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연주는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출판인이다.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영국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개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건국대학교,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2009년에는 출판사 헤적프레스를 설립하여 디자인과 출판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박연주는 언어, 타이포그래피, 북 디자인을 중심으로 구조, 배열, 순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디자인 작업을 선보이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업과 독립 출판을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셰익스피어 전집》, 《자소상 / 트랙터》 등이 있으며, 《셰익스피어 전집》은 '타이포그래피가 아름다운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손혜원
    손혜원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정치인으로, 크로스포인트를 공동 설립하여 '처음처럼', '참이슬' 등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나전칠기 수집가로서 전통 공예 현대화에 힘썼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열린민주당을 거쳐 녹색당 창당에 참여했다.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석금호
    석금호는 한국 타이포그래피 전문가이자 산돌의 설립자로, 다수의 폰트 개발과 한글티움 설립 등 한국 폰트 산업 발전과 한글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
  • 1972년 출생 - 나르게스 모하마디
    이란의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여성 인권과 사형 제도 폐지를 위해 활동하며 이란 정부에 의해 여러 차례 투옥되었고, 2023년에는 이란 여성 억압에 맞선 투쟁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수감 중에도 저술 활동을 통해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 1972년 출생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박연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연주
박연주
이름박연주
본명미상
직업그래픽 디자이너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72년
출생지서울
학력
학력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학부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공 석사
기타 정보
장르미상
종교미상
자녀미상
팬클럽미상
웹사이트미상
수상미상

2. 생애

박연주는 1972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1995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했다.[5] 졸업 후 2003년까지 디자인 에이전시 I&I에서 인쇄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했다.[5] 2004년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RCA)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2006년 석사학위를 받았다.[6] 2007년부터 서울에서 개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건국대학교,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5] 2009년 헤적프레스(Hezuk Press)를 설립하여 디자인과 출판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2020년 대한출판문화협회의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공모전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72~2003)

1972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했다(1995).[5]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디자인 에이전시 I&I에서 인쇄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했다.[5]

2. 2. 영국 유학 (2004~2006)

2004년 로열 칼리지 오브 아트(RCA) 커뮤니케이션 디자인(Communication Art and Design) 석사과정에 입학했다.[6] 2005년에는 사람들이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무언가를 분류하고, 선택하고, 분석하는 행위에 대해 탐구하는 "Odd one out"이라는 작품을 제작했다. 이 작품은 박연주가 직접 출제한 문제들로 구성된 시험지를 무작위로 사람들에게 나눠준 후 이를 수거하여 책으로 만든 것이다. 2006년에는 RCA의 입학 지원서에 쓰여 있던 질문 항목과 단어들에서 출발해서 문서의 표면 아래 얽힌 사회 구조를 탐험하는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이라는 작업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6]

2. 3. 귀국 후 활동 (2007~현재)

2007년부터 서울에서 개인 스튜디오를 시작했다. 문화 예술 영역을 중심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면서 건국대학교,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5] 2009년에 헤적프레스(Hezuk Press)를 설립하여 디자인과 출판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2020년 대한출판문화협회의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공모전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7]

3. 작업 세계

박연주는 언어, 타이포그래피, 북 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Structure), 배열(Arrangement), 순서(Sequence)에 관심을 두고 작업한다.[4] 관념적인 언어보다는 현실과 일상에 맞닿은 언어, 부조리와 유머에 관심을 가지며, 텍스트의 의미와 형태를 탐구하고 시각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주로 한다.

"말장난 같은 것들이나 언어적인 시도들을 좋아하는 편이에요. 의미와 기호 사이에서 그것들을 재밌게 가지고 노는 것을 단서 삼아 타이포그래피 작업을 시작해요."[8]라고 말했으며, 인쇄물 디자인은 구조를 만들고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일이라고 언급했다.[9]

3. 1. 주요 작품

제목연도설명
양심 Conscience영어200872~400포인트 크기의 양심이라는 단어를 연필로 썼다 지운 후 만들어진 지우개 똥을 복사, 배열한 포스터. 파리 장식미술관 영구소장.[10]
《셰익스피어 전집》2016문학과지성사 출판. 제1회 타이포그래피가 아름다운 책 수상.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의복 패턴을 결합한 표지 및 본문 디자인.[5]
그래픽 시2017계간 10주년 기념호를 위한 작업. 인터뷰 글 속 단어들을 재배열하여 만든 시.[12]
머리말2017W쇼 전시 아이덴티티, 포스터, 벽면 그래픽. "부드럽게 머리를 쓰자"라는 메시지를 중의적으로 표현.[13]
좋은 삶2018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포스터. 전시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은 언어와 디자인.[8]
지구를 지켜라2019전주국제영화제 100 Films 100 Poster 작업. 영화 제목과 의성어, 의태어를 결합한 디자인.[14]
《자소상 / 트랙터》2020헤적프레스 출판.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수상. 책의 물리적 구조를 탐구한 디자인.[15]


4. 헤적프레스 (Hezuk Press)

