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를람 샬라모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를람 샬라모프는 러시아의 작가로, 그의 작품은 주로 스탈린 시대의 강제 수용소 생활을 다루고 있다. 1907년 러시아 제국 볼로그다에서 태어난 샬라모프는 1929년부터 1951년까지 여러 차례 투옥되어 콜리마 강제 수용소에서 고된 노동을 겪었다. 그는 수용소 경험을 바탕으로 《콜리마 이야기》를 집필했으며, 이 작품은 인간의 존엄성과 권력의 폭력성을 묘사하며 20세기 러시아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샬라모프는 석방 후에도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그의 작품은 반체제 문학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강제 수용소 생존자 - 메나헴 베긴
    메나헴 베긴은 이스라엘의 총리이자 이르군의 지도자로서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하고, 리쿠드를 이끌어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레바논 침공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 인물이다.
  • 소련 강제 수용소 생존자 - 오토 티에프
    에스토니아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였던 오토 티에프는 독립 전쟁 참전, 리기코구 의원,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스토니아 총리로 임명되어 소련에 저항했으나 체포되어 강제 노역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독립운동 정신은 에스토니아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굴라크 - 바이칼-아무르 철도
    바이칼-아무르 철도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의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의 소비에츠카야 가반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324km의 철도 노선으로, 극동 방어를 목적으로 소련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자원 개발과 연계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노선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 굴라크 - 보르쿠타
    보르쿠타는 러시아 코미 공화국의 도시로, 굴라크를 통해 건설되었고 한때 유럽 러시아 최대 규모의 굴라크 행정 중심지였으나, 탄광 폐쇄와 함께 인구가 급감하며 동토층 문제와 인구 감소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러시아의 사회주의자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러시아의 사회주의자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임시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나 10월 혁명으로 실각하여 망명했다.
바를람 샬라모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7년의 샬라모프
1937년의 샬라모프
본명바를람 티호노비치 샬라모프
출생1907년 6월 18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볼로그다
사망1982년 1월 17일
사망지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투시노
직업작가, 저널리스트, 시인
국적(정보 없음)
학력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웹사이트바를람 샬라모프 공식 웹사이트
바를람 샬라모프의 서명
바를람 샬라모프의 서명
작품
대표작콜리마 이야기

2. 초기 생애

바를람 샬라모프는 러시아 제국 볼로그다현의 주도 볼로그다에서 태어났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은 샬라모프 가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혁명으로 성직자의 지위는 추락했고, 1925년 이후 종교 탄압이 이루어졌다. 적군 장교였던 큰형은 아버지와 의절했고, 둘째 형은 전사했다. 두 누이는 불행한 결혼을 했고, 어머니는 심장병으로, 아버지는 실명으로 고통받았다. 샬라모프의 부모는 빈곤 속에서 사망했다.[16]

샬라모프는 1923년 의무 교육을 마쳤지만, 성직자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대학 입학 자격을 얻지 못했다. 모스크바로 가서 피혁 공장에서 일하며 입시 공부를 해 1926년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다.[17] 재학 중 학생 중심의 반정부 시위와 집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2. 1. 출생과 가정 환경

바를람 샬라모프는 1907년 6월 18일(구력 6월 5일) 러시아 제국 볼로그다현의 현청 소재지인 볼로그다에서 태어났다.[15] 샬라모프 가문은 벨리키 우스튜크에서 대대로 성직자 가문이었다. 아버지 티혼 니콜라예비치 샬라모프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이자 교사였으며, 알래스카에서 선교사로 활동한 경험이 있었다. 1905년 러시아 제국의 상황이 악화되자 러시아로 돌아왔다. 어머니 나데즈다 알렉산드로브나는 교사였으며 시를 즐겨 썼다. 샬라모프는 5남매 중 막내였으며, 두 형과 두 누이가 있었다. 그는 처음에 볼로그다의 수호성인인 바를람 흐틴스키의 이름을 따 세례를 받았으나, 나중에 더 흔한 이름인 바를람으로 개명했다.

