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오는 1945년 강원도 묵호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농촌사회개발학과 제적 후 교사, 재야 운동가로 활동했다.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여러 차례 수감되었으며, 1994년 민주자유당에 영입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국회의원, 국민권익위원장, 특임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2017년 늘푸른한국당을 창당해 대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여 상임고문을 지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석좌교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특임장관 - 주호영
주호영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이자 제22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으로, 판사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야를 거치며 주요 당직을 수행했으나, 세금 탈루, 가족 편법 증여, 세월호 관련 발언 등 여러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특임장관 - 고흥길
대한민국의 정치인 고흥길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6대, 17대, 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미디어법 직권상정 등으로 논란이 있었고, 경기 성남시 분당구 갑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세 번 당선되었다. - 늘푸른한국당 - 박창달
박창달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15대, 제16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낙선했다. - 늘푸른한국당 - 최병국 (1942년)
최병국은 1942년생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한나라당 소속 울산광역시당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민의힘 상임고문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박은정 (1952년)
박은정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철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법철학회 회장, 아시아생명윤리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겸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자연법, 생명윤리, 인권, 민주주의 등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으로 학술상과 훈장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김영란 (법조인)
김영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최초의 여성 대법관을 지냈고, 국민권익위원장으로서 김영란법 제정을 주도했으며, 대법관 시절 진보적 성향의 판결과 소수 의견 제시로 주목받았고, 퇴임 후에는 석좌교수로 활동하며 후학 양성에 힘쓰는 여성 법조계의 상징적 인물이다.
이재오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이름 | 이재오 |
한자 이름 | 李在五 |
로마자 표기 | Yi Jae-o |
출생일 | 1945년 1월 1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강원도 강릉군 묵호읍 부곡리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재령 |
종교 | 개신교(예장합동) |
정당 | 국민의힘 |
경력 | |
경력 | 민중당 사무총장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제15·16·17·18·19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원내부총무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한나라당 원내총무 한나라당 사무총장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한나라당 원내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 제2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제2대 특임장관 늘푸른한국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 늘푸른한국당 공동대표 제19대 늘푸른한국당 대선후보 늘푸른한국당 당대표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고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
의정 활동 | |
지역구 | 서울 은평구 을(15·16·17·18·19) |
의원 선수 | 5 |
의원 대수 | 15·16·17·18·19 |
당내 직책 | |
당내 직책 | 상임고문 서울특별시당 고문 |
기타 | |
웹사이트 | 이재오 의원 홈페이지 |
2. 생애
1945년 강원도 강릉군 묵호(현 동해시)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후 가족은 고향인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돌아와 어린 시절을 보냈다.[5] 중학교 시절 《상록수》를 읽고 농촌운동가의 꿈을 꾸었으며, 웅변에 재능이 뛰어나 각종 웅변대회를 휩쓸었다. 영양군청 행정서기보로 채용되어 농장관리인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1964년 중앙대 농촌사회개발학과에 입학했으나 6.3 항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어 제적되었다. 이후 국민산업학교 농업경영학과와 고려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1996년 중앙대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군 복무 중 파견교사 시험에 합격하여 전역 후 장훈고(1973년), 송곡여고(1979년)에서 국어 교사로 재직했다.
