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루아의 마르그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루아의 마르그리트(1553-1615)는 프랑스의 공주이자 나바라의 왕비로,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딸이다. 기즈 공작 앙리 1세와의 로맨스로 시작해, 종교적 화합을 위해 위그노 지도자 앙리 드 부르봉(앙리 4세)과 정략결혼을 했다. 결혼 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을 겪었고, 이후 남편과 불화하며 파리 궁정을 떠나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말년에는 파리로 돌아와 문학 살롱을 운영하며 예술을 후원했고, 앙리 4세의 이혼 후에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의 삶은 소설과 영화, 오페라, 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마고 여왕"이라는 신화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루아의 마르그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
프랑스어 이름 | Marguerite de Valois |
별칭 | 라 렌 마고 (La Reine Margot) |
왕비 정보 | |
나바라 왕비 재위 기간 | 1572년 8월 18일 – 1599년 12월 17일 |
프랑스 왕비 재위 기간 | 1589년 8월 2일 – 1599년 12월 17일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553년 5월 14일 |
출생지 | 생제르맹앙레 |
사망일 | 1615년 5월 27일 |
사망지 | 파리 |
매장지 | 생드니 대성당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앙리 4세 (1572년 결혼, 1599년 이혼) |
아버지 | 프랑스 왕 앙리 2세 |
어머니 | 카트린 드 메디시스 |
기타 정보 | |
왕가 | 발루아 가 |
종교 | 가톨릭교 |
2. 유년기
1553년 5월 14일, 파리 근교의 생제르맹앙레 성에서 프랑스 왕 앙리 2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 왕비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마르그리트는 '마고(Magot)'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오빠들인 프랑수아 2세, 샤를 9세, 앙리 3세에게 특별한 귀여움을 받았다.
어린 시절, 마르그리트는 언니 엘리자베트와 클로드와 함께 샬롯 드 비엔 남작 부인의 보살핌을 받으며 프랑스 왕실 유모실에서 자랐다. 언니들이 결혼한 후에는 오빠 앙리, 알랑송 공작 프랑수아와 함께 앙부아즈 성에서 성장했다. 샤를 9세의 프랑스 대여행(1564–1566)에 동행하여 프랑스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직접 경험하고, 어머니로부터 정치적 중재 기술을 배우기도 했다.
프랑스 궁정에서 마르그리트는 문법, 고전, 역사, 성경을 공부했으며, 모국어인 프랑스어 외에도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라틴어, 그리스어를 배웠다. 또한 산문, 시, 승마, 춤에도 능숙했다.
1568년, 앙리가 왕실 군대를 지휘하기 위해 궁정을 떠나면서 15세의 마르그리트에게 자신의 이익을 옹호하도록 맡겼다. 마르그리트는 이 임무를 성실히 수행했으나, 앙리는 감사를 표하지 않았다. 이후 마르그리트는 기즈의 앙리와 사랑에 빠졌으나, 어머니 카트린과 오빠 샤를 9세의 반대로 결혼에 이르지 못했다.
2. 1. 기즈 공과의 관계
1572년 8월 18일, 19세의 마르그리트는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앙리 4세와 결혼했다.[24] 가톨릭 신자와 위그노 간의 결혼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결혼에 대한 특별 허가를 거부했고,[25] 신랑 신부의 종교적 차이로 인해 결혼식은 이례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나바르 국왕(앙리 4세)은 미사 동안 대성당 밖에 머물러야 했고, 그의 자리는 마르그리트의 오빠인 앙주 공작(훗날의 앙리 3세)이 대신했다.[26]17세기 역사가인 프랑수아 외드 드 메제레는 마르그리트가 오빠인 샤를 9세에 의해 억지로 나바르 국왕과 결혼하게 되었다는 일화를 지어냈다. 샤를 9세가 마르그리트가 동의하는 것처럼 고개를 억지로 숙이게 했다는 것이다. 이는 27년 후 결혼 무효를 정당화하기 위한 부르봉가의 선전이었으며,[27] "레인 마고" 신화의 일부였다. 마르그리트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이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고, 동시대인들도 언급하지 않았다.
마르그리트는 자신의 회고록에 결혼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결혼 6일 후, 가톨릭 세력은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파리에 모인 많은 위그노들을 암살하는 성 바르텔레미 축일의 학살을 일으켰다.[30]
마르그리트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학살 동안 여러 저명한 개신교도들을 자신의 방에 숨겨 암살자들의 접근을 막아 그들의 생명을 구했다고 회상했다.[31] ''회고록''에 실린 학살에 대한 그녀의 증언은 왕족 중 유일한 목격담이다.[32]
3. 결혼 협상
마르그리트는 기즈 공 앙리와 결혼하고 싶어했지만, 어머니 카트린 드 메디치는 가톨릭과 위그노 간의 종교 대립을 해소하고자 위그노 지도자인 나바라 여왕 잔 다르브레에게 아들 앙리 드 부르봉과의 혼담을 제안했다.
