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고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터 고텔은 독일 본에서 태어나 영국으로 이주하여 배우로 활동한 인물이다. 1942년 영화에 데뷔하여, 007 시리즈의 '나를 사랑한 스파이'부터 '리빙 데이라이츠'까지 KGB 장군 아나톨 고골 역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그는 007 시리즈에서 악당과 조력자 역할을 모두 수행했다. 이외에도 '아프리카의 여왕', '나바론 요새', '블랙 선데이'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했으며, '소프틀리, 소프틀리: 테스크 포스', '맥가이버', 'X파일' 등 여러 TV 시리즈에도 게스트로 출연했다. 199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 출신 - 루트비히 판 베토벤
베토벤은 독일의 작곡가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음악을 연결하는 중요한 인물이며,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현악 사중주곡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고 청력 상실에도 불구하고 창작 활동을 지속했다. - 본 출신 - 첼리아 샤시치
첼리아 샤시치는 독일의 전 여자 축구 선수로, 프라우엔-분데스리가와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득점왕,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득점왕을 수상하고 독일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에 두 번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과 메달을 획득한 후 27세에 은퇴하였다. - 잉글랜드에 거주한 독일인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며, 독일 연방의회 의원과 독일 정부의 여러 장관을 역임했고, 유럽 그린 딜, 코로나19 대응 등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 - 잉글랜드에 거주한 독일인 - 클라우디아 시퍼
클라우디아 시퍼는 1990년대 샤넬의 뮤즈이자 슈퍼모델로 인기를 얻었으며, 모델, 배우, 패션 디자이너, 유니세프 친선대사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독일 출신의 인물이다. - 독일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독일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엘마어 베퍼
엘마어 베퍼는 독일의 배우이자 멜 깁슨의 독일어 더빙으로 유명하며, *경찰*, *체리 블라썸* 등의 작품에 출연했고 바이에른 영화상과 독일 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FC 바이에른 뮌헨의 팬이었던 배우 프리츠 베퍼의 동생이다.
발터 고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발터 자크 괴텔 |
출생일 | 1924년 3월 15일 |
출생지 | 본, 라인 주, 독일 |
사망일 | 1997년 5월 5일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국적 | 독일 영국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42년–1997년 |
배우자 | 이본 힐스 (1958년–1974년, 사망) 셀레스트 F. 미첼 (1974년) |
자녀 | 1 |
출연 작품 | |
주요 작품 | 아프리카의 여왕 007 시리즈 |
2. 생애
발터 고텔은 배우이자 사업가로, 연기 수입으로 사업 자금을 조달했다.[2] 그는 여러 엔지니어링 회사를 운영했으며, 아일랜드에 농장을 소유하기도 했다. 한때 그는 유럽 최남단의 집을 소유하기도 했다. 고텔은 1958년부터 1974년 이본 힐스와 결혼하여 1960년에 딸 캐롤을 낳았고, 1974년에는 셀레스트 F. 미첼과 재혼했다. 1997년 5월 5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2. 1. 초기 생애
발터 고텔은 1924년 본에서 유대인 부모 마르가레테 빌헬미네(결혼 전 성씨는 콘)와 야콥 고텔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는 주로 베를린에서 성장했다. 반유대주의가 심화되고 나치즘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고텔과 그의 가족은 1938년 영국으로 이주했고, 1948년 영국 시민으로 귀화했다.[4]고텔은 중등학교 시절에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십 대 시절부터 레퍼토리 극장에서 연기를 시작했다.
2. 2. 배우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중 젊은 배우가 부족했기 때문에 고텔은 1942년부터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중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어 나치 독일 악당과 군인 역할로 캐스팅되었으며, 그 예로 1943년작 ''새벽에 잠수한다''가 있다.[6]1950년대 초반부터 그는 더 확고한 역할을 맡기 시작했으며, 앨버트 R. 브로콜리와 함께 ''아프리카 여왕''(1951), ''붉은 베레모''(1953), ''알렉스에서의 고독''(1958), ''나바론 요새''(1961), ''홍콩으로 가는 길''(1962), ''로드 짐''(1965), ''블랙 선데이''(1977), ''브라질에서 온 소년들''(1978), ''쿠바''(1979) 등에 출연했다.[5]
1963년 ''007 위기일발''에서 하수인 모제니 역을 맡아 007 영화 시리즈에 처음 출연했다.[6] 1970년대 후반부터 ''나를 사랑한 스파이''(1977)를 시작으로 시리즈에서 KGB 장군 아나톨 고골 역을 반복적으로 연기했다.[2] 고텔은 전 소련 비밀경찰 수장 라브렌티 베리야를 닮아 고골 역을 맡게 되었다. 이 캐릭터는 ''문레이커''(1979), ''007 유어 아이즈 온리''(1981), ''007 옥토퍼시''(1983), ''007 뷰 투 어 킬''(1985), ''007 리빙 데이라이츠''(1987)에 다시 등장했다.[5] 냉전이 종말에 가까워지면서 KGB 수장의 역할은 서방에 대한 태도를 직접적인 경쟁자에서 협력자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텔은 007 영화 시리즈에서 악당과 본드 조력자를 모두 연기한 몇 안 되는 배우 중 한 명이다(다른 배우로는 찰스 그레이, 리차드 키엘, 조 돈 베이커가 있다).