함석헌, 계훈제, 김수환 등과 함께 민주수호국민협의회를 결성하고, 민주수호청년협의회의 2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김수환의 요청으로 경북가톨릭농민회에서 인권 문제를 강연했는데, 이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되었다.[6] 1979년에는 남민전 조직원으로 구속되었으나, 이재오는 자신이 한국민주투쟁국민위원회 소속으로 민주화운동을 하다 체포되었고, 유신정권이 남민전과 엮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2019년 8월 13일, 반공법 위반에 대해 47년 만에 무죄를 선고받았다.[7]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독재정권 아래서 다섯 번 수형 생활을 했다.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민족통일위원장, 6월 항쟁 당시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 집행위원, 군정종식 후보단일화 쟁취 국민협의회(국협) 활동을 했다.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조국통일위원장을 거쳐 민연추를 결성했으나 이부영 지지 세력과 갈라섰다.[8]
1990년 김문수, 장기표 등과 민중당 창당에 참여, 기독교시민운동계열 인사들과 문익환 목사의 지지를 받았다. 민중당 사무총장에 선출되고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구 을에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했다.[8] 국군보안사령부의 사찰 대상 중 한 사람이 되어 노태우 정부로부터 감시당했다.[9]
1994년, 김영삼 대통령은 김대중의 동교동계가 민족해방계 학생운동가들을 영입하는 것에 자극받아 민주계 재야인사들을 민주자유당으로 영입했고, 이때 이재오도 입당했다.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구 을에 출마해 당선, 초선 의원 모임인 '''시월회'''를 결성하여 정풍 운동을 주도하였다.[1] 1997년 제15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를 지지했으나, 김대중에게 패배하면서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1]
이회창이 총재였던 한나라당 내 개혁소장파 정치인으로, 국회 교육위원회 법안심사소위 위원장으로 활동했다.[10] 1999년 고문기술자 이근안이 검거되자, 방송에 출연하여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 당시 당했던 고문을 폭로했다.[11]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을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다.
2003년 6월 26일 한나라당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최병렬 의원에 밀려 낙선했다. 최병렬 대표 체제 하에서 한나라당 중앙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이듬해 3월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에 동참, 찬성표를 던졌다.[13] 탄핵 반대 역풍으로 최병렬 대표가 사임하고 박근혜가 대표로 선출되었다. 한나라당은 천막당사로 당사를 옮기는 등 역풍을 잠재우려 노력했고, 은평을에서 3선에 성공하였다.
17대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상임위원, 2004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박근혜 대표와 정책적으로 자주 충돌을 빚었다.[13] 2006년 한나라당 원내대표, 제8차 전당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며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대선 캠프에 합류하여 선거를 총지휘, 대선 승리와 정권교체에 성공하였다. 박근혜와의 갈등은 극에 달해, '독재자의 딸'이라 비난했고, 박근혜는 이재오의 최고위원직 사퇴를 요구했다.[14] 2007년 11월 8일 친박위원들의 압력으로 최고위원직을 사퇴하였다.
2010년 7월 28일 7.28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 은평구을에 출마, 민주당 장상 후보를 꺾고 2년 8개월 만에 국회에 입성하였다.
2016년 4.13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컷오프되었다. 새누리당 후보로 은평구 을에서 5선을 했지만, 윤상현, 진영 등과 함께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했다.[20] 무소속으로 은평구 을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2017년 1월 11일 늘푸른한국당을 창당해 초대 대표로 취임했다. 제19대 대선 후보로 추대되어 출마했으나 12위로 낙선하였다. 2018년 2월 늘푸른한국당을 해체하고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으로 이어지는 정치역정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계속됐다. 2003년 인터뷰에서 "민중이 정치에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신조를 갖고 출발했고, 지금까지 그 정신에서 조금도 후퇴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15] 김대중 정권의 부정부패를 눈감아주는 것이 반민중당 정신"이며 "16대 국회때 권력의 부패와 맞서는 야당으로서 한나라당의 입지를 굳히는데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민중당 시절 민중 위해 정치하려 했는데, 민중이 선거에서 우릴 외면한 것"이며 "나는 여전히 진보주의자"라고 하였다.[15]
2. 1. 유년기 및 청년기
1945년 강원도 강릉군 묵호(현 동해시)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후 가족은 고향인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돌아와 어린 시절을 보냈다.[5] 중학교 시절 《상록수》를 읽고 농촌운동가의 꿈을 꾸었으며, 웅변에 재능이 뛰어나 각종 웅변대회를 휩쓸었다. 영양군청 행정서기보로 채용되어 농장관리인으로 근무하기도 했다.2. 1. 1. 사회 운동과 교사 생활
1964년에 농촌운동가를 꿈꾸며 중앙대 농촌사회개발학과에 입학하였으나 한일협정을 반대하는 6.3 항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어 제적되었다. 이후 국민산업학교 농업경영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하였고 고려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후 다시 중앙대 경제학과에 복학하여 1996년에 졸업하였다. 군 복무 중에 파견교사 시험에 합격하여 전역 후에 교사생활을 시작했으며 1973년에는 장훈고에서, 1979년에는 송곡여고에서 국어 교사로 재직했다.함석헌, 계훈제, 김수환 등과 함께 민주수호국민협의회를 결성하였고, 재야청년단체의 효시인 민주수호청년협의회의 2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김수환으로부터 경북가톨릭농민회 기도회에서 인권 문제를 강연해달라고 요청을 받아 특강을 했는데 이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되었다.[6]
1979년 11월에 남민전 조직원으로 구속된다. 이재오 자신은 남민전 관련자가 아니고 한국민주투쟁국민위원회 소속으로 민주화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었는데 유신정권이 비슷한 시기에 체포된 남민전과 엮었던 것일 뿐이라 주장한다.
