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명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명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 학사, 네덜란드 국립사회과학대학원 사회과학 석사, 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용인대학교와 경북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수석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 행정자치부 장관을 역임했다. 19대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2020년 제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박명재
기본 정보
인명박명재
한자 표기朴明在
로마자 표기Bak Myeong-jae
출생일1947년 7월 5일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국적대한민국
거주지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송도동
종교개신교
배우자장광복
자녀2남 1녀
학력
출신 학교연세대학교
학력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
직책행정자치부 장관
임기 시작2006년 12월 13일
임기 종료2008년 2월 28일
직책국회의원
선거구포항시남구・울릉군 선거구
당선 횟수2
임기 시작2013년 10월 31일
임기 종료2020년 5월 29일
정치
소속 정당열린우리당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지역구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19·20)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9·20
기타
군 복무육군병장 만기전역
웹사이트박명재 블로그

2. 학력

2. 1. 명예 박사 학위

3. 경력

연도경력
1975년제16회 행정고등고시 수석 합격
1983년 ~ 1985년중앙공무원교육원 기획과장
1985년 ~ 1986년총무처 교육훈련과장, 총무처장관 비서실장
1987년 ~ 1990년내무부 장관비서실장
1990년 ~ 1996년총무처 조직기획과장, 공보관,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수부장
1997년 ~ 1999년청와대 행정비서관
1999년 ~ 2001년경상북도 행정부지사
2001년 ~ 2002년국민고충처리위원회 상임위원 겸 사무처장
2002년 ~ 2003년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장
2003년 ~ 2006년제20대 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
2006년 ~ 2008년제9대 행정자치부 장관[2]
2008년이명박정부 무임소 국무위원
2009년 ~ 2011년차의과학대학교 총장
2013년경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부 석좌교수
2013년 10월 ~ 2016년 5월제19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
2014년새누리당 경제혁신 특별위원회 위원
2014년 8월 ~ 2015년 7월새누리당 지방자치안전위원장
2015년 ~ 2016년새누리당 민생119본부장, 새누리당 경북도당 수석부위원장, 새누리당 경북도당 민생119본부 본부장
2016년새누리당 전국위원회 부의장
2016년 6월 26일 ~ 2016년 8월 9일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26일 ~ 2016년 11월 18일새누리당 사무총장
2016년 7월국회철강포럼 대표의원
2016년 5월 ~ 2020년 5월제20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
자유한국당 경북도지사 예비후보
자유한국당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2018년 9월제5대 지역균형발전협의체 공동회장
2018년 12월 ~ 2020년 5월자유한국당 경북도당 포항 남구·울릉군 당협위원장
2019년 9월자유한국당 저스티스 리그 이사회 고문
2019년 10월자유한국당 국가정상화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20년 3월 ~ 2020년 4월미래통합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지방자치특별위원장
2020년 11월국민의힘 국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
사단법인 세계신지식인협회 고문
네덜란드 국립사회과학대학원 졸업,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1]
연세대학교, 대구대학교, 용인대학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특임교수[1]



2013년 10월 30일부터 2020년 5월까지 제19대, 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자세한 의정 활동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의정 활동

박명재 의원은 2013년 10월 30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울릉군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의정 활동을 시작했다.[2] 19대 국회에서는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대법관(조희대)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지방자치발전 특별위원회 위원, 군인권개선 및 병영문화혁신 특별위원회 위원, 기획재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장, 동북아역사왜곡대책 특별위원회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16년 5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제20대 국회의원(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을 지냈다. 20대 국회에서는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이낙연)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재난안전대책 특별위원회 위원,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출신 지역구와의 관련성으로 "전국민 독도 방문" 캠페인 활동을 펼쳤다. 2016년 8월 15일에는 나경원 의원이 단장을 맡은 "독도 방문단"에 참여하여 헬리콥터로 독도에 상륙했다. 그는 당일 광복절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긴급히 일정을 변경하여 독도 방문에 참여했으며, "일본 정부에 분노를 느껴 가지 않을 수 없었다"는 소감을 언론에 전했다.[3]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는 미래통합당의 세대교체 결정에 따라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당의 결정에 불만이 있었지만, 문재인 정부 심판을 위해 따를 수밖에 없었고, 탈당 및 무소속 출마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4]

다음은 박명재 의원의 주요 의정 활동을 정리한 표이다.