고텔은 경력 전반에 걸쳐 ''데인저 맨'', ''전격 Z 작전'', ''A 특공대'', ''항공사'', ''에어울프'', ''X파일'', ''스케어크로우와 미세스 킹'', ''맥가이버'',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마이애미 바이스'', ''Cagney & Lacey'' 그리고 ''세인트'' 등 수많은 텔레비전 시리즈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그는 ''Softly, Softly: Task Force''(1969–75)에서 치프 컨스터블 컬렌 역을 연기했다.[7] 다른 텔레비전 역할로는 영국 경찰 드라마 ''더 프로페셔널''(1978) - "The Female Factor" 에피소드에서 KGB 요원 샘 베이커 역이 있었다.
2. 3. 개인사
발터 고텔은 1924년 본에서 유대인 부모 마르가레테 빌헬미네(결혼 전 성씨: 콘)와 야콥 고텔 사이에서 태어났다.[3] 그는 주로 베를린에서 성장했다. 반유대주의가 심화되고 나치즘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고텔과 그의 가족은 1938년 영국으로 이주했고, 1948년 영국 시민으로 귀화했다.[4]고텔은 중등학교 시절에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십 대 시절부터 레퍼토리 극장에서 연기를 시작했다.
고텔은 1958년부터 1974년 사망할 때까지 배우 이본 힐스와 결혼했다. 그들은 1960년에 딸 캐롤을 낳았다. 고텔은 1974년에 셀레스트 F. 미첼과 재혼했다.
고텔은 배우이자 사업가였으며, 연기 수입으로 사업 자금을 조달했다.[2] 그는 여러 엔지니어링 회사를 운영했으며, 아일랜드에 농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한때 그는 유럽 최남단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
2. 4. 사망
고텔은 1997년 5월 5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3. 작품 목록
발터 고텔은 영화와 텔레비전 양쪽에서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경력을 쌓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중 언어 능력을 바탕으로 나치 독일 관련 역할[6]을 주로 맡았으며, 1950년대부터는 ''아프리카의 여왕''(1951)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했다.[5]
특히 007 영화 시리즈에서 KGB 장군 아나톨 고골 역[2][5]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데인저 맨'', ''전격 Z 작전'' 등 인기 텔레비전 시리즈에도 출연했다.[7]
3. 1. 영화
발터 고텔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젊은 배우 부족으로 인해 1942년부터 영화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이중 언어 능력 덕분에 나치 독일 악당과 군인 역할로 자주 캐스팅되었으며, 대표적으로 1943년작 ''새벽에 잠수한다''가 있다.[6]1950년대 초반부터는 앨버트 R. 브로콜리와 함께 ''아프리카의 여왕''(1951), ''붉은 베레''(1953), ''알렉스에서의 고독''(1958), ''나바론 요새''(1961), ''홍콩으로 가는 길''(1962)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경력을 쌓았다.[5] 1963년 ''007 위기일발''에서 하수인 모제니 역을 맡아 007 영화 시리즈에 처음 출연했다.[6] 1970년대 후반부터는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1977)를 시작으로 KGB 장군 아나톨 고골 역을 맡아 여러편에 등장했다.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42 | 더 데이 윌 돈(The Day Will Dawn) | 독일군 병사 | 크레딧 없음 |
1942 | 더 구스 스텝스 아웃(The Goose Steps Out) | 친위대 | 크레딧 없음 |
1942 | 시크릿 미션(Secret Mission) | 랑펠트 중위 | 크레딧 없음 |
1943 | 투모로우 위 리브(Tomorrow We Live) | 한스 | |
