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 호는 터키 동부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염호이다. 지형은 서쪽이 깊고 동쪽이 얕으며, 4개의 섬이 있다. 호수는 강한 알칼리성을 띠며 탄산나트륨과 염류가 풍부하며, 유입되는 강은 있지만 유출되는 강이 없어 염분 농도가 높다. 반 호는 구조호이며, 과거 화산 활동으로 인해 물길이 막히면서 형성되었다. 호수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며, 특히 반 고양이가 유명하다. 역사적으로 우라르투 왕국, 아르메니아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동로마 제국과 셀주크 제국 사이의 국경이기도 했다. 호수 주변에는 아르메니아 교회와 수도원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반 호수에는 철도 페리가 운행되며, 수상 스포츠 행사도 열린다. 전설에 따르면 반 호에는 반 호수 괴물이 살고 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호 - 진주송어
    진주송어는 극지방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어종으로, 추위, 높은 염도, 산소 부족에도 생존하며, 수생 미생물이나 플랑크톤을 섭취하고 기후 변화와 갈매기로부터 생존을 위협받는다.
  • 반주의 지형 - 대자브강
    대자브강은 터키 반 호수 동쪽에서 발원하여 이라크의 티그리스강으로 합류하며, 자그로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터키와 이라크를 거쳐 흐르는 강으로, 유역 면적은 25,810km²에서 40,300km²로 추정되고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댐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반호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2000년 촬영된 반호의 위성 사진
2000년 촬영된 위성 사진
위치아르메니아 고원, 서아시아
유형지각호, 염호
유입 하천카라스, 호샤프강, 벤디마히, 질란, 예니쾨프뤼
유출 하천없음
유역 면적12,500km²
유역 국가튀르키예
길이119km
면적3,755km²
평균 깊이171m
최대 깊이451m
수량642.1km³
해안선 길이430km
표고1,640m
악다마르섬, 차르파나크섬(크투츠), 아드르섬(림), 쿠슈섬(아르테르)
주요 도시반, 타트반, 아흘라트, 아딜제바즈, 에르지슈
지리 정보
명칭
튀르키예어Van Gölü (반 괼뤼)
아르메니아어Վանա լիճ (Vana lič')
쿠르드어Gola Wanê (골라 와네)

2. 지리



반 호는 강한 알칼리성(pH 9.7–9.8)이며, 탄산 나트륨 등의 염류가 풍부하다. 이 염류는 염전에서 추출되어 세제로 사용된다.[16] 유출되는 강이 없기 때문에, 유입되는 강의 산소 농도에 따라 화학 변화를 일으켜 백탁되며, 현지에서는 "물의 색깔이 일곱 색깔로 변한다"라고 한다.

2. 1. 지형

반 호는 가장 넓은 지점에서 119km에 이른다. 평균 수심은 171m이며, 알려진 최대 수심은 451m이다.[13] 호수 표면은 해수면으로부터 1640m 높이에 있으며, 해안선 길이는 430km이다. 호수 면적은 3755km2이며, 부피는 607km3이다.[13]

호수의 서쪽 부분은 가장 깊으며, 타트반 북동쪽과 아흘라트 남쪽에 400m보다 깊은 큰 분지가 있다. 호수의 동쪽은 얕다. 반-아흐타마르 부분은 점차 얕아지며, 호수의 나머지 부분과 합쳐지는 북서쪽 면의 최대 수심은 약 250m이다. 에르치쉬 만은 훨씬 얕으며, 대부분 50m 미만이고 최대 수심은 약 150m이다.[14][15]

2. 2. 섬

반 호에는 아크다마르 섬, 아디르 섬, 차르파나크 섬, 쿠쉬 섬의 4개의 주요 섬이 있다. 아디르 섬은 반 호에서 가장 큰 섬이다.[1]

