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낙환은 백병원 설립자인 백인제의 조카로, 홍경래의 난 때 창의한 백경해의 현손이다. 195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백병원의 원장 직무대행을 맡아 백병원을 현대식 종합병원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인제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교육 발전에 기여했고,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회장, 서재필기념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 활동을 했다. 2002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제대학교 -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은 서울 노원구에 위치한 인제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의학 연구 향상, 의료 혜택 제공, 의료 인재 양성, 사회 발전을 목표로 1989년 개원하여 지역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며 의료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 인제대학교 -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1941년 백인제 외과병원으로 시작하여 1972년 종합병원으로 발족한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은 의학 연구 향상과 의료 혜택 제공을 목표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의료 발전에 기여했으나 2023년 8월 31일 진료를 종료했다. - 정주시 출신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정주시 출신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백낙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낙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6년 9월 27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북도 정주군 |
사망일 | 2018년 12월 7일 |
2. 생애
백낙환은 홍경래의 난 때 창의하여 대항한 수와(守窩) 백경해의 현손이자 백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그를 낳은 지 5개월 만에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
1939년 고향 평북 정주군을 떠나 서울로 유학, 휘문중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큰아버지 백인제의 댁에서 통학하였다. 큰아버지 백인제의 뜻에 따라 1944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이과 을류로 진학하여 195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다.
백병원의 창립자 백인제가 전쟁 중 납북되자 백병원은 존립이 위태로웠고, 1961년 1월 원장 직무대행을 맡으면서, 사촌 백낙조와 함께 1972년 16개과 140병상의 현대식 종합병원 백병원을 개원하였다.
1946년 12월 17일 백인제가 설립한 재단법인 백병원은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1979년 개원)을 모체로 하는 학교법인 인제학원(1979.1.12. 문교부 정식허가. 설립자 대표 백낙조)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아울러 백중앙의료원이 탄생하였다. 초대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사장에 백낙조 이사장, 백중앙의료원 원장에 백낙환 이사가 선임되었으며, 이후 상계백병원(1989년 개원), 일산백병원(1999년 개원), 해운대백병원(2010년 개원)을 개원하였으며, 1979년 개교한 인제의과대학은 10년 만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였으며, 1989년 초대총장을 맡은 이후 12년 동안 인제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했다.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회장, 서재필기념회 이사장, 장기려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을 거쳐 2008년 1월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회장에 선출됐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2. 2. 백병원 경영 및 인제대학교 설립
홍경래의 난 때 창의하여 대항한 백경해의 현손이자 백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그를 낳은 지 5개월 만에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1]1939년 고향 평북 정주군을 떠나 서울로 유학, 휘문중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큰아버지 백인제의 댁에서 통학하였다. 큰아버지 백인제의 뜻에 따라 1944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이과 을류[2]로 진학하여 195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다.[1]
백병원의 창립자 백인제가 전쟁 중 납북되자 백병원은 존립이 위태로웠고, 1961년 1월 원장 직무대행을 맡으면서, 사촌 백낙조와 함께 1972년 16개과 140병상의 현대식 종합병원 백병원을 개원하였다.
1946년 12월 17일 백인제가 설립한 재단법인 백병원은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1979년 개원)을 모체로 하는 학교법인 인제학원(1979.1.12. 문교부 정식허가. 설립자 대표 백낙조)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아울러 백중앙의료원이 탄생하였다. 초대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사장에 백낙조 이사장, 백중앙의료원 원장에 백낙환 이사가 선임되었으며, 이후 상계백병원(1989년 개원), 일산백병원(1999년 개원), 해운대백병원(2010년 개원)을 개원하였다. 1979년 개교한 인제의과대학은 10년 만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였으며, 1989년 초대총장을 맡은 이후 12년 동안 인제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했다.[1]
2. 3. 사회 활동
홍경래의 난 때 창의하여 대항한 수와(백경해) 백경해의 현손이자 백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그를 낳은 지 5개월 만에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1]1939년 고향 평북 정주군을 떠나 서울로 유학, 휘문중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큰아버지 백인제의 댁에서 통학하였다. 큰아버지 백인제의 뜻에 따라 1944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이과 을류[2]로 진학하여 195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다.[1]
백병원의 창립자 백인제가 전쟁 중 납북되자 백병원은 존립이 위태로웠고, 1961년 1월 원장 직무대행을 맡으면서, 사촌 백낙조와 함께 1972년 16개과 140병상의 현대식 종합병원 백병원을 개원하였다.
1946년 12월 17일 백인제가 설립한 재단법인 백병원은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1979년 개원)을 모체로 하는 학교법인 인제학원(1979.1.12. 문교부 정식허가. 설립자 대표 백낙조)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아울러 백중앙의료원이 탄생하였다. 초대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사장에 백낙조 이사장, 백중앙의료원 원장에 백낙환 이사가 선임되었으며, 이후 상계백병원(1989년 개원), 일산백병원(1999년 개원), 해운대백병원(2010년 개원)을 개원하였으며, 1979년 개교한 인제의과대학은 10년 만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였으며, 1989년 초대총장을 맡은 이후 12년 동안 인제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했다.[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회장[3], 서재필기념회 이사장, 장기려 선생 기념사업회 회장을 거쳐[4] 2008년 1월 도산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 회장에 선출됐다.[5]
3. 기타
3. 1. 저서
- 영원한 청년정신으로(한길사, 2007. 5)
3. 2. 상훈
2002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4. 가족 관계
백낙환의 아버지는 친일관료 백붕제(1910~?)이다.[1] 생모는 순흥 안씨 안숙온(安淑溫)으로, 백낙환 출생 5개월 만에 사망했다.[1] 계모는 월성 최씨 최귀란이다.[1] 동생으로는 서울대 명예교수인 백낙청, 인제대 석좌교수인 백낙서 등이 있다.[1]
참조
[1]
뉴스
“의학은 봉사한다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
문서
현재의 의예과에 해당
[3]
웹인용
부산일보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08-07-28
[4]
웹인용
부산일보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08-07-28
[5]
뉴스
[인물동정]김수지 서울사이버대 총장 외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