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클리 우주군 기지는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위치한 기지로, 1938년에 건설되었다. 미국 공군 제460 우주비행단이 주둔하며, 조기경보위성인 DSP 위성을 운용하며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와 전략사령부에 정보를 제공한다. 2021년 버클리 공군 기지에서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기지는 우주 기지 델타 2, 우주 델타 4, 제140 비행단, 공군 예비 인력 센터, 제710 작전 그룹, 제544 정보, 감시 및 정찰 그룹 등 다양한 미국 우주군, 공군, 육군, 해병대, 해군, 해안 경비대 부대 및 합동 부대의 주둔지이다. 또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감시하고 조기에 경보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한반도 안보에도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국 우주군의 시설 - 페터슨 우주군 기지 페터슨 우주군 기지는 콜로라도 스프링스 공항과 활주로를 공유하는 미국 우주군 기지로서, 공군우주사령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 미국 북부 사령부(USNORTHCOM) 본부가 주둔하며 우주 작전, 사이버 작전, 미사일 방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 우주군의 시설 - 슈리버 우주군 기지 슈리버 우주군 기지는 미국 콜로라도주에 위치하며 위성 지휘 및 통제, GPS 운용, 미사일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우주군의 제50우주비행단 본부이다.
버클리 우주군 기지
일반 정보
버클리 우주군 기지의 위성 안테나를 보호하는 위성 접시 및 기타 우주 작전 장비를 보호하는 레이돔
미국 공군 제460 우주비행단이 주둔해 있으며, 규모는 1800명이다. 제460 우주비행단은 DSP 위성을 운용하며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전략사령부의 조기경보센터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AFSPC) 전체에 대한 보급과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
미국은 전세계 신호정보를 수집, 처리하기 위해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의 버클리 공군기지, 영국 맨위드 힐 공군기지, 호주 파인 갭의 3곳에 인공위성 기지국을 설치해 운영중이다.
항공대 기술 훈련 사령부 (1941년 3월 26일 – 1941년 11월 1일) 제4 기술 훈련 지구 (1941년 11월 1일 – 1943년 8월 31일) 서부 기술 훈련 사령부 (1943년 8월 31일 – 1945년 10월 15일) 육군 항공대 훈련 사령부 (1945년 10월 15일–1946년 6월)
제86 전투 비행단 (1946년 7월 3일 – 1950년 10월 31일) 제140 전투 비행단 (1950년 10월 31일 – 1951년 4월 12일) 제140 전투 폭격 비행단 (1951년 4월 12일 – 1955년 7월 1일) 제140 전투 요격 비행단 (1955년 7월 1일 – 1957년 7월 1일) 제140 방공 비행단 (1957년 7월 1일–)
1969년 봄, 미국 공군은 국방 지원 프로그램 지상 기지 개발을 시작하여 버클리의 우주 역사가 시작되었다.
냉전 종식 후, 미국 의회 기지 재조정 및 폐쇄 위원회는 1991년 로우리 공군 기지와 1995년 피츠시몬스 육군 의료 센터의 폐쇄를 지시했다.
미국 우주군 창설에 따라,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 소속이었던 제460 우주비행단과 버클리 공군기지 행정부는 새로운 군으로 이전되었다. 2021년 6월 4일, 버클리 공군기지는 '''버클리 우주군 기지'''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7]
현재 버클리 우주군 기지는 우주 델타 4를 중심으로 우주 기반 미사일 경보, 미사일 방어, 전장 인식 등 핵심적인 우주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 1. 버클리 비행장 (1938년–1947년)
1938년, 콜로라도주덴버시는 도시 동쪽으로 수 마일 떨어진 100제곱 마일(약 259km2)의 토지를 매입하여 미국 전쟁부에 기증했다. 미국 육군 항공대는 이 곳을 '''폭파 폭격 훈련장–로우리 보조 비행장''' 또는 로우리 II로 지정하여 폭격 훈련장, 보조 착륙장, 탄약고로 사용하며 로우리 비행장의 훈련 기지에서 작전을 지원했다.
