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창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창신은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다. 전북대학교에서 화학공학을, 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했으며, 전북민족민주운동연합 공동의장 등을 역임했다. 2013년 시국 미사에서 연평도 포격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으로 종북 논란에 휩싸였으며, 이에 대한 정치권 및 사회 각계의 다양한 반응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김동한 (1919년)
    김동한은 천주교 순교자 집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초대 군종 신부이자 김수환 추기경의 형이며, 사제 서품 후 사목 활동과 해군 군종 신부로 복무하며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설립하여 초대 회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 - 염수정
    염수정은 1943년 안성에서 태어나 5대째 가톨릭 신앙을 이어온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되었고,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대행 대주교를 거쳐 2014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어 생명 존중, 사회 정의, 남북 화해를 위해 활동하다 2021년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사임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추기경이다.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10월 유신
    10월 유신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비상 조치로, 국회 해산, 헌법 정지, 유신헌법 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실상 종신 집권을 가능하게 한 체제이다.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전북대학교 동문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전북대학교 동문 - 최명희
    최명희는 1980년 등단하여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남원을 배경으로 한 대하소설 《혼불》로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박창신
기본 정보
박창신 신부
박창신 신부
이름박창신
원어명朴昌信
개인 정보
출생1942년
국적대한민국
직업천주교 신부
종교천주교
경력
활동 기간~2012년

2. 학력

3. 경력

전북민족민주운동연합 공동의장[2], 민주주의민족통일전북연합 공동의장,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하였다.

4. 사회 활동

4. 1. 민주화 운동 참여

5. 연평도 포격 옹호 발언과 종북 논란

2013년 11월 22일, 정의구현사제단 전주교구는 군산 수송동성당에서 박근혜의 대통령직 사퇴를 촉구하는 시국미사를 집전했다.[3] 그러나 미사를 집전한 박창신 신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0년 연평도를 포격한 것을 정당화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4] 박창신 신부는 미사 강론에서 "그러면 NLL(북방한계선), 문제 있는 땅에서 한미 군사 운동을 계속 하면 북한에서 어떻게 하겠어요? (청중이 "쏘아요!"라고 대답하자) 쏴야지. 그것이 연평도 포격 사건이에요. 그래놓고 북한을 적으로 만들어가지고 지금까지 이 난리를 치르고 선거에 이용하고 한 겁니다." 라고 말해, 종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박창신 신부의 '연평도 포격 옹호 발언'에 대해 대통령은 "분열과 혼란을 야기하는 일들을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고 경고했으며,[5] 새누리당의 윤상현은 시국미사가 종북신앙이라며 사제단의 발언을 비난했다.[6] 반면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새누리당과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새누리당과 청와대의 종북몰이가 도를 넘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7]

대한민국수호천주교모임은 박창신 신부에 대한 파문을 교황청에 요청했다.[8] 로마 가톨릭 해외선교 담당기구(PIME)의 공식 언론사 아시아뉴스는 "한국 정부가 민주화 운동 신부를 국가의 '적'으로 몰았다"고 보도했다.[9][10] 박창신 신부의 종북발언에 불만을 품은 한 시민이 명동성당에 폭탄을 설치했다는 협박전화를 했다 경찰에 검거되기도 했다.[11] 사제단 대표신부인 나승구는 종북 논란에 대해 "보수언론에서 사제단에게 색깔을 뒤집어씌우고 몰아붙인 일이 이번이 처음도 아니고 여러 번 겪어 익숙한 상황"이라며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12]

종교인의 정치활동에 대해 서울대교구장인 염수정12월 29일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교구장 영명축일 축하미사를 집전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정치참여는 일종의 의무지만, 사제가 직접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간접 비판했다.[13]

5. 1. 발언 내용과 배경

2013년 11월 22일 정의구현사제단 전주교구는 군산 수송동성당에서 박근혜의 대통령직 사퇴를 촉구하는 시국미사를 집전했다.[3] 이 미사에서 박창신 신부는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이루어진 한미 군사 훈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평도 포격을 유발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4] 박 신부는 "NLL 문제 있는 땅에서 한미 군사 운동을 계속 하면 북한에서 어떻게 하겠어요? 쏴야지. 그것이 연평도 포격 사건이에요."라고 말했다.[4]

이 발언은 북한의 도발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 박 신부의 발언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은 "분열과 혼란을 야기하는 일들을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고 경고했으며,[5] 새누리당의 윤상현은 시국미사가 종북신앙이라며 사제단의 발언을 비난했다.[6] 반면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새누리당과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새누리당과 청와대의 종북몰이가 도를 넘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7]

