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나조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나조르는 아르메니아 로리주의 주도로,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카라클리스 볼쇼이로 불렸으며, 소비에트 시대에는 알렉산드르 미아스니키안과 세르게이 키로프를 기려 각각 마르투나셴, 키로바칸으로 개명되었다. 1992년 아르메니아 독립 후, 바나조르 강에서 이름을 따와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이 도시는 청동기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로리 왕국, 셀주크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1801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1899년 철도 개통으로 발전했다. 1988년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화학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성장했으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시설을 갖춘 아르메니아 북부의 휴양 중심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도시 - 흐라즈단
    흐라즈단은 아르메니아 코타이크 주의 도시로, 흐라즈단강을 따라 위치하며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고, 소련 시대 주요 산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코타이크 주의 중심지로서 문화 시설과 교회 유적을 보유한 교통 요충지이다.
  • 아르메니아의 도시 - 가바르
    가바르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아르메니아 게가르쿠니크 주의 도시로, 고대 우라르투 왕국의 요새 유적과 중세 시대의 유물을 보유하며, 1830년 재건 이후 199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어 게가르쿠니크 주의 주도로 기능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바나조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바나조르 문장
문장
공식 명칭바나조르
로마자 표기Vanadzor
위치아르메니아 로리 주
시장아르카디 펠레샨
설립1828년
지리
면적32 km²
해발 고도1350 m
인구
2022년75,186명
지방 자치체84,40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거주민바나조르트시
행정 구역
로리 주
기타 정보
시간대아르메니아 시간 (AMT)
UTC 오프셋+4
우편 번호2001-2024
지역 번호(+374) 322
차량 번호판36
웹사이트바나조르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러시아 제국의 공식 기록에서 이 도시는 Karaklis Bolshoy|Караклисъ Б.|Greater Karakilisaru로 표기되었다.[3] 아르메니아의 소비에트화 이후 1926년, 이 도시는 아르메니아 볼셰비키 혁명가 알렉산드르 미아스니키안을 기려 으로 개명되었다.[4] 1935년 1월 3일에는 러시아 볼셰비키 지도자 세르게이 키로프를 기려 으로 개명되었다. 키로프는 미아스니키안과 아가시 칸지안의 측근이었으나, 전 해인 1934년 12월 1일에 암살되었다. 1992년 6월 25일, 아르메니아가 독립하면서 키로바칸은 도시를 관통하는 바나조르 강을 따라 원래 이름인 '바나조르'로 다시 개명되었다.[5] '바나조르'라는 이름은 아르메니아어 단어 와 으로 구성되어, "수도원의 계곡"을 의미한다.[6]

바나조르는 바나졸 등으로 표기되기도 하며, 이전에는 카라클리스(Karaklis), 카라키리스(Karakilis), 카라크스(Karakhs), 키로바칸(Kirovakan), 가라킬리사(Gharak’ilisa), 카라킬리사(Karakilisa), 메츠 카라킬리사(Mets Karakilisa), 코로바칸(Korovakan), 키로와칸(Kirowakan)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제정 러시아 시대에는 카라키리사, 소련 시대에는 키로바칸이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되었다.

3. 역사

현재의 바나조르 지역은 인근의 Tagavoranist와 Mashtots 언덕에서 발견된 무덤과 기타 역사적 유물을 바탕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고대 시대에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13번째 주인 구가르크의 타시르 지역에 속했다. 이후 이 지역은 아르사크 왕조와 바그라투니 왕조 등 아르메니아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10세기부터 12세기 초까지는 로리 왕국의 일부였으며, 셀주크 왕조의 침략으로 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3세기 초부터 'Gharakilisa'(터키어로 '검은 교회'라는 뜻)라고 불렸는데, 이는 인근 언덕에 있는 검은 돌로 된 성모 마리아 아르메니아 교회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7]