1943 | 위 다이브 앳 던(We Dive at Dawn) | 루프트바페 대위 | 크레딧 없음 |
1943 | '슈베이크의 새로운 모험(Schweiks New Adventures)'' | 체포된 레지스탕스 단원 | |
1943 | 더 나이트 인베이더(The Night Invader) | ||
1944 | 투 사우전드 워먼(Two Thousand Women) | 독일군 병사 | 크레딧 없음 |
1948 | 노 오키즈 포 미스 블랜디시(No Orchids for Miss Blandish) | 조 | 나이트클럽 문지기, 크레딧 없음 |
1950 | 카이로 로드(Cairo Road) | 교도관 | |
1950 | 더 우든 호스(The Wooden Horse) | 추종자 | |
1950 | 릴리 마를렌(Lilli Marlene) | 선전부 국장 | |
1951 | 더 맨 후 디서피어드(The Man Who Disappeared) | 루자토 | |
1951 | 아프리카의 여왕(1951) | 쾨니긴 루이제의 부관 | |
1953 | 데스퍼릿 모먼트(Desperate Moment) | 라비치의 하인-똘마니 | |
1953 | 더 레드 베레(The Red Beret) | 독일군 초병 | |
1953 | 앨버트 R.N.(1953) | 펠트베벨 | |
1953 | 스트라이커 오브 더 야드(Stryker of the Yard) | ||
1954 | 정글의 결투(Duel in the Jungle) | 짐 | |
1955 | 어보브 어스 더 웨이브스(Above Us the Waves) | 독일 장교 | 크레딧 없음 |
1956 | 다이얼 999(Dial 999) | 경찰관 | 크레딧 없음 |
1956 | 1984(1984) | 경비병 | 크레딧 없음 |
1956 | 너무 많이 안 남자(The Man Who Knew Too Much) | 매튜스 | 스코틀랜드 야드 순찰차, 크레딧 없음 |
1958 | 아이스 콜드 인 알렉스(1958) | 첫 번째 독일 장교 | |
1958 | 더 맨 인사이드(The Man Inside) | 프로푸노 | |
1958 | '아이 워즈 몬티스 더블(I Was Montys Double)'' | 독일군 대령 | |
1958 | 두 개의 얼굴(1958) | ||
1959 | 조베의 도적(The Bandit of Zhobe) | 아자드 | |
1959 | 노 세이프티 어헤드(No Safety Ahead) | 크레딧 없음 | |
1959 | 산 테레사 보물(The Treasure of San Teresa) | 함부르크 검사 | |
1959 | 비스마르크호 격침 작전(Sink the Bismarck!) | 비스마르크호의 신호 장교 밀러 | 크레딧 없음 |
1960 | 호러 서커스(1960) | 본 그루버 남작 | 크레딧 없음 |
1960 |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두 얼굴(The Two Faces of Dr. Jekyll) | 헤버턴 | 두 번째 도박꾼, 크레딧 없음 |
1960 | 기만의 원(A Circle of Deception) | 가짜 줄스 발라드 | |
1960 | 비밀첩보원(1960) | ||
1961 | 나바론의 요새(1961) | 오버로이테난트 뮈젤 | |
1961 | '데블스 래딜(The Devils Daffodil)'' | 오버인스펙터 화이트사이드 / 수퍼린텐던트 화이트사이드 | |
1962 | 홍콩 가는 길(Road to Hong Kong) | 조르브 박사 | 3차 에셜론 과학자 |
1962 | '데블스 에이전트(The Devils Agent)'' | 리터 박사 | |
1962 | 가장 긴 날(The Longest Day) | 독일 장교 | 크레딧 없음 |
1962 | Z 카스(1962) | ||
1963 | 북경의 55일(55 Days at Peking) | 호프만 대위 | |
1963 | 데즈 알 더 댐드(1963) | 홀랜드 소령 | |
1963 | 란슬롯과 기네비어(1963) | 세드릭 | |
1963 | 007 위기일발(1963) | 모르제니 | |
1965 | 로드 짐(1965) | 파트나호 선장 | |
1965 | 추운 곳에서 온 스파이(The Spy Who Came in From The Cold) | 홀튼 | 크레딧 없음 |
1968 | 아이언 코스트 공격(Attack on the Iron Coast) | 반 호르스트 | |
1969 | 크라이 울프(Cry Wolf) | ||
1969 | 더 파일 오브 더 골든 거스(The File of the Golden Goose) | 조지 리즈 | |
1972 | 아워 미스 프레드(Our Miss Fred) | 슈미트 | |
1972 | 엔드리스 나이트(1972) | 콘스탄틴 | |
1977 | 블랙 선데이(1977) | 리아트 대령 | |