1941년 6월 14일,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제1차 세계 대전 조종사이자 28 항공대대 소속으로 뫼즈-아르곤 공세 중 1918년 9월 27일 공중 충돌로 사망한 롱몬트, 콜로라도 출신 미국 육군 항공대의 1등 중위 존 해럴드 버클리를 기리기 위해 기지 이름을 '''버클리 비행장'''으로 변경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엽서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이전, 전쟁부는 버클리 비행장을 육군 항공대 기술 학교로 지정하여 연합군 측의 분쟁 참전을 예상하여 연간 55,000명의 항공병을 추가로 훈련시켰다. 336 본부 및 항공 기지 비행대대(육군 항공대 기술 훈련 사령부), 이후 3702 육군 항공대 기지 부대의 지휘하에 1942년 5월에 기지 건설이 시작되어 700개 이상의 건물이 건설되었다.
기술 훈련 학교는 1942년 7월 1일에 개교하여 항공기 전투기 무장사를 훈련시켰고, 인근 로우리 비행장의 기술 훈련 학교에서는 항공기 폭격기 무장사를 훈련시켰다. 1943년에 버클리 비행장은 병사 및 항공 사관 후보생을 위한 기본 훈련, 화학전 및 북극 생존 훈련을 항공 수송 사령부의 알래스카 부대로 확대했다. 북극 생존 학교는 버클리에서 교실 훈련을 실시하고 마운트 블루 스카이 정상 근처의 에코 호수에서 현장 훈련을 실시했다. 기지의 기술 훈련은 서부 기술 훈련 사령부의 관할하에 있었다.[2] 전쟁 동안 버클리 비행장은 52,000명 이상의 무장사 학생, 4,500명의 북극 생존 학생, 37,000명의 기본 훈련생을 배출했다.[3]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버클리 비행장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1946년 6월, 육군 항공대 기술 훈련 사령부는 기지가 비활성화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1946년 12월, 콜로라도 항공 방위군은 기지에서 작전을 시작했다.[2]
항공대 기술 훈련 사령부 (1941년 3월 26일 – 1941년 11월 1일) 제4 기술 훈련 지구 (1941년 11월 1일 – 1943년 8월 31일) 서부 기술 훈련 사령부 (1943년 8월 31일 – 1945년 10월 15일) 육군 항공대 훈련 사령부 (1945년 10월 15일–1946년 6월)
2. 2. 덴버 해군 항공 기지 (1947년–1960년)
1946년 미국 해군은 항공기 급유 정지 지점 및 뉴멕시코, 콜로라도, 와이오밍, 유타,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네브래스카 일부 지역의 해군 예비군을 위한 기지 역할을 할 수 있는 내륙 해군 항공 예비 기지의 필요성을 발표했다.[4] 1946년 12월에 첫 번째 해군 병력이 버클리 비행장에 배치되었고, 1947년 9월 28일 기지가 미국 해군으로 전환되어 '''덴버 해군 항공 기지''' ('''NAS–D''')가 되었다.[4]
콜로라도 주 공군 방위군은 부지에 남아 제86 전투 비행단이 비행 작전을 계속했다. 제120 전투 비행대는 처음에는 노스 아메리칸 F-51 머스탱을 비행하다가 1953년에 록히드 F-80 슈팅스타로 기종을 변경했다. 1950년 10월 31일 제86 전투 비행단이 활동을 중단하고, 공군 방위군 작전에 대한 책임을 제140 전투 비행단으로 이전했다. 제140 전투 비행단은 여러 번 재지정되어 1951년 제140 전투 폭격 비행단, 1955년 제140 전투 요격 비행단, 1957년 제140 방공 비행단이 되었다. 제140 전투 폭격 비행단은 잠시 한국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953년 11월, 제140 전투 폭격 비행단은 미닛 맨 공군 방위군 시범 비행팀을 발족했는데, 처음에는 F-80 슈팅스타를 비행했지만 나중에는 노스 아메리칸 F-86 세이버로 기종을 변경했다.[2]
1957년, 제138 항공 통제 및 경고 비행대가 관리하는 레이더 탐지 기지가 설립되었다.[2]
제86 전투 비행단 (1946년 7월 3일 – 1950년 10월 31일) 제140 전투 비행단 (1950년 10월 31일 – 1951년 4월 12일) 제140 전투 폭격 비행단 (1951년 4월 12일 – 1955년 7월 1일) 제140 전투 요격 비행단 (1955년 7월 1일 – 1957년 7월 1일) 제140 방공 비행단 (1957년 7월 1일–)
2. 3. 버클리 공군 방위군 기지 (1960년–2000년)
1960년 4월 18일, 기지는 미국 공군부로 이관되어 '''버클리 공군 방위군 기지'''로 명명되었으며, 이는 미국 공군 최초의 독립 공군 방위군 기지가 되었다.[2] 제140 항공 방위 비행단이 기지에 대한 책임을 맡았다. 1961년 제140 항공 방위 비행단은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으로 변경되어 F-86 세이버에서 노스 아메리칸 F-100 슈퍼 세이버로 전환했다.