1801년, 로리 지역 전체는 조지아와 함께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로리는 페르시아와의 국경에서 러시아 방어군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영토였다. 1826년, Gharakilisa 정착지는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중 하산 칸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1828년, 러시아는 1828-29년 러시아-투르크 전쟁 중 병력 배치의 주요 중심지로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하차투르 아보뱐에 따르면, 1820년대 말까지 Gharakilisa의 인구는 600명에 불과했고, 주로 예레반에서 온 이주민들로 구성되었다. 1849년에는 러시아 제국 내 에리반 주의 일부가 되었다. 새로운 행정 지위 아래, Gharakilisa는 카르스, 아르다한과 서아르메니아의 카린 (에르주룸) 및 다로잉크 (도구바야지트)에서 온 수백 명의 아르메니아 가족들이 이주해오면서 크게 성장했다.

1899년 트빌리시로 향하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도시는 상당히 발전했다. 1918년 5월에는 카라킬리사 전투가 벌어졌는데, 토브마스 나자르베키안 장군이 이끄는 병력은 가레긴 느즈데의 지휘 하에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침략한 오스만 제국 육군을 상대로 성공적으로 지역을 방어했고, 사르다라파타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아르메니아의 승리 며칠 만에 그들을 물리쳐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이 수립될 수 있도록 했다.[7] 스피타크-바나조르 고속도로 북쪽, 도시에서 서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있는 교회의 폐허에는 그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계획된 기념비가 있는 작은 신사가 있다.

1920년, 독립 2년 만에 아르메니아는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건축가 카로 할라뱐, 미카엘 마즈마니안, 게보르크 코차르에 의해 시작된 Gharakilisa의 최초 도시 개발 계획은 1929-1930년에 채택되었다. 새로운 계획에 따라 도시는 동쪽과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1935년, 소비에트는 도시의 이름을 볼셰비키 지도자 세르게이 키로프를 기려 '키로바칸'으로 변경했다. 1939년, 건축가 N. 자르가리안과 A. 미나시안이 제작한 도시의 새로운 개조 계획이 산업 지구와 여름 휴양지를 만들기 위해 도입되었다. 도시 중심부는 1950년대에 재개발되었으며, 세르게이 키로프 (현재 하이크 광장)의 이름을 딴 중앙 도시 광장이 주변 정부 및 행정 건물과 함께 건설되었다.[8]

아르메니아의 독립 이후, 키로바칸은 도시를 관통하는 바나조르 강의 이름을 따서 '바나조르'로 개명되었다.

바나조르는 귬리, 스피타크 (서쪽으로 25km)와 함께 1988년 지진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으며, 이 도시에서 564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다른 두 도시와 달리, 바나조르의 건물 대부분은 지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4. 지리 및 기후

바나조르 주변의 숲


로리 주의 주도인 바나조르는 예레반에서 북쪽으로 128km, 귬리에서 동쪽으로 64km 떨어져 있다.

바나조르는 평균 해발 1350m 고도에 위치해 있으며, 팜바크강 계곡, 탄드주트강과 바나조르강이 팜바크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도시는 해발 2500m 이상의 바줌 산과 팜바크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부와 동부 지역은 숲이 울창하며, 북부와 서부 지역에는 관목과 식물만 덮여 있다.

교외 풍경


바나조르의 기후는 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이 특징이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4.2°C이며, 여름철에는 20°C를 넘는 경우도 있다. 바나조르의 기후는 온대 하계 습윤 기후 (쾨펜: ''Dfb'')로 분류된다. 강수량은 약 570mm이다.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으로 바나조르에서만 564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건물, 대로, 중앙 공원 등은 피해를 보지 않았다.