2019년 8월 13일 반공법 위반에 대해 47년 만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서울고법 형사10부(박형준 부장판사)는 지난 1972년 유신체제 반대 시위 배후로 지목돼 고문을 당하고 옥살이를 한 이 상임고문의 반공법 위반 재심 사건 선고 공판에서 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7]
2. 1. 2. 재야 운동가 시절
민주주의와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독재정권 아래서 다섯 번의 수형 생활로 이어졌다.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민족통일위원장으로 활동했고, 6월 항쟁 당시에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 집행위원으로 항쟁을 주도했으며, 군정종식 후보단일화 쟁취 국민협의회(국협)을 결성하고 후보단일화 운동에 나섰다. 이후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조국통일위원장을 거친 후 진보정당을 창당하기 위해 민연추를 결성했으나 이부영을 지지하는 세력과 갈라섰다.[8]1990년 김문수, 장기표 등과 함께 민중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여기에는 기독교시민운동계열 인사들이 참여하였고 문익환 목사도 지지를 보내주었다. 이재오는 민중당 사무총장에 선출되고 1992년 48세에 제14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구 을에 출마했으나 3위로 낙선하며 현실정치의 벽을 넘지 못했다.[8] 한편 이재오는 국군보안사령부의 사찰 대상 중 한 사람이 되어 노태우 정부로부터 감시당하기도 했다.[9]
2. 2. 정계 입문
1994년, 김영삼 대통령은 김대중의 동교동계가 민족해방계 학생운동가들을 영입하는 것에 자극받아 민주계 재야인사들을 민주자유당으로 영입했다. 이때 이재오도 민자당에 입당했다. 이후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구 을에 출마해 당선되었고, 초선 의원 모임인 '''시월회'''를 결성하여 정풍 운동을 주도하였다.[1]1997년 제15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를 지지했으나, 김대중에게 패배하면서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1]
2. 2. 1. 현실 정치 입문
그 후 1994년에 김영삼에 의해 민주자유당에 영입되었다. 그때 당시 김대중의 동교동계는 민족해방계 학생운동가들을 '젊은피 수혈'이라는 명목으로 영입하기 시작했고 이에 자극을 받은 김영삼은 민주계 재야인사들을 민자당에 영입했다. 이후 이재오는 민자당에 전격으로 입당하였다. 이후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총선 서울 은평구 을에서 당선되었고 초선 의원 모임인 '''시월회'''를 결성하여 정풍 운동을 주도하였다.[1]1997년 열린 제15대 대선에서 이회창 후보를 지지하며 선거운동을 벌였으나, 이회창은 김대중에게 간발의 차로 낙선하였고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1]
2. 2. 2. 국민의 정부 시절
이회창이 총재직을 맡은 한나라당 내에서 대표적인 개혁소장파 정치인으로 불리며 정치활동을 이어갔으며,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법안심사소위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10] 1999년 군사정권 시절 고문기술자로 악명을 떨친 이근안이 검거되자, 직접 방송에 출연하여 자신이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으로 구속되었을 당시 그에게 당했던 고문을 폭로하기도 했다.[11]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서울 은평을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다.2. 2. 3. 노무현 정부 시절
2003년 6월 26일 열린 한나라당의 당대표 선출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최병렬 의원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최병렬 대표 체제 하에서 한나라당 중앙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3월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추진되자 발의에 동참하였으며,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졌다.[13] 하지만 유권자들로부터 탄핵을 반대하는 역풍이 불자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급격히 떨어졌으며, 이에 최병렬 대표가 사임하고 열린 임시전당대회에서 박근혜가 대표로 선출되었다. 한나라당은 당사를 천막당사로 옮기는 등 역풍을 잠재우기 위해 노력하였고, 지지율이 어느 정도 반등에 성공하면서 이재오 역시 은평을에서 3선에 성공하였다.17대 국회에서는 문화관광위원회로 자리를 옮겨 상임위원을 역임하였으며, 2004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한편 총선 이후 열린 전당대회에서 박근혜가 정식 당대표가 되었고, 이재오는 한나라당 내 대표적인 비박계 의원으로 손꼽히며 박근혜 대표와 정책적으로 자주 충돌을 빚었다.[13] 2006년 한나라당 원내대표로 당선되었고, 7월 11일 열린 제8차 전당대회에서 2위를 기록하며 최고위원에 당선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정국이 시작되자 이재오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대선 캠프에 합류하여 선거를 총지휘하였으며, 그 결과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어 정권교체에 성공하였다. 한편 대선정국에서 이명박의 경쟁자였던 박근혜와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 이재오는 대선 과정에서 인터뷰를 통해 박근혜를 '독재자의 딸' 이라 부르며 맹비난했고, 박근혜가 이에 이재오의 최고위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일까지 벌어졌다.[14] 결국 친박위원들의 압력으로 2007년 11월 8일 최고위원직을 사퇴하였다.
전향 이후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으로 이어지는 정치역정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계속됐다. 그는 2003년 여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민중이 정치에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신조를 갖고 출발했고, 지금까지 그 정신에서 조금도 후퇴한 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15] "과거에 민주화 운동을 같이 했다고 해서 김대중 정권의 부정부패를 눈감아주는 것이야말로 반민중당 정신"이라며 "나는 16대 국회때 보수나 진보를 떠나서 권력의 부패와 맞서는 야당으로서 한나라당의 입지를 굳히는데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민중당 시절 민중 위해 정치하려 했는데, 민중이 선거에서 우릴 외면한 것"이며 자신을 "나는 여전히 진보주의자"라면서 "그러나 국가경영에서 건전한 진보주의자가 건전한 보수와 함께 나가야만 우리 시대의 과제인 분단을 극복할 수 있다[15]"고 하였다.