바를람 샬라모프가 태어난 집

2. 2. 유년 시절과 교육

바를람 샬라모프는 러시아 제국 북서부 볼로그다현의 현청 소재지 볼로그다에서 태어났다. 볼로그다는 목조 건축으로 유명한 풍부한 문화를 가진 도시였다.Вологодское деревянное зодчество|볼로그다 목조 건축|ru 샬라모프는 세습 러시아 정교회 사제이자 교사였던 아버지 티혼 니콜라예비치 샬라모프와 Вологодская духовная семинария|볼로그다 신학교|ru를 졸업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샬라모프는 처음에 볼로그다의 수호성인인 성 바를람 흐틴스키의 이름을 따서 세례를 받았지만, 나중에 더 흔한 이름인 바를람으로 개명했다. 샬라모프의 어머니 나데즈다 알렉산드로브나는 교사였으며 시를 즐겨 썼다. 샬라모프는 어머니가 가족만 아니었다면 시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그의 아버지는 1892년부터 12년 동안 알래스카에서 선교사로 일했으며, 샬라모프의 형 세르게이는 그곳에서 성장했다. 샬라모프의 가족은 러시아 제국에서 상황이 심각해지자 1905년에 러시아로 돌아왔다.

1914년, 샬라모프는 성 알렉산더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1923년에 졸업했다. 그는 사제의 아들이었지만, 13세에 신앙을 잃고 무신론자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의 아버지는 매우 진보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고 10월 혁명을 어느 정도 지지했다.[15]

2. 3. 청년 시절

바를람 샬라모프는 볼로그다현 볼로그다에서 러시아 정교회 사제이자 교사인 아버지 티혼 니콜라예비치 샬라모프와 Вологодская духовная семинария|볼로그다 신학교|ru를 졸업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볼로그다의 수호성인인 성 바를람 흐틴스키의 이름을 따 세례를 받았지만, 나중에 더 흔한 이름인 바를람으로 개명했다. 그의 어머니 나데즈다 알렉산드로브나 역시 교사였고 시를 즐겨 썼다. 샬라모프는 그녀가 시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의 아버지는 1892년부터 12년 동안 알래스카에서 선교사로 일했으며, 그의 형 세르게이는 그곳에서 성장했다. 1914년, 샬라모프는 성 알렉산더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1923년에 졸업했다. 그는 사제의 아들이었지만, 13세에 신앙을 잃고 무신론자가 되었다.

졸업 후, 지역 인민 교육부(RONO)는 샬라모프가 사제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그의 추가 교육을 지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쿤체보 구 정착지(1960년부터 모스크바시의 교외)에 있는 가죽 공장에서 무두질공으로 일했다. 1926년, 모스크바 대학교 소비에트 법 학과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공부하는 동안 샬라모프는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대주교 알렉산더 베덴스키 사이의 토론에서 보여준 웅변술에 매료되었다. 샬라모프는 문학적 모더니즘을 포함한 다양한 문학 작품을 섭렵했다. 그는 알렉산드르 푸시킨,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제임스 조이스, 어니스트 헤밍웨이 등에게 영향을 받았다.

3. 투옥과 강제 수용소 생활

샬라모프는 여러 차례 투옥과 강제 수용소 생활을 겪었다. 그는 트로츠키주의 활동과 반소련 선동 혐의로 체포되어 굴락과 콜리마 등지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1932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저널리스트로 일하며 첫 단편 소설 "아우스티노 박사의 세 번의 죽음"(1936)을 포함한 에세이와 기사를 출판했다.[3]

3. 1. 첫 번째 투옥 (1929-1932)

소련 GPU의 바를람 샬라모프 사진, 1929년


샬라모프는 트로츠키주의 성향의 그룹에 가입했고, 1929년 2월 19일 체포되어 부티르스카야 감옥으로 보내져 독방에 수감되었다. 이후 교정 노동 3년형을 선고받고 비자이하 마을로 이송되었다. 그는 레닌의 유언으로 알려진 "당 대회에 보내는 편지"를 배포하고, 이오시프 스탈린을 비판하고, "스탈린 타도"라는 구호를 외치며 소비에트 혁명 10주년을 기념하는 시위에 참여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는 용감하게도 자신을 범죄자로 낙인찍는 판결에 서명하는 것을 거부했다. 나중에 자신의 단편 소설에서 차르주의에 맞서 싸웠던 사회혁명당과 인민의 의지의 러시아 혁명 전통을 이어받은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썼다. 그는 기차를 타고 옛 솔리캄스크 수도원으로 이송되었는데, 이곳은 솔로프키 ITL의 비셰라 부서 밀리치야 본부로 개조되었다.[2][3]

샬라모프는 1931년에 석방되어 페름주 베레즈니키의 새로운 마을에서 현지 화학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했다. 그는 정착을 위해 콜리마로 갈 기회를 얻었으나, 빈정거리며 강제 호송하에만 그곳으로 가겠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운명은 몇 년 후 그에게 그의 약속을 지키게 했다.

