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드 그린스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드 그린스펀은 미국의 스포츠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작가, 그리고 프로듀서였다. 그는 구순음을 극복하고 스포츠 중계 방송 분야에 진출하여 뉴욕 대학교를 졸업했다. 1947년에는 21세의 나이로 WMGM의 스포츠 국장이 되었고, 이후 잡지 기고와 텔레비전 광고 제작을 시작했다. 1964년 제시 오언스와 함께 서베를린에서 'Jesse Owens Returns to Berlin'을 촬영하며 본격적인 영화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올림픽 관련 다큐멘터리 'The Olympiad'와 'Wilma'를 제작하여 에미상을 8회 수상했으며, 'PARADE' 잡지 기고 편집자로도 활동했다. 그린스펀은 1985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올림픽 훈장을 받았으며, 2010년 파킨슨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킨슨병으로 죽은 사람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파킨슨병으로 죽은 사람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피버디상 수상자 - 월터 크롱카이트
    월터 크롱카이트는 1962년부터 1981년까지 CBS 이브닝 뉴스 앵커로 활동하며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사람"으로 불렸고, 20세기 주요 사건들을 보도하며 미국 텔레비전 뉴스의 상징이 된 미국의 방송 저널리스트이다.
  • 피버디상 수상자 - 월터 리프먼
    월터 리프먼은 미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정치 평론가로서 《더 뉴 리퍼블릭》의 창립 편집자였으며, "냉전" 용어 대중화, 언론인의 고정관념 개념 도입, 그리고 《여론》, 《공공 철학》 등의 저서를 통해 여론과 민주주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 뉴욕 대학교 동문 - 루돌프 줄리아니
    루돌프 줄리아니는 뉴욕 시장 재임 시절 범죄율 감소를 이뤘지만 인종차별 논란도 있었고, 9.11 테러 때는 지도력을 발휘했으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 변호사로 활동하며 여러 스캔들에 연루되어 비판받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 뉴욕 대학교 동문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버드 그린스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업영화 감독, 작가, 프로듀서
출생1926년 9월 18일
출생지뉴욕 시
사망2010년 12월 25일 (향년 84세)
사망지뉴욕 시
국적미국
모교뉴욕 대학교
알려진 작품스포츠 다큐멘터리, 특히 올림픽
수상평생 공로상 (미국 감독 조합 및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1985년 올림픽 훈장 (국제 올림픽 위원회)
경력
분야영화, 텔레비전
활동 기간1950년대 ~ 2010년
기타

2. 경력

버드 그린스펀은 스포츠 다큐멘터리, 특히 올림픽 기록 영화 제작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미국의 영화 제작자이다. 뉴욕 대학교 졸업 후 스포츠 중계 방송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1], 1967년 자신의 영화 제작사 ''Cappy Productions, Inc.''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다큐멘터리 제작에 나섰다.

그는 근대 올림픽의 감동적인 순간과 인간 승리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대표작인 'The Olympiad' 시리즈를 비롯하여 수많은 올림픽 공식 기록 영화를 제작했으며, 이를 통해 에미상을 8회 수상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공식 기록 영화인 《명예와 영광의 이야기》 등 그의 작품들은 올림픽 정신을 기리는 중요한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영화 제작 외에도 잡지 기고 편집자로 활동하고, 올림픽 관련 서적 및 스포츠 실화, 논란 등을 다룬 책을 저술했으며, 스포큰 워드 앨범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5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올림픽 훈장을 받았다.