도시 남서쪽에 위치한 바나조르 식물원은 아르메니아 공화국 내 5개의 식물 공원 중 하나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2°C2.3°C6.9°C13.3°C18.6°C22.6°C25.7°C25.6°C22°C16.3°C9.1°C3.3°C
평균 기온 (℃)-2°C-1.1°C3.3°C8.3°C12.6°C16.6°C19.2°C19.3°C15.5°C10.3°C4°C-0.2°C
평균 최저 기온 (℃)-8.5°C-7.6°C-3.3°C1.6°C6.3°C9.5°C12.3°C12.2°C7.8°C3.3°C-1.2°C-5.5°C
강수량 (mm)18.9mm24.4mm41.4mm68mm95.3mm86.1mm58.8mm40.7mm40.8mm45.1mm31.4mm19mm

[28]

5. 인구

바나조르의 인구는 1849년 예레반 현에 편입된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탈린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의 이민을 허용하여 유럽중동 각지에서 온 아르메니아인들이 키로바칸(바나조르의 옛 이름)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아르메니아인 학살 생존자들이었다.[5] 그러나 소비에트 정보부와 내무부의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많은 이민자들이 시베리아 등지의 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기도 했다. 스탈린 정부는 이들이 지역 사회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여러 언어를 구사하며,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자라는 점을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5]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서부 아르메니아인들이 이후 몇 년 동안 키로바칸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많은 이민자들이 도시를 떠나 키프로스, 레바논, 시리아, 그리스, 프랑스, 미국 등지로 돌아갔다. 오늘날 약 2,000명의 서부 아르메니아인 정착민이 바나조르에 거주하며,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서부 아르메니아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바나조르는 대다수가 민족 아르메니아인이며,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그리스인 소수 공동체도 존재한다. 1831년 이후 바나조르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5]

연도인구
1831494
18732017
18973917
19156671
19268640
193917607
195949423
1979148876
2001107394
201186199
202275186



바나조르 주민 대다수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자이다. 바나조르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구하르크 교구 소재지이며, 2016년 기준으로 시에는 4개의 교회와 2개의 예배당이 있다.

5. 1. 인구 통계

바나조르의 인구는 1849년 예레반 현에 편입된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탈린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의 이민을 허용하면서 유럽중동 각지에서 온 아르메니아인들이 키로바칸(바나조르의 옛 이름)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아르메니아인 학살 생존자들이었다. 그러나 소비에트 정보부와 내무부의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많은 이민자들이 시베리아 등지의 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는 이민자들이 지역 사회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여러 언어를 구사하며,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자였기 때문인데, 스탈린 정부는 이를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5]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서부 아르메니아인들이 이후 몇 년 동안 키로바칸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많은 이민자들이 도시를 떠나 키프로스, 레바논, 시리아, 그리스, 프랑스, 미국 등지로 돌아갔다. 오늘날 약 2,000명의 서부 아르메니아인 정착민이 바나조르에 거주하며, 대부분 일상 생활에서 서부 아르메니아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바나조르는 대다수가 민족 아르메니아인이며,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그리스인 소수 공동체도 존재한다.

1831년 이후 바나조르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5]

연도인구
1831494
18732017
18973917
19156671
19268640
193917607
195949423
1979148876
2001107394
201186199
202275186


5. 2. 종교

성 그레고리 오브 나레크 대성당


대다수의 주민들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 속해 있다. 바나조르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구하르크 교구의 소재지이며, 로리주의 주민들을 섬기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이 도시에는 4개의 교회와 2개의 예배당이 있다.

  • 성모 교회: 1831년에 문을 열었으며, '검은 교회'로도 알려진 가라킬리사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 보존된 교회 중 하나이다. 1999년에 완전히 개조되었다.[12]
  • 카마카타르 예배당: 도시 북동쪽에 있으며, 원래 중세 시대에 지어졌으나 현재 건물은 1841년에 재건되었다.[13]
  • 복된 성모 탄생 교회: 1895년에 문을 열었으며, 도시의 작은 러시아 정교회 공동체를 섬기고 있다.[14]
  • 바나조르의 수르프 사르키스 교회: 2000년에 문을 열었으며, 교구 청사 건물 근처에 있다.
  • 성 그레고리 오브 나레크 대성당: 2005년에 문을 열었으며, 성 그레고리 오브 나레크의 '''애가''' 10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현재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구하르크 교구의 소재지이다.
  • 성 어린 예배당: 2006년 바나조르의 치체르나크 어린이 캠프에 문을 열었다.