각 섬에는 아르메니아 종교 건축물이 있다.[1] 아크다마르 섬에는 10세기에 지어진 성 십자가 성당, 아흐타마르(Սուրբ Խաչ|수르프 하치hy)가 있는데, 이곳은 바스푸라칸 왕국의 왕실 교회로 사용되었다.[1] 림에는 림 수도원, 크투츠에는 크투츠 수도원, 아르테르에는 작은 수도원이 있다.[1] 반 호수 주변 지역은 또한 많은 아르메니아 수도원의 터전이었으며, 이 중 가장 유명한 곳은 10세기에 지어진 나레카방크와 11세기에 지어진 바라가방크였으나, 전자는 현재 파괴되었다.[1]

3. 수문 및 화학적 특성

호수 물은 강한 알칼리성(pH 9.7–9.8)이며, 탄산나트륨과 기타 염류가 풍부하다. 일부는 인접한 염전에서 추출되어 세제로 사용된다.[16] 유출되는 강이 없기 때문에, 유입되는 강의 산소 농도에 따라 화학 변화를 일으켜 백탁되며, 현지에서는 "물의 색깔이 일곱 색깔로 변한다"라고 한다.

4. 지질

반 호는 주로 구조호이며, 60만 년 이상 전에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을 통과하는 여러 단층의 움직임으로 인해 지각의 큰 블록이 점차 침강하면서 형성되었다. 호수의 남쪽 가장자리는 비틀리스 산괴의 변성암대와 신생대제4기의 화산 지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호수의 깊은 서쪽 부분은 구조적 함몰부의 안티돔 분지이며, 정단층 및 주향 이동 단층과 충상 단층 작용으로 형성되었다.[13]

호수가 칼리오바 삼중점과 인접해 있어 지구 맨틀의 용융 유체가 아래 지층에 축적되어 점진적인 변화를 계속 일으키고 있다.[13]

호수는 강한 알칼리성 (pH 9.7–9.8)이며, 탄산 나트륨 등의 염류가 풍부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세제로 사용된다.[16] 유출되는 강이 없기 때문에, 유입되는 강의 산소 농도에 따라 화학 변화를 일으켜 백탁되며, 현지에서는 "물의 색깔이 일곱 색깔로 변한다"라고 한다.

4. 1. 화산 활동

반 호 북쪽에는 성층 화산인 쉬판 산이 있고, 서쪽에는 휴화산인 넴루트 산이 있다. 넴루트 산에서 흘러나온 용암류는 과거 반 호에서 무슈 평원으로 이어지는 물길을 막아 현재와 같은 폐쇄된 호수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호수 주변에는 수열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13]

4. 2. 고대 호수 수위

플라이스토세까지 역사의 대부분 동안 반 호는 남서쪽으로 물이 흘러나갔다. 그러나 넴루트 산에서 나온 용암류가 서쪽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면서 물길이 막혔다.

현재 해안선 위에는 육지 테라스(이전 해안선의 잔해인 건조된 상부 둑)가 있다. 1898년 지질학자 펠릭스 오스왈드는 당시 호수 수면 위 5m, 15m, 30m 높이의 세 개의 융기된 해변과 최근 물에 잠긴 나무들을 기록했다.[4] 지난 세기 동안의 연구를 통해 이와 유사한 많은 테라스가 확인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호수의 수위는 상당히 변동했다.

반 호는 출구가 없으므로 최근 수천 년 동안의 수위는 유입과 증발에 의해 결정된다.

1980년대 초 연구에 따르면, 마지막 빙하기(약 18,000년 전)에 호수 수위가 가장 높았으며(현재 높이보다 72m 높음), 약 9,500년 전에는 현재 수위보다 300m 이상 낮아지는 극적인 감소가 있었다. 이어서 약 6,500년 전에 그에 못지않게 극적인 상승이 있었다.[13]

최근에도 유사하지만 더 작은 변동이 관찰되었다. 1990년대 동안 호수 수위가 최소 3m 상승하여 많은 농경지를 침수시켰고, 잠시 안정기를 거친 후 다시 후퇴한 후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직전 10년 동안 수위는 약 2m 상승했다.[17] 그러나 2020년대 초에 수위가 하락했다.[4]

