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 이그나텐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1961년 벨라루스에서 태어나 전기 기술자로 일하다가 소련군에 징집되었다. 군 복무 중 소방 훈련을 받고 소방관으로 프리피야티에 배치되어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당시 화재 진압에 참여했다. 그는 방사능에 노출되어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모스크바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1986년 사망했다. 사후 적기훈장과 우크라이나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그의 이야기는 소설 《체르노빌의 목소리》와 HBO 드라마 《체르노빌》에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멜주 출신 - 안드레이 크라우찬카
벨라루스의 10종 경기 육상 선수인 안드레이 크라우찬카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 2011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0년 벨라루스 반정부 시위 참여 후 망명을 신청했다. - 호멜주 출신 - 알렉산드라 보르티치
알렉산드라 보르티치는 벨라루스 출신의 배우로, 2012년 데뷔하여 영화 《내 이름은》으로 주목받았으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키노포이스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여배우로 선정되었다.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 발레리 레가소프
발레리 레가소프는 소련의 무기 화학 분야 전문가로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조사 및 수습 정부 위원회의 핵심 위원으로 활동하며 사고의 규모와 원인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나, 사고 2주기일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 후 러시아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 알렉산드르 아키모프
알렉산드르 아키모프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 원자로 교대 감독관으로 체르노빌 사고 당시 근무 중 원자로 폭발로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사망했으며, 사고 후 초기 조사에서는 운영자에게 책임이 있었으나 IAEA 조사 결과 원자로 설계 결함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고 사후 용기 훈장을 수여받았다. - 소련의 군인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소련의 군인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바실리 이그나텐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바실리 이바노비치 이그나텐코 |
원어 이름 | |
출생일 | 1961년 3월 13일 |
출생지 | 소비에트 연방,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호멜 주, 브라힌 지구, 스페리쥐에 |
사망일 | 1986년 5월 13일 |
사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매장지 | 모스크바, 미틴스코예 묘지 |
배우자 | 류드밀라 이그나텐코 (1983년 결혼) |
자녀 | 나타샤 이그나텐코 (1986년 출생-1986년 사망) |
군사 경력 | |
소속 | 소련 |
군종 | 내무부 내무군 |
복무 기간 | 1980년–1982년 |
계급 | 상사 |
참전 | 1986년 체르노빌 사고 최초 대응 및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사망 |
소속 부대 | 제6 소방대 (프리피야트) |
상훈 | 붉은 깃발 훈장 (1986년)}} 우크라이나 영웅 (2006년)}} 용기 훈장 (2006년)}} |
2. 생애
바실리 이바노비치 이그나텐코는 1961년 3월 13일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호멜주 브라힌 지구의 집단 농장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반 타라소비치는 트랙터 운전사였고, 어머니 타티아나 페트로브나는 농부였다.[22] 이들은 1958년에 결혼했다.[21]
바실리 이그나텐코에게는 누나 류드밀라, 남동생 니콜라이, 여동생 나타샤가 있었다. 류드밀라는 구급대원으로 일했고, 니콜라이는 버스, 트럭 운전사였으며, 나타샤는 소방관이 되었다.[21] 어린 시절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슈페리제 마을에 살면서 방과 후 농장 일을 도왔고, 주말에는 친구들과 축구를 하며 놀았다.[22]
군 복무 중 내무군의 모스크바 내무부(MVD) 군 소방서에서 소방관 훈련을 받았다.[24][25] 1982년 8월 25일 제대 후 스페리제 마을로 돌아왔다.[23] 체르니히우 소방서에 지원했으나 채용되지 않았고,[21] 이후 프리피야티 시 소방서에 채용되어 소방관으로 일하며 소방대-6(СВПЧ-6) 분대장으로 승진했다.[26][21] 계급은 소방 중사였으며,[27] 레오니트 텔랴트니코프 키예프 소방서장의 부하였다.
