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치아 FC는 1907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현재는 세리에 A에 소속되어 있다. 1913년에 개장한 스타디오 피에르루이지 펜초를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1940-41 시즌 코파 이탈리아 우승, 1941-42 시즌 세리에 A 3위가 최고 성적이다. 잦은 파산과 재창단을 거쳐 2015년 조 타코피나의 인수 이후 부활했으며, 2020-21 시즌 19년 만에 세리에 A로 승격했다. 클럽의 상징은 날개 달린 사자이며, 검정, 녹색, 오렌지색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치아 FC -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이며, 1920년대에 콘크리트 주 본부석으로 개조되었고, 2021년 세리에 A 복귀로 재개발이 시작되었다. - 베네토주의 축구단 - AC 키에보베로나
AC 키에보베로나는 1929년 창단되어 세리에 A까지 승격하며 '무시 볼란티'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재정난으로 프로 리그에서 퇴출되었다가 2024년 재창단된 이탈리아 베로나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베네토주의 축구단 - 칼초 파도바
칼초 파도바는 1910년 창설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 원년 멤버이자 네레오 로코 감독 시절 최고 성적을 기록했으나, 재정난으로 파산 후 여러 부침을 겪으며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우승과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우승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세리에 B - 피사 SC
피사 SC는 1909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세리에 B를 오가며 활동했으며, 1994년 파산 후 재창단되어 현재는 필리포 인자기가 감독을 맡고 있다. - 세리에 B - 모데나 FC 2018
모데나 FC 2018은 1912년 창단된 모데나 FC의 파산 후 2018년에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B까지 승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코파 안글로-이탈리아나 2회 우승과 세리에 C 슈퍼컵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베네치아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베네치아 풋볼 클럽 S.r.l. |
별칭 | "이 레오니 알라티" (날개 달린 사자) "이 라구나리" (석호인들) "이 네로베르디" (검정-녹색) 아란치오네로베르디 (주황-검정-녹색) |
창단 | 1907년 12월 14일 (베네치아 풋볼 클럽으로) |
해체 | 해당 없음 |
홈 경기장 |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 |
수용 인원 | 11,150명 |
소유주 | VFC 뉴코 2020 LLC |
회장 | 던컨 L. 니더라우어 |
감독 | 에우세비오 디 프란체스코 |
리그 | 세리에 A |
웹사이트 | 베네치아 FC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 | |
![]() | |
이전 시즌 | |
리그 순위 | 세리에 B 3위 (2023-24) |
2. 경기장
베네치아 FC의 홈구장은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이며, 1913년에 개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비행기 조종사였던 피에르 루이지 펜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80]
2. 1. 경기장 역사 및 특징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는 1913년에 개장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비행기 조종사였던 피에르 루이지 펜초(Pier Luigi Penzo)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제노아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다음으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경기장이다.[80]
산텔레나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시설과 인접해 있고, 주로 보트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1913년 9월 7일, 5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지붕이 있는 관람석을 갖춘 베네치아 경기장인 *캄포 스포르티보 코무날레 디 산텔레나* (이후 스타디오 피에르 루이지 펜초로 개명)가 개장했다.[5] 개장 경기에서 베네치아는 제노아에게 0-7로 패했다.
원래 목재로 건설되었던 경기장은 1920년대에 콘크리트 메인 스탠드로 대대적인 개조를 거쳤으며, 이후 수십 년 동안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1970년 9월 11일, 토네이도가 베네치아를 강타하여 경기장에 큰 피해를 입혔다. 경기장은 부분적으로만 복구되었고 수용 인원은 5,000명으로 줄었다.
1998년 클럽이 다시 세리에 A로 승격했을 때, 임시 스탠드가 추가되어 수용 인원이 13,400명으로 늘었지만, 이후 다시 7,450명으로 감소했다. 최다 관중 기록은 1966년 세리에 A 경기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기록한 26,000명이다.
3. 클럽 역사
베네치아 FC의 클럽 역사는 1907년 창단 이후 여러 번의 부침과 재창단을 거듭하며 이어진다.
1934년 8월 1일, 클럽은 "Associazione Calcio Venezia"로 이름을 변경하고 (당시에는 "Fascista"라는 형용사가 추가됨) 전통적인 검정색과 녹색("neroverde")을 사용했다.[8]
1934-35 세리에 B 시즌에서 베네치아는 11위를 기록하며 새롭게 시작된 세리에 C로 강등될 위기에 처했으나, 1935-36 시즌에 1위를 차지하며 세리에 B로 승격했다. 같은 시즌 1935-36 코파 이탈리아 32강전에 진출하여 파도바, 피우마나(현재 리예카), 피스토이에세를 꺾었으나 S.S. 라치오에게 2-0으로 패배했다. 당시 팀의 강점은 아르만도 바리니, 알도 비피, 아틸로 코소벨의 "메디아나 디 페로"(철의 중원)였다.
