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실리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엘라는 아사푸스상과에 속하는 삼엽충의 일종이다. 머리 미간 뒤쪽 끝이 하나의 마디로 분리되고, 앞쪽에 작은 혹이 있으며, 흉부는 8개의 마디, 미부는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미간이 크고 전미간 영역이 좁으며, 하이포스톰은 뒤로 날개가 돌출된 형태이다. 한국에서는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카와사키종과 티피칼리스종이 발견되며, 최대 30cm 크기에 달하는 대형 삼엽충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바실리엘라 최이 종이 발견되며, 모로코 페주아타층에서는 51cm에 달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생물 - 돌레로바실리쿠스
    돌레로바실리쿠스는 아사푸스상과의 일종으로, 머리 미간 뒤쪽 끝의 마디 분리 및 혹, 뚜렷한 선구조, 미간 앞쪽 능선, 네 쌍의 고랑 등의 특징을 가지며, 모식종 요쿠센시스종은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산출되어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한국의 고생물 - 와키노익티스
    와키노익티스는 일본 와키노 소군에서 발견된 멸종된 연골어류 속으로, 가늘고 긴 몸체, 날카로운 이빨, 독특한 지느러미 구조를 가지며 와키노익티스 아오키이와 와키노익티스 로부스투스 두 종이 알려져 있다.
  • 오르도비스기의 동물 - 돌레로바실리쿠스
    돌레로바실리쿠스는 아사푸스상과의 일종으로, 머리 미간 뒤쪽 끝의 마디 분리 및 혹, 뚜렷한 선구조, 미간 앞쪽 능선, 네 쌍의 고랑 등의 특징을 가지며, 모식종 요쿠센시스종은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산출되어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오르도비스기의 동물 - 아이기로카시스
    아이기로카시스는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발견된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 라디오돈트류의 일종으로, 지느러미와 잎 모양 아가미를 가지고 플랑크톤을 섭식했으며, 캄브리아기 멸종으로 알려진 라디오돈트류가 오르도비스기까지 생존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 삼엽충 - 돌레로바실리쿠스
    돌레로바실리쿠스는 아사푸스상과의 일종으로, 머리 미간 뒤쪽 끝의 마디 분리 및 혹, 뚜렷한 선구조, 미간 앞쪽 능선, 네 쌍의 고랑 등의 특징을 가지며, 모식종 요쿠센시스종은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산출되어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삼엽충 - 삼엽충아문
    삼엽충아문은 절지동물에 속하며 고생대에 번성했던 삼엽충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몸은 외골격으로 덮여 있고 머리부, 흉부, 꼬리부로 나뉘며, 해저에서 퇴적물을 섭식하는 저서생물로 추정된다.
바실리엘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립중앙박물관 자연사관에 전시된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의 삼엽충 화석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Basiliela typicalis)
국립중앙박물관 자연사관에 전시된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삼엽충 화석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Basiliela typicalis)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절지동물문
삼엽충강
아사푸스목
아사푸스과
바실리엘라속 Basiliella
속 명명자Kobayashi, 1934
모식종Asaphus barrandei
모식종 명명자Hall, 1851
하위 종 링크
화석 범위캄브리아기 후기 ~ 오르도비스기
상과아사푸스상과
하위 종

2. 특징

바실리엘라는 아사푸스상과(Asaphoidea)에 속하는 삼엽충의 일종이다. 머리 뒤쪽 끝은 하나의 마디(occipital ring)로 분리되어 있고, 앞에는 작은 혹(glabellar tubercle)이 있다. 가슴은 여덟 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꼬리가 크다. 미간은 머리 앞쪽까지 뻗어 나가며, 미간 앞 영역(preglabellar field)은 매우 좁다. 하이포스톰(hypostome)은 머리 아랫면의 두블류어(doublure)에 앞쪽이 걸쳐져 있는 컨터미넌트(conterminant) 형태이다.[4]

2. 1. 형태

미간(glabella)은 크고 네모꼴이며, 뚜렷한 고랑이 나 있다. 입 뚜껑인 하이포스톰(hypostome)은 뒤로 돌출된 날 모양이며, 꼬리는 여러 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의 늑고랑(pleural furrow)은 희미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4].

3. 한국의 바실리엘라

바실리엘라는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산출되는 대형 삼엽충으로, 가장 큰 개체는 30cm에 육박하기도 한다.[6]

3. 1. 직운산층 산출종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에서 카와사키종(''B. kawasakii'') 및 티피칼리스종(''B. typicalis'')이 산출된다. 카와사키종은 미간 위 두 쌍의 고랑 중 앞에 있는 것이 티피칼리스종보다 길다. 또한, 머리 앞쪽의 안검엽고랑(palpebral furrow)가 티피칼리스종보다 뚜렷하다. 미부의 늑고랑은 티피칼리스종이 카와사키종보다 잘 나타난다.[5]

바실리엘라는 대형 삼엽충으로, 직운산층에서 발견되는 것들 중에서 가장 큰 개체들은 30cm에 육박하기도 한다.[6]

4. 세계의 바실리엘라

바실리엘라는 한국 외에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는 ''바실리엘라 최이''(''B. choii'')는 한국인의 이름에서 종소명이 유래했지만, 실제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견된다. 이는 외국 연구자들이 한국 고생물학자 최덕근 교수의 삼엽충 연구 업적을 기리기 위함이었다.[1] 모로코 페주아타층(Fezouata Formation)에서도 바실리엘라 화석이 발견되는데, 그중에는 길이가 51cm인 것도 있다.[2]

4. 1. 오스트레일리아

''바실리엘라 최이''(''B. choii'')의 종소명은 한국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지만, 한국에서는 산출되지 않고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견된다. 최이라는 종소명이 붙은 까닭은 외국인 연구자들이 한국의 고생물학자인 최덕근 교수의 삼엽충 연구 업적을 기리고자 하였기 때문이다[1].

4. 2. 모로코

모로코의 페주아타층(Fezouata Formation)에서 발견되는 바실리엘라 화석 중에는 머리 끝에서 꼬리 끝까지의 길이가 51cm에 달하는 대형 개체도 있다.[2]

참조

[1] 저널 Late Ordovician trilobites from Tasmania: Styginidae, Asaphidae and Lichidae https://www.research[...] 2004-01-01
[2] 저널 Giant Trilobites from Lower Ordovician of Morocco https://www.research[...] 2010-03-01
[3] 서적 Ordovician Trilobites of Argentina https://kuscholarwor[...] University of Kansas Press 1957-05-01
[4] 저널 Reappraisal of the Middle Ordovician Trilobites from the Jigunsan Formation, Korea https://www.semantic[...] 1992
[5] 저널 Reappraisal of the Middle Ordovician Trilobites from the Jigunsan Formation, Korea https://www.semantic[...] 1992
[6] 웹인용 바실리엘라 https://terms.naver.[...] 2022-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