2. 2. 4.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2010년 7월 28일에 실시했던 7.28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 은평구을에 출마해 당시 범야권 단일후보였던 민주당 장상 후보를 꺾고 2년 8개월 만에 다시 여의도에 입성하였다. 장상은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이자 민주당 최고의원이었다.2. 2. 5. 박근혜 정부 이후
2016년 4.13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컷오프되었다. 새누리당 후보로 은평구 을에서 5선을 하였지만, 윤상현, 진영 등 여러 현역 의원들과 함께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했다.[20] 무소속 후보로 은평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2017년 1월 11일 늘푸른한국당을 창당해 초대 대표로 취임했다. 4월에는 제19대 대선 후보로 추대되어 5.9 대선에 출마하였으나 13명 후보 중 12위로 낙선하였다. 11월에는 자유한국당과 통합을 협의해 2018년 2월에 늘푸른한국당을 해체했고, 2월 12일에 약 2년 만에 다시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3. 논란 및 비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4. 학력
5. 약력
- 1967년: 포항이동중학교 교사
- 1971년: 민주수호 청년협의회 회장
- 1973년: 장훈고등학교 교사
- 1974년: 대성고등학교 교사
- 1979년: 국제사면위원회 한국위원회 사무국장, 송곡여자고등학교 교사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민족통일위원장
- 서울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의장
-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
- 자주민주통일국민회의 사무국장
-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조국통일위원장
- 1991년: 민중당 사무총장
- 1993년: 건강사회 실천운동 협의회 대표
- 1996년: 국제경기대회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1996년 5월~2000년 5월: 제15대 신한국당 국회의원
- 1997년~1999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1998년: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원내 부총무, 한국4-H본부 총재
- 1999년: 한나라당 교육위원회 위원장
- 2000년: 한나라당 제1사무부 총장
- 2000년 5월~2004년 5월: 제16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 2001년 5월~2002년 5월: 한나라당 원내총무
- 2003년: 국회의원축구연맹 사무총장, 한나라당 사무총장,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 2004년: 국회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문화예술연구회 회장, 국가발전전략연구회 상임이사,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위원
- 2004년 5월~2008년 5월: 제17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 2005년: 국회 대법관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
- 2006년: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국회문화예술연구회 회장
- 2006년 1월~2006년 7월: 한나라당 원내대표
- 2006년 7월~2007년 11월: 한나라당 수석최고위원
- 2007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08년 3월: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08년 5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 겸임교수
- 2009년 1월: 중국 베이징 대학 국제전략연구중심 방문교수