헤적프레스(Hezuk Press)는 그래픽 디자이너 박연주와 사진작가 정희승이 함께 만든 소규모 출판사이다. 2009년 박연주가 설립했고, 2014년부터 정희승이 합류해 활동하고 있다. 편집자로는 전유니가 함께하고 있다. 헤적프레스라는 이름은 박연주가 출판 등록을 생각할 무렵 갑자기 떠오른 '해적'이라는 단어가 느낌이 너무 센 듯해 모음 하나를 바꾼 것이다. '해적'을 '헤적'으로 바꾸면서 '무엇을 찾으려고 자꾸 들추거나 파서 헤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1]

이들은 사진과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출판 협업을 실험하며, 예술의 전 영역이 책 또는 인쇄물과 만났을 때 만들어질 수 있는 실험적이고 흥미로운 접점을 찾아 나아간다.[16]

4. 1. 설립 및 소개

헤적프레스(Hezuk Press)는 그래픽 디자이너 박연주와 사진작가 정희승이 함께 만든 소규모 출판사이다. 2009년 박연주가 설립했고, 2014년부터 정희승이 합류해 활동하고 있다. 편집자로는 전유니가 함께하고 있다. 헤적프레스라는 이름은 박연주가 출판 등록을 생각할 무렵 갑자기 떠오른 '해적'이라는 단어가 느낌이 너무 센 듯해 모음 하나를 바꾼 것이다. '해적'을 '헤적'으로 바꾸면서 '무엇을 찾으려고 자꾸 들추거나 파서 헤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1]

4. 2. 활동 내용

헤적프레스의 첫 공식 출판물은 정경자의 작품집이다. 이 책은 총 2권으로, 각 페이지의 높이가 균일하게 제본되지 않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었다. 박연주와 정희승이 함께 동의한 작가에 한해 출판하는 것을 원칙으로 기획하고, 모든 출판물은 박연주가 디자인한다. 이들은 사진과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출판 협업을 실험하며, 예술의 전 영역이 책 또는 인쇄물과 만났을 때 만들어질 수 있는 실험적이고 흥미로운 접점을 찾아 나아간다.[16]

2014년부터는 미술 씬에서 유의미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출판물인 시리즈를 기획했다.[17] 약 3개월마다 한 명의 작가를 초대해 동일한 지면(A4 판형, 16페이지, 중철제본)을 제공한다. 초대된 작가는 장종완, 이수인, 후니다 킴, 로와정 등이며, 자신의 작품세계를 16페이지 안에 투영시켜야 한다. '작품 발표'는 일차적으로 종이 위에서 이루어지며, 역으로 이 인쇄물을 기반으로 관련 행사가 만들어진다. 포스터 시리즈는 에서 파생된, 정희승과 박연주의 사진그래픽 '놀이'이다. 시리즈의 종이 물성만을 빌려와 포스터를 만든다.

박연주와 정희승은 2008년 처음 만났으며, 이들의 협업에는 전시와 전시 카탈로그가 중심이다. 정희승 작가의 전시 카탈로그 《Persona》(2008), 《The Triumph of Failure》(2010), 《Unphotographable》(2011), 《부적절한 은유들》(2013), 《Rose is a rose is a rose》(2016)를 제작했다. 정희승 작가의 전시 《Rose is a rose is a rose》에서는 박연주와 정희승이 함께 만든 출판물로 구성된 방이 있었으며, 《2020년 올해의 작가상》에서 정희승 작가 전시에 박연주가 쓴 '아트 시' 엽서를 전시했다. 디자인 저술가 전가경은 "둘의 협업은 사진책이라는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변방에 있었던 카탈로그를 협업의 모델로 발전시켰고, 이 협업의 진행은 국내에선 찾기 힘든 사진가-디자이너 간의 다차원적 협업 사례들을 낳았다."라고 말했다.

《헛수고》는 팩토리2에서 열린 헤적프레스의 전시로 2020년 12월 15일부터 2021년 1월 10일까지 개최되었다. 전시는 정희승이 위키백과에서 수집한 새를 재촬영한 사진과 박연주가 신문 기사에서 발췌한 여러 사건과 상황을 타이포그래피 작업이 쌍을 이루었으며, 박연주의 타이포그래피를 읊조리는 뮤지션 장기하의 목소리로 전시공간이 채워졌다.[18]

4. 3. 주요 출판물


  • In Between Something and Nothing (vol. 1) inVisible/Suspended Landscape (vol. 2)영어[15], 2012, 정경자, 헤적프레스
  • Float 시리즈

순번제목발행년도참여 작가
1나는 네 소리를 듣는다한국어2014장종완
2The Polka-dot Garden영어2014이수인
3공간 작곡 Space Composition한국어2015후니다 킴
4판타지가 없다는 환타지한국어2015로와정
5고자질하는 심장한국어2016심래정
6누워있는 조각가의 시간한국어2017전명은
7주고받는 모서리한국어2017오종
8오후 6시 34분한국어2017이우성
9일련의 구성한국어2018김경태
10Cresendo: Dot, Dot, Dot, Dot영어2018진달래 & 박우혁
11녹취록한국어2019김영은
12붉은 모서리 녹색 숲한국어2019전현선