잔 다르브레는 처음에는 아들과 가톨릭 신자의 결혼에 반대했지만, 카트린의 종교 대립 해소라는 생각에 동조하여 혼담을 수락했다. 그러나 잔은 혼례 직전인 1572년 6월 9일 급사했는데, 일설에는 카트린 드 메디치에 의한 독살이라는 소문도 있었다. 그럼에도 혼례는 예정대로 같은 해 8월 17일 파리에서 거행되었다.
결혼식 6일 뒤인 8월 24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이 발생했다. 마르그리트와 나바라 왕이 된 앙리(어머니 사후 왕위 계승)의 결혼식을 위해 파리에 모였던 많은 위그노 교도들이 참살당했고, 앙리 자신도 유폐되었다. 1576년 앙리가 파리 궁정에서 탈출하자, 마르그리트는 오빠인 앙리 3세에게 남겨졌다.
이후 마르그리트는 나바라 왕 앙리에게 보내졌지만, 부부는 각자 공공연하게 많은 애인을 두며 냉랭한 관계를 유지했다. 마르그리트는 병을 앓은 후 1582년 파리 궁정으로 돌아왔으나, 오빠 앙리 3세와 불화하여 궁정을 떠났다.[133]
3. 1. 앙리 4세와의 만남
나바라 왕국의 여왕 호아나 3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이며 프랑스 개신교 진영의 수장이었던 앙리 4세(후일의 나바라의 헨리케 3세이자 프랑스의 앙리 4세)와의 결혼이 확정되었다. 가톨릭과 개신교라는 전혀 다른 진영에 속한 두 왕족의 결혼은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의 화합 제스처로 받아들여졌다. 더욱이 발루아 왕가가 후사를 얻지 못할 경우 헨리케는 제 1 왕위계승자였으므로 발루아 왕족들의 입장에서는 모계로나마 프랑스 왕가에 합쳐질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여졌다.[35]
앙리(Henry IV of France)와 마르그리트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앙리는 계속해서 성실하게 부부의 의무를 다했지만, 마르그리트는 임신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많은 정부들을 거느렸고, 어머니의 악명 높은 "플라잉 스쿼드"의 멤버인 샬롯 드 소브와 공개적으로 마르그리트를 속였다.[40] 샬롯은 또한 그녀의 연인인 알랑송과 나바르 사이를 이간질하여 마르그리트가 남편과 막내 동생 사이에 동맹을 맺으려는 시도를 망쳤다.[41]
사실 앙리는 자신의 이익에 부합할 때만 아내에게 접근했고, 그렇지 않을 때는 주저하지 않고 그녀를 버렸다. 한편, 마르그리트는 남편의 질투심이 없는 틈을 타 유명한 뷔시 담부아즈를 애인으로 삼았을 것이다.[38]
3. 2. 강요된 결혼
카트린 드 메디시스와 오빠인 샤를 9세의 강권으로, 마르그리트는 나바라의 앙리와의 결혼에 결국 응낙하였다. 앙리의 어머니 호아나 3세는 카트린 드 메디시스를 신뢰하지 않았고,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서 가톨릭 신자인 마르그리트를 며느리로 들이는 것을 꺼렸으나, 왕의 딸과의 결혼이 가져올 이점을 고려한 가신들의 요청으로 결혼을 수락하였다. 호아나 3세는 1572년 프랑스 궁정을 방문, 마르그리트의 미모와 지성에 감탄하여 아들에게 ''"이 천사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몸단장에 신경 쓸 것을 조언하기도 하였다.[35]결혼 초기, 앙리는 샬롯 드 소브와 공개적으로 마르그리트를 속이며 많은 정부(情婦)들을 거느렸다.[40] 샬롯은 마르그리트의 연인 알랑송과 앙리 사이를 이간질했다.[41] 마르그리트는 남편의 질투심 없는 틈을 타 뷔시 담부아즈를 애인으로 삼기도 했다.[38]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이후, 1576년 앙리가 파리 궁정에서 탈출하자 마르그리트는 앙리 3세에게 남겨졌다. 이후, 마르그리트는 나바라 왕 앙리에게 보내졌지만, 각자가 공공연하게 많은 애인을 두었고, 부부 사이는 냉랭해졌다.
3. 3. 종교 문제
1572년 6월 8일, 호아나 3세는 결혼식을 두 달 앞두고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19세기 경까지도 호아나 3세의 급사는 카트린 드 메디시스가 보낸 독 묻은 장갑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호아나 3세의 지병이었던 폐결핵이 직접적인 사인이었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고 있다.[35]1573년, 샤를 9세의 불안정한 정신 상태와 체력은 더욱 악화되었지만, 추정 상속인인 그의 형제 앙리는 폴란드 왕으로 선출되었다. 앙리가 프로테스탄트 예배를 억압하는 것을 지지했기 때문에, 말콘탕이라고 불리는 온건한 가톨릭 영주들은 샤를의 막내 동생 프랑수아, 알랑송 공작을 프랑스 왕위에 앉히려는 음모를 지지했다. 알랑송은 종교 문제에 타협하려는 의지를 보였고, 이는 폭력에 지친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되었다. 프로테스탄트와 연합한 말콘탕은 권력을 잡기 위해 여러 음모를 실행했다.