- 2009년 4월: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 2009년 9월~2010년 6월: 제2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장관급)
- 2009년 11월: 국제옴부즈만협회 아시아지역회의 아시아지역 부회장, 이사
- 2010년 7월~2012년 2월: 제18대 국회의원(서울 은평구을/한나라당)
- 2010년 8월~2011년 9월: 제2대 특임장관
- 2012년 2월~2012년 5월: 제18대 국회의원(서울 은평구을/새누리당)
- 2012년 5월~2016년 3월: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은평구을/새누리당)
- 2013년 3월~2014년 5월: 제19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위원
- 2014년 6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2016년 3월~2016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은평구을/무소속)
- 2016년 8월: 늘푸른한국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
- 2017년 1월~2018년 2월: 늘푸른한국당 공동대표
- 2017년 3월: 제19대 대통령선거 늘푸른한국당 예비후보자
- 2018년 2월~2020년 2월: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 2018년 3월~2018년 6월: 자유한국당 사회주의 개헌저지 투쟁본부 위원장
- 2018년 5월~2018년 6월: 자유한국당 6·13 지방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고문
- 2020년 2월~2020년 9월: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 2020년 9월~: 건국대학교 석좌교수, 국민의힘 상임고문
- 2020년 12월~: 폭정종식 민주쟁취 비상시국연대 공동대표
- 2021년 3월~2021년 4월: 국민의힘 4·7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위원장
- 2021년 9월~2023년 9월: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고문
- 창릉천 통합하천사업 자문단 위원장
- 2023년 7월~: 제7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6. 어록
군사 독재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제왕적 대통령의 분노는 그들의 정의일 순 있겠지만 국민의 정의는 될 수 없다. 검찰은 대통령의 분노를 숫돌 삼아 칼을 갈기에 바쁘고, 사이비 언론들은 장구 치고 북 치고, 완장 부대는 제철을 만난 듯 설치고 어용 학자·언론인들은 대통령의 분노가 정의라고 연일 핏대를 세운다.[21][22]
7. 가족 관계
배우자 | 추영례 |
---|---|
자녀 | 1남 2녀 |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92년 | 총선 | 민중당1990 | 21,716표 (17.42%) | 4위 | 낙선 | |
1996년 | 총선 | 신한국당 | 48,146표 (43.63%) | 1위 | 당선 | 초선 |
2000년 | 총선 | 한나라당 | 53,121표 (51.04%) | 1위 | 당선 | 재선 |
2004년 | 총선 | 한나라당 | 53,107표 (45.25%) | 1위 | 당선 | 3선 |
2008년 | 총선 | 한나라당 | 38,164표 (40.81%) | 2위 | 낙선 | |
2010년 | 7·28 재보선 | 한나라당 | 48,311표 (58.33%) | 1위 | 당선 | 4선 |
2012년 | 총선 | 새누리당 | 63,238표 (49.51%) | 1위 | 당선 | 5선 |
2016년 | 총선 | 무소속 | 34,318표 (29.52%) | 2위 | 낙선 | |
2017년 | 대선 | 늘푸른한국당 | 9,140표 (0.0%) | 12위 | 낙선 |
참조
[1]
뉴스
Three-term lawmaker named as special affairs minister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2-01
[2]
뉴스
Lee Jae-oh declares presidential bid: "We should cut presidential term to 3 years"
http://news.sbs.co.k[...]