기간소속활동 내역
2013년 10월 ~ 2016년 5월제19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
2016년 5월 ~ 2020년 5월제20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


4. 당내 활동

박명재는 새누리당 소속으로 2013년 10월 30일 경상북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후, 당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2]

기간직책
2014년새누리당 경제혁신 특별위원회 위원
2014년 8월 ~ 2015년 7월새누리당 지방자치안전위원장
2015년 ~ 2016년새누리당 민생119본부장
2015년 ~ 2016년새누리당 경북도당 수석부위원장
2015년 ~ 2016년새누리당 경북도당 민생119본부 본부장
2016년새누리당 전국위원회 부의장
2016년 6월 26일 ~ 2016년 8월 9일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26일 ~ 2016년 11월 18일새누리당 사무총장[2]
2016년 7월국회철강포럼 대표의원
자유한국당 경북도지사 예비후보
자유한국당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2018년 9월제5대 지역균형발전협의체 공동회장
2018년 12월 ~ 2020년 5월자유한국당 경북도당 포항 남구·울릉군 당협위원장
2019년 9월자유한국당 저스티스 리그 이사회 고문
2019년 10월자유한국당 국가정상화특별위원회 부위원장
2020년 3월 ~ 2020년 4월미래통합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지방자치특별위원장
2020년 11월국민의힘 국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



특히, 출신 지역구와 관련하여 "전국민 독도 방문" 캠페인 활동을 펼쳤으며, 2016년 8월 15일에는 나경원 의원이 이끄는 "독도 방문단"에 참여하여 독도를 방문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분노를 느껴 광복절 행사 대신 독도 방문을 선택했다고 밝혔다.[3]

5.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81년근정포장
1998년홍조근정훈장
2003년황조근정훈장
2006년말레이시아 국왕 1등급 훈장
2008년청조근정훈장


6. 논란

박명재 의원은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출마하면서, 특정 개혁 과제를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반납하겠다는 공약을 했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로 인해 과제가 이행되지 않아 세비 반납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5]

6. 1. 세비반납 공약 파기 논란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명재 의원을 포함한 당시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 40명은 국민에게 조건부 세비 반납을 약속했다.[5]

이들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등 대한민국을 위한 5대 개혁과제를 2017년 5월 31일까지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들은 계약서에 “우리는 ‘대한민국과의 계약’에 서약합니다”라며 “서명일로부터 1년 후인 2017년 5월 31일에도 5대 개혁과제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서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할 것임을 엄숙히 서약합니다”라고 썼다. 또한 이 약속을 신문에 전면광고를 내고 1년간 보관해달라고 하였다. 이 약속에 이름을 올린 당시 후보는 40명이었고, 이 중 27명(강석호, 강효상, 김광림, 김명연, 김무성, 김성태, 김순례, 김정재, 김종석, 박명재, 백승주, 오신환, 원유철, 유의동, 이만희, 이완영, 이우현, 이종명, 이철우, 장석춘, 정유섭, 조훈현, 정준길, 지상욱, 최경환, 최교일, 홍철호)이 당선되었다.[5]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5대 과제는 하나도 이행되지 않았다. 공약 후 1년이 다되어 세비반납 공약이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보도자료를 통해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년간 5대 개혁과제 법안을 발의함으로써 계약 내용을 이행했다"고 말했다.[6]

그런데 이들이 발의한 5개 법안은 모두 해당 상임위에 계류 중이며, 이행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히 노동개혁을 위한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안은 마감 시한인 5월 31일 전날 오전에 발의되었다. 이를 두고 '법안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 개혁 과제를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가', '세비 반납을 피하기 위해 졸속 발의한 것 아닌가' 등의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약속했던 세비 반납의 조건이 '과제 이행' 여부였다는 점에서 법안 발의만으로는 약속을 이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6][7][8]

7.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대수직책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9대경상북도지사열린우리당290,358표 (23.19%)2위낙선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무소속24,297표 (21.89%)2위낙선
201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새누리당57,309표 (78.56%)1위당선초선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대한민국의 국회의원새누리당75,569표 (71.86%)1위당선재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2] 웹사이트 建設交通・李庸燮、行政自治・朴明在…盧大統領、長官候補を指名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6-11-24
[3] 웹사이트 韓国与野党議員10人、きょう独島訪問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6-08-15
[4] 웹사이트 박명재 의원 "악법도 법, 당 결정 수용" 불출마 선언 https://www.newsis.c[...] 2020-03-09
[5] 뉴스 [단독] 김무성 '세비반납' 약속 D-7...옛 새누리, 대국민 전면광고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7-06-04
[6] 뉴스 새누리 출신 의원들 ‘세비 반납’은 결국 쇼? http://news.khan.co.[...] 2017-06-04
[7] 뉴스 자유한국당, '세비반납' 약속 마감 하루 전 법안 발의해 논란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6-04
[8] 뉴스 ‘대한민국과의 계약’ 파기…세비 반납은 없었다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7-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