다음 시즌, 베네치아는 1936-37 코파 이탈리아 16강전에서 AC 밀란에게 2-0으로 패했고, 1936-37 세리에 B 시즌에는 프로 베르첼리, 메시나, 카타니아와의 강등 결정전에서 살아남았다.
1937년, 아르날도 베나티가 클럽 회장으로 부임하면서 베네치아는 상승기를 맞이했다. 1937-38 세리에 B 시즌에서 8위를 기록했고, 베나티는 빅토르 토르토라와 조반니 알베르티 등 주요 선수들을 영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43 시즌 이후 이탈리아 축구 경기는 중단되었다. 종전 후, 베네치아는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베네치아''(Associazione Calcio Venezia)라는 이름으로 재설립되었다.
1945-46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시작으로 이탈리아 국내 축구가 재개되었지만, 베네치아는 13위로 부진했다. 1946-47 시즌 세리에 A가 부활했지만, 발레리아노 오티노가 베네치아 선수 중 세리에 A 시즌 최다 골(13골)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동시에 아르날도 베나티가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1947-48 시즌 세리에 B에서 4위를 기록한 후, 스포츠 디렉터 주세페 지라니와 감독 마리오 빌리니는 1948-49 시즌에 베네치아를 세리에 A로 승격시켰다. (비첸차보다 1점 앞선 2위)
그러나 1949-50 시즌 세리에 A 시즌, 베네치아는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하여 지역 의회가 구단을 운영해야 했다. 득점원 아드리아노 제카를 로마(Roma)로 팔아야 했고, 16점만을 얻으며 최하위로 시즌을 마쳤다. 1950년 여름, 마리오 레노스토는 AC 밀란(A.C. Milan)으로 이적하여 다음 시즌 ''로소네리''(rossoneri)와 함께 스쿠데토(Scudetto)를 차지했다.
세리에 B로 강등된 후, 1950-51 시즌에 피에트로 브로치니가 20골을 넣었음에도 6위에 그쳤고, 브로치니는 여름에 인터 밀란(Inter Milan)으로 이적했다.
1951-52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었고, 1956-57 시즌 카를로 알베르토 콰리오 감독 하에 세리에 B로 승격하기 전까지 4시즌을 3부 리그에서 보냈다.
1958-59 코파 이탈리아에서 로마(Roma)와 토리노(Torino)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인터(Inter)에게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제노아(Genoa)에게도 패했다. 시즌 후, 카를로 알베르토 콰리오 감독은 물러났고, 1959-60 시즌에 몬차(Monza)와 타란토(Taranto)와의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간신히 살아남았다.
1960-61 시즌 세리에 B에 사업가 아나클레토 리가부에가 임시 특별 위원으로 취임했고, 카를로 알베르토 콰리오를 감독으로 복귀시켰다. 베네치아는 리그 선두를 차지하며 11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했다. 승격의 주역은 베네치아 출신 지아니 로시와 버지니오 데 파올리, 세르지오 프라스콜리, 지아니 그로시, 그리고 17골을 기록한 공격수 루이지 라핀이었다. 이 승리는 선수들을 스타디오 펜초(Stadio Penzo)에서 산마르코 광장까지 에스코트하는 ''비소나 세레니시마''(bissona Serenissima) 곤돌라 행렬로 축하받았다.
1961-62 시즌 베네치아가 세리에 A로 복귀하면서, 조반니 볼피 디 미수라 백작(Count Giovanni Volpi di Misurata)이 회장이 되었고, 리가부에와 엔리코 리네티가 부회장을 맡았다. 유벤투스와 AC 밀란을 상대로 승리하며 리그 12위로 시즌을 마쳤다. 레알 마드리드에서 온 미드필더 후안 산티스테반이 있었고, 라핀은 11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1962-63 시즌 세리에 A에 17위로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시즌 후, 카를로 알베르토 콰리오와 39골을 기록한 지노 라핀 등 여러 선수가 팀을 떠났다.
세리에 B에서 3시즌 후, 1965-66 시즌 세리에 B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리에 A로 승격했다. 그러나 1966-67 시즌 세리에 A에서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고, 30년 넘게 최상위 리그를 경험하지 못했다. 다음 1967-68 시즌 세리에 B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리에 C, 세리에 C1, 세리에 C2, 세리에 D를 전전하며 부진을 겪었다.