1974년 버클리 공군 방위군 기지 활주로에 있는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의 F-100D 슈퍼 세이버.
1966년 7월, 로우리 공군 기지는 모든 비행 작전을 중단해야 했고, 이로 인해 버클리 공군 방위군 기지는 덴버 지역의 유일한 군사 비행장이 되었다. 1968년 4월,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은 베트남 전쟁의 일환으로 1969년 4월까지 판랑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2]
1969년 봄, 미국 공군은 국방 지원 프로그램 지상 기지 개발을 시작하여 버클리의 우주 역사가 시작되었다. 첫 번째 DSP 위성은 1970년 11월에 발사되었고, 지상 기지는 1971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은 1973년에 LTV A-7 코르세어 II로 전환했고, 1992년에는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이 제140 전투 비행단이 되어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파이팅 팔콘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5년에 제140 비행단이 되었다. 2001년 12월, 새로운 국방 지원 프로그램 및 우주 기반 적외선 시스템 지상 기지가 가동되었다.[2]
냉전 종식 후, 미국 의회 기지 재조정 및 폐쇄 위원회는 1991년 로우리 공군 기지와 1995년 피츠시몬스 육군 의료 센터의 폐쇄를 지시했다. 1996년, 공군 우주 사령부의 제21 우주 비행단은 덴버에서 지원을 관리하고 우주 경고 임무(버클리의 제2 우주 경고 비행대대에서 수행)를 통합하기 위해 제821 우주 그룹을 활성화했다.[2]
-- 제140 방공 비행단 (–1961년 1월 1일) 제140 전술 전투 비행단 (1961년 1월 1일 – 1992년 3월 15일) 제140 전투 비행단 (1992년 3월 15일 – 1995년 7월 1일) 제140 비행단 (1995년 7월 1일–)
제2 우주 통신 비행대대 (1992년 5월 1일 – 1993년 5월 1일) 제2 우주 경고 비행대대 (1993년 5월 1일–) 제821 우주단 (1996년–)
2. 4. 버클리 공군 기지 (2000년–2021년)
2000년 10월 1일, 미국 공군부는 기지 명칭을 '''버클리 공군 기지'''로 변경하고, 공군 우주 사령부에 배속하여 제821 우주 그룹이 작전을 담당하게 했다.[2] 1996년 제821 우주 그룹이 창설된 이후 버클리 기지의 우주 임무는 상당히 확장되었다.
2001년에는 기지 운영을 관리하고 제21 우주 비행단의 부담을 덜기 위해 제460 공군 기지 비행단이 창설되었다.[2] 제821 우주 그룹은 해체되었지만, 작전 우주 임무는 여전히 제21 우주 비행단에서 통제했다.