4. 3. 퇴적물

반 호는 주변 평야와 계곡에서 쓸려 내려온 많은 양의 퇴적물이 쌓여 있으며, 때때로 인근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도 퇴적된다. 이러한 퇴적물 층은 지역에 따라 최대 400m 두께로 추정되며, 층을 이루는 퇴적물을 조사하기 위해 코어 시추에 관심 있는 기후학자와 화산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18]

5. 생태

반 호에는 잉어과 물고기인 인지 케팔리(inci kefalitr)가 서식하며, 잉어와 다이스와 관련이 있다. 이 물고기는 봄철 산란기인 5월과 6월에 호수에서 덜 알칼리성 물로 이동하여 강 어귀나 강에서 산란하고, 산란기가 끝나면 호수로 돌아간다.[6] 2018년에는 미생물암 내부에서 새로운 종의 물고기(''Oxynoemacheilus ercisianus'')가 발견되었다.[7]

남세균, 편모충, 규조류, 녹조류, 갈조류를 포함한 103종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Rotatoria, 가지뿔새우, 요각류를 포함한 36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이 반 호에서 기록되었다.[8]

호수 주변은 주로 과수원과 곡물 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일부 비농업용 나무가 산재해 있다.

5. 1. 미생물암

1991년, 연구자들은 호수에서 40m 높이의 미생물암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이것들은 남세균(''Pleurocapsa'' 그룹)이 호수 바닥에 만든 단단한 탑 모양의 구조물로, 호숫물에서 침전되는 아라고나이트와 결합하는 방해석 매트를 형성한다.[6]

5. 2. 반 고양이

이 지역에는 희귀한 반 고양이 품종의 고양이가 서식하며, 물에 대한 특이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8]

6. 역사

반 호는 기원전 1000년경 우라르투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투쉬파는 우라르투의 수도였다. 중세 시대 반의 성 근처, 현재 반 시 서쪽 해안에 위치해 있었으며, 중세 반 도시의 유적은 반 성 남쪽 경사면 아래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4]

이후 아르메니아 왕국, 동로마 제국, 셀주크 제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11세기 무렵, 반 호는 동로마 제국셀주크 제국 사이의 국경에 위치해 있었다.[13]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로마누스 4세 디오게네스가 이끄는 비잔틴 군대가 알프 아르슬란이 이끄는 셀주크 군대에게 패배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영향력이 강해졌다.[13] 룸 술탄국이 붕괴된 후에는 일 칸국 몽골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이후 오스만 제국사파비 왕조 사이에서 소유권이 바뀌다가 술탄 셀림 1세가 최종적으로 장악했다.

6. 1. 우라르투

투쉬파는 우라르투의 수도였으며, 중세 시대 반의 성 근처, 현재 반 시 서쪽 해안에 위치해 있었다.[4] 중세 반 도시의 유적은 반 성 남쪽 경사면 아래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2017년, 반 100주년 대학교의 고고학자들과 반 호를 탐사하던 독립 잠수부 팀은 약 1km에 달하는 대규모 수중 요새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5] 이 팀은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이 요새가 우라르투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했다. 고고학자들은 요새와 당시 주변에 있던 고대 도시의 다른 부분들이 서서히 상승하는 호수에 의해 수천 년에 걸쳐 서서히 잠겼다고 믿고 있다.[6]

호수 바닥에 마을이 잠겨 있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확인 결과 기원전 1,000년경의 우라르투 왕국 시대의 고성(古城)과 도시 유적이 발견되었다. 물의 유입이 많아지고 호수면이 상승하여 수몰된 것으로 생각된다.[19]