2015년 9월, 변호사 조 타코피나가 이끄는 미국 투자자 그룹이 파산 상태였던 구단을 인수하고,[28] ''베네치아 FC''로 재창단했다.[29] 2015-16 시즌에 세리에 D에서 세리에 C로 승격했다.
1987년부터 2002년까지 팔레르모 회장을 역임한 마우리치오 잠파리니가 클럽을 소유했다. AC 베네치아 시절인 1999-2000 시즌에는 전 일본 대표 나나미 히로시가 소속되어 있었다.
2005년, ''AC 베네치아'' (''Associazione Calcio Venezia 1907'')에서 ''SSC 베네치아'' (''Società Sportiva Calcio Venezia'')로 팀 이름을 변경했다.
2008-09 시즌 종료 후 두 번째 파산했다. ''FBC 우니오네 베네치아'' (''Foot Ball Club Unione Venezia'')로 재창단하여 2009-10 시즌에 세리에 D에서 재출발했다. 2011-12 시즌 세리에 D 우승 후, 다음 시즌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에서도 우승하여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로 승격했다.
2014-15 시즌은 12위로 마쳤지만, 다음 시즌 레가 프로 등록 실패로 강등되었다.[69] 2015년 10월 9일, 볼로냐 FC 회장을 역임한 미국 변호사 조 타코피나|Joe Tacopina영어 등 투자자 그룹에 인수되어,[70] ''베네치아 FC'' (''Venezia Football Club S.r.l.d'')로 개칭되었다.
2020-21 시즌 세리에 B에서 5위를 기록,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2001-02 시즌 이후 20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했다.[71]
3. 1. 창단 초기 (1907-1939)
1907년 12월 14일, 베네치아의 '캄포 산 바르톨로메오' 지역에 있던 두 스포츠 클럽인 '팔레스트라 마찌알레'와 '콘스탄티노 레예르'가 연합하여 Venezia football club으로 창단되었다. 클럽의 대표 다비데 파노를 포함한 15명이 창단 멤버였다. 1919년에 'A.C 베네치아' (Associazione calcio Venezia)로 팀명이 변경되었다.1919년 4월, 일 가제티노(Il Gazzettino)의 본부였던 팔라초 그리티-파카논에서 베네치아 F.B.C.와 아우로라 F.B.C.의 멤버들이 힘을 합쳐 클럽 이름을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베네치아''(Associazione Calcio Venezia)로 변경했다. 당시 정부는 스포츠 경기장을 군사 기지로 사용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40000Lira의 특별 기금을 지원하며 라군 클럽의 재출범을 도왔다.[4]
1921-22 시즌에 베네치아는 세콘다 디비시오네(Seconda Divisione)로 강등되었다. 1926-27 시즌에 다시 프리마 디비시오네(Prima Divisione)로 복귀했지만,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Divisione Nazionale)가 새로운 최고 리그로 창설되면서 프리마 디비시오네는 이탈리아 축구의 두 번째 리그가 되었다.
1927-28 시즌 프리마 디비시오네에서 베네치아는 아탈란타 BC(Atalanta B.C.)에 이어 A조 2위를 차지했으며, 이탈리아 축구 연맹(Italian Football Federation)의 결정에 따라 자동으로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에 진출했다. 연맹은 리그를 클럽 16개로 구성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총 32개 클럽으로 확대했다.
1928-29 시즌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에서 베네치아는 B조 11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B(Serie B)로 강등되었고, 1929-30 시즌에 세리에 B가 시작되었다. 베네치아는 그 시즌 세리에 B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30년 여름, 베네치아는 ''SS 세레니시마''로 개칭되었고, 베네치아 공화국 국기의 붉은색을 채택하여 클럽의 색상도 변경되었으며, 성 마르코의 사자가 가슴에 새겨졌다.[6]
1931년 5월, 국제 여자 체조 대회를 기념하여 산트'엘레나의 베네치아 경기장은 제1차 세계 대전 조종사 피에르 루이지 펜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1929-30 시즌부터 5시즌 연속 세리에 B에 있던 SS 세레니시마는 1933-34 세리에 B 시즌에서 B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될 위기에 놓였지만, 다음 시즌에 26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리그가 확대되면서 리그 자리를 유지하게 되었다.