1977 | 어사인먼트(1977) | 프랑켄하이머 | |
1977 | 마치 오어 다이(March or Die) | 몬트 대령 | |
1977 | 라스트 부르맨(1977) | ||
1978 | 더 스터드(The Stud) | 벤 칼레드 | |
1978 | 브라질에서 온 소년들(1978) | 문트 | |
1978 | 더 워드(The Word) | 헤닝 | |
1979 | 런던 커넥션(1979) | 시몬스 | |
1979 | 쿠바(1979) | 돈 호세 풀리도 | |
1980 | 플라이그니보 450 (Flygnivå 450) | 허버트 앤첼 | |
1981 | 007 유어 아이스 온리(1981) | 아나톨 고골 장군 | |
1983 | 스칼렛 앤 더 블랙(1983) | 친위대 오버그루펜퓌러 막스 헬름 (카를 볼프) | |
1983 | 007 옥토퍼시(1983) | 아나톨 고골 장군 | |
1983 | 칼라발리켄 이 벤더 (Kalabaliken i Bender) | 스토르베시렌 | |
1984 | 메메드 마이 호크(Memed My Hawk) | 아심 상사 | |
1985 | 007 뷰 투 어 킬(1985) | 아나톨 고골 장군 | |
1985 | KGB: 비밀 전쟁(KGB: The Secret War) | 니콜라이 | |
1985 | 베이직 트레이닝(Basic Training) | 나보코프 | |
1987 | 007 리빙 데이라이트(1987) | 아나톨 고골 장군 | |
1988 | 슬리피웨이 캠프 2(1988) | 존 삼촌 | |
1990 | 윙스 오브 페임(1990) | 접수원 | |
1991 | 퍼펫 마스터 3(1991) | 뮐러 장군 | |
1997 | 프린스 발리언트(1997) | 에릭 더 올드 | 마지막 영화 배역 |
이 외에도 ''인형 대소동 3'', ''여죄수 특수 수사반 사만사'', ''레이디 제이슨 지옥의 캠프'', ''사랑과 슬픔의 맨해튼 (상・하)'', ''KGB 암흑의 전사'', ''에어 울프 3'', ''초음속 공격 헬기 에어울프 시즌 1'', ''복수'', ''안녕 쿠바'', ''외인 부대 포스터 소좌의 영광'', ''장군 암살'', ''황금 선상의 남자'', ''철해안 총공격'', ''저주받은 자들'', ''검호 랜슬롯'', ''미사일 젠도츄'', ''허위의 정보'', ''악당 카심'', ''정글의 결투'', ''목마'', ''열사의 규칙''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
3. 1. 1. 007 시리즈
1977년 영화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에서 KGB 장군 아나톨 고골 역을 처음 맡았으며, 이후 1980년대까지 여러 007 시리즈 영화에 출연했다.[2][5]고텔은 007 위기일발(1963)에서 모제니 역으로 처음 007 영화 시리즈에 출연했다.[6] 이후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1977)를 시작으로 아나톨 고골 역을 맡았다. 고골 장군은 007 문레이커(1979), 007 유어 아이즈 온리(1981), 007 옥토퍼시(1983), 007 뷰 투 어 킬(1985), 007 리빙 데이라이츠(1987)에 다시 등장했다.[5] 그는 전 소련 비밀경찰 수장 라브렌티 베리야를 닮아 고골 역에 캐스팅되었다.[5]
냉전이 종식되면서, 고골 장군의 역할은 서방에 대한 태도를 경쟁자에서 협력자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텔은 007 영화 시리즈에서 악당과 본드의 조력자를 모두 연기한 몇 안 되는 배우 중 한 명이다.[5]
3. 1. 2. 기타 영화
- 프린스 밸리언트 (1997년) - 에릭 더 올드
- 조종자 3 (1991년) - 뮐러 장군
- 명성의 날개 (1990년) - 접수원
- 슬리퍼웨이 캠프 2 (1988년) - 존 삼촌
- 007 리빙 데이라이트 (1987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KGB 비밀 전쟁 (1986년) - 니콜라이
- 007 뷰 투 어 킬 (1985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더 스칼렛 앤 더 블랙 (1983년) - 막스 헬름 (카를 볼프)
- 007 옥토퍼시 (1983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007 유어 아이스 온리 (1981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쿠바 (1979년) - 돈 호세 풀리도