2010년 12월 25일, 뉴욕 자택에서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향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2. 1. 초기 경력

그린스펀은 뉴욕 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청소년기에 구순음을 극복하고 스포츠 중계 방송 분야로 진출했으며, 뉴욕 대학교를 졸업했다.[1] 1947년, 21세의 나이로 당시 미국 최대의 스포츠 라디오 방송국 중 하나였던 WMGM의 스포츠 국장이 되었다. WMGM을 떠난 후, 그린스펀은 잡지에 글을 기고하면서 텔레비전 광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는 1952년에 역도 선수 존 데이비스에 관한 15분짜리 다큐멘터리인 ''The Strongest Man in the World''를 제작하며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처음 참여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영화 경력은 1964년, 제시 오언스와 함께 서베를린으로 가서 ''Jesse Owens Returns to Berlin''을 촬영하면서 시작되었다. 1967년, 그는 아내 캐피 페트라쉬 그린스펀(1983년 사망)과 함께 자신의 영화 제작사 ''Cappy Productions, Inc.''를 설립했다. 아내의 사망 후, 그린스펀은 그의 동반자 낸시 베파와 함께 Cappy Productions를 운영했다.

이후 여러 시간 길이의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그린스펀은 1976년 올림픽에 관한 22편의 시간 길이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스페셜인 ''The Olympiad''(''Jesse Owens Returns to Berlin'' 포함)로 첫 번째 에미상을 수상했다. 이 시리즈는 80개국 이상에서 방송되었다. 1977년, 그는 두 시간 길이의 텔레비전 영화금메달리스트 윌마 루돌프의 전기 영화인 다큐드라마 ''Wilma''를 제작했다. 이 작품에는 시실리 타이슨이 주연을 맡았고, 덴젤 워싱턴이 그의 첫 영화 역할로 출연했다. 1979년, 그는 CBS에서 방영된 일련의 비네트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This Day in Sports''를 시작했는데, 이 시리즈는 과거의 흥미로운 스포츠 순간들을 강조하는 365편의 30초 분량의 영화 단편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에는 비슷한 형식의 ''Olympic Moments'', ''Olympic Events'', ''Olympic Vignettes''가 뒤를 이었다.

그린스펀은 왕성한 영화 작업 외에도 다른 매체에서도 계속 활동했다. 그는 ''PARADE'' 잡지의 기고 편집자였다. 또한 올림픽에 관한 책을 포함하여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스포츠 실수를 다룬 책인 ''Play It Again, Bud'', 스포츠 논란을 다룬 ''We Wuz Robbed''도 저술했다. 그의 첫 번째 앨범인 ''Great Moments in Sports''는 음반 판매량 인증에서 골드를 기록했으며, 그는 이후 18개의 스포큰 워드 앨범을 제작했다.

2. 2. 영화 제작

그는 1952년 역도 선수 존 데이비스에 관한 15분짜리 다큐멘터리인 ''The Strongest Man in the World''를 제작하며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처음 발을 들였다. 하지만 그의 본격적인 영화 경력은 1964년, 제시 오언스와 함께 서베를린으로 가서 ''Jesse Owens Returns to Berlin''을 촬영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67년에는 아내 캐피 페트라쉬 그린스펀(1983년 사망)과 함께 자신의 영화 제작사인 ''Cappy Productions, Inc.''를 설립했다. 아내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그의 동반자 낸시 베파와 함께 회사를 운영했다.

이후 여러 시간 분량의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그린스펀은 1976년 올림픽을 다룬 22편의 시간 길이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스페셜 시리즈 ''The Olympiad''(''Jesse Owens Returns to Berlin'' 포함)로 첫 에미상을 수상했다. 이 시리즈는 80개국 이상에서 방송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1977년에는 금메달리스트 윌마 루돌프의 삶을 그린 두 시간짜리 텔레비전 영화 ''Wilma''를 제작하며 극영화 형식에도 도전했다. 이 작품에는 시실리 타이슨이 주연을 맡았고, 덴젤 워싱턴이 이 영화를 통해 데뷔했다. 1979년에는 CBS에서 방영된 ''This Day in Sports'' 시리즈를 시작했는데, 이는 과거 스포츠의 흥미로운 순간들을 조명하는 30초 분량의 짧은 영상 365편으로 구성되었다. 1980년에는 비슷한 형식의 ''Olympic Moments'', ''Olympic Events'', ''Olympic Vignettes'' 시리즈를 연이어 선보였다.