2004년, 제460 공군 기지 비행단은 제460 우주 비행단으로 개편되어 국방 지원 프로그램과 우주 기반 적외선 시스템 임무를 제21 우주 비행단으로부터 넘겨받았다.[2]
2. 5. 버클리 우주군 기지 (2021년–현재)
미국 우주군 창설에 따라,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 소속이었던 제460 우주비행단과 버클리 공군기지 행정부는 새로운 군으로 이전되었다.[6] 2020년 7월 24일, 제460우주비행단은 해체되었다.[6] 기지 운영은 버클리 주둔지로 이관되었고, 제460작전단은 우주 델타 4로 변경되어 버클리의 우주 기반 미사일 경보 위성과 이전 제21우주비행단의 지상 기반 미사일 경고 레이더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6]
2021년 6월 4일, 버클리 공군기지는 '''버클리 우주군 기지'''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7] 이는 미국 우주군 창설에 따른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현재 버클리 우주군 기지는 우주 델타 4를 중심으로 우주 기반 미사일 경보, 미사일 방어, 전장 인식 등 핵심적인 우주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3. 주둔 부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는 과거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AFSPC) 소속 제460 우주비행단이 주둔했었다. 제460 우주비행단은 DSP 위성을 운용하여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전략사령부의 조기경보센터에 정보를 제공했으며,[8] AFSPC 전체에 대한 보급과 지원 업무도 담당했다.[8]
미국은 전 세계 신호정보를 수집, 처리하기 위해 콜로라도주 덴버의 버클리 공군기지, 영국 맨위드 힐 공군기지, 호주 파인 갭에 인공위성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3. 1. 미국 우주군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는 미국 우주군 소속 부대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기지 운영과 우주 임무를 수행한다. 과거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AFSPC) 소속 제460 우주비행단이 주둔하며 DSP 위성을 운용,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전략사령부에 조기경보 정보를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AFSPC 전체에 대한 보급 및 지원 업무를 담당했었다.[8]
미국은 전 세계 신호정보 수집 및 처리를 위해 콜로라도주 덴버의 버클리 공군기지, 영국 맨위드 힐 공군기지, 호주 파인 갭에 인공위성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3. 1. 1. 우주 기지 델타 2 (Space Base Delta 2)
우주 기지 델타 2(Space Base Delta 2, SBD 2)는 우주 작전 사령부 산하의 버클리 우주군 기지 행정을 담당하며, 2020년 해체된 제460 우주비행단으로부터 책임을 인계받았다. 2022년 5월 23일 제460 임무 지원 그룹의 해체와 함께 명칭이 변경되기 전까지는 버클리 수비대(Buckley Garrison)로 불렸다.[8]
우주 기지 델타 2는 케이프 코드 우주군 기지, 캐벌리어 우주군 기지, 클리어 우주군 기지에 대한 기지 지원의 책임도 갖고 있다. 모든 군에서 온 3,500명의 현역, 4,000명의 주 방위군 및 예비군, 4개의 연방 국제 파트너, 2,400명의 민간인, 2,500명의 계약자, 그리고 약 88,000명의 퇴역 군인, 재향 군인 및 부양 가족을 지원한다. 버클리 우주군 기지는 매년 지역 경제에 10억달러를 기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9]
우주 기지 델타 2는 버클리 우주군 기지의 93,000명의 군인, 민간인, 계약자, 퇴역 군인, 재향 군인 및 가족 구성원과 Front Range 지역 방어 커뮤니티의 기지 임차 부대에 보안, 토목, 인사, 서비스, 계약 및 물류 기능을 통해 기지 운영 지원을 제공한다.[10]
제460 계약 비행대대(460 CONF)는 군사 획득을 담당하며, 인프라 지원, 기지 운영 지원, 계획 및 프로그램의 세 개의 하위 비행대대로 나뉜다. 제460 보안 부대 비행대대(460 SFS)는 공군 보안 부대의 기지 보안, 군사 경찰의 법 집행, 병력 보호를 담당한다. 제460 병력 지원 비행대대(460 FSS)는 군사 행정의 군사 인력 지원, 인적 자원 관리의 인력 관리, 전문 군사 교육 지원, 군 및 가족 지원, 전문 향상 서비스는 물론 버클리 우주군 기지의 미국 공군 명예 경비대 사기, 복지 및 휴양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제460 토목 기사 비행대대(460 CES)는 토목 공학의 설치 공학, 군사 주택 지원, 환경 공학, 응급 서비스를 담당한다. 제460 물류 준비 비행대대(460 LRS)는 차량 관리, 교통 관리, 항공 화물의 화물 이동, 공수 작전, 지원 계약, 군사 배치의 배치 계획 및 실행, 벌크 연료를 포함한 모든 군사 물류 지원을 제공한다.[10]