마르그리트는 두 형에 대한 성향 때문에 처음에는 남편이 관련된 음모를 비난했지만, 나중에는 온건한 가톨릭 지지자들과 나바르 왕의 위그노 지지자들 사이의 필수적인 연결 고리가 되기를 바라며 입장을 바꿨다.[36] 그녀는 강력한 친구들인 네베르의 앙리에트와 클로드 카트린 드 클레르몽과 함께 ''쿠데타''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7]
1574년 4월에 음모가 발각되었고, 음모의 지도자들은 체포되어 참수되었으며, 여기에는 마르그리트의 연인으로 알려진 조제프 보니파스 드 라 몰도 포함되었다.[38] 음모 실패 후, 프랑수아와 앙리는 뱅센 성에 수감되었다. 마르그리트는 남편 나바르의 앙리를 위해 ''부르봉의 앙리에 대한 지지 성명''을 적은 편지를 썼다.
샤를 9세가 사망하고 앙리 3세가 프랑스 왕위에 오르자, 프랑수아와 앙리는 자유의 몸이 되었고 심지어 궁정에 출입할 수 있었지만, 새 왕은 마르그리트의 배신을 용서하거나 잊지 않았다.
앙리와 마르그리트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앙리는 계속해서 성실하게 부부의 의무를 다했지만, 마르그리트는 임신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많은 정부들을 거느렸고, 어머니의 악명 높은 "플라잉 스쿼드"의 멤버인 샬롯 드 소브와 공개적으로 마르그리트를 속였다.[40] 샬롯은 또한 그녀의 연인인 알랑송과 나바르 사이를 이간질하여 마르그리트가 남편과 막내 동생 사이에 동맹을 맺으려는 시도를 망쳤다.[41]
앙리는 자신의 이익에 부합할 때만 아내에게 접근했고, 그렇지 않을 때는 주저하지 않고 그녀를 버렸다. 한편, 마르그리트는 남편의 질투심이 없는 틈을 타 유명한 뷔시 담부아즈를 애인으로 삼았을 것이다.[38]

알랑송과 나바르는 1575년 9월과 1576년에 각각 탈출에 성공했다.[26] 앙리는 아내에게 그의 출발에 대해 경고조차 하지 않았다. 마르그리트는 남편의 공범으로 의심받으며 루브르의 자기 방에 갇혔다.
위그노와 동맹을 맺은 알랑송은 무기를 들고 누이가 풀려날 때까지 협상하기를 거부했다. 따라서 그녀는 풀려났고 어머니의 평화 회담을 도왔다. 그들은 프로테스탄트에게 극도로 유익한 내용인 보리외 칙령으로 이어졌다. 알랑송은 또한 칙령의 혜택을 받아 형이 왕이 되기 전에 가지고 있던 칭호인 앙주 공작이 되었다.[43]
다시 프로테스탄트 신앙으로 개종한 나바르의 앙리는 마르그리트가 그의 나바라 왕국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과 앙리 3세는 마르그리트가 위그노의 손에 인질이 되거나 나바르와 앙주의 동맹을 강화하는 행동을 할 것을 우려하여 그녀를 남편에게 보내는 것을 거부했다.[45]
마르그리트는 마침내 남편과 합류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카트린은 세월이 흘러도 후계자가 없다는 것을 알고 새로운 결혼을 바랐고, 사위에게 좋은 남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아마도 앙리 3세와 왕대비도 마르그리트가 남서부의 불안한 지역에서 화해 역할을 해줄 수 있기를 바랐을 것이다.[51]

마르그리트는 남편과 함께 돌아오면서 어머니와 그녀의 재상, 인문주의자, 치안 판사, 시인인 기 드 퓌브라크가 동행했다.[52] 이 여행은 거쳐가는 도시들에 들어가 통치 가문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을 기회였다. 여행이 끝날 무렵, 그들은 마침내 나바르 왕을 만났다. 카트린과 사위는 1579년 네라크 회담의 대상이었던 마지막 평화 칙령의 시행 방안에 합의했다.
그녀가 떠난 후, 부부는 마르그리트가 가톨릭 예배 금지로 고통받았던 포에 잠시 머물렀다.[53] 그들은 이후 알브레의 수도인 네라크에 정착했는데, 이곳은 프랑스 왕국의 일부였으며, 베아른에서 시행되던 종교 규제와 불관용이 적용되지 않았다.