1986년 4월 26일 오전 1시 29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최초 폭발이 발생한 후, 제6 예비 소방대가 즉시 현장으로 출동했다.[7] 이그나텐코는 그날 밤 근무 중이었기 때문에, 프리피야트에서 발전소로 출발한 최초 9명의 근무 소방관 중 한 명이었다. 발전소는 도시에서 불과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6]
현장에서 이그나텐코는 통풍 건물과 3호기(파괴된 4호기 원자로 옆) 지붕에서 화재와 싸웠다. 폭발 당시 흑연, 지르코늄 및 기타 RBMK 원자로 구성 요소의 과열된 조각들이 튀면서 수많은 작은 화재가 발생했다. 그는 20층 건물의 꼭대기에 도달하기 위해 3호기 화재 탈출구를 사용했고, 동료 소방관들과 함께 물을 사용하여 이러한 국지적 화재를 진압했다.[8] 그러나 지붕에 존재하는 높은 수준의 방사능이 곧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그나텐코와 다른 사람들은 방사성 연기를 흡입했고, 튀어나온 핵 물질 더미 속에서 작업했으며, 곧 급성 방사선 증후군의 초기 증상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동료 소방관들의 도움을 받아 이그나텐코는 오전 2시 35분경에 프리피야트 병원으로 이송되었다.[6][9]
처음에 이그나텐코는 프리피야트 병원에 입원했으나, 사태의 심각성이 알려지자 보리스필 국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모스크바로 이송되었다.[34][35] 그곳에서 소련 원자력 기구에서 운영하는 6번째 병원에 입원했고,[36][37] 1986년 5월 2일에 누나인 류드밀라의 기증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게 되었다.[21]
그는 수술로 조금 상태가 나아졌으나, 이후 계속 상태가 악화되었다. 그는 소화, 호흡기 기능이 저하되고 탈모와 피부 괴사를 겪으며, 5월 4일에는 서 있지 못하게 되었다.[42] 면역체계의 손상으로 그는 장기 부전으로 이어졌고, 결국 그는 1986년 5월 13일 오전 11시 20분경에 사망했다.[33] 그의 장례식은 5월 15일에 죽은 다른 소방관들과 함께 진행되었고, 미틴스코예 묘지에 묻혔다.[21]
2. 1. 어린 시절
바실리 이바노비치 이그나텐코는 1961년 3월 13일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호멜주 브라힌 지구의 집단 농장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반 타라소비치 이그나텐코는 트랙터 운전사였고, 어머니 타티아나 페트로브나 이그나텐코는 농부였다.[22] 이들은 1958년에 결혼했다.[21]바실리 이그나텐코에게는 누나 류드밀라, 남동생 니콜라이, 여동생 나타샤가 있었다. 류드밀라는 구급대원으로 일했고, 니콜라이는 버스, 트럭 운전사였으며, 나타샤는 소방관이 되었다.[21] 바실리가 태어나기 전, 둘째 비티아는 열병으로 사망했다.[21]
어린 시절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슈페리제 마을에 살면서 방과 후 농장 일을 도왔고, 주말에는 친구들과 축구를 하며 놀았다.[22]
2. 2. 소방관 경력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군 복무 중 내무군의 모스크바 내무부(MVD) 군 소방서에서 소방관 훈련을 받았다.[24][25]1982년 8월 25일 제대 후 스페리제 마을로 돌아왔다.[23] 체르니히우 소방서에 지원했으나 채용되지 않았다.[21]
이후 프리피야티 시 소방서에 채용되어 아파트에 입주, 소방관으로 일하며 소방대-6(СВПЧ-6) 분대장으로 승진했다.[26][21]
계급은 소방 중사였으며,[27] 레오니트 텔랴트니코프 키예프 소방서장의 부하였다.