바나조르의 많은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의 신자들인데, 이 교회는 1946년 프로테스탄트 서부 아르메니아인들이 도착하면서 처음 설립되었다. 당시에는 어떤 종교 활동도 법으로 처벌받았지만, 복음주의 전통의 신자들은 시베리아로 추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지하실에서 비밀리에 신앙을 실천하고 모임을 가졌다. 특히 무사 다그(무사 레르)의 아르메니아인들은 경찰과 자경단의 지속적인 위협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 신앙을 개척하고 그들의 전통을 고수하는 선구자가 되었다.

로리주와 타부시주를 관할하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구가르크 교구가 이 지역을 거점으로 삼고 있다. 2002년 5월, 이곳에서 새 대성당의 착공식이 거행되었고, 2003년 말에는 사도 교회의 수장(가톨리코스)인 가레긴 2세가 방문했다. 교회는 2005년에 완공되었으며, 나레크의 성 그레고리오를 기려 명명되었다.

6. 문화

샤를 아즈나부르의 이름을 딴 바나조르 문화의 집


바나조르는 로리주의 문화 중심지이자 아르메니아 북동부의 중심지이다. 샤를 아즈나부르의 이름을 딴 바나조르 문화의 집은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큰 문화 시설 중 하나이다. 1934년에 설립된 에두아르드 크자르트먄 음악 학교는 저명한 예술 학교이다. 1974년부터 바나조르 미술 박물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1990년부터는 작가 스테판 조리안의 집-박물관이 운영되고 있다.[15]

이 도시에는 '바나조르 보헴 챔버 극장', '바나조르 뮤지컬 극장', '호브하네스 아벨랸의 이름을 딴 바나조르 드라마 극장', '바나조르 인형 극장' 등 많은 극장이 있다. 바나조르의 다른 유명한 예술 앙상블로는 1958년에 설립된 호레벨 민속 무용 앙상블, 1989년에 설립된 바나조르 챔버 뮤직 합창단, 1993년에 설립된 바나조르 챔버 오케스트라 등이 있다.

바나조르는 ''Lousnelius'', ''Lav Eli'', ''Vordan Karmir'' 등 여러 유명한 하드 록 밴드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바나조르에는 4개의 공공 도서관과 4개의 어린이 도서관이 있다.[16]

7. 경제

바나조르는 로리 주의 주요 산업 중심지이며, 특히 화학 산업이 발달하였다. 1929년 최초의 화학 공장이 세워진 이후 여러 화학 공장들이 이 지역에 뿌리를 내렸다.[1] 1961년에는 바나조르 화력 발전소가 설립되었다.[1]

1999년, 러시아의 대형 화학 기업이 바나조르에 공장을 건설하면서 아르메니아 화학 시장에 진출했다.[2] 2001년에는 바나조르의 화학 공장과 화력 발전소가 생산 기록을 갱신하며 1990년대 경제 붕괴의 여파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였다.[2]

화학 공장

7. 1. 산업

바나조르는 로리 주의 주요 산업 중심지이다. 이 도시의 산업은 매우 다양하며, 의류 제조, 화학 제품, 건축 자재, 유제품 등을 전문으로 하는 많은 기업들이 있다.