대한민국수호천주교모임은 박창신 신부에 대한 파문을 교황청에 요청했다.[8] 로마 가톨릭 해외선교 담당기구(PIME)의 공식 언론사 아시아뉴스는 "한국 정부가 민주화 운동 신부를 국가의 '적'으로 몰았다"고 보도했다.[9][10] 한편, 박 신부의 발언에 불만을 품은 한 시민이 명동성당에 폭탄을 설치했다는 협박전화를 했다가 경찰에 검거되기도 했다.[11] 사제단 대표신부인 나승구는 종북 논란에 대해 "보수언론에서 사제단에게 색깔을 뒤집어씌우고 몰아붙인 일이 이번이 처음도 아니고 여러 번 겪어 익숙한 상황"이라며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12]

염수정 서울대교구장은 12월 29일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교구장 영명축일 축하미사에서 "그리스도인의 정치참여는 일종의 의무지만, 사제가 직접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언급하며 종교인의 정치활동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13]

5. 2. 정치권 및 사회 각계 반응

2013년 11월 22일 정의구현사제단 전주교구의 군산 수송동성당 시국미사에서 박창신 신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평도 포격을 정당화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4] 박창신 신부는 "NLL(북방한계선), 문제 있는 땅에서 한미 군사 운동을 계속 하면 북한에서 어떻게 하겠어요? 쏴야지. 그것이 연평도 포격 사건이에요."라고 발언하여 종북 논란을 일으켰다.[3]

이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은 "분열과 혼란을 야기하는 일들을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고 경고했으며,[5]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은 시국미사를 '종북신앙'이라고 비난했다.[6] 반면,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새누리당과 청와대의 대응을 '종북몰이'라고 비판하며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다.[7]

대한민국수호천주교모임은 박창신 신부에 대한 파문을 교황청에 요청했다.[8] 로마 가톨릭 해외선교 담당기구(PIME)의 공식 언론사 아시아뉴스는 "한국 정부가 민주화 운동 신부를 국가의 '적'으로 몰았다"고 보도했다.[9][10] 박창신 신부의 발언에 반발하여 명동성당에 폭탄을 설치하겠다는 협박 전화가 걸려와 경찰에 검거되기도 했다.[11] 사제단 대표신부인 나승구는 보수 언론의 '색깔론'에 대해 "여러 번 겪어 익숙한 상황"이라며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12]

한편, 서울대교구장인 염수정12월 29일 "그리스도인의 정치참여는 일종의 의무지만, 사제가 직접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간접적으로 비판했다.[13]

5. 3. 종교계 내부 반응

염수정 서울대교구장은 2013년 12월 29일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교구장 영명축일 축하미사를 집전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정치참여는 일종의 의무지만, 사제가 직접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간접 비판했다.[13] 이는 종교인의 정치 참여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6. 논란의 사회적 함의

6. 1. 표현의 자유와 국가 안보

6. 2. 진보-보수 갈등 심화

참조

[1] 웹사이트 한국 천주교 주소록 http://directory.cbc[...]
[2] 뉴스 Issue&People 정교충돌 기폭제 된 박창신 신부 http://news.naver.co[...]
[3] 웹인용 수송동 성당, "불법.부정선거 규탄과 대통령 사퇴를 촉구하며" http://cluster1.cafe[...] 2014-09-04
[4] 웹인용 ‘연평도 발언 논란’ 박창신 신부 강론 전문 살펴보니… http://www.hani.co.k[...] 2014-09-04
[5] 뉴스 "윤상현 통해 드러난 대통령 의중 신앙 뒤에 숨어 친북"" http://www.nocutnews[...] CBS노컷뉴스 2013-11-26
[6] 뉴스 '시국미사 발언', 여 "종북신앙" VS 야 "분열조장" https://news.v.daum.[...] 노컷뉴스 2013-11-26
[7] 웹인용 한국일보, "문재인 "청와대·새누리 종북몰이 도 넘어… 분노 느낀다"" http://news.hankooki[...] 2014-09-04
[8] 뉴스 "교황청에 사제단 고발" vs "종북몰이에 분노" http://news.sbs.co.k[...] SBS 뉴스 2013-11-28
[9] 뉴스 Government brands pro-democracy priest as "enemy" of the nation http://www.asianews.[...] 아시아뉴스 2013-11-23
[10] 뉴스 "韓, 민주화운동 신부 국가의 적?" http://www.gobalnews[...] 고발뉴스 2013-11-27
[11] 뉴스 ""명동성당 폭발" 협박 전화에 '시국 미사' 규탄 집회 줄이어"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3-11-24
[12] 뉴스 "종북몰이 처음도 아니고…흔들리지 않는 사제단"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11-30
[13] 뉴스 "교황청 사회교리, 사제의 현실 참여 보장" http://www.hani.co.k[...] 한겨레 2013-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