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정 (19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은정은 1952년생으로, 법학자이자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법철학회 회장, 유네스코 국제생명윤리위원회 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학계와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했다. 저서로는 '자연법사상', '5.18 법적책임과 역사적책임' 등이 있다. 2001년 대한민국과학기술한림원 학술상을 수상하고, 2002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김영란 (법조인)
김영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최초의 여성 대법관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장으로서 김영란법 제정을 주도했으며, 대법관 시절 진보적 성향의 판결과 소수 의견 제시로 주목받았고, 퇴임 후에는 석좌교수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는 여성 법조계의 상징적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이재오
이재오는 민주화 운동가 출신으로 보수 정당에서 5선 국회의원과 특임장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그의 경력은 다면적인 평가를 받는다.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희진
정희진은 여성학, 평화학 연구자이자 작가로서, 여성학 학위를 취득 후 한국여성의전화 활동, 강연, 저술 활동을 하며 녹색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영애
정영애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학 박사 출신 여성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국여성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여성 현안을 다루었다.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동문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동문 - 요제프 괴벨스
요제프 괴벨스는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이자 정치가로서 뛰어난 선전 능력으로 나치당의 권력 장악에 기여하고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으로서 독일의 문화와 언론을 통제하며 전쟁 선동에 앞장섰으나,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책임으로 평가받고 베를린 함락 직전 가족과 함께 자살했다.
박은정 (195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Pak Eun-jeong |
한글 표기 | 박은정 |
한자 표기 | 朴恩正 |
출생일 | 1952년 10월 3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
정당 | 무소속 |
학력 | 서독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
주요 직책 | |
직책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임기 | 2017년 6월 29일 ~ 2020년 6월 28일 |
전임 | 성영훈 |
후임 | 전현희 |
대통령 | 문재인 |
총리 | 이낙연 정세균 |
기타 공직 | |
직책 | 대통령 비서실 예하 의문사진상규명위원 |
임기 | 2000년 10월 17일 ~ 2002년 10월 31일 |
대통령 | 김대중 |
직책 | 유네스코 아태국제이해교육원 이사장 |
임기 | 2010년 5월 2일 ~ 2010년 8월 18일 |
대통령 | 이명박 |
총리 | 정운찬 윤증현 (국무총리 권한대행) |
직책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
임기 | 2003년 4월 1일 ~ 2005년 4월 30일 |
대통령 | 노무현 고건 (대통령 권한대행) 노무현 |
총리 | 고건 이헌재 (국무총리 권한대행) 이해찬 |
학력 | |
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사) |
대학원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법학박사) |
외부 링크 | |
아시아 여성 법률 연구소 | Asian Women Law Institute |
국가법령정보센터 | 국가법령정보센터 |
네이버 인물 백과 | 박은정 인물백과 |
2. 경력
박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조교수, 부교수 및 교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객원연구원, 한국법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원장,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소장 등을 지냈다.
유네스코 국제생명윤리위원회 위원,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위원, 법무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중앙인사위원회 비상임위원,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감사, 한국인권재단 이사장,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부위원장,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 1. 학계 경력
연도 | 직책 |
---|---|
1980년 3월 ~ 1985년 2월 |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조교수 |
1985년 3월 ~ 1990년 2월 |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부교수 |
1990년 3월 ~ 2004년 1월 |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 |
1990년 8월 ~ 1991년 8월 |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 |
1998년 5월 ~ 2000년 5월 | 한국법철학회 회장 |
2004년 2월 ~ 현재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2005년 9월 ~ 2006년 7월 |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 |
2006년 8월 ~ 2008년 7월 |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원장 |
2008년 9월 ~ 2009년 8월 | 케임브리지 대학교 객원연구원 |
2010년 5월 ~ 현재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소장 |
2. 2. 사회 활동 경력
기간 | 직책 |
---|---|
1998년 10월 ~ 2004년 5월 | 유네스코 국제생명윤리위원회 위원 |
1999년 12월 ~ 2001년 2월 |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
2000년 2월 ~ 2004년 1월 |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위원 |
2000년 7월 ~ 2002년 7월 |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
2000년 10월 ~ 2002년 10월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위원 |
2000년 12월 ~ | 법무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
2002년 1월 ~ 2005년 12월 | 학교법인 한성학원 이사 |
2002년 3월 ~ | 대한임상연구심의기구협의회 부회장 |
2002년 10월 ~ 2007년 3월 | 세포응용연구사업단 윤리위원회 위원장 |
2003년 3월 ~ 2006년 4월 | 한국도로공사 이사 |
2003년 4월 ~ 2005년 4월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
2004년 5월 ~ 2007년 5월 | 중앙인사위원회 비상임위원 |
2004년 11월 ~ 2008년 10월 |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
2005년 8월 ~ 2008년 7월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
2007년 8월 ~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감사 |
2008년 2월 ~ 2012년 | 한국인권재단 이사장 |
2008년 6월 ~ |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부위원장 |
2008년 8월 ~ |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 |
2009년 11월 ~ | 교육공무원 일반징계위원회 위원 |
2010년 4월 ~ | 대학교원임용양성평등추진위원회 위원 |
2010년 5월 ~ |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이사 |
2017년 6월 ~ 2020년 6월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사법행정자문회의 법조일원화제도분과위원회 위원 |
박은정 교수는 단독 저서와 공저를 포함하여 여러 책을 저술하였다.
3. 저서
3. 1. 단독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
자연법사상 | 민음사 | 1987년 6월 1일 |
현대의 사회문제와 법철학(법학교양총서 35) | 교육과학사 | 1993년 3월 1일 |
5.18 법적책임과 역사적책임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1995년 12월 1일 |
법학입문 | 법문사 | 1998년 3월 10일 |
생명 공학 시대의 법과 윤리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00년 9월 20일 |
왜 법의 지배인가 | 돌베개 | 2010년 8월 20일 |
3. 2. 공저 및 기타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
세계 각국의 줄기세포 연구정책과 규제 | 세창출판사 | 2005년 12월 5일 |
NGO와 법의 재배 | 박영사 | 2006년 12월 10일 |
줄기세포연구자를 위한 생명윤리 | 세창출판사 | 2007년 6월 15일 |
줄기세포 연구윤리의 어제와 오늘 | 세창출판사 | 2007년 6월 30일 |
자연법의 문제들 | 세창출판사 | 2007년 7월 25일 |
법철학의 문제들 | 박영사 | 2007년 8월 20일 |
4. 상훈
대한민국과학기술한림원 제46회 인문사회과학분야 학술상(2001년)과 녹조근정훈장(2002년)을 받았다.[1][2]
4. 1. 학술상
4. 2. 훈장
수여 년도 | 훈장 |
---|---|
2002년 | 녹조근정훈장 |
참조
[1]
웹사이트
[Eye Interview] South Korea's anti-corruption agency chief vows to enhance corruption awareness
http://www.koreahera[...]
2019-07-06
[2]
웹사이트
Chairperson profile
http://www.acrc.go.k[...]
null
[3]
웹사이트
Asian Women Law Institute
http://asianwomenlaw[...]
2019-07-06
[4]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law.go.kr/eng[...]
2019-07-06
[5]
웹사이트
박은정 인물백과
https://people.searc[...]
null
[6]
뉴스
[문재인 정부 인사]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생명윤리 분야·법철학 전문가, 인권·시민사회운동 적극 참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