3. 2. 두 번째 투옥 (1937-1942)

NKVD의 바를람 샬라모프 사진, 1937년


1937년 1월 12일, 대숙청이 시작될 무렵 샬라모프는 "반혁명 트로츠키주의 활동" 혐의로 다시 체포되어 5년 형을 선고받고 "하얀 죽음의 땅"이라고도 불리는 콜리마로 보내졌다.[3] 이때 그는 단편 소설 중 하나가 문학 잡지 《문학 동시대》에 게재되었을 때 이미 형을 선고받기 위해 감옥에 있었다.

3. 3. 세 번째 투옥 (1943-1951)

1943년, 샬라모프는 제58조 (반소 선동) 위반 혐의로 다시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반 부닌을 "위대한 러시아 작가"라고 칭한 것이 죄목 중 하나였다.[4] 그는 금 채굴, 석탄 채굴 등 가혹한 환경 속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정치적 범죄와 탈출 시도로 여러 차례 처벌 구역으로 보내졌으며, 그곳에서 발진티푸스에 걸렸으나 살아남았다.[4]

1946년, 샬라모프는 ''도호디야가''(수척증으로 쇠약해진 상태, 러시아어로는 문자 그대로 궁극적인 종착점으로 걸어가는 사람을 의미)가 되었을 때, 동료 수감자이자 의사인 A. I. 판튜호프가 그의 생명을 구했다.[4] 판튜호프는 샬라모프를 수용소 병원 보조원으로 배치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었고, 이 덕분에 샬라모프는 살아남아 시 쓰기에 집중할 수 있었다.[4]

4. 석방 이후의 삶

1951년, 샬라모프는 수용소에서 석방되어 세브보스트라그(Sevvostlag)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의무 조수로 계속 일하면서 글을 썼다. 석방 후, 그는 성장한 딸을 포함한 이전 가족이 해체되는 상황에 직면했는데, 딸은 이제 아버지를 알아보려 하지 않았다. 1952년, 샬라모프는 자신의 시를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에게 보냈고, 파스테르나크는 그의 작품을 칭찬했다. 샬라모프는 1953년 11월에 마가단을 떠나는 것이 허용되었고, 모스크바 근처 칼리닌주의 투르크멘 마을로 가서 보급 담당자로 일했다.[1]

5. 마지막 생애

건강 악화로 샬라모프는 생의 마지막 3년을 투시노에 있는 소련 작가 동맹이 운영하는 노인 및 장애 작가들을 위한 요양원에서 보냈다. 이 요양원의 열악한 환경은 그의 작품 일부를 번역하고 마지막 6개월 동안 샬라모프와 가까웠던 옐레나 자하로바의 회고록에 잘 나타나 있다. 그녀는 이 요양원에 대해 "인간은 제대로 된 삶을 누릴 권리뿐만 아니라 존엄하게 죽을 권리도 박탈당한다"고 비판했다.[8]

장애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시를 썼으며, 이 시들은 A. A. 모로조프(Морозов, Александр Анатольевич|알렉산드르 아나톨리예비치 모로조프ru)에 의해 기록되고 출판되었다. 샬라모프는 간단한 검사 후 정신과 시설로 이송될 예정이었으나, 이송 도중 폐렴에 걸려 1982년 1월 17일에 사망했다. 무신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친구 자하로바의 주장에 따라 정교회 장례식을 치르고 모스크바 쿤체보 묘지에 안장되었다. 역사가 발레리 예시포프는 샬라모프의 장례식에 사복 경찰을 제외하고 40명만이 참석했다고 기록했다.[8]

''콜리마 이야기''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글라스노스트 정책 덕분에 1987년 러시아에서 마침내 출판되었다.