분야기업명설립 연도비고
의류 제조"다브-가르" 의류 공장1962년
의류 제조다르바그 봉제 공장1977년1996년 민영화
의류 제조"사르톤" 봉제 공장1990년
의류 제조"루즈-단" 의류 공장2000년
화학 산업"바나조르 침프롬"1929년
화학 산업고분자 재료 기업 "Gipk"1967년
화학 산업고분자 재료 회사 "개리 그룹"1998년
화학 산업프로메티-킨프롬[1]
화학 산업바나조르 화학 공장[1]
화학 산업바나조르-킨프롬[1]
화학 산업바나조르 화학 섬유 공장[1]
건축 자재"베톤" 기업1988년
건축 자재"비오니크" 공장2004년
건축 자재"카라베르드" 공장
유제품"DIET LLC"
유제품"K&K" 공장
유제품"카트나고르츠" 공장
기타"아르드빈" 전기 기계 공장1956년
기타보석 가공 기업 "젬스 드 럭스"1996년
기타난방 장비 공장 "제루초그"
기타바나조르 화력 발전소1961년


  • 그 외 응회암, 현무암, 점토 등을 생산하는 많은 소규모 공장들이 있다.


1999년에는 러시아의 대형 화학 기업이 아르메니아 화학 시장을 통해 바나조르에 공장을 건설했다.[2] 2001년에는 시내의 화학 공장과 화력 발전소가 연간 생산 기록을 갱신하며, 1990년대 경제 붕괴 이후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모습을 보였다.[2]

7. 2. 관광

바나조르는 온화한 기후, 맑은 공기, 그리고 광천수로 인해 아르메니아 북부의 휴양 중심지이다. 많은 호텔과 스파 리조트가 도시와 인근 시골에 건설되어 있다.



바나조르 아르메니아 헬스 리조트 & 호텔은 수치료(광천수 "로리") 및 머드/이탄 치료로 가장 중요한 리조트 중 하나이다.[1]

도시는 철도와 고속도로로 아르메니아의 다른 주요 도시들과 연결되어 있다.[1]

구가르 호텔

8. 교통

바나조르는 철도와 국도를 통해 아르메니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예레반 방향의 M-3 고속도로와 바그라타셴의 조지아 국경을 연결하는 M-6 고속도로가 바나조르를 통과한다. 또한, 이 도시는 M-8 고속도로를 통해 동쪽의 타부시 주와 연결되어 있다.

바나조르에는 남캅카스 철도가 운영하는 기차역이 있으며, 이 노선은 귬리를 경유하여 예레반과, 아이룸을 경유하여 트빌리시를 연결한다. 2012년 4월, 바하그나조르 바로 서쪽의 자마를루 협곡을 가로지르는 교량이 교체되어 아이룸으로 가는 노선의 안전한 지속적 사용을 확보했다.[17] 또한 바나조르와 딜리잔 서쪽에 위치한 피올레토보를 잇는 새로운 철도 연결이 제안되었다.[18]

기차역


바나조르에서 북쪽으로 44km 떨어진 스테파나반 공항이 이 도시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9. 교육

바나조르는 도시의 인구와 로리 주 및 타부시 주 주민들을 위한 많은 교육 기관의 본거지이다.

바나조르 국립 대학교


현재 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호브하네스 투마니안의 이름을 딴 바나조르 국립 대학교는 1969년에 개교했으며, 5개의 학부가 있다.
  • * 문학부
  • * 역사 및 지리학부
  • * 교육학부
  • * 생물학 및 화학부
  • * 물리학 및 수학부
  • 아르메니아 국립 폴리텍닉 대학교의 바나조르 캠퍼스는 페트로스 멜코니안의 이름을 따서 1959년부터 운영되었으며, 2개의 학부가 있다.[19]
  • * 기술 및 부문 경제학부
  • * 자연 과학 및 통신 시스템 학부
  • 아르메니아 국립 농업 대학교의 바나조르 캠퍼스는 2004년부터 운영되었다.[20]
  • 1995년에 개교한 므히타르 고쉬 아르메니아-러시아 국제 대학교는 현재 법학, 경영, 외국어, 교육학 및 의학을 포함한 5개의 학부가 있다.