6. 2. 아르메니아 왕국

반 호수는 기원전 1000년경부터 우라르투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이후 아르메니아 사트라피, 대 아르메니아 왕국, 바스푸라칸의 아르메니아 왕국의 중심지였다. 세반 호수, 우르미아 호수와 함께 아르메니아 왕국의 세 개의 큰 호수 중 하나였으며, 고대 아시리아 자료에서는 "아르메니아의 바다" (tâmtu ša mât Nairi|나이리의 상해nai)로 불렸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호수는 Վանա լիճ|반 호수hy, Վանա ծով|반 해hy, Արճեշի ծով|아르체쉬 해hy, Բզնունեաց ծով|브즈누닉 해hy, Ռշտունեաց ծով|르슈투니크 해hy, Տոսպայ լիճ|토스파이 호수hy를 포함한 다양한 아르메니아 이름으로 알려졌다.

6. 3. 동로마 제국과 셀주크 제국

11세기 무렵, 반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도로 하는 동로마 제국이스파한을 수도로 하는 셀주크 제국 사이의 국경에 위치해 있었다.[13] 두 제국 간의 불안정한 평화 속에서, 지역의 아르메니아-비잔틴 지주들은 보호를 위해 투르크멘족 가지와 비잔틴 아크리타이를 고용했다.[13]

11세기 후반, 황제 로마누스 4세 디오게네스는 아르메니아를 재정복하고 셀주크의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한 원정을 시작했다.[13] 디오게네스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유프라테스강을 건너, 1071년 8월 26일 반호 북쪽의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알프 아르슬란이 이끄는 훨씬 소규모의 셀주크군과 맞붙었다.[13] 수적으로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잔틴군은 기동성이 뛰어난 투르크 기병에게 패배했고 디오게네스는 포로로 잡혔다.[13]

알프 아르슬란은 비잔틴 제국에서 정복한 동부 지역을 투르크멘 장군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각 지역은 셀주크 제국의 전반적인 주권 하에 세습되는 베이국으로 통치되었다.[13] 알프 아르슬란은 반 호수 주변 지역을 그의 사령관 쇠크멘 엘-쿠트비에게 주었고, 쇠크멘 엘-쿠트비는 호수 서쪽의 아흐라트(Ahlat)에 수도를 세웠다.[13] 샤-아르멘스 왕조(일명 ''쇠크멘레르'')는 1085년부터 1192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13]

아흐라트샤 왕조의 뒤를 이어 아이유브 왕조가 들어섰다.[13]

6. 4. 오스만 제국

룸 술탄국이 붕괴된 후, 반 호와 그 주변 지역은 일 칸국 몽골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이후 오스만 제국사파비 왕조 사이에서 소유권이 바뀌다가 술탄 셀림 1세가 최종적으로 장악했다.

반 호수 괴물에 대한 보고는 1800년대 후반에 나타나 인기를 얻었다. 술탄 압뒬하미드 2세 치세인 1889년 4월 29일, 즉 히즈라력 1306년 28 샤반, ''Saadet Gazetesi'' 1323호에 기사가 게재되었다.[9]

7. 건축

반 호 주변에는 우라르투, 아르메니아 시대의 건축물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반 호수 주변은 나레카방크, 바라가방크 등 많은 아르메니아 수도원이 있던 곳이었으나, 나레카방크는 현재 파괴되었다.

7. 1. 아크다마르 섬 성 십자가 성당

반 호 남쪽 해안의 아크다마르 섬에는 10세기에 지어진 성 십자가 성당, 아흐타마르( Սուրբ Խաչ|수르프 하흐hy)가 있는데, 이곳은 바스푸라칸 왕국의 왕실 교회로 사용되었다.

7. 2. 기타 유적

반 호의 림, 아르테르, 크투츠 섬에는 아르메니아 수도원 유적이 남아 있다. 아흘라트에는 아흘라트샤 왕조 시대의 묘비가 많이 남아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를 추진 중이고, 현재 잠정 등재되어 있다.