2. 3. 올림피아드 시리즈와 주요 작품

그린스펀은 1964년, 제시 오언스와 함께 서베를린으로 가서 'Jesse Owens Returns to Berlin'을 촬영하면서 본격적인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경력을 시작했다.[1] 1967년에는 아내 캐피 페트라쉬 그린스펀과 함께 자신의 영화 제작사 Cappy Productions, Inc.를 설립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그린스펀의 대표적인 업적은 '올림피아드 시리즈'로 알려진 일련의 올림픽 다큐멘터리 제작이다. 1976년,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을 다룬 22편의 시간 길이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스페셜 시리즈 'The Olympiad'를 제작했다. 이 시리즈에는 초창기 작품인 'Jesse Owens Returns to Berlin'(1966)도 포함되었으며, 그린스펀은 이 시리즈로 첫 번째 에미상을 수상했다. 'The Olympiad' 시리즈는 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방송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에도 그린스펀은 꾸준히 올림픽 공식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인간 승리의 감동적인 순간들을 포착했다.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Wilma' (1977): 금메달리스트 윌마 루돌프의 삶을 그린 텔레비전 영화. 시실리 타이슨이 주연을 맡았고, 덴젤 워싱턴의 초기 출연작이기도 하다.
  • 'This Day in Sports' (1979): 과거의 흥미로운 스포츠 순간들을 다룬 365편의 30초 분량 단편 시리즈로, CBS에서 방영되었다.
  • 'Olympic Moments', 'Olympic Events', 'Olympic Vignettes' (1980년대): 유사한 형식의 스포츠 단편 시리즈.
  • '캘거리 '88: 영광의 16일' (1989)
  • '서울 '88: 영광의 16일' (1989)
  • '바르셀로나 '92: 영광의 16일' (1993)
  • '릴레함메르 '94: 영광의 16일' (1994)
  • '올림픽 영광의 100년' (1996): 올림픽 10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 '애틀랜타의 올림픽 영광' (1997)
  • '나가노 '98 올림픽: 버드 그린스펀의 명예와 영광의 이야기' (1998)
  • '시드니 2000 올림픽: 버드 그린스펀의 호주 금메달' (2001)
  • '솔트레이크 2002: 올림픽 영광의 이야기' (2003)


그린스펀은 영화 외에도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했다. PARADE 잡지의 기고 편집자였으며, 올림픽 관련 서적 외에도 스포츠 실수를 다룬 'Play It Again, Bud', 스포츠계의 논란을 조명한 'We Wuz Robbed'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또한, 음반 판매량 인증에서 골드를 기록한 'Great Moments in Sports'를 포함하여 총 18개의 스포큰 워드 앨범을 제작하기도 했다.

2. 4. 기타 활동

그린스펀은 영화 작업 외에도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했다. 1947년, 21세의 나이로 당시 미국 최대의 스포츠 라디오 방송국이었던 WMGM의 스포츠 국장이 되었다.[1] WMGM을 떠난 후에는 잡지에 기고하기도 했다. 그는 PARADE 잡지의 기고 편집자였으며, 올림픽에 관한 책을 포함하여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스포츠 실수를 다룬 Play It Again, Bud와 스포츠 논란을 다룬 We Wuz Robbed도 그의 저서이다. 또한, 그의 첫 번째 앨범인 Great Moments in Sports는 음반 판매량 인증에서 골드를 기록했으며, 이후 18개의 스포큰 워드 앨범을 제작했다.

3. 수상 및 업적

그린스펀은 근대 올림픽 기록 영화와 프로그램을 다수 제작했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차례 인정을 받아 에미상을 8회 수상했다.

주요 수상 및 업적은 다음과 같다.