바를람 티호노비치 샬라모프는 1956년 7월 18일 소련 최고 법원 군사 합의부에 의해 소련에서 재활되었다.[9]

6. 작품 세계

샬라모프는 1954년부터 1973년까지 대표작인 단편 소설집 《콜리마 이야기》를 집필했다. 흐루쇼프 해빙기 동안 많은 죄수들이 굴라그에서 풀려나 정치적으로 재활되었는데, 일부는 사후에 재활되기도 했다. 샬라모프는 1956년에 공식적으로 무죄 방면("재활")된 후 모스크바로 돌아갈 수 있었다. 1957년에는 문학 잡지 『모스크바』의 통신원이 되었고, 그의 시가 출판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의 건강은 수용소 생활로 인해 망가져 장애 연금을 받았다.

샬라모프는 《콜리마 이야기》를 쓰는 동안 주요 소련 문학 잡지에 시와 에세이를 발표했다. 그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나데즈다 만델슈탐과 친분이 있었다. 《콜리마 이야기》는 해외로 밀반출되어 ''삼미즈다트''를 통해 배포되었고, 1966년에 서방에서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1978년에는 런던에서 완전한 러시아어판이 출판되었으며, 이후 러시아어와 번역본으로 재판되었다. 소련 학자 데이비드 새터는 "샬라모프의 단편 소설은 그 수용소의 결정적인 연대기"라고 평가했다.[5] 또한 《콜리마 이야기》는 20세기의 위대한 러시아 단편 소설집 중 하나로 여겨진다.[6]

말년에 샬라모프는 솔제니친 등 다른 동료 반체제 인사들과 사이가 나빠졌고, 자신의 작품을 해외에서 출판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는 볼로그다 시와 수감 전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서전적 에세이도 썼다.

6. 1. 《콜리마 이야기》

Колымские рассказы|콜리마 이야기ru는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샬라모프가 집필한 단편 소설집이다. 샬라모프는 강제 수용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극한 상황에서의 생존, 권력의 폭력성을 묘사했다. Колымские рассказы|콜리마 이야기ru는 다음 6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5]

# Колымские рассказы|콜리마 이야기ru (1953년 ~ 1963년)

# Левый берег|좌안ru (1959년 ~ 1965년)

# Артист лопаты|삽의 명수ru (1959년 ~ 1965년)

# Очерки преступного мира|르포·범죄 세계ru (1954년 ~ 1960년)

# Воскрешение лиственницы|낙엽송의 소생ru (1966년 ~ 1967년)

# Перчатка, или КР-2|장갑, 혹은 제2 콜리마 이야기ru (1970년 ~ 1973년)

샬라모프는 소련 국내에서 출판 가능성을 모색했지만, 생전에 이 작품 전부가 출판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다른 반체제 작품과 마찬가지로, 사미즈다트를 통해 소련 국내에서 은밀히 유통되었다. 1965년경 모스크바 지식인이라면 대개 샬라모프의 작품을 접했을 것이다.[5]

샬라모프가 모르는 사이에 원고는 국외로 유출되어 타미즈다트로서 1966년부터 1976년까지 뉴욕러시아어 잡지 Новый журнал|노비 주르날ru에 약 50편이 게재되었다. 1978년에는 런던에서 완전한 러시아어판이 출판되었으며, 작가의 사후에 파리의 YMCA에서 제2판, 제3판이 발행되었다. 또한, 1967년의 독일어 번역을 시작으로,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등의 번역판이 출판되었다.[5]

미하일 고르바초프글라스노스트 정책 이후 1987년에 잡지 Сельская молодёжь|농촌 청년ru에 3편이 게재되면서 소련에서 공식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후 페레스트로이카의 물결을 타고 1980년대 말에 약 10종의 단행본이 발행되었으며, 1998년에는 4권으로 구성된 선집이 발행되었다. 그는 반체제 작가로서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고, 고향인 볼로그다에는 기념관이 건설되었다.[5]

Колымские рассказы|콜리마 이야기ru는 20세기 러시아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6]

6. 2. 기타 작품


  • 《흑연》(Graphite)
  • 《회고록》(Vospominaniia)
  • 《범죄 세계의 스케치: 문학적 오류에 관하여》(1959년) - 볼로그다 시와 수감 전 삶을 묘사한 자서전적 에세이.