마르그리트 여왕은 세련된 궁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55] 그녀는 진정한 문학 아카데미를 형성하고 있었다. 아그리파 도비녜, 나바르의 동료, 기 드 포, 시뇨르 드 피브라크 외에도, 시인 기욤 드 살뤼스트 뒤 바르타와 미셸 드 몽테뉴[38]가 궁정을 자주 방문했다. 마르그리트는 ''에세''의 저자와 많은 교류를 했다. 나바르 기사이자 시인, 작가, 그리고 나바르 최초 왕들의 후손인 훌리안 이니게스 데 메드라노는 발루아의 마르그리트 여왕과 함께 네라크 궁정에 있었다. 메드라노는 그녀의 시대에 번성했다. 재치 있는 사람을 높이 평가할 줄 아는 여왕은 그가 네라크 궁정에 머물면서 그곳에서 여러 해 동안 장식품이자 기쁨이 되었다는 것을 믿었다.[56] 훌리안 이니게스 데 메드라노의 저서 라 실바 쿠리오사는 발루아의 마르그리트 여왕에게 헌정되었다.[57]
네라크 궁정은 특히 그곳에서 일어난 연애 사건으로 유명해졌으며, 셰익스피어의 ''사랑의 헛수고''에 영감을 주었을 정도였다.[58] 마르그리트는 남편의 가장 유명한 동료 중 한 명인 튀렌 백작과 불륜을 저질렀다. 나바르의 앙리는 아내를 따라온 모든 시녀들을 유혹하려 했다. 1579년, "연인들의 전쟁"이라고 불리는 종교 전쟁이 위그노와 앙리 3세 사이에서 발발했다.[59]
이 분쟁은 마지막 평화 칙령의 잘못된 적용과 나바르와 나바르의 앙리가 총독이었던 기옌의 왕의 부총독 사이의 갈등으로 촉발되었다.[60] 이 분쟁 동안 마르그리트는 남편 편을 들었다.[61] 그것은 나바르 여왕이 자신의 형제인 앙주 공작 프랑수아를 협상 대표로 부를 것을 제안한 덕분에 잠시 동안(1579년~1580년) 지속되었으며, 그 결과는 플렉스 평화 조약으로 마무리되었다.[62]
thumb
이때 마르그리트는 오빠의 수석 마부인 자크 드 아를레, 샹발론 영주와 사랑에 빠졌다.[63]
앙주의 떠남 이후, 마르그리트의 상황은 악화되었다. 그녀의 시녀 중 한 명인 프랑수아즈 드 몽모렌시-포스, '라 벨 포세즈'로 알려진 14세 소녀는 나바르의 앙리와 열정적인 관계를 맺고 임신했다. 마르그리트는 그녀의 라이벌을 궁정에서 내쫓을 것을 제안했지만, '라 벨 포세즈'는 협조를 거부하겠다고 소리쳤다.
마르그리트는 병을 앓은 후, 1582년에 다시 파리 궁정으로 돌아왔지만, 오빠 앙리 3세와 불화하여 궁정을 떠났다[133]。
4. 결혼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
1572년 8월 18일 부르봉 추기경이 집전한 혼배성사가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그러나 호아나 3세의 죽음으로 이 결혼을 개신교와 가톨릭 세력의 화합이라 주장하는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말을 믿지 못하게 된 헨리케 3세는 800명의 수행원과 함께 상복을 입고 파리에 입성하였고, 성당 안에는 들어가지도 않았다. 마르그리트 또한 혼배성사에는 참석했으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결혼을 서약하는 과정에서 예법대로 고개를 숙이지 않자, 오빠인 샤를 9세가 나서서 억지로 고개를 숙이게 하였다.[67] 결혼 직후 마르그리트는 나바라 왕비로서 대내외에 알려졌다.
결혼 6일 뒤인 8월 24일,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이 시작되었다. 이 학살은 성 바르톨로메오 성인 축일 전야에 강력한 개신교도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가스파르 드 콜리니 제독이 앙리 드 기즈 공작에게 살해당한 것을 시작으로 이루어졌다. 혼란스럽고 반 강제로 이루어진 결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그리트는 신변이 위태로웠던 남편 헨리케 3세와 그의 개신교 가신들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 그들이 목숨을 부지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믿어지고 있다.[67] 학살 직후 간신히 살아남은 헨리케 3세는 사촌 동생인 콩데 공 앙리 드 콩데와 더불어 샤를 9세의 반 강요에 못 이겨 가톨릭으로 전향하였고, 9월 29일 공식적으로 가톨릭 미사에 참석하였다. 두 왕족은 반 감금 상태로 파리에 억류되었다.