2. 3.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1986년 4월 26일 오전 1시 29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최초 폭발이 발생한 후, 제6 예비 소방대가 즉시 현장으로 출동했다.[7] 이그나텐코는 그날 밤 근무 중이었기 때문에, 프리피야트에서 발전소로 출발한 최초 9명의 근무 소방관 중 한 명이었다. 발전소는 도시에서 불과 4 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6]현장에서 이그나텐코는 통풍 건물과 3호기(파괴된 4호기 원자로 옆) 지붕에서 화재와 싸웠다. 폭발 당시 흑연, 지르코늄, 및 기타 RBMK 원자로 구성 요소의 과열된 조각들이 튀면서 수많은 작은 화재가 발생했다. 그는 20층 건물의 꼭대기에 도달하기 위해 3호기 화재 탈출구를 사용했고, 동료 소방관 블라디미르 티슈라, 니콜라이 티테노크, 니콜라이 바슈추크와 함께 빅토르 키베노크 중위와 볼로디미르 프라비크의 지휘를 받아 물을 사용하여 이러한 국지적 화재를 진압하는 한편, 소방 호스를 지붕까지 올리는 노력을 조율했다. 건물 내부의 소방용 급수관이 폭발로 파손되었고, 물이 지붕에 닿기 전에 손실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조치가 필요했다.[8]
그러나 지붕에 존재하는 높은 수준의 방사능이 곧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그나텐코와 다른 사람들은 방사성 연기를 흡입했고, 튀어나온 핵 물질 더미 속에서 작업했으며, 곧 급성 방사선 증후군의 초기 증상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레오니드 텔랴트니코프 소령의 명령을 받아 화재 탈출구를 올라가 지원하던 소방관들은 그들이 내려오려고 애쓰는 도중, 통제할 수 없이 구토를 하고 서로 돕지 않고서는 완전히 몸을 지탱할 수 없는 그들을 중간 지점에서 만났다. 동료 소방관들의 도움을 받아 이그나텐코는 오전 2시 35분경에 프리피야트 병원으로 이송되었다.[6][9]
2. 4. 입원과 사망
처음에 이그나텐코는 프리피야트 병원에 입원했으나, 사태의 심각성이 알려지자 보리스필 국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모스크바로 이송되었다.[34][35] 그곳에서 소련 원자력 기구에서 운영하는 6번째 병원에 입원했고,[36][37] 1986년 5월 2일에 누나인 류드밀라의 기증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게 되었다.[21] 원래 여동생인 나타샤가 유력 이식 기증자였지만,[21] 이그나텐코는 그녀가 13살 뿐이라며 거절했고,[21][22][26][38] 가족들은 이 시술로 그의 백혈구 수치가 높아지길 바랐다.[39][40][41]그는 수술로 조금 상태가 나아졌으나, 이후 계속 상태가 악화되었다. 그는 소화, 호흡기 기능이 저하되고 탈모와 피부 괴사를 겪으며, 5월 4일에는 서 있지 못하게 되었다.[42] 면역체계의 손상으로 그는 장기 부전으로 이어졌고, 결국 그는 1986년 5월 13일 오전 11시 20분경에 사망했다.[33]
그의 장례식은 5월 15일에 죽은 다른 소방관들과 함께 진행되었고, 장례식에는 다른 소방관의 가족들도 참여했다.[21][22] 이그나텐코는 내부는 아연으로, 외부는 나무로 만들어진 관에 담겨,[22][25] 미틴스코예 묘지에 묻혔다.[21]
3. 가족 관계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평생 가족과 매우 가깝게 지냈으며, 주말마다 프리피야트에서 기차를 타고 가족을 방문했다. 그는 이러한 방문 동안 집안일과 정원 일을 도왔고, 심지어 가구를 만들기도 했다.[1][5][6] 사고 이후 그의 가족의 마을은 오염되었고, 그들은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다.[1][2][5] 1981년에 가족이 지은 집은 버려진 직후 불에 탔다.[2][5]
1983년부터 이그나텐코는 류드밀라 이그나텐코(1963년생, 이그나텐코의 동명이인 여동생과 혼동하지 말 것)와 결혼했다. 그녀는 우크라이나 중부 출신으로, 프리피야트의 공장-주방 기업의 제과점에서 일했다.[6] 이들은 프리피야트의 아파트 파티에서 서로 아는 친구들을 통해 만났고,[6] 데이트를 한 후 1983년 9월 24일에 법적으로 결혼했다.[2] 두 가족 모두를 위해 결혼식을 올린 후, 각자의 고향에서 별도의 축하 행사가 열렸다.[6]