제460 의료 그룹(460 MDG)은 1차 진료, 항공 의학의 항공 및 작전 의학, 치과, 정신 건강, 공중 보건, 물리 치료, 검안, 생물 환경 공학, 의학 연구소, 방사선학, 예방 접종, 약국 의료 지원을 포함한 군사 의학 지원을 제공하며 두 개의 비행대대로 나뉜다. 제460 작전 의료 준비 비행대대(460 OMRS)에는 작전 의학 비행대대(비행 의학 진료소 및 전사 의학 진료소), 공중 보건 비행대대(건강 증진 포함), 생물 환경 비행대대, 검안 비행대대, 치과 비행대대, 정신 건강 비행대대의 6개 비행대대가 포함된다. 제460 의료 운영 비행대대(460 HCOS)는 가족 건강 비행대대(부양 가족 진료소, 소아과 진료소, 여성 건강 진료소, 방사선학, 예방 접종 및 물리 치료), 의료 연구소 비행대대, 약국 비행대대, TRICARE 운영 및 환자 관리 비행대대, 의료 물류 비행대대, 자원 관리 비행대대, 의료 정보 시스템 비행대대의 7개 비행대대로 구성된다.[11]
우주 기지 델타 2의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부대
|-
| -- 우주 기지 델타 2
|-
| 제460 회계 비행대대(460 CPTS)
|-
| 제460 토목 기사 비행대대(460 CES)
|-
| 제460 계약 비행대대(460 CONS)
|-
| 제460 병력 지원 비행대대(460 FSS)
|-
| 제460 물류 준비 비행대대(460 LRS)
|-
| 제460 보안 부대 비행대대(460 SFS)
|-
| 제460 의료 그룹(460 MDG)
|
제460 의료 운영 비행대대(45 HCOS)
제460 작전 의료 준비 비행대대(45 OMRS)
|}
3. 1. 2. 우주 델타 4 (Space Delta 4)
우주 델타 4는 우주 기반 미사일 경보 임무를 수행하는 핵심 부대이다. 이 부대는 국방 지원 프로그램(DSP), 우주 기반 적외선 시스템(SBIRS) 등을 운용하여 미사일 발사 탐지 및 경보를 제공한다.
우주 델타 4는 다음과 같은 예하 부대로 구성된다.
제2 우주 경보 비행대대
제11 우주 경보 비행대대
460 작전 지원 비행대대
제1 파견대
3. 1. 3. 기타 우주군 부대
우주 작전 사령부 산하의 우주 기지 델타 2 (SBD 2) 외에도, 제62 사이버 비행대, 제71 정보, 감시 및 정찰 비행대 제4 분견대 등도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주둔하며, 사이버전, 정보 분석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3. 2. 미국 공군
미국 공군 제460 우주비행단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주둔하며, DSP 위성을 운용하여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전략사령부의 조기경보센터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AFSPC) 전체에 대한 보급과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13] 미국은 전세계 신호정보를 수집, 처리하기 위해 버클리 기지를 포함하여 영국 맨위드 힐 공군기지, 호주 파인 갭에 인공위성 기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공군 예비군 사령부(Air Force Reserve Command) 소속의 공군 예비군 인력 센터와 제310우주비행단(310th Space Wing) 예하 제710 작전 그룹(710 OG)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공군 예비군 및 콜로라도주 공군 방위군 인사를 관리한다.
3. 2. 1. 콜로라도 공군 방위군 제140 비행단 (140th Wing)
140th Wing
140 공군 비행단(140 WG)은 콜로라도주 공군 방위군의 주요 부대로,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C 파이팅 팰컨을 운용하며 방공, 요격, 지상 공격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140 공군 비행단은 5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4개는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위치해 있다. 16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투기, 우주 기반 조기 미사일 경고 및 지원 부대를 제공한다.
140 공군 비행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룹
예하 비행대대
역할
140 작전 그룹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서의 비행 작전 담당. 활성화될 경우 공군 전투 사령부에 배속.
140 정비 그룹
F-16 구성품, 시스템 및 지원 장비의 전문적인 정비 담당.