SBS
2012-05-10
[3]
뉴스
본지 기자 동행취재… 한나라 이재오 의원의 ‘낮은 정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4]
간행물
헌정회
[5]
뉴스
이재오 출생지 네이버서 강원도로 수정 왜?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0-11-29
[6]
뉴스
이재오, 김추기경 선종 한때 귀국검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2-17
[7]
뉴스
'반공법 위반' 이재오 前의원, 재심서 45년 만에 무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8-13
[8]
뉴스
7.28 재보선 접전지 서울 은평을 가다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0-06-16
[9]
뉴스
보안사, 저명인사 1300명 사찰 - 탈영사병 양심선언
http://www.cathright[...]
천주교인권위원회
2009-02-17
[10]
뉴스
교육위, 교육개혁법안 재심의 공방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9-08-10
[11]
뉴스
뉴스데스크 / 집중취재 이근안 고문 피해자 증언. 물/전기고문, 관절뽑기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9-10-20
[12]
뉴스
이회창 후보 캠프 누가 뛰나
https://n.news.naver[...]
한겨레
2002-11-26
[13]
뉴스
이재오의원 “朴대표는 유신 그 자체다”
https://n.news.naver[...]
경향신문
2004-08-03
[14]
뉴스
<朴측 "이재오 사퇴없이 대화 없어">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07-11-04
[15]
뉴스
나는 여전히 민중당 정신 간직한 진보주의자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3-07
[16]
뉴스
김희선 의원 선친 친일행적 확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5-07-21
[17]
뉴스
김희선 의원 아버지가 독립군이던 내 아버지 검거했다
http://media.daum.ne[...]
오마이뉴스
2005-07-20
[18]
뉴스
(김희선의원 親日반박 기자회견) 김학규장군 큰며느리 ″만주국 경찰 증언 안했다″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4-09-17
[19]
뉴스
이재오.진수희 등 각 부처 장관 취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31
[20]
뉴스
새누리당 공천 컷오프...윤상현, 진영, 이재오, 안상수 탈락, 유승민 유보
http://www.m-economy[...]
2016-03-16
[21]
뉴스
이재오 "제왕적 대통령의 분노는 국민의 정의 아냐" "군사 독재 시절 떠올라…이게 나라냐"
http://news1.kr/arti[...]
2018-01-19
[22]
뉴스
MB, 직접 대응 자제…측근들 "정치보복이란 것 다 알아"(종합2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재오, 12·3 불법계엄에 “민주주의는 힘이 아니라 대화로 지켜야”
‘박종철 물고문’ 남영동 대공분실,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재탄생
이재명 측 “깜짝 놀랄 인사 들어올 수도”···보수인사 영입 어디까지
민주, 연일 보수에 손짓…‘이재명 중앙대 동문’ 이재오와 회동
이재오, 친명계와 만찬…이재명 선대위 합류 요청 고사
정당은 ‘정치적 조폭’인가 [강준만 칼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