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성욱은 1897년 서울에서 태어나 1981년에 입적한 승려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1930년대에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으며, 이승만 전 대통령과 사적으로 교류하기도 했다. 1925년 한국 최초로 독일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동국대학교 교수, 내무부 장관,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말년에는 경기도 부천에서 농장을 경영하며 후학을 지도했고, 미륵존여래불 염불과 금강경 독송을 수행법으로 강조했다.
백성욱은 1930년대에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으며, 처남을 통해 귀국한 이승만 내외에게 이화장 부지를 제공하기도 했고, 사적으로 이승만과 잘 지냈다. 1928년에는 잠시 김일엽의 연인이었으나, 백성욱이 떠난 후 김일엽도 출가하게 된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동국대학교 교수를, 1950년에는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제2대 동국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백성욱은 수행법으로 '미륵존여래불(彌勒尊如來佛)'을 마음으로 읽고 귀로 들으며, 자신의 모든 생각을 부처님께 바치는 연습을 강조했다. 그는 이것을 '항복기심(降伏其心)'이라 불렀다.[2]
2. 생애
2. 1. 초년과 출가 (1897년 ~ 1928년)
백성욱은 1897년 백윤기의 장남으로 서울 연지동에서 태어났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1910년 정릉 봉국사에서 최하옹 대선사를 은사로 출가해 경성중앙학림을 졸업했다. 상해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파리 보베 고등학교, 남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공부를 마치고 1925년 〈불교순전철학〉으로 한국 최초의 독일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2. 2. 불교 수행과 교육 (1928년 ~ 1945년)
1928년, 백성욱은 모든 세상일을 내려놓고 오대산 적멸보궁에서 100일 기도를 올렸다. 기도를 마친 후 깨달음을 얻은 그는 손혜정 여사와 함께 금강산에 들어가 장안사 소속 안양암에서 조국 독립을 기원하며 대방광불화엄경을 제창했다. 이후 지장암에서 500명의 제자를 가르쳤으나, 1938년 일본 경찰의 압력으로 하산하였다.[2]
2. 3. 정계 활동과 동국대학교 총장 재직 (1945년 ~ 1961년)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고, 1950년 내무부 장관에 취임하였다.[2] 6.25 전쟁 당시 치안을 담당하였으며, 전쟁 중 이승만이 탈 세단을 백방으로 구하기도 하였다.[2]
1950년 7월, 전쟁 발발 후 부산에서 광업진흥공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2] 1953년 동국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하여 우수한 인재 배출을 위한 세계적인 종합대학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1954년에는 국유림이어서 건축할 수 없었던 부지에[2] 동국대학교를 대표하는 석조 건물인 '명진관'을 건립하였다.[3]
2. 4. 은퇴와 말년 (1961년 ~ 1981년)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기 전, 백성욱은 경기도 소사(현 부천시 소사 지역)로 내려간다.[2] 1950년 백성욱이 내무부 장관이었을 당시, 한국 전쟁에서 대전에서부터 피난 정부와 함께한 대한국민당 최고위원 윤치영은 쿠데타 성공을 2개월가량 전부터 계획하고 있었다고 한다.[4]
이후 백성욱은 세상 일을 놓고 경기도 부천시 소사의 야트막한 산을 개간, 백성농장을 경영하며 인연 있는 중생 및 후학들을 지도한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6월 15일 농업은행과 농협의 통합을 의결하는데, 백성욱은 1961년 7월에 대학총장직을 내려놓는다.[5] 그리고 1981년 자신이 출생한 바로 그날에 입적했다.
3. 수행법
아침저녁으로 《금강경》을 읽되, 부처님 앞에서 마음 닦는 법을 강의 듣는 마음으로 믿고 실행하여 습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육체는 규칙적으로 일하고, 정신은 가만두지 않는 방식으로 100일을 한 주기로 하여 10회 가량 반복하면, 몸으로 인한 근심걱정이 사라지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된다고 했다. 이는 '아상(我相)'이 없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2]
또한, 공부에 대한 탐심(貪心), 공부가 안 되는 것에 대한 진심(瞋心), 공부가 잘 된다는 치심(癡心)의 삼독(三毒)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꾸준히 수행하되, 이 세 가지 마음을 내지 않는 것이 수도라고 말했다.[2]
4. 제자
5. 백성욱이 등장한 작품
KBS TV 문학관에서 방영된 〈백로선생〉은 백성욱을 다룬 작품이다.[1]
6. 연표
- 1897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 1910년 정릉 봉국사 최하옹 대선사를 은사로 출가하였다.
- 상해 임시정부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 프랑스 파리 보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 독일 율리우스 막시밀리안 우니베르지테트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독일어: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에서 수학하였다.
- 1925년 한국인 최초로 독일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1928년 금강산에 입산, 10년 수도로 견성오도하였다.
- 1945년 광복 후 건국운동에 참여하였다.
-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 1962년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에 금강경 수행도량을 개설하여 후학을 지도하였다.
- 1981년 출생한 바로 그날, 아무 말 없이 열반하였다.
참조
[1]
뉴스
前內務장관 白性郁박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9-16
[2]
방송
"[특집다큐] 불세출의 도인 백성욱 박사"
BTN불교TV
2020-10-04
[3]
웹인용
남기고 싶은 이야기 - 시대의 活佛 '백성욱 총장'
http://dongguk.info/[...]
동국대학교 총동창회
2019-09-04
[4]
웹인용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5.16 혁명과 정계복귀
http://waks.aks.ac.k[...]
한국학중앙연구원
[5]
웹인용
역대총장
https://www.dongguk.[...]
동국대학교
2024-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