140 임무 지원 그룹
기지 시설 운영, 환경, 비상 관리, 폭발물 처리(EOD) 기능, 통신 및 정보 기능 제공, 전투 훈련 제공 등.
140 의료 그룹
140 공군 비행단을 지원하는 진료소 역할, 신체 검사, 예방 접종, 생물 환경 공학 및 직업 보건 관리 프로그램 제공.
[13][14][15][16][17]
3. 2. 2. 공군 예비군 인력 센터 (Air Reserve Personnel Center)
공군 예비군 사령부(Air Force Reserve Command) 제310우주비행단(310th Space Wing) 소속 제710 작전 그룹(710 OG)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공군 예비군 및 콜로라도주 공군 방위군 인사를 관리한다.[19]
제710 작전 그룹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된다.[19]
-- 제710 작전 그룹
제4우주경보비행대대(4th Space Warning Squadron)
제8우주경보비행대대(8th Space Warning Squadron)
제710 작전 지원 비행대
3. 2. 3. 제710 작전 그룹 (710th Operations Group)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710 작전 그룹(710th Operations Group)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4. 제544 정보, 감시 및 정찰 그룹 (544th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Group)
(결과물 없음)
3. 3. 합동 부대
미국 공군 제460우주비행단은 DSP 위성을 운용하여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미국 전략사령부의 조기경보센터에 정보를 제공하고, 미국 공군 우주사령부(AFSPC) 전체의 보급 및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20] 버클리 기지에는 주로 미국 우주군 소속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3. 3. 1. 콜로라도 항공우주 데이터 시설 (Aerospace Data Facility-Colorado)
Aerospace Data Facility–Colorado
국가 정찰국의 콜로라도 항공우주 데이터 시설(ADF–C)은 전 세계 국방 작전을 지원하고, 여러 기관에서 수집된 정보의 분석, 보고 및 배포를 담당하는 다중 임무 지상 기지이다. 이 기지는 미국 정부와 동맹국을 지원하는 국방, 정보 및 민간 기관에 데이터를 제공한다.[20]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JOPC)는 국가 지구 공간 정보국(NGA)과 미국 우주 사령부(United States Space Command)의 연합군 우주 구성 사령부 인원으로 구성된 합동 조직이다.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는 국가 수준의 의사 결정권자, 전사자 및 정보 기관을 위해 OPIR 엔터프라이즈를 최적화하기 위해 통합 미션 관리를 수행한다.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는 OPIR 작전을 계획, 과제 할당, 모니터링 및 평가하며, 연중무휴 OPIR 리치백 및 고객 지원의 초점 역할을 한다.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는 호주 우주 작전 센터(AUSSpOC), 캐나다 우주 작전 센터(CANSpOC) 및 영국 우주 작전 센터(UKSpOC)를 포함하여 각 전투 사령부(COCOM) 및 파트너 연합 작전 센터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22]
3. 3. 2. 합동 상시 적외선 센터 (Joint Overhead Persistent Infrared Center)
국가 지구 공간 정보국과 미국 우주 사령부 연합군 우주 구성 사령부 인원으로 구성된 합동 조직이다. 상시 적외선(OPIR) 작전을 계획, 과제 할당, 모니터링 및 평가하며, 연중무휴 OPIR 리치백 및 고객 지원의 초점 역할을 한다.[20]
3. 4. 미국 육군
704 군사 정보 여단 산하 제743 군사 정보 대대는 육군, 합동군 및 연합군뿐만 아니라 국가 정보 소비자를 위해 전투 지휘를 강화하고 정보 우위를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신호 정보(SIGINT) 작전을 수행한다.[23]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부대는 169 야전포병 여단 본부, 육군 항공 지원 시설(AASF), 제2대대, 제135 항공 연대(일반 지원),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의료 사령부, 특수 작전 파견대-한국이 있다.