5. 감금과 파리 탈출
1585년, 마르그리트는 16세기의 여왕으로서는 전례 없는 행동으로 남편을 버렸다.[77] 가톨릭 동맹에 합류하여[73] 쿠데타를 계획, 아쟁에 대한 권력을 장악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앙리 3세의 부관과 합의했다.[78] 왕실 군대가 도착하자 마르그리트는 도망쳐 칼라 요새로 물러났다.[79]
1년 후, 오베르뉴 북쪽에 있는 이부아 성으로 피신했으나,[80] 왕실 군대에 포위되어 요새를 점령당했다. 1586년 10월 13일, 위송 성에 갇혔고,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마르그리트 앞에서 그녀의 애인이 처형되었다.[81]
1587년 초, 간수였던 카니약 후작이 가톨릭 동맹 편으로 돌아서 마르그리트를 풀어주었다.[82] 마르그리트는 위송 성에 머물며 18년을 보냈다. 이 곳에서 어머니와 오빠 앙리 3세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남편 앙리 드 나바르는 프랑스 왕이 되었으나, 4년 후 개종할 때까지 대부분의 가톨릭교도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4][85]
마르그리트는 지식인, 음악가, 작가들로 구성된 궁정을 훈련시켰고, 성을 복원하고 종교적인 작품을 읽었다. 매형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스가 수입의 절반을 보내 재정 상태도 개선되었다.[86]
1594년, 피에르 드 부르데유로부터 찬사를 담은 편지를 받았고, "회고록"을 썼다. 그녀는 그렇게 한 최초의 여성이었다.[87] 그녀의 작품은 1628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13] 조제프 스칼리제도 1599년에 위송을 방문했다.[89]
1576년, 나바라 왕 앙리가 파리 궁정에서 탈출하자, 마르그리트는 오빠인 앙리 3세에게 남겨졌다.[133]
5. 1. 감금
1574년, 샤를 9세가 24세의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하고, 앙주 공이자 폴란드의 왕이었던 왕제 앙리가 앙리 3세로 즉위하였다. 앙리 3세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던 마르그리트는 그의 즉위를 위협적인 것으로 간주하였고, 제1 왕위계승자이자 발루아 왕가 최후의 왕위계승자였던 동생 알랑송 공 에르퀼 프랑수아를 지지하였다. 남편인 헨리케 3세보다 동생이자 왕위계승자인 알랑송 공을 더 우선시했던 마르그리트는 결국 1575년 9월 15일 루브르의 창문을 통해 먼저 알랑송 공을 탈출시켰고, 개신교 신도와 온건 가톨릭 당파의 지지를 얻은 알랑송 공은 반란군의 지도자가 되어 강경 가톨릭파의 지도자였던 기즈 공과 맞서 싸웠다.[77] 헨리케 3세 또한 1576년 2월 사냥을 빌미로 외출하였다가 가신인 도비녜와 마르그리트의 연인인 라 몰의 도움을 받아 뒤늦게 파리 탈출에 성공하였다. 헨리케 3세의 탈출을 도운 라 몰은 결국 그것을 빌미로 사형에 처해졌다.[73]

1585년, 마르그리트는 가톨릭 동맹에 합류했다. 어려움을 극복하기로 결심한 마르그리트는 쿠데타를 계획하여 그녀의 세습 영지 중 하나인 아쟁에 대한 권력을 장악했다. 그러나 여왕의 요구에 지친 아제네는 반란을 일으켰고 앙리 3세의 부관과 합의했다.[78] 왕실 군대가 도착하자 마르그리트는 급히 도망쳐야 했다. 그녀는 어머니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왕실 영지로 이주하는 것을 거부하고, 칼라 요새로 물러났다.[79]
1년 후, 마르그리트는 어머니가 제안한 대로 오베르뉴 북쪽에 있는 이부아 성으로 피신했다.[80] 그러나 그녀는 왕실 군대에 포위되어 요새를 점령당했다.
1586년 10월 13일, 마르그리트는 오베르뉴의 위송 성에 갇혔다.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마르그리트 앞에서 그녀의 애인이 처형되었다.[81]
그러나 갑자기 그녀의 간수였던 카니약 후작이 가톨릭 동맹 편으로 돌아섰고 1587년 초에 그녀를 풀어주었다.[82] 그녀의 자유는 동맹에게 완벽하게 들어맞았다. 그녀의 지속적인 생존은 앙리 드 나바르가 상속자를 갖지 못하게 하는 것을 보장했다.

자유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그리트는 위송 성에 머물기로 결정했고, 그곳에서 18년을 보냈다. 여기서 그녀는 어머니의 죽음과 1589년 오빠 앙리 3세의 암살 소식을 들었다. 그녀의 남편 앙리 드 나바르는 앙리 4세라는 이름으로 프랑스 왕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4년 후에 개종할 때까지 대부분의 가톨릭교도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4][85]
이 기간 동안 마르그리트는 네라크에서 그랬던 것처럼 지식인, 음악가, 작가들로 구성된 새로운 궁정을 훈련시킬 수 있었다. 그녀는 성을 복원했고, 특히 종교적이고 비전적인 많은 작품을 읽는 데 시간을 쏟았다. 그녀와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매형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스가 그녀에게 수입의 절반을 보내기 시작했을 때 그녀의 재정 상태도 개선되었다.[86]