  • 1985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올림픽 훈장을 받았다. 당시 IOC 위원장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는 "그린스펀 씨는 올림픽 영화의 가장 뛰어난 프로듀서, 작가, 감독으로 불렸으며, 그 이상으로 올림픽 가족의 영원한 친구입니다."라고 평가했다.[4]
  • 1994년: 국제 유대인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95년: 미국 감독 조합으로부터 공로상을 받았다.
  • 1996년: "탁월하고 훌륭한 공공 서비스"를 인정받아 조지 포스터 피바디 상을 수상했다.[2]
  • 2004년: 미국 올림픽 명예의 전당에 "특별 공헌자"로 헌액되었다.
  • 2006년: 미국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연례 스포츠 에미상 평생 공로상을 받았으며, 같은 해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으로부터 '알 쇤필드 미디어 상'과 빌리 어워드 '업계 리더' 상을 수상했다.[9]


그의 시각적이고 음악적인 작품인 ''올림픽 정신''(The Spirit of the Olympics영어)은 스위스 로잔에 있는 올림픽 박물관에 영구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공식 기록 영화인 《명예와 영광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다수의 올림픽 기록 영화를 제작했다. 호주 시드니 리드컴에는 그의 이름을 딴 '버드 그린스펀 서킷' 거리가 있으며, 이 거리는 시드니 올림픽 미디어 센터 부지에 조성된 주택 개발 단지 내에 있다.

4. 참여 작품


  • ''그들의 영광의 시절''(The Glory of Their Times) (1971)
  • ''올림피아드''(The Olympiad) (22부작 시리즈)[6]
  • * ''제시 오웬스 베를린으로 돌아오다''(Jesse Owens Returns to Berlin) (1966)
  • * ''데카슬론''(The Decathlon) (1975)
  • * ''놀라운 다섯 명''(The Incredible Five) (1975)
  • * ''끈기 있는 사람들''(The Persistent Ones) (1975)
  • * ''사라진 거인들''(The Big Ones that Got Away) (1975)
  • * ''호주인들''(The Australians) (1975)
  • * ''여자 금메달리스트들''(Women Gold Medal Winners) (1975)
  • * ''올림픽 교향곡''(An Olympic Symphony) (1976)
  • * ''소비에트 운동선수''(The Soviet Athlete) (1976)
  • * ''동유럽인들''(The East Europeans) (1976)
  • * ''800미터''(The 800 Meters) (1976)
  • * ''아프리카의 달리기 선수들''(The African Runners) (1976)
  • * ''마라톤''(The Marathon) (1979)
  • * ''위대한 사람들''(The Magnificent Ones) (1979)
  • * ''희귀한 사람들''(The Rare Ones) (1979)
  • * ''그들에게는 기회가 없었다''(They Didn't Have a Chance) (1979)
  • * ''동계 올림픽의 위대한 순간들''(Great Moments at the Winter Games) (1979)
  • * ''1500미터''(The 1500 Meters) (1980)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람들''(The Fastest Men in the World) (1980)
  • * ''동독인들''(The East Germans) (1980)
  • * ''불멸의 사람들''(The Immortals) (1980)
  • * ''견뎌낸 사람들''(Those Who Endured) (1980)
  • ''윌마'' 또는 ''윌마 루돌프의 이야기''(Wilma or The Story of Wilma Rudolph) (1977)
  • ''미국 스포츠''(Sports in America) (1979)
  • ''하이스먼 트로피'' 시상식(The Heisman Trophy Award Show) (1981–1985)
  • ''타임 캡슐: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Time Capsule: The 1932 Los Angeles Olympics) (1982)
  • ''영광의 16일/로스앤젤레스''(16 Days of Glory/Los Angeles) (1984)
  • ''올림픽의 미국''(America at the Olympics) (1984)
  • ''타임 캡슐: 1936년 베를린 올림픽''(Time Capsule: The 1936 Berlin Olympics) (1986)
  • ''우리 조국의 영예를 위하여''(For the Honor of Our Country) (1987)
  • ''영광의 16일/캘거리''(16 Days of Glory/Calgary) (1988)
  • ''영광의 16일/서울''(16 Days of Glory/Seoul) (1988)
  • ''올림픽의 꿈''(An Olympic Dream) (1988)
  • ''스포츠의 황금기''(The Golden Age of Sport) (1988)
  • ''영광의 16일/바르셀로나''(16 Days of Glory/Barcelona) (1992)
  • ''마크 스피츠 뮌헨으로 돌아오다''(Mark Spitz Returns to Munich) (1992)
  • ''영광의 16일/릴레함메르''(16 Days of Glory/Lillehammer) (1994)
  • ''애틀랜타의 올림픽 영광''(Atlanta's Olympic Glory) (1996)
  • ''올림픽 영광의 100년''(100 Years of Olympic Glory) (1996)
  • ''미국의 가장 위대한 올림픽 선수들''(America's Greatest Olympians) (1996)
  • ''진정한 운동선수/진정한 역사: 올림픽에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Real Athletes/Real History: History of African-Americans at the Olympics) (1996)
  • ''나가노 '98''(Nagano '98) (1998)
  • ''나이 없는 영웅들''(Ageless Heroes) (1998)
  • ''올림픽 영광의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Favorite Stories of Olympic Glory) (2000)
  • ''링의 제왕: 헤비급 복싱의 네 전설''(Kings of the Ring: Four Legends of Heavyweight Boxing) (2000)
  • ''시드니 2000: 호주 땅에서 온 금메달''(Sydney 2000]]: Gold from Down Under) (2001)
  • ''1972년 뮌헨 올림픽 게임: 버드 그린스펀이 기억하다''(The 1972 Munich Olympic Games]]: Bud Greenspan Remembers) (2002)
  • ''버드 그린스펀이 소개하는 미셸 콴''(Bud Greenspan Presents Michelle Kwan) (2002)
  • ''버드 그린스펀의 동계 올림픽 영광에 대한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Bud Greenspan's Favorite Stories of Winter Olympic Glory) (2002)
  • ''솔트레이크 2002: 버드 그린스펀의 올림픽 영광의 이야기''(Salt Lake 2002]]: Bud Greenspan's Stories of Olympic Glory) (2003)
  • ''월라웨이!''(Whirlaway!) (2005)
  • ''버드 그린스펀의 아테네 2004: 올림픽 영광의 이야기''(Bud Greenspan's Athens 2004: Stories of Olympic Glory) (2005)
  • ''최초의 기적: 1960년 미국 올림픽 남자 아이스하키 팀''(The First Miracle: 1960 U.S. Olympic Men's ice hockey Team) (2006)[7]
  • ''버드 그린스펀 발표: 토리노 2006 올림픽''(Bud Greenspan Presents: Torino 2006 Olympics) (2007)
  • ''베이징 2008 미국의 올림픽 영광''(Beijing 2008 America's Olympic Glory (2009)[8]
  • ''챔피언을 위한 시간''(A Time for Champions) (2009)
  • ''버드 그린스펀 발표: 밴쿠버 2010 올림픽 영광의 이야기''(Bud Greenspan Presents: Vancouver 2010 Stories of Olympic Glory) (2011)

