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마비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마비마는 '흰 말은 말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중국 고전에서 해석이 분분한 논쟁적인 명제이다. 주요 내용은 백마와 말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이 주장을 펼친 공손룡과 아설 등의 철학자들의 주장과 비판을 담고 있다. 20세기 논리학자 마에하라 쇼지는 이 명제를 기호논리학적으로 분석하여 네 가지 해석을 제시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가 (제자백가) - 혜시
    혜시는 전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동일성과 차이의 상대성을 논하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쳤고, 장자와 교류하며 서로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위나라 혜왕과 양왕을 섬겨 재상을 지냈다.
  • 명가 (제자백가) - 공손룡
    공손룡은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변론가이자 철학자로, 명가 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며, '백마비마설'과 '견백론' 등의 독특한 논리를 통해 이름과 실체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논리학과 변론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말에 대한 비유 - 다크호스
    다크호스는 경마 용어에서 유래되어 정치, 스포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 팀,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 말에 대한 비유 - 트로이 목마
    트로이 목마는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군이 트로이를 함락시키기 위해 사용한 계략으로, 오늘날에는 은유적으로 내부의 적이나 속임수를 의미하며,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철학의 역설 - 테세우스의 배
    테세우스의 배는 모든 부품이 교체된 배가 원래의 배와 동일한지에 대한 철학적 사고 실험으로,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동일성 문제, 물질 구성, 시간적 지속성 등 다양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논의된다.
  • 철학의 역설 - 전능 역설
    전능 역설은 전능이라는 개념이 가진 논리적 모순을 드러내는 철학적, 신학적 역설로, 전능함의 정의에 내재된 자기 모순, 논리적 한계, 언어의 한계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된다.
백마비마
개요
명칭백마비마 (白馬非馬)
시대전국시대
사상가공손룡
주요 내용흰 말은 말이 아니다
배경
주장 배경공손룡은 말을 타고 국경을 통과하려 했으나, 백마였기 때문에 통과를 거부당했다는 설이 있음.
공손룡은 변론에 능숙하여 자신의 주장을 펼쳐 상대를 논박하려 했음.
논증 과정
논증 과정말이란 형(形)을 가리키는 것이고, 흰색은 색(色)을 가리키는 것이다. 색은 말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흰 말은 말이 아니다.
흰 말은 백(白)과 마(馬)의 결합이지만, 말은 백과 마의 결합이 아니다.
'말'은 보편적인 개념이고 '흰 말'은 특수한 개념이므로, 흰 말은 말이 아니다.
주요 내용 상세
백마비마론백마는 말의 한 종류이지만, 말이 아니다.
백마는 '백'이라는 속성을 가진 말이므로, '말'의 일반적인 개념과는 다르다.
견백동이굳음[堅]과 희다[白]는 감각은 다르지만, 같은 사물에서 동시에 인지된다.
굳음과 희다는 분리될 수 없는 속성이지만, 인식 주체는 이를 분리하여 인식할 수 있다.
견해
견해이는 언어와 실제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논쟁의 일종이다.
공손룡은 개념의 순수성을 강조하며, 언어의 자의성을 주장하려 했다.
일부 학자는 공손룡의 주장이 궤변론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공손룡은 명가(名家)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평가
중요성중국 철학사에서 중요한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언어, 논리, 인식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장자 등의 사상가에게 영향을 미쳤다.

2. 주요 내용

백마비마(白馬非馬)는 "백마는 말이 아니다"라는 뜻으로, 춘추전국시대 명가의 논리학설이다.

아설은 희다는 것은 색깔이고, 말은 형태이므로, 색과 형태가 합쳐진 "백마"와 형태인 "말"은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 논리로 직하학당 학사들을 항복시켰다고 한다.[1] 한비자에 따르면 아설은 백마를 타고 관문을 지날 때 말 통행세를 내지 않으려고 백마비마설을 주장했으나, 관리에게 설득당해 세금을 냈다고 한다.[1]

공손룡명가에 속하며, 평원군식객이었다. 공손룡자에는 "희다"는 색채가 "말"이라는 형태와 합쳐져 백마가 되지만, 색채를 빼고 생각하면 "백마"는 의미 없는 낱말이라고 쓰여 있다.