5. 2. 파리 탈출
1576년, 나바라 왕 앙리가 파리 궁정에서 탈출하자, 마르그리트는 오빠인 앙리 3세에게 남겨졌다.[133]5. 3. 마르그리트의 정치적 기반 공고화
동생과 남편이 모두 떠나고 파리에 홀로 남게 되었지만, 그들이 반란군으로 변신하여 왕을 위협하는 상황이 되자 오히려 마르그리트의 정치적 기반은 더욱 공고해졌다. 앙리 3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마르그리트가 그들과 합류할 것을 우려하여 파리를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지만, 그녀를 중재자로 삼아 협상을 시도했다. 앙리 3세가 동생 알랑송 공에게 먼저 양보하여 앙주 공의 지위와 막대한 영지를 내주자, 마르그리트는 프랑스의 실질적인 실력자로 떠올랐다.양 진영 사이의 분위기가 누그러지자, 마르그리트는 나바라 왕가의 적통 후사를 낳아야 한다는 명목하에 남편과도 화해하여 1578년 가스코뉴에서 헨리케 3세와 결합하였다. 그러나 4년간의 동거 생활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에 자녀는 생기지 않았고, 둘 다 자유분방한 생활을 즐겨 수많은 연인들을 만들어내면서 부부 사이의 불화는 다시 심해졌다. 1582년 앙리 3세와 헨리케 3세 사이의 관계를 호전시키겠다는 명분하에 파리의 궁정에 되돌아온 마르그리트는 샹발롱의 영주인 자크 드 아를레와 또 다른 연인 관계를 유지하였다.[77]
6. 네라크 궁정
(이전 출력에서 섹션 제목 '네라크 궁정'은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어 출력되지 않았으므로, 변경 사항 없음)
7. 정치적 몰락과 아쟁 반란
1583년 마르그리트는 여러 연인들과의 추문과 알랑송 공을 몰래 돕는다는 이유로 앙리 3세의 궁정에서 추방당했다.[118] 가스코뉴로 돌아간 마르그리트는 앙리와 재결합하여 아이를 낳으려 했으나, 앙리는 이를 거부했다. 1584년 마르그리트에게 충실했던 동생 알랑송 공마저 사망하면서 그녀의 정치적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다.[118] 알랑송 공의 사망으로 제1 왕위계승자가 된 앙리는 앙리 3세와 직접 교섭하는 것을 선호했고, 앙리 3세 또한 이에 동의하면서 마르그리트는 두 왕 사이의 중재자 역할마저 상실하였다.[118] 1585년 3월 19일 아키텐의 아쟁으로 물러난 마르그리트는 그곳에서 은둔생활을 시작하였다.[118]
1585년 아쟁 시민들이 마르그리트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118] 이 반란으로 마르그리트는 상트랄로 쫓겨났으며,[118] 1586년에는 앙리 3세에게 포로로 잡혀 오베르뉴의 위송에 감금되었다.[118] 1588년에는 그녀의 연인이자 동맹의 중심이었던 기즈 공이 앙리 3세에게 암살당하면서, 마르그리트는 완전히 권력을 잃게 되었다.[118]
7. 1. 궁정에서의 추방
1583년, 마르그리트는 여러 연인들과의 추문과 알랑송 공을 몰래 돕는다는 이유로 앙리 3세의 궁정에서 추방당하여 가스코뉴로 되돌아갔다.[118] 마르그리트는 다시 헨리케 3세와 재결합하여 아이를 낳으려 했으나, 더 이상 그녀와의 결혼 생활을 유지할 생각이 없었던 헨리케 3세는 냉정하게 이 제안을 거부하였다. 마르그리트에게 충실했던 동생 알랑송 공마저 네덜란드와 앤트워프에서의 대실패 이후 건강이 급속도로 나빠져 1584년 사망하면서 마르그리트의 정치적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다.[118] 알랑송 공의 사망으로 제1 왕위계승자가 된 헨리케 3세는 아내의 중재 없이 앙리 3세와 직접 교섭하는 것을 더 선호하였고, 강경 가톨릭 파를 지휘하며 권력을 과시하는 측근 기즈 공보다는 헨리케 3세를 더 신뢰할 만한 인물로 여겼던 앙리 3세 또한 이에 동의하면서, 마르그리트는 그때까지 누려 왔던 두 왕 사이의 중재자 역할마저 상실하였다.[118] 1585년 3월 19일 아키텐의 아쟁으로 물러난 마르그리트는 그곳에서 은둔생활을 시작하였다.[118]7. 2. 반란
1585년 아쟁 시민들이 마르그리트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118] 이 반란으로 마르그리트는 상트랄로 쫓겨났으며,[118] 1586년에는 앙리 3세에게 포로로 잡혀 오베르뉴의 위송에 감금되었다.[118] 1588년에는 그녀의 연인이자 동맹의 중심이었던 기즈 공이 앙리 3세에게 암살당하면서, 마르그리트는 완전히 권력을 잃게 되었다.[118]8. 말년
1599년 앙리 4세는 여러 반역 혐의와 후계 문제를 이유로 마르그리트에게 이혼을 요청했고, 둘의 결혼은 무효화되었다. 그러나 마르그리트는 왕비 칭호와 연금을 계속 유지했고, 왕의 딸로서의 지위도 인정받아 프랑스 왕족으로서 합당한 존경과 신분을 유지할 수 있었다.[1] 앙리 4세는 마르그리트와 이혼한 뒤 정부이자 정치적 동맹자였던 가브리엘 데스트레를 왕비로 세우고자 했으나, 그녀가 의문사하자 메디치 가문의 빚을 갚기 위해 마리 드 메디시스와 결혼하였다.[1]