2016년 10월 29일, 이 지역 전체의 비즈니스 및 기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바나조르 기술 센터가 시에 개관했다.[21]

2009년 기준으로, 6개의 기술 중급 대학, 30개의 공립 교육 학교 및 20개의 보육원이 시에서 운영되고 있다.

10. 스포츠

바나조르에서는 축구 외에도 풋살, 핸드볼, 배구 등 다양한 스포츠가 인기 있다. 바나조르 주립 대학교(VSU) 풋살팀은 아르메니아 풋살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바나조르의 아르메니아 스포츠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시 정부의 감독하에 수영, 육상, 역도, 체스, 리듬 체조, 탁구, 배드민턴 학교 등 다양한 스포츠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겨울 스포츠로는 로리 주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가 12월에서 3월 사이에 운영된다.

바나조르 스키 리조트

10. 1. 축구

축구는 바나조르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1936년에 창단되어 현재 해체된 로리 바나조르는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클럽 중 하나였다.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이 팀은 2006년 재정적 어려움으로 해체되기 전까지 국내 대회에서 바나조르를 대표했다.

바나조르에서 가장 큰 스포츠 시설은 5,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로리 스타디움이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된다. UEFA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스타디움을 재개발하기 위한 개조 계획이 예정되어 있었다.[22]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FFA) 바나조르 축구 아카데미는 2016년 10월 29일에 문을 열었다.[23][24] 3개의 천연 잔디와 1개의 인조 잔디 정규 규격 경기장을 갖추고 있다.

2017년, 바나조르 출신 사업가 토브마스 그리고리얀에 의해 로리라는 새로운 축구 클럽이 창단되었다. 이 클럽은 2017-18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 대회를 통해 프로 축구에 데뷔했다.

10. 2. 기타 스포츠

풋살은 이 도시에서 인기 있는 팀 스포츠 중 하나이다. 바나조르 주립 대학교(VSU) 풋살팀은 아르메니아 풋살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바나조르의 아르메니아 스포츠 아레나가 이 팀의 홈 구장이다.

핸드볼배구 또한 바나조르에서 인기가 높다. 시 정부의 감독하에 수영, 육상, 역도, 체스, 리듬 체조, 탁구, 배드민턴 학교를 포함하여 많은 스포츠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겨울 스포츠 또한 로리 주에서 행해진다. 바나조르 인근의 스키 리조트는 일반적으로 12월과 3월 사이에 운영된다.

11. 자매 도시

바나조르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5]

국가도시체결 년도
프랑스바뉴1967년
조지아바투미2006년
러시아키슬로보츠크2005년
미국패서디나1992년
에스토니아마르두2007년
러시아포돌스크2004년
벨라루스비쳅스크2012년
중국주저우2001년


12. 주요 인물

분야이름설명
정치티그란 사르키샨1960년생, 전 아르메니아 총리[1]
정치에두아르드 날반디안전 외무부 장관[1]
학술[https://g.co/kgs/Mwe44FS 므헤르 D. 사하키안]국제 정치 학자, 중국-유라시아 정치 및 전략 연구 위원회 설립자, [https://www.taylorfrancis.com/books/edit/10.4324/9781003439110/routledge-handbook-chinese-eurasian-international-relations-mher-sahakyan 중국 및 유라시아 국제 관계의 라우틀리지 핸드북 편집자], [https://www.asiaglobalinstitute.hku.hk/agf/fellows/mher-d-sahakyan 아시아 글로벌 펠로우], 홍콩 대학교,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 SAIS, 존스 홉킨스 대학교[1]
학술수렌 아가바비안문학 평론가이자 철학 박사[1]
문학스테판 조리안아르메니아 작가[1]
음악고르 므키타리안록 음악가이자 가수[1]
음악나레 아르가마냔수상 경력의 아르메니아 피아니스트[1]
음악스테판 로스토미안작곡가[1]
음악로자 린싱어송라이터이자 음반 프로듀서[1]
스포츠레르니크 파피얀권투 선수[1]
스포츠알베르트 아자랸올림픽 챔피언 체조 선수[1]
스포츠샤바르시 카라페턘소련-아르메니아 핀 수영 선수[1]
스포츠세르게이 알리피렌코올림픽 챔피언 사격 선수[1]
스포츠스테판 사르키샨자유형 레슬링 올림픽 은메달리스트[1]
스포츠아르멘 귤부다기안츠축구 감독[1]
스포츠빅 다르치니안프로 권투 선수이자 세계 챔피언[1], WBA, IBF, WBO, WBC 챔피언[1]
스포츠로만 미티찬아르메니아계 미국인 MMA 파이터[1]
스포츠흐라치크 자바키안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유럽 권투 챔피언[1]
스포츠지라르 호브한니시안프로 역도 선수[1]
스포츠삼벨 테르-사하키안체스 그랜드마스터[1]
스포츠리아나 아가베키안체스 여성 국제 마스터[1]
영화아르타바즈드 펠레시안영화 감독[1]
기타마리안나 엔펜잔전문 강사이자 EECCA 회사 소유주[1]


