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성빈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성빈은 1871년 6월 6일에 태어나 1938년 9월 4일에 사망한 조선 시대 인물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효력부위까지 올랐으나, 부정부패에 환멸을 느껴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다. 1892년 동학 접주가 되어 체포되었으나 살아남았고, 이후 칠곡과 구미 등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 그의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으며, 박성빈은 장승원의 논을 소작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령 박씨 - 박병석
    박병석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6선 국회의원과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고령 박씨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 성주군 출신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성주군 출신 - 한기춘
    한기춘은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한국은행 고문,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유신정권 참여 경력은 비판받는다.
박성빈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성빈
원래 이름朴成彬
출생일1871년 6월 6일
출생지조선 경상도 성주
사망일1938년 9월 4일 (67세)
사망지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국적대한제국
본관고령 (高靈)
직책조선국 전설사 예하 정구품 효력부위
(朝鮮國 典設司 隸下 正九品 效力副尉)
배우자백남의
부모박영규 (부), 성산 이씨(모)
가족
자녀박○희 (장남, 이름은 추정, 2살 때 요절)
박동희 (차남)
박무희 (삼남)
박상희 (사남)
박귀희 (장녀)
박한희 (오남)
박재희 (차녀)
박정희 (육남)
형제남동생 박용빈, 박일빈
군주
군주조선 고종 이형
임기1890년 4월 30일 ~ 1893년 6월 15일

2. 생애

아버지 박영규가 사망하면서 장남임에도 막내인 박일빈에게 재산을 물려줘 가세가 기울어져, 처남의 도움으로 구미 상모동에서 처가 문중 선산 산지기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7] 처가의 위토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장택상의 아버지 장승원에게 논 다섯 마지기를 소작하기도 했다.[14] 가을 추수 후 둘째 아들 박무희가 도지와 뇌물을 장 직각 댁으로 보내는 것을 가족들은 보았다고 한다.[15]

말년에 병으로 고생하던 박성빈은 늦은 나이에 얻은 막내 박정희가 장가가는 것을 보고 싶어해 친구의 딸인 김호남과 결혼시켰다. 그러나 박정희는 김호남을 좋아하지 않았고, 같은 방을 쓰기조차 거부했다고 한다.[16] 박성빈은 2년 뒤인 1938년 9월 4일에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아들 박정희가 대통령이 되면서 "부사 효력부위 박성빈지묘"라는 비석이 세워졌다.

2. 1. 초기 생애

박성빈은 1871년 6월 6일(음력 4월 19일)에 태어났다. 아버지 박영규(朴永奎) 때까지 성주 철산 사읍촌에서 살다가 칠곡군 약목으로 이사 왔다. 박영규 대까지 4대 독자로 내려오다가 박영규 대에 와서 성빈(成彬), 용빈(龍彬), 일빈(一彬)의 3형제가 태어났다. 박영규는 "약목평야"라 불릴 만큼 농지와 소작농들을 거느린 부농이었다.[7] 박성빈은 건너 마을에 살고 있던 백낙춘(白樂春)의 딸 백남의와 결혼했다. 젊은 시절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구한말 정9품 효력부위(効力副尉)까지 올랐지만, 당시의 부정부패에 환멸을 느껴 동학혁명에 가담하게 된다.[6]

1892년 성주에서 22세의 젊은 나이에 동학 접주(接主)가 되었다가 관군에게 체포되기도 했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이미 나라의 형세가 기울어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한량처럼 매일같이 술로 세월을 보내곤 했다.[7] 딸 박재희의 증언에 의하면 체포된 동학 농민군 300명 중 혼자 살아남았는데, 달변에 능했기 때문이다.[6] 박정희와 동리 주민들은 괄괄하고 호쾌한 성격이었다고 증언한다.[6][8][9]