5. 사망

그린스펀은 2010년 12월 25일 뉴욕시 자택에서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5][10]

참조

[1] 뉴스 Bud Greenspan, Olympic documentarian, dies at 84.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0-12-26
[2] 간행물 The Peabody Award http://www.peabody.u[...] Peabody 2006-07-04
[3] 뉴스 CNN Earns Prestigious Peabody Award for Hurricane Katrina Coverage http://www.timewarne[...] 2007-07-04
[4] 웹사이트 Bud Greenspan: World-Renowned Olympic Filmmaker http://www.nationwid[...] Nationwide Speakers 2007-07-04
[5] 뉴스 Filmmaker Bud Greenspan dies at 84 https://www.espn.com[...] 2010-12-26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dern Olympic Movement https://books.google[...] Greenwood 1996
[7] 웹사이트 Bud Greenspan Presents Pride Over Prejudice: The Larry Doby Story. http://www.cbspresse[...] CBS Express 2007-07-04
[8] 웹사이트 Home http://www.budgreens[...] 2009-11-03
[9] 웹사이트 The Billie Awards women's sports foundation 2008-05-26
[10] 뉴스 Olympic documentary filmmaker Bud Greenspan dies at 84 - ESPN http://sports.espn.g[...] 2010-12-26
[11] 뉴스 Filmmaker Bud Greenspan dies at 84 http://sports.espn.g[...] 2010-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