- 007 문레이커 (1979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어싸인먼트 (1977년) - 프랑켄하이머
- 블랙 썬데이 (1977년) - 리아트 대령
-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 (1977년) - 아나톨 고골 장군
- 라스트 부르맨 (1977년)
- 끝없는 밤 (1972년) - 콘스탄틴
- 로드 짐 (1965년) - 파트나호 선장
- 추운 곳에서 온 스파이 (1965년) - 홀튼 (크레딧 없음)
- 저주받은 아이들 (1963년) - 홀랜드 소령
- 란셀롯의 칼 (1963년) - 서 세드릭 역
- 007 위기일발 (1963년) - 모제니 역
- Z 카스 (1962년)
- 홍콩으로 가는 길 (1962년) - 조르브 박사
- 나바론 요새 (1961년) - 오버로이테난트 뮈젤
- 비밀첩보원 (1960년)
- 지킬 박사의 두 얼굴 (1960년) - 헤버턴
- 비스마르크호를 격침하라 (1960년) - 밀러 (크레딧 없음)
- 서커스 오브 호러 (1960년) - 본 그루버 남작 (크레딧 없음)
- 두 개의 얼굴 (1958년)
- 엘버트 R.N. (1953년) - 펠트베벨
- 아프리카의 여왕 (1951년) - 쾨니긴 루이제의 부관
- 목마 (1950년) - 추종자
3. 2. 텔레비전
발터 고텔은 전격 Z 작전, A 특공대, 에어울프, X파일, 스케어크로우와 미세스 킹, 맥가이버,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마이애미 바이스, Cagney & Lacey, 세인트 등 수많은 텔레비전 시리즈에 게스트로 출연했다.[7] 1969년부터 1975년까지는 ''Softly, Softly: Task Force''에서 아서 컬렌 경감 역을 맡아 고정 출연했다.[7]다음은 그가 출연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51 | 셜록 홈즈 | 루자토 | "사라진 남자 (파일럿)" 에피소드 |
1964 | 세인트 | 한스 라서 | "납치범" 에피소드 |
1964, 1979 | 월트 디즈니의 원더풀 월드 오브 컬러 | 벤튼 / 시몬스 | 3개 에피소드 |
1968 | 셜록 홈즈 | 헨더슨 | "위스테리아 로지" 에피소드 |
1974 | 주 갱 | 부셰 | "복수: 날짜 초과" 에피소드 |
1969-1975 | 소프틀리, 소프틀리: 테스크 포스 | 아서 컬렌 경감 | 55개 에피소드 |
? | 할렐루야! | 헨더슨 중령 | |
1978 | 더 프로페셔널스 | 베이커 | 시즌 1, 에피소드 2 "여성 요소" |
1983 | 스케어크로우와 미세스 킹 | 커트 홀랜더 | "봉사와 그 이상" 에피소드 |
1984 | 에어울프 | 오베르스트 헬무트 크루거 / 한스 다우베르트 | "비둘기처럼 싸워라" 에피소드 |
1984 | 환상의 섬 | 에드워드 C. 배스 / 찰스 칠드리스 | "보쟁글스와 댄서/듀스가 야생" 에피소드 |
1985 | A 특공대 | 라몬 데자로 | "그가 필요할 때 괴물은 어디에 있는가?" 에피소드 |
1986 | 스펜서 포 하이어 | 맥스 클라우스 | "가장 신중한 광기" 에피소드 |
1985 | 전격 Z 작전 | 사이먼 카라스카스 | "나이트 스팅" 에피소드 |
1987 | 맥가이버 | 스타코스 | "GX-1" 에피소드 |
1986 | 마이애미 바이스 | 맥스 클라이저 | "아일랜드인의 눈은 울고 있다" 에피소드 |
1988 |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 커트 만들 | "고향 토양" 에피소드 |
1989 | 맥가이버 | 바레노프 장군 | "골드 러쉬" 에피소드 |
1995 | X파일 | 빅터 클렘퍼 | "페이퍼 클립" 에피소드 |
참조
[1]
웹사이트
FamilySearch.org
https://familysearch[...]
[2]
뉴스
Obituary: Walter Gotell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7-06-20
[3]
웹사이트
Gotell, Walter – Deutsche Biographie
https://www.deutsche[...]
2023-12-17
[4]
PDF
https://www.thegazet[...]
2024-08-01
[5]
웹사이트
Walter Gotell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Walter Gotell | Movies and Filmography
https://www.allmovie[...]
[7]
웹사이트
Walter Gotell
https://www.aveley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