박성빈이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던 경력으로 훗날 박정희는 동년배들이 동학난이라 부르던 것을 동학농민혁명이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10] 동학농민혁명 유족회는 2005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박성빈의 행적을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박성빈은 청년 시절 무과에 급제해 황해도 영변 지역 부사(또는 함남 지역 부사)로 발령받았으나 혼탁한 세상에 환멸을 느껴 관직을 포기했다. 그리고 성주에서 동학 운동에 뛰어들었으나 동학 운동 탄압이 거세지면서 관군에 체포되었다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칠곡과 구미 등에서 세상을 등지고 지낸 것으로 알려졌다.[11][12][13]

2. 2. 관직 생활과 동학 농민 운동

박성빈은 젊은 시절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구한말 정9품 효력부위(効力副尉)까지 올랐지만, 당시의 부정부패에 환멸을 느껴 동학혁명에 가담하게 된다.[6] 딸 박재희의 증언에 의하면, 벼슬을 하려고 전답을 팔아서 서울에 자주 올라갔으며 이때 가산을 많이 날렸다고 한다.[6]

1892년 성주에서 22세의 젊은 나이에 동학 접주(接主)가 되었다가 관군에게 체포되기도 했다. 그는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이미 나라의 형세가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한량처럼 매일같이 술로 세월을 보내곤 했다.[7] 딸 박재희의 증언에 따르면, 체포된 동학 농민군 300명 중 혼자 살아남았는데, 달변에 능했기 때문이다.[6] 한편 박정희와 동리 주민들은 괄괄하고 호쾌한 성격이었다고 증언한다.[6][8][9]

박성빈이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던 경력으로 후일 박정희는 동년배 또래들이 동학난이라 부르던 것을 동학 농민 혁명이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10] 이에 대해 동학농민혁명 유족회는 2005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박성빈의 당시 행적을 면밀히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성빈은 청년 시절 무과에 급제해 황해도 영변 지역 부사(또는 함남 지역 부사)로 발령받았으나 혼탁한 세상에 환멸을 느껴 관직을 포기하였다. 그리고 성주에서 동학 운동에 뛰어들었으나 동학 운동 탄압이 거세지면서 관군에 체포되었다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칠곡과 구미 등에서 세상을 등지고 지낸 것으로 밝혀졌다.[11][12][13]

2. 3. 은둔 생활과 말년

1892년 22세의 젊은 나이에 성주에서 동학 접주(接主)가 되었다가 관군에게 체포되기도 했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났지만, 나라의 형세가 기울어져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한량처럼 술로 세월을 보냈다. 그 때문에 아버지 박영규가 사망하면서 의절하다시피 장남임에도 막내인 박일빈에게 재산을 물려줘 가세는 점점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고향을 떠나 처남의 도움으로 구미 상모동에 있는 처가 문중 선산 산지기로 일하면서 생계를 유지했다.[7] 딸 박재희의 증언에 따르면, 체포된 동학 농민군 300명 중 혼자 살아 나왔는데, 달변에 능했기 때문이다.[6] 한편 박정희와 동리 주민들은 괄괄하고 호쾌한 성격이었다고 증언한다.[6][8][9]

박성빈이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던 경력으로 후일 박정희는 동년배 또래들이 동학난이라 부르던 것을 동학농민혁명이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10] 동학농민혁명 유족회는 2005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박성빈의 당시 행적을 면밀히 조사했다. 그에 따르면 박성빈은 청년 시절 무과에 급제해 황해도 영변지역 부사(또는 함남 지역부사)로 발령받았으나 혼탁한 세상에 환멸을 느껴 관직을 포기하였다. 그리고 성주에서 동학운동에 뛰어 들었으나 동학운동 탄압이 거세지면서 관군에 체포됐다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칠곡과 구미 등에서 세상을 등지고 지냈다.[11][12][13]

처가의 위토만으로는 생활이 안 돼 한때 장택상의 아버지이자 경기도 관찰사를 지낸 칠곡군의 갑부 장승원을 찾아 그의 아들 박무희가 장승원의 논 다섯 마지기를 소작하기도 했다.[14]