참조

[1] 웹사이트 The Main Results of RA Census 2022, trilingual / Armenian Statistical Service of Republic of Armenia https://www.armstat.[...] 2024-11-08
[2] 웹사이트 Permanent Population Figures of the Republic of Armenia as of 1 January 2023 https://armstat.am/f[...] 2023-06-13
[3] 서적 Кавказский календарь на 1916 год https://www.prlib.ru[...] Tipografiya kantselyarii Ye.I.V. na Kavkaze, kazenny dom
[4] 서적 Hayastani ev harakitsʻ shrjanneri teghanunneri baṛaran Yerevan State University
[5] 서적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ան բնակավայրերի բառարան http://www.cadastre.[...] Cadastr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Armenia
[6]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Place Names
[7]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St. Martin's Press
[8] 문서 ՎԱՆԱՁՈՐ-ԿԻՐՈՎԱԿԱՆ-ՂԱՐԱՔԻԼԻՍԱ http://www.copypaste[...]
[9] Excel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Vanadzor-37704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oheric Administration 2024-03-10
[10] Excel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Vanadzor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oheric Administration 2024-03-10
[11]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https://worldweather[...] WMO 2023-07-03
[12] 웹사이트 The Armenian Church - Mother See of Holy Etchmiadzin https://www.armenian[...]
[13] 웹사이트 Kamkatar chapel http://www.armmonume[...] 2016-10-30
[14] 문서 www.gov.am:Religious organizations in Armenia (in Armenian) http://www.armstat.a[...]
[15] 웹사이트 Թանգարաներ https://vanadzor.am/[...] 2014-03-15
[16] 웹사이트 Գրադարաններ https://vanadzor.am/[...] 2014-03-15
[17] 뉴스 President Serzh Sargsyan conducted a working visit to Lori and Tavush Marzes http://president.am/[...] president.am
[18] 문서 Vanadzor (station) 'construction prospects' ru.wikipedia.org
[19] 웹사이트 Faculties of Vanadzor campus http://polytechvan.a[...]
[20] 웹사이트 Armenian National Agrarian University, Vanadzor branch https://www.anau.am/[...]
[21] 웹사이트 About us – Vanadzor Technology Center http://vtc.am/en/abo[...]
[22] 웹사이트 News https://www.ffa.am/e[...]
[23] 웹사이트 ՀՖՖ նախագահն այցելեց Վանաձորի ֆուտբոլի ակադեմիա (լուսանկարներ) https://www.ffa.am/h[...]
[24] 웹사이트 Vanadzor Football Academy is open https://armfootball.[...]
[25] 웹사이트 Քույր քաղաքներ http://vanadzor.am/q[...] Vanadzor 2020-07-02
[26] 문서 Armstats:Population https://armstat.am/f[...]
[27]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St. Martin's Press
[28] 웹인용 Climate: Vanadzor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