1605년 20년 만에 파리로 돌아온 마르그리트는 마리 드 메디시스와 친구가 되었고, 훗날 그녀가 왕국의 섭정이 되어 삼부회를 주관하는 것을 열정적으로 옹호하였다.[1] 전 남편인 앙리 4세와의 관계도 부부 시절보다 훨씬 좋아져 오랜 친구처럼 지냈다.[1] 마르그리트는 자녀가 없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마리 드 메디시스 소생의 적자들은 물론이고 정부들이 낳은 서자들까지도 모두 귀여워했다.[1] 1589년 앙리 3세가 암살된 후, 나바라 왕 앙리는 앙리 4세로서 프랑스 왕위에 올랐으나 마르그리트와는 사이가 소원했고, 아이도 없어 1599년에 정식으로 이혼했다.[2]
마르그리트는 이혼 후에도 앙리 4세나 그 일가와 친구로서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2] 특히 앙리 4세와 마리 왕비 사이의 아들인 루이 13세를 귀여워했으며, 자신의 저택과 영지를 유증했다.[2] 마르그리트는 파리 저택에서 문학계 명사들과 교류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1615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1]
8. 1. 앙리 4세의 즉위와 종교 전쟁
1589년 앙리 3세가 자크 클레맹에게 암살당하면서 마르그리트의 남편 헨리케 3세는 프랑스 왕 앙리 4세로 즉위하였다. 비록 수장을 잃었으나 아직 건재했던 신성 동맹을 중심으로 개신교 신자인 앙리 4세에 대한 반감이 확산되면서 프랑스에서는 다시 내전이 시작되었다. 마르그리트 또한 이 반감에 동참하여 앙리 4세가 제대로 왕위를 계승 받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러한 노력의 일환 중에는 반역의 범주에 드는 것들도 섞여 있었다.[133] 그러나 신성 동맹을 격파하고 1593년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앙리 4세는 비로소 프랑스 국민들에게 진정한 군주로서 받아들여졌고, 1594년 3월 22일 파리에 입성하였다. 기나긴 프랑스 내전의 시발점이었던 종교 전쟁은 1598년 개신교에 대한 차별을 해소한 낭트 칙령의 발표로 막을 내렸다.8. 2. 이혼과 죽음
1599년 앙리 4세는 여러 반역 혐의와 후계 문제를 이유로 마르그리트에게 이혼을 요청했고, 둘의 결혼은 무효화되었다. 그러나 마르그리트는 왕비 칭호와 연금을 계속 유지했고, 왕의 딸로서의 지위도 인정받아 프랑스 왕족으로서 합당한 존경과 신분을 유지할 수 있었다.[1] 앙리 4세는 마르그리트와 이혼한 뒤 정부이자 정치적 동맹자였던 가브리엘 데스트레를 왕비로 세우고자 했으나, 그녀가 의문사하자 메디치 가문의 빚을 갚기 위해 마리 드 메디시스와 결혼하였다.[1]1605년 20년 만에 파리로 돌아온 마르그리트는 마리 드 메디시스와 친구가 되었고, 훗날 그녀가 왕국의 섭정이 되어 삼부회를 주관하는 것을 열정적으로 옹호하였다.[1] 전 남편인 앙리 4세와의 관계도 부부 시절보다 훨씬 좋아져 오랜 친구처럼 지냈다.[1] 마르그리트는 자녀가 없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마리 드 메디시스 소생의 적자들은 물론이고 정부들이 낳은 서자들까지도 모두 귀여워했다.[1] 1589년 앙리 3세가 암살된 후, 나바라 왕 앙리는 앙리 4세로서 프랑스 왕위에 올랐으나 마르그리트와는 사이가 소원했고, 아이도 없어 1599년에 정식으로 이혼했다.[2] 앙리 4세는 마르그리트의 외가 쪽 먼 친척인 메디치 가문의 마리 드 메디시스와 재혼했다.[2]
마르그리트는 이혼 후에도 앙리 4세나 그 일가와 친구로서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2] 특히 앙리 4세와 마리 왕비 사이의 아들인 루이 13세를 귀여워했으며, 자신의 저택과 영지를 유증했다.[2] 마르그리트는 파리 저택에서 문학계 명사들과 교류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1615년 파리에서 사망하였다.[1]
8. 3. 자서전
1628년에 출간된 마르그리트의 자서전은 여성이 자기 자신은 물론이고 당대의 정치, 외교상을 총망라하여 평가했을 뿐 아니라, 두 오빠인 샤를 9세와 앙리 3세와의 근친상간을 참회하는 등 충격적인 고백을 포함하여 당시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참조
[1]
서적
Leur divorce fut royal
Garnier Frères
[2]
서적
Queens and Mistresses of Renaissance France
[3]
서적
L'exil auvergnat de Marguerite de Valois (la reine Margot)
[4]
논문
History as Voyeurism: from Marguerite De Valois to La Reine Margot
https://www.academia[...]
[5]
서적
La Reine Margot et la fin des Valois
https://archive.org/[...]