8. 교통

1970년대이란과 터키를 연결하는 철도는 CENTO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다. 이 철도는 험준한 지형을 우회하여 철로를 건설하는 대신, 타트반과 반 사이를 운행하는 철도 페리 (승객을 위한 페리)를 이용하여 여객 수송 능력이 제한되었다. 2008년 5월, 터키와 이란은 페리를 복선 전철 철도로 교체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1]

2015년 12월, 터키 국영 철도가 운영하는 차세대 철도 페리는 터키에서 가장 큰 규모로 반 호에서 운행을 시작했다.[2]

반 페리트 멜렌 공항은 반에 인접해 있다. 터키 항공, 아나돌루 제트, 페가수스 항공, 선익스프레스가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9. 스포츠

반 호에서는 수상 스포츠, 요트, 연안 파워보트 경주와 같은 여러 행사가 개최된다. 예를 들어 UIM 세계 오프쇼어 225 챔피언십의 IOC 반 그랑프리, 반 호수 축제 등이 있다.

10. 반 호수 괴물

전설에 따르면, 반 호에는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신비한 반 호 괴물이 살고 있으며, 크기는 약 9.14m~약 12.19m 정도에 갈색 비늘 피부, 길쭉한 파충류 머리,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몇몇 결정적이지 않은 아마추어 사진과 비디오를 제외하고는, 그 어떤 증거도 발견된 적이 없다. 이 괴물의 모습은 멸종된 모사사우루스바실로사우루스와 유사하다고 주장된다.[19]

1997년 5월에 미확인 생물의 자노가 영상으로 촬영되었다고 하여 화제가 되었다.[19]

참조

[1] 웹사이트 Van Gölü – Turkey from the Inside https://www.turkeyfr[...] 2024-07-04
[2] 서적 A New Geography on the Comparative Method, with Maps and Diagrams and an Outline of Commerci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A. M. Holden 1895
[3]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4
[4] 웹사이트 Recession continues in Turkey's largest lake https://bianet.org/h[...] 2023-12-12
[5] 문서 Матвеев: Турция [что значительно ниже установленной позже корректной цифры в 161,2 метра]
[6] 뉴스 New fish species found in Turkey's Lake Van https://www.hurriyet[...] Hürriyet Daily News 2018-10-22
[7] 간행물 The discovery of a microbialite-associated freshwater fish in the world's largest saline soda lake, Lake Van (Turkey) https://zse.pensoft.[...] 2021-03-16
[8] 문서 Selçuk 1992
[9] 웹사이트 Van Gölü canavarı gerçek mi? 131 yıl önce Osmanlı gazetesinde manşet olmuş https://www.mynet.co[...] mynet 2020-04-22
[10] 웹사이트 sosyalastirmalar.com geomorphology of Lake Ercek pdf https://www.sosyalar[...] 2024-03-03
[11] 웹사이트 Rojnameya AVESTA http://www.avestakur[...] 2010-09-27
[12] 웹사이트 Kîne em ? – CD 5 http://www.institutk[...] 2010-09-27
[13] 간행물 A geological study of Lake Van, eastern Turkey http://www.springerl[...] Springer 1984-06
[14] 간행물 Geology of Lake Van General Directorate of Mineral Research and Exploration
[15] 간행물 Spatial variability in the release of terrigenic He from the sediments of Lake Van (Turkey) http://www.internal.[...] 4th Mini Conference on Noble Gases in the Hydrosphere and in Natural Gas Reservoirs
[16] 간행물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Chalcalburnus tarichi (Pallas 1811) (Cyprinidae) living in the highly alkaline Lake Van, Turkey Springer Netherlands
[17]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20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http://www.isprs.org[...]
[18] 간행물 Dating Late Glacial abrupt climate changes in the 14,570 yr long continuous varve record of Lake Van, Turkey Elsevier Science B.V. 1996-06
[19] 웹사이트 Ancient Ruins Discovered Under Lake in Turkey https://www.national[...] nationalgeographic 2017-11-15
[20] 서적 인류본사 휴머니스트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