음양가추연은 이러한 논리가 쓸모없다고 비판했고, 평원군도 점차 공손룡을 멀리했다.[1]

2. 1. 아설의 주장

아설은 희다는 것은 색으로서 명명된 개념이고, 말이란 형태로 명명된 개념이므로 색과 형태라는 두 개념이 합쳐진 "백마"와 형태라는 하나의 개념으로만 된 "말"은 별개라고 주장했다. 아설은 이 논변으로 당시 자기가 소속되어 있던 직하학당의 학사들을 항복시켰다고 한다.

한비자』에 따르면 아설은 백마를 타고 관문을 지나갈 때 말 통행세를 걷자 백마비마설을 주장해 세금을 면제받으려 했으나 관리에게 먹히지 않아 세금을 물었다고 한다.[1]

2. 2. 공손룡의 주장

공손룡명가에 속하며, 평원군식객이었다. 『공손룡자』에는 백마를 시각으로 파악했을 때, “희다”는 색채가 “말”이라는 형태와 조합되어 백마가 되지만, 만일 시각으로부터 색채를 독립시켜서 생각하면 “백마”란 무의미한 낱말이라고 쓰여 있다고 적혀있다.

그러나 음양가추연이 “그런 논리가 있어 봤자 하등 쓸모가 없다”고 부정하고, 평원군도 점차 공손룡을 멀리했다. 그 뒤 공손룡의 말로는 불행했다고 한다.

2. 3. 추연의 비판

음양가추연은 "그런 논리가 있어 봤자 하등 쓸모가 없다"고 부정했고, 평원군도 점차 공손룡을 멀리했다.[1] 그 뒤 공손룡의 말로는 불행했다고 한다.

3. 기호논리학적 해석

20세기 논리학자 마에하라 쇼지는 '백마'라는 개념을 F, '말'이라는 개념을 G로 표기했을 때, '백마는 말이 아니다'라는 명제가 네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5] 이러한 해석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마에하라 쇼지는 이 네 가지 해석 중에서 (4)번, 즉 'F와 G는 다른 개념이다'라는 해석만이 올바른 명제로 이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 1. 네 가지 해석

20세기 논리학자 마에하라 쇼지는 〈백마〉라는 개념을 F, 〈말〉이라는 개념을 G라고 표기하고, 〈백마는 말이 아니다〉라는 말은 다음 네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5]

〈백마는 말이 아니다〉의 해석
#논리식해석설명
(1)\forall x (F(x) \rightarrow \lnot G(x))F는 반드시 G가 아니다F는 반드시 ‘G가 아니다’
(2)\lnot \forall x (F(x) \rightarrow G(x))F는 반드시 G인 것은 아니다‘F는 반드시 G’인 것은 아니다
(3)\forall x (F(x) \leftrightarrow \lnot G(x))F란 G가 아니라는 것이다F란 ‘G가 아니다’라는 것이다
(4)\lnot \forall x (F(x) \leftrightarrow G(x))F와 G는 다른 개념이다F와 G는 동일 개념이 아니다



그리고 〈백마는 말이 아니다〉라는 문장의 해석을 상기의 (1)~(4)로 제한할 경우, 올바른 명제로서 이해되는 것은 (4)뿐이라고 해설했다.

참조

[1] 간행물 Prolegomena to Future Solutions to "White‐Horse Not Horse" https://onlinelibrar[...] Wiley
[2] 서적 中国の思想 https://dl.ndl.go.jp[...] 社会思想社
[3] 서적 中国思想史 知泉書館
[4] 간행물 Prolegomena to Future Solutions to "White‐Horse Not Horse" https://onlinelibrar[...] Wiley
[5] 서적 記号論理入門 日本評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