7. 유산 및 영향

바를람 샬라모프의 작품은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폭력, 강제 수용소의 실상을 폭로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옹호하는 문학적 증언으로 평가받는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함께 반체제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91년, 볼로그다 시의 샬라모프 가족의 집은 샬라모프 기념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2007년에는 크라스노비셰르스크에 샬라모프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소행성 3408 샬라모프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

샬라모프의 친구 페도트 페도토비치 수치코프는 묘지에 흉상을 세웠지만, 2001년에 파괴되었다. 이 사건은 미결 상태로 종결되었으나, 세베르스탈 직원들의 도움으로 기념비가 재건되었다. 샬라모프의 시 몇 편은 노래로 만들어지기도 했다.[12]

대한민국에서는 군사독재 시절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민주화 이후 번역 출판되어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8. 작품 목록


  • 《콜리마 이야기》(Kolyma Tales)
  • 《흑연》(Graphite)
  • 《회고록》(Vospominaniia)
  • 바를람 샬라모프(1998), "전집" (Варлам Шаламов.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четырех томах), 바그리우스(''Vagrius'')와 후도제스트벤나야 리테라투라(Khudozhestvennaya Literatura) 출판

참조

[1] 웹사이트 "Жестокость искусства": Энтони Бёрджесс о Варламе Шаламове https://www.colta.ru[...] 2016-05-19
[2] 문서 "ITL" stands for Ispravitelno-Trudovoi Lager which means Correctional Labor Camp
[3] 웹사이트 Протокол допроса 29 февраля 1929 года https://shalamov.ru/[...] shalamov.ru null
[4] 웹사이트 Варлам Тихонович Шаламов cultinfo.ru null
[5] 뉴스 David Satter on life in the Soviet police state https://online.wsj.c[...] The Wall Street Journal 2013-05-03
[6] 간행물 The Dreams of Others http://www.intheseti[...] In These Times 2007-05-18
[7] 웹사이트 Recollection works of Shalamov http://shalamov.ru/l[...] null
[8] 웹사이트 Cerebration or Genuflection? (Varlam Shalamov and Alexander Solzhenitsin) https://shalamov.ru/[...] 2002
[9] 문서 Victims of political terror in the USSR. https://lists.memo.r[...]
[10] Youtube Завещание Ленина на youtube https://www.youtube.[...]
[11]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p. 284 https://books.google[...]
[12] 문서 Letter http://elenafrolova.[...]
[13] 문서 ラテン文字転写: Varlam Tikhonovich Shalamov
[14] 문서 露暦1907年6月5日
[15]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朝日新聞社、1998年、ISBN 4-02-257351-1、p.309
[16]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13
[17]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10
[18]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p.309-310
[19] 서적 ジャック・ロッシ著内村剛介監修「ラーゲリ強制収容所註解事典」恵雅堂出版、ISBN 4-87430-023-5、p.35
[20] 서적 ロッシ「ラーゲリ強制収容所註解事典」p.36
[21]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258
[22] 문서 反革命罪を規定した旧ソ連刑法第58条違反者の通称
[23] 문서 この時の様子は、「コルィマ物語」の「チフス検疫」に利用されている。
[24] 서적 地名に関しては、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朝日新聞社、1998年、ISBN 4-02-257351-1)p.302のマガダン周辺地図を参照のこと。
[25]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p.313-314/
[26]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14
[27] 문서 イヴァン・ブーニンはロシア人亡命作家。ロシア人としては初のノーベル文学賞受賞作家である。
[28]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15
[29] 문서 例えば、「ドミノ」、「十字架」、「手紙」では、シャラーモフが収容所を生き延びられた大きな要因の1つだった補助医師の道へ進めた事情について、シャラーモフの家族や両親について、自身が収容所内で書いた詩のノートが人づてにパステルナークに渡り手紙が送られてきた事実が、それぞれ描かれている。それ以外にも「チフス検疫」などで実体験が反映されている。
[30]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21
[31]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22
[32] 서적 V.シャラーモフ「極北 コルィマ物語」p.316
[33] 서적 V.Shalamov, Kolyma Tales(translated by John Glad), Penguin Twentieth-Century Classics, ISBN 978-0140186956, 1995, Cont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