참사 이후, 류드밀라는 이그나텐코의 아버지와 함께 모스크바로 갔다.[2][6] 그곳에서 그녀는 남편의 병을 곁에서 간호하며 그의 건강이 악화될 때까지 병원에 머물렀다.[6] 이그나텐코가 말기 상태에 접어들자, 그녀는 전화로 가족을 모스크바에 소환했다.[1][15]
바실리 이그나텐코와 류드밀라 이그나텐코는 이전의 임신 실패 후, 나타샤 이그나텐코라는 한 아이를 낳았다. 선천성 심장 결함과 간경변으로 태어났다고 알려진 그녀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으며, 모스크바의 미틴스코예 묘지에 아버지와 함께 묻혔다.[6]
류드밀라는 사고 당시와 남편의 입원 기간 동안 딸을 임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딸의 죽음은 남편으로부터의 방사선 노출의 결과라는 추측이 있었다. 1996년 인터뷰에서 류드밀라는 그녀의 아기가 "전체 방사선 충격을 흡수했다 [...] 그녀는 그것의 피뢰침과 같았다"라고 말했다.[16] 그러나 우크라이나 의료 구조대원 알라 샤피로는 2019년 ''베니티 페어''와의 인터뷰에서 그러한 믿음은 잘못된 것이며, 이그나텐코가 샤워를 하고 오염된 옷을 벗으면 다른 사람에게 위험하지 않게 되어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한다고 말했다.[17] 로버트 피터 게일 체르노빌 방사선 환자 치료에 직접 참여했던 미국의 혈액학자 또한 피해자들은 스스로 방사능을 띄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방사선 노출의 위험을 가하지 않았다고 썼지만, 이것은 참사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다.[18]
4. 사후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사망 후 적기훈장을 받았으며, 2006년에는 우크라이나 영웅 칭호와 우크라이나 용기 훈장을 추서받았다.[43] 벨라루스 브라힌 지구 등 그의 고향에는 그를 기리는 여러 기념비와 박물관이 세워졌다. 민스크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44]
4. 1. 수상 내역
훈장 | 내용 |
---|---|
-- | 우크라이나 영웅 |
-- | 우크라이나 용기 훈장 |
-- | 적기훈장 |
바실리 이그나텐코는 사후 1986년 소련 적기훈장, 2006년 우크라이나 최고 국가 훈장인 우크라이나 영웅 칭호와 우크라이나 용기 훈장을 받았다.[19]
5. 대중문화
바실리 이그나텐코의 아내 류드밀라 이그나텐코의 행적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저서 《체르노빌의 목소리》에서 소재로 다뤄졌으며,[45] HBO의 미니시리즈 《체르노빌》(2019)과[46] 군나르 베르그달의 다큐멘터리 영화 《Ljudmilas Röst》(2001)에도 등장했다. 드라마 《체르노빌》에서는 애덤 나게이티스가 이그나텐코를, 제시 버클리가 그의 아내를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Плакать на кладбище запрещали". Во имя чего умер ликвидатор, который тушил пожар на ЧАЭС
https://web.archive.[...]
TUT.BY News
2020-11-21
[2]
뉴스
Мать героя Чернобыля рассказала о сыне
https://gp.by/novost[...]
Gomel Pravda
2020-11-23
[3]
웹사이트
Игнатенко 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https://fireman.club[...]
Fireman.club
2016-12-04
[4]
웹사이트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Советская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в советское время
https://eduction.ru/[...]
2020-12-14
[5]
뉴스
Герой "Чернобыля": мать пожарного Василия Игнатенко о том, каким он был в жизни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2-03
[6]
뉴스
'Гибель мужа мне предсказала гадалка', — интервью с вдовой ликвидатора аварии на ЧАЭС Василия Игнатенко
https://web.archive.[...]
