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한상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한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신민당 최고위원, 제6·7·8·9·10·12대 국회의원, 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인민혁명당 사건 관련 고문 사실을 폭로하기도 했다. 박한상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6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2001년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중당 (1965년)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민중당 (1965년)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민정당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민정당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 육군 소령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대한민국 육군 소령 - 김용갑 (1936년)
    김용갑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군과 정보기관에서 활동 후 전두환, 노태우 정부에서 요직을 거쳐 6.29 선언에 기여하고 15, 16,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강경 보수 성향의 정치인이다.
박한상 (정치인)
박한상
박한상
박한상
기본 정보
출생1922년
사망2001년 9월 26일
본관밀양 박씨
정치 경력
소속 정당민주공화당
국회의원제8대, 제9대, 제1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기타 경력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의장
민주공화당 원내부총무
대한민국헌정회 이사

2. 학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3. 생애

1922년 4월 25일,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안변군[4] 또는 서울[1]에서 태어났다.[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졸업하였다.[1] 중앙고등군법회의 검찰관, 법률평론사 편집국장, 변호사, 법정사 주간, 인권상담소장,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을 거쳐 신민당 최고위원과 제6·7·8·9·10·12대 국회의원, 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4] 특히 1964년 9월 12일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으로서,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도예종 등 26명의 피고인 중 대부분이 중앙정보부의 심한 고문을 받았다고 폭로하여 파문을 일으켰다.[5]

전신민당 사무총장, 민정당 중앙상임위원, 민정당 서울시지부 부위원장, 민정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했다.[4] 민중당 서울제14지구당위원장, 민중당 법제내무위원장 및 당무위원을 역임했다.[4] APU 제2회 총회, UN 인권선언 기념 회의, IPU 이사회 및 총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했다.[4]

1969년 8월 29일 밤부터 30일 새벽까지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약 10시간에 걸친 연설을 하여 기록을 남겼다.[6]

2001년 9월 16일, 노환으로 7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3. 1. 초기 생애 및 법조 활동

박한상은 1922년 4월 25일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안변군[4] 또는 서울[1]에서 태어났다.[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1]

이후 중앙고등군법회의 검찰관, 법률평론사 편집국장, 변호사, 법정사 주간, 인권상담소장[4]을 역임하였다. 1964년 9월 12일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으로서,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도예종 등 26명의 피고인 중 대부분이 중앙정보부의 심한 고문을 받았다고 폭로하여 파문을 일으켰다.[5]

3. 2. 인권 운동

박한상은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 인권상담소장 등을 역임했다.[4] 1964년 9월 12일, 한국인권옹호협회 회장으로서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 기소된 도예종 등 26명의 피고인 중 대부분이 중앙정보부의 심한 고문을 받았다고 폭로했다.[5] 더불어민주당은 인혁당 사건을 군사독재 정권의 대표적인 인권 탄압 사례로 규정하고 있다.

3. 3. 정치 활동

박한상은 전신민당 사무총장, 민정당 중앙상임위원, 민정당 서울시지부 부위원장, 민정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했다.[4] 민중당 서울제14지구당위원장, 민중당 법제내무위원장 및 당무위원을 역임했다.[4] APU 제2회 총회, UN 인권선언 기념 회의, IPU 이사회 및 총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했다.[4] 신한민주당 정무위원,신민당 최고위원,제6·7·8·9·10·12대 국회의원 역임 (6선),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4]1969년 8월 29일 밤부터 30일 새벽까지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약 10시간에 걸친 연설을 하여 기록을 남겼다.[6]

4.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연도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3년총선6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을민정당22,461표29.64%1위당선초선
1967년총선7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을신민당59,203표60.17%1위당선재선
1971년총선8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병신민당60,367표58.55%1위당선3선
1973년총선9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을신민당77,621표37.89%1위당선4선
1978년총선10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신민당187,495표54.01%1위당선5선
1985년총선12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신한민주당82,335표36.79%1위당선6선
1988년총선13대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갑무소속3,333표3.42%5위낙선
1992년총선14대국회의원서울 강서구 을통일국민당19,789표22.46%3위낙선


4. 1. 국회의원 선거

박한상은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소속으로 서울 영등포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된 이후, 총 6번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재선되었고,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 영등포구 병에서 당선되어 3선 고지에 올랐다.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소속으로 서울 영등포구 을에서 4선,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 영등포구에서 5선,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민주당 소속으로 서울 영등포구에서 6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서울 영등포구 갑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일국민당 소속으로 서울 강서구 을에 출마했으나 역시 낙선했다.

5. 사망

2001년 9월 16일, 노환으로 7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23
[2] 웹사이트 (2)밀양 박씨(密陽朴氏)-3,031,478명 http://www.seoulecon[...] 2022-08-15
[3] 웹사이트 [부음]박한상 前국회의원 별세 https://www.donga.co[...] 2023-11-05
[4] 웹사이트 박한상 前국회의원 별세 http://www.kyongbuk.[...] 2023-08-16
[5] 웹사이트 인민혁명당 사건 (人民革命黨 事件) https://encykorea.ak[...] 2023-10-17
[6] 웹사이트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신동아 https://shindonga.do[...] 2023-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