제 |
파성부수 이유(1597년 - ?년) |
성주인(星州人) 이흥선에게 출가. |
3. 2. 자녀 관계
구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아버지 | 당은군 이인령 | 1562년 - 1615년 | |
생모 | 밀양군부인 박씨 | 1562년 - 1588년 | 박계현의 3녀 |
형 | 응천군 이돈 | 1579년 - 1617년 | |
형 | 밀성부정 이면 | 1582년 - 1606년 | |
계모 | 풍양군부인 조씨 | 1571년 - 1629년 | 조희철의 딸 |
이복동생 | 풍래군 이번 | 1593년 - 1647년 | |
이복여동생 | 최계훈에게 출가 | ||
이복여동생 | 임형백에게 출가 | ||
서모1 | 예란(禮蘭) | 양녀(良女) | |
서제 | 해성부정 이권 | 1595년 - 1637년 | |
서매 | 이우백에게 출가 | ||
서매 | 최숙에게 출가 | ||
얼모2 | 은금(銀今) | [3] | |
얼제 | 파성부수 이유 | 1597년 - ?년 | |
얼매 | 이흥선에게 출가 | ||
정실 | 현부인(縣夫人) 전의이씨(全義李氏) | 이유훈의 딸 | |
장남 | 이익한 | 1609년 - 1668년 | |
2남 | 이필한 | 1612년 - 1677년 | |
3남 | 이창한 | 1615년 - 1649년 | |
4남 | 이경한 | 1620년 - 1668년 | |
장녀 | 남중회에게 출가 | ||
2녀 | 조구석에게 출가 | ||
첩실 | 옥섬(玉暹) | 양녀(良女) | |
서자 | 이웅한 | 1652년 - 1713년 |
참조
[1]
실록
효종실록 1년 3월 9일 임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1650-03-09
[2]
실록
효종실록 4년 12월 25일 2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
1653-12-25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