3. 2. 황금기 (1939-1947)
1938-39 시즌 베네치아는 세리에 A로 승격했는데, 이는 시즌 마지막 날 베르가모에서 아탈란타를 0-1로 꺾고 승점 동률에도 불구하고 골 득실차로 2위를 차지하며 극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9] 5,000명의 베네치아 팬들 앞에서 나온 결승골은 프란체스코 페르니고가 넣었으며, 그는 여전히 세리에 A에서 베네치아의 역대 최다 득점자(45골)이다.[10] 베네치아의 감독은 주세페 지라니였다.베네치아의 세리에 A 진출은 피에르 루이지 펜초 경기장의 새로운 개조를 촉구하여 기존 스탠드 확장을 통해 수용 인원을 10,000명에서 22,000명으로 늘렸다.[11] 12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한 베네치아는 루이지 부시도니, 실비오 디 제나로, 세르지오 스테파니니 등 새로운 선수들이 영입되었고, 특히 발렌티노 마졸라의 합류로 전력이 강화되었다. 마졸라는 군 복무를 위해 베네치아에 있었는데, 캄포 데이 바치니에서 군 대표팀과 함께 경기를 펼친 후, 베네치아는 그를 시험 삼아 영입했고, 결국 세리에 C 클럽인 알파 로메오 밀라노에서 그를 영입했다.[12] 1939-40 세리에 A 시즌에서 베네치아는 최종 10위로 마감했는데, 이 시즌 베네치아는 챔피언이 된 암브로시아나 인테르를 베네치아에서 꺾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고, 클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두 시즌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했다.
1940년, 베네치아는 조반니 바티스타 레부포를 감독으로 임명했고, 에치오 로익을 AC 밀란에서 영입하여 전력을 더욱 강화했는데, 로익은 베네치아에서 발렌티노 마졸라와 함께 유명한 파트너십을 형성했다. 비록 1940-41 세리에 A 시즌에서 12위로 마감하며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베네치아는 1940-41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첫 번째 메이저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베네치아는 32강전에서 MU 보르자키니를, 16강전에서 우디네세를, 8강전에서 볼로냐를, 준결승에서 SS 라치오를 꺾고 결승에서 AS 로마와 맞붙었다. 로마에서 3-3 무승부를 기록한 후, 베네치아는 스타디오 펜초에서 열린 2차전에서 로익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3]
다음 해, 베네치아는 스쿠데토를 향해 질주했다. 1941-42 세리에 A 시즌에서 로익-마졸라 듀오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프란체스코 페르니고는 리그에서 12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를 몇 라운드 앞두고, 베네치아는 스타디오 펜초에서 로마와 중요한 경기를 치렀지만, 페널티킥을 놓치면서 패배했고, 로마는 승점 42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토리노는 승점 39점으로 2위, 베네치아는 승점 38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이 3위는 베네치아가 세리에 A에서 기록한 역대 최고 성적이다. 1941-42 코파 이탈리아에서 베네치아는 32강전에서 토리노를, 16강전에서 피사를, 8강전에서 볼로냐를 꺾었지만, 준결승에서 AC 밀란에게 2-1로 패했다.
1942년 여름, 베네치아는 당시 엄청난 액수인 에 로익과 마졸라를 토리노로 판매했다. 베네치아는 1942-43 세리에 A 시즌에서 고전하여 14위로 마감했고,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바리를 꺾고 세리에 A에 잔류해야 했다. 그러나 1942-43 코파 이탈리아에서 베네치아는 3년 만에 두 번째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베네치아는 토리노에 4-0으로 패했는데, 마졸라는 전 소속팀을 상대로 득점을 기록했다.[14]
1942-43 시즌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이탈리아의 축구 경기는 중단되었다.
3. 3. 전후 시대 (1947-1986)
베네치아 클럽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은 1940-41 시즌 코파 이탈리아를 우승한 것이다. 이때 우승 멤버로 토리노로 이적했던 에치오 뢰크, 발렌티노 마촐라는 1949년, 수페르가 참사로 사망하였다.1941-42 시즌 베네치아는 세리에 A에서 3위를 기록하였으며, 이것은 클럽 역사상 가장 높은 리그 순위이다. 1968년 세리에 B에서 강등된 후, 베네치아는 1980년대에 세리에 C, 세리에 C1, 세리에 C2, 세리에 D를 전전하며 부진을 겪었다.
3. 4. 잠파리니 시대와 메스트레 합병 (1987-2005)
마우리치오 잠파리니는 1987년부터 2002년까지 팔레르모의 회장을 역임하였고, 1987년에 베네치아를 인수했다. 1999-2000 시즌에는 AC 베네치아에 전 일본 대표 나나미 히로시가 소속되어 있었다.잠파리니 구단주 시절 베네치아는 대부분 세리에 A와 세리에 B에서 시즌을 보냈다. 2002년, 베네치아는 마지막으로 세리에 A에서 B로 강등되었는데, 이는 클럽 쇠퇴기의 시작이었다. 잠파리니는 팀의 무능력과 새 구장 신축에 관심 없는 베네치아 의회의 분위기에 좌절하여 팔레르모를 인수하였다.[12]