3. 4. 1. 제743 군사 정보 대대 (743rd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704 군사 정보 여단 산하의 제743 군사 정보 대대는 육군, 합동군 및 연합군뿐만 아니라 국가 정보 소비자를 위해 전투 지휘를 강화하고 정보 우위를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신호 정보(SIGINT) 작전을 수행한다.[23]
제743 군사 정보 대대
3. 4. 2.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버클리 우주군 기지 내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부대에는 169 야전포병 여단 본부(540 네트워크 지원 중대 및 제86 군사 정보 대대 포함), 육군 항공 지원 시설(AASF) 및 제2대대, 제135 항공 연대(일반 지원),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의료 사령부, 특수 작전 파견대-한국이 있다. AASF는 일반 지원 항공 대대(GSAB), MEDEVAC 파견대, 보안 및 지원(S&S) 중대, 430명 이상의 병력과 24대의 항공기를 포함한 작전 지원 공수 파견대를 지원한다.[20]
버클리 우주군 기지 내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육군 항공 지원 시설(AASF)
제2대대, 제135 항공 연대(일반 지원)[24]
-- 제2대대, 제135 항공 연대(일반 지원) 예하 부대
* 고위 본부 중대
* B중대, 파견대 1
* D중대
* E중대
제2대대, 제238 항공 연대 예하 부대
* A중대
* E중대, 파견대 1
제1대대, 제168 항공 연대 예하 부대
* 고위 본부 중대, 파견대 3
* 제1대대, 제168 항공 연대(MEDIVAC) C중대, 파견대 1
* -- D중대, 파견대 3
* -- E중대, 파견대 3
제131 항공 중간 정비 중대, 파견대 1
제3대대, 제140 항공 연대 D중대, 파견대
169 야전포병 여단 본부
-- 169 야전포병 여단 예하 부대
* 540 네트워크 지원 중대(제147 여단 지원 대대 소속)
* 제86 군사 정보 중대(제147 여단 지원 대대 소속)
제86 보병 여단 전투단 (산악) 제572 공병 대대 D중대, 군사 정보
-- 콜로라도 육군 주 방위군 의료 사령부 [25]
특수 작전 파견대-한국(공수)[26]
3. 5. 미국 해병대
제4 전투 병참 연대, 제4 해병 병참단, 해병대 예비군 소속 제453 전투 병참 대대(CLB 453)가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주둔한다.[20] 5대대, 14해병, 제14 해병 연대, 제4 해병 사단, 해병대 예비군 소속의 퀘벡 포대는 M198 곡사포를 운용하는 예비 포병 중대이다.[20] 해병 암호 지원 대대 A중대는 항공우주 데이터 시설-콜로라도에서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훈련된 해병을 배치하는 임무를 수행한다.[20] 정보 지원 대대 B중대는 현역 부대, 합동 사령부 및 국가 기관을 보강하기 위해 임무별로 구성된 정보 요원을 파견한다.[20]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주둔하는 해병대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453 전투 병참 대대, 제4 전투 병참 연대, 제4 해병 병참단, 해병대 예비군
퀘벡 포대, 5대대, 14해병, 제14 해병 연대, 제4 해병 사단, 해병대 예비군
A중대, 해병 암호 지원 대대
B중대, 정보 지원 대대, 해병대 예비군
3. 6. 미국 해군
버클리 우주군 기지 내의 미국 해군 부대에는 네이비 정보 작전 사령부-콜로라도(Navy Information Operations Command-Colorado)와 네이비 작전 지원 센터-덴버(Navy Operations Support Center-Denver)가 있다. 네이비 정보 작전 사령부-콜로라도는 1995년 11월 1일에 덴버 해군 보안 그룹 활동(Naval Security Group Activity Denver)으로 창설되었으며, 2005년 12월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미국 함대 사이버 사령부의 일부이다. 네이비 작전 지원 센터-덴버는 덴버 해군 항공 예비 기지(Naval Air Reserve Station–Denver)의 임무를 계승했다.[20]
버클리 우주군 기지에 있는 해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네이비 정보 작전 사령부-콜로라도 (미국 함대 사이버 사령부)
네이비 작전 지원 센터-덴버 (미국 해군 예비군)
4. 한반도 안보와 버클리 우주군 기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와 미국 전략사령부에 조기경보 정보를 제공하는 DSP 위성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감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이러한 정보는 대한민국이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고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와 협력을 중시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 억지력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버클리 우주군 기지는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