[6]
서적
The Myth of the Reine Margot
[7]
서적
[8]
서적
Regine per caso
[9]
서적
[10]
서적
Queen Margot
[11]
서적
Éthiques et formes littéraires à la Renaissance
H. Champion
[12]
서적
[13]
서적
La Reine Margot
[14]
서적
[15]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59–1598
[16]
서적
[17]
서적
Memoirs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Marguerite de Valois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Henri IV of France: His Reign and Age
[25]
서적
Deux épouses et reines à la fin du XVIe siècle
[26]
서적
Catherine de' Medici
[27]
서적
Marguerite de Valois. “La reine Margot”
[28]
서적
Memoirs
[29]
서적
[30]
서적
The French religious wars: 1562–1598
[31]
서적
[32]
서적
Memoirs
[33]
서적
[34]
서적
Memoirs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6]
서적
Memoirs
[37]
서적
Boucher
[38]
서적
Moisan
[39]
서적
Memoirs
[40]
서적
Henry IV, King of France
[41]
서적
Memoirs
[42]
서적
Memoirs
[43]
서적
Holt
[43]
서적
Catherine de' Medici
[44]
서적
Memoirs
[45]
서적
Memoirs
[46]
서적
Pitts
[47]
서적
Williams
[48]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62–1629
[49]
서적
Memoirs
[50]
서적
Memoirs
[51]
서적
Pitts
[52]
서적
Williams
[53]
서적
Williams
[54]
서적
Memoirs
[55]
서적
Marguerite de Valois
[56]
웹사이트
Otro enigma en torno a Julián Iñíguez de Medrano: las dos Orcavellas
https://www.yumpu.co[...]
2023-12-28
[57]
서적
La silva curiosa, en que se tratan diversas cosas sotilissimas ...
https://books.google[...]
Orry
1608
[58]
서적
Craveri
[59]
문서
[60]
서적
Memoirs
[61]
서적
Memoirs
[62]
서적
Memoirs
[63]
서적
Moisan
[64]
서적
Moisan
[65]
서적
Memoirs
[66]
서적
Memoirs
[67]
서적
Moisan
[68]
서적
Williams
[69]
서적
Williams
[69]
서적
Moisan
[70]
서적
Craveri
[71]
문서
Moisan, pp. 24–25.
[72]
문서
Moisan, p. 27.
[73]
문서
Craveri, p. 80.
[74]
문서
Williams, pp. 302–303.
[75]
문서
Chamberlin, Marguerite of Navarre, p. 240.
[76]
문서
Moisan, p. 29.
[77]
문서
Moisan, p. 30.
[78]
문서
Viennot, Marguerite de Valois, p. 307; Boucher, p. 388
[79]
문서
Moisan, p. 58.
[80]
문서
Williams, p. 329.
[81]
문서
Knecht, Catherine de' Medici, pp. 254–55; Henry III wrote to his secretary Villeroy: "The Queen my mother wishes me to hang Obyac {{sic}} in the presence of this miserable creature [Margaret] in the courtyard of the Château d'Usson"
[82]
문서
Sealy, p. 125.
[83]
문서
Viennot, Marguerite de Valois, pp. 234–235.
[84]
문서
Williams, p. 337.
[85]
웹사이트
Henry IV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2-03-31
[86]
문서
Williams, pp. 341–342.
[87]
문서
Craveri, Amanti e regine, pp. 81–82.
[88]
문서
Memoirs, p. 29.
[89]
문서
Moisan, p. 144; Boucher, p. 240.
[90]
문서
Buisseret, p. 77.
[91]
간행물
Autour d'un « démariage » célèbre : dix lettres inédites de Marguerite de Valois
http://www.persee.fr[...]
Bulletin de l'Association d'étude sur l'humanisme, la réforme et la renaissance
1996
[92]
문서
Quoted in Williams, pp. 354–355.
[93]
문서
Buisseret, p. 77–78.
[94]
문서
Boucher, p.378–383.
[95]
문서
Buisseret, p. 79.
[96]
서적
Culture and Power: Tuscany and Its Universities 1537-1609
Brill
[97]
문서
Craveri, pp. 82–83.
[98]
문서
Williams, pp. 361–363.
[99]
문서
Williams, p. 366.
[100]
문서
Wellman, p. 308.
[101]
문서
Williams, p. 369.
[102]
문서
Castarède, La triple vie de la reine Margot, p. 12.
[103]
문서
Craveri, p. 85.
[104]
문서
Pitts, p. 270.
[105]
문서
Williams, p. 377.
[106]
웹사이트
Histoire de la rue par les cartes
http://www.rueviscon[...]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인용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La Reine Margot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19]
Amg title
Queen Margot
[12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Shakespea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1]
서적
Myself My Enemy
Putnam
1983-04-25
[122]
서적
The Italian Woman: A Catherine De' Medici Novel
Simon and Schuster
2024-04-25
[123]
서적
Queen Jezebel: A Catherine De' Medici Novel
Simon and Schuster
2013-03-12
[124]
간행물
Queen Jezebel by Jean Plaidy
https://historicalno[...]
2013-08
[125]
뉴스
'Les Huguenots,' Making Operatic History Again
https://www.nytimes.[...]
2011-06-21
[126]
서적
Australia.
World Book, Inc.
1991
[127]
웹사이트
Reign – All It Cost Her
https://starrymag.co[...]
2017-06-22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わが懐かしき街
図書出版社
[134]
서적
王妃マルゴ
文藝春秋
1994
[13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