말년에 병으로 고생하던 박성빈은 46살이라는 매우 늦은 나이에 얻은 막내 박정희가 장가가는 것을 보고 싶어해 친구의 딸인 김호남과 결혼시켰다. 그러나 박정희는 김호남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같은 방을 쓰기조차 거부했다고 한다.[16] 결혼 시킨 2년 뒤 1938년 9월 4일에 67세 나이로 사망한다.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면서 "부사 효력부위 박성빈지묘"라는 비석이 세워졌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박영규1840년 2월 10일 ~ 1914년 2월 24일
어머니성산 이씨? ~ ?[4]
아우박용빈? ~ ?[5]
아우박일빈? ~ ?[5]
백남의1872년 9월 22일 ~ 1949년 8월 12일
장남박동희1895년 ~ 1972년
자부선산 김씨 김봉금1894년 ~ ?
자부여산 송씨1911년 ~ 1995년
손자박재홍1941년 ~
손녀박재선1948년 ~
차남박무희1898년 ~ 1960년
자부연안 차씨1905년 ~ 1938년
손녀박씨1920년 ~ ?
손서김영달? ~ ?
손자박재석1922년 ~ 1989년국제전기 회장
손자박재호1931년 ~ 1999년동양육운 회장
장녀박귀희1902년 ~ 1985년
사위은용표1888년 ~ 1966년가수 은지원의 할아버지
3남박상희1905년 ~ 1946년
자부조귀분1908년 ~ 1993년
손녀박영옥1929년 ~ 2015년
손녀박계옥1937년 ~
손녀박화자1940년 ~ 2007년
손녀박금자1942년 ~
손녀박설자1945년 ~
손자박준홍1947년 ~
4남박한생1910년 ~ 1928년
차녀박재희1913년 ~ 1996년
사위한정봉1911년 ~ 1966년
5남박정희1917년 ~ 1979년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


4. 일화


  • 박성빈과 그의 둘째 아들 박무희는 장승원 집안의 소작농으로 일했다. 장택상은 박정희를 얕잡아보면서도 껄끄럽게 여겼고, 박정희 역시 장택상을 싫어하였다.[1]
  • 박정희쪽 계보로 내려가면 아버지와 아들 간의 나이 차가 굉장히 심해서 기본 40살 이상 차이가 난다. 박성빈과 아버지 박영규도 31살 차이가 나니 그 시대면 많은 것이다.[1]


관계나이 차이
박성빈과 박정희46살
박정희박지만41살
박지만과 박세현47살


참조

[1] 웹사이트 고령박씨 直講公派 휘 천서(天瑞) 천신(天信) 세계도 (世系圖) http://chungheongong[...] 2023-10-13
[2] 웹사이트 그래픽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가계도) https://www.yna.co.k[...] 2023-10-13
[3] 웹사이트 박근혜를 파헤친다 가계도 완벽 분석-4촌 이내 https://ilyo.co.kr/?[...] 2023-10-13
[4] 블로그 고령박씨27세 박영규의 배우자 http://blog.daum.net[...]
[5] 블로그 고령박씨 28세 http://blog.daum.net[...]
[6]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68)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7] 뉴스 유족회 가입 할까 말까… 박근혜 고민중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8] 웹사이트 박정희 어머니가 박정희를 몹시 아낀 이유 http://www.ohmynews.[...]
[9]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67)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0]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69)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11] 뉴스 박근혜 조부,동학운동 가담 확인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12] 뉴스 박근혜대표 祖父 동학접주 활동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13] 뉴스 ‘祖父는 동학접주’ 박근혜 “與과거사 캐기 휘말릴라” 고민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14]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82)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15] 웹사이트 '박정희군'이라 부르던 장택상, 둘의 기묘한 인연 http://www.ohmynews.[...]
[16] 뉴스 박정희의 생애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100)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