ФАКТЫ
2020-12-12
[7]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the untold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
Simon & Schuster
2019
[8]
서적
From Chernobyl to Fukushima
S. Podgornov
2012
[9]
웹사이트
Ignatenko, Vasily Ivanovich
http://memory.chorno[...]
National Chornobyl Museum
2020-12-12
[10]
문서
Higgenbotham, Adam (2019), pp.151
[11]
문서
Higgenbotham, Adam (2019), pp.220
[12]
문서
Higgenbotham, Adam (2019), pp.231
[13]
문서
Higgenbotham, Adam (2019), pp.225
[14]
문서
Higgenbotham, Adam (2019), pp.234
[15]
서적
Voices From Chernobyl
Dalkey Archive Press
[16]
문서
Alexievich, Svetlana (2005), pp.22
[17]
간행물
Chernobyl Doctor Fact Checks the HBO Series
https://www.vanityfa[...]
2019-09-19
[18]
웹사이트
Chernobyl, the HBO miniseries: Fact and fiction (Part II)
https://cancerletter[...]
2019-08-18
[19]
웹사이트
On the Title of Hero of Ukraine
https://zakon.rada.g[...]
Verkhovna Rada of Ukraine
2006-04-21
[20]
웹사이트
Василий Иванович Игнатенко
http://vulica.by/ign[...]
2020-12-13
[21]
웹인용
Мать героя Чернобыля рассказала о сыне
https://web.archive.[...]
2021-12-09
[22]
뉴스
"Плакать на кладбище запрещали". Во имя чего умер ликвидатор, который тушил пожар на ЧАЭС
https://web.archive.[...]
TUT News
2021-12-09
[23]
웹인용
Василий Игнатенко. Герой Чернобыля.
https://fireman.club[...]
2021-12-09
[24]
웹인용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Советская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Пожарная охрана в советское время
https://eduction.ru/[...]
2021-12-10
[25]
웹인용
Герой "Чернобыля": мать пожарного Василия Игнатенко о том, каким он был в жизни
https://www.bbc.com/[...]
2021-12-10
[26]
웹인용
'Гибель мужа мне предсказала гадалка', — интервью с вдовой ликвидатора аварии на ЧАЭС Василия Игнатенко
https://web.archive.[...]
2021-12-11
[27]
문서
공산권 국가에서는 군인, 경찰, 소방관이 계급을 공유했다.
[28]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the untold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
https://archive.org/[...]
New York: Simon & Schuster
[29]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the untold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
https://archive.org/[...]
[30]
서적
From Chernobyl to Fukushima
Kyiv: S. Podgornov
[31]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the untold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
https://archive.org/[...]
[32]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the untold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
https://archive.org/[...]
[33]
웹인용
Ignatenko, Vasily Ivanovich
http://memory.chorno[...]
2021-12-10
[34]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https://archive.org/[...]
[35]
웹인용
체르노빌 부부·오드리 헵번… 역경 이겨낸 그들만의 사랑법
https://n.news.naver[...]
2022-01-21
[36]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2019
[37]
웹인용
Chernobyl, the HBO miniseries: Fact and fiction (Part II)
https://cancerletter[...]
2021-12-18
[38]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2019
[39]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2019
[40]
웹인용
Chernobyl Doctor Fact Checks the HBO Series
https://www.vanityfa[...]
Condé Nast
2021-12-18
[41]
웹인용
Chernobyl, the HBO miniseries: Fact and fiction (Part II)
https://cancerletter[...]
2021-12-18
[42]
서적
Midnight in Chernobyl
2019
[43]
웹인용
Про присвоєння звання Герой України
https://zakon.rada.g[...]
2021-12-18
[44]
웹인용
улица Игнатенко (вуліца Ігнаценкi) в Минске – Vulica.by
http://vulica.by/ign[...]
2021-12-18
[45]
웹인용
"사랑하는 사람이 괴물로 변했어요"
https://n.news.naver[...]
2022-01-21
[46]
웹인용
‘끝의 시작’에 처했지만…계속해서 망각하는 인간을 향한 경고 [이로사의 신콜렉터]
https://n.news.naver[...]
2022-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