  • 정井한국어[15], 2015, 강서경
  • ROSE IS A ROSE IS A ROSE영어[15], 2016, 정희승
  • Converstions with Flowers of a Decade영어[15], 2016, 이혜승
  • Hyphen영어[15], 2016, 이수진
  • Hanged Man영어[15], 2016, 안진균
  • 동력, 말라붙다한국어[15], 2017, 허경(허요)
  • Green Men영어[15], 2018, 박형지
  • Slice영어[15], 2019, 안진균
  • 열쇠들한국어[15], 2019, 유소라
  • 기억은 뒷면과 앞면을 가지고 있다한국어[15], 2019, 정희승, 글 김성우
  • w영어[15], 2019, kdk
  • Night for Day영어[15], 2020, 박진아
  • Copier영어[15], 2020, 정희승, 글 김현호
  • 주소록 (09-19) 윤윤최한국어[15], 2020, 최윤
  • 자소상 / 트랙터한국어[15], 2021, 최태훈

5. 전시 및 의뢰 작업

박연주는 다양한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여했고, 전시 도록, 포스터, 출판물 디자인 등 여러 의뢰 작업을 수행했다.[18][5]

5. 1. 주요 전시


  • 2005년, RCA, "Odd One Out"[18]
  • 2006년, RCA,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18]
  • 2006년, Hangeul Dada, Dart Gallery, "문자 메세지 통증"[18]
  • 2007년, "It’s Hotel에서 훔친 아이디어"[18]
  • 2008년, 서울디자인 나우, 2008 서울디자인올림픽, "영혼을 잃지 않는 서울시민 되기"[18]
  • 2008년, 삶과 타이포그라피, cafe Hiut, "양심 (conscience)"[18]
  • 2008년, 상상想像,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18]
  • 2009년, 상상想像, "날 뜨다"[18]
  • 2010년, 잡지 '우물우물', "Mr. Kim과 Mr. Lee의 모험"[18]
  • 2010년, 상상想像, "무제"[18]
  • 2011년, 타이포잔치2011, "무제"[18]
  • 2016년, AGI 2016 DDP, "I love Seoul"[18]
  • 2016년, 훈민정음과 한글디자인, "파리를 사랑하세요?"[18]
  • 2017년, 계간 '그래픽' 매거진 10주년 기념호, "그래픽 시"[18]
  • 2017년, 타이포잔치 2017 출판 프로젝트, '''《'''터치타입'''》'''/'''《'''낫 더 타입'''》'''[18]
  • 2017년, W쇼, "머리말"[18]
  • 2018년, 서울♥︎내일 만나요♥︎평양, "트렉터는 뜨락또르"[18]
  • 2018년,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서울로미디어캔버스, "좋은 삶"[18]
  • 2018년, 시와타이포그래피 2018, "그 머나먼"[18]
  • 2019년, 100 films 100 posters,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지구를 지켜라"[18]
  • 2020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20, "아트 시"[18]
  • 2020년, Factory2, "헛수고"[18]
  • 2021년, 피크닉, 정원만들기, "행운목"[18]

5. 2. 주요 의뢰 작업

참조

[1] 서적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 6699press 2016
[2] 웹인용 오픈 사월의눈 그래픽: 그래픽 디자이너 박연주의 사진책 디자인 https://www.aprilsno[...] 2021-11-18
[3] 서적 개별꽃 화원 2020-11
[4] 웹인용 박연주 디자이너를 소개합니다 https://fdsc.kr/59 2021-11-18
[5] 웹인용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 http://wshow.kr/wome[...] 2021-11-18
[6] 서적 GRAPHIC#8: 스몰 스튜디오 프로파간다 2008
[7] 웹인용 "[당신의 책꽂이] 그래픽 디자이너 박연주의 아름다운 전집 5" https://www.chosun.c[...] 2021-11-18
[8] 서적 survey2019 기록집 whatreallymatters 2019
[9] 서적 GRAPHIC #43, 종이는 아름답다 2019
[10] 서적 "<코리아 나우! 한국그래픽디자인전>, 서문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생명력'" 2016
[11] 웹인용 생명 도서관 – 타이포잔치 2021 http://typojanchi.or[...] 2021-11-18
[12] 서적 월간 <디자인> vol.505, 2020
[13] 서적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 1990~2018 2020
[14] 웹인용 "[프로젝트] 《Gathering Flowers》 — 취미가 趣味家 Tastehouse" http://www.taste-hou[...] 2022-03-03
[15] 웹인용 2021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선정결과 발표 http://member.kpa21.[...] 2021-11-18
[16] 웹인용 "[미술 독립출판 ③ - 헤적프레스] 작품 보여주는 책이 작품되다" http://weekly.cnbnew[...] 2021-11-18
[17] 서적 FDSC.txt vol.1: 슬기로운 디자인 생활 2020
[18] 뉴스 "헤적프레스! 헛헛한 말과 얼굴" http://www.artincult[...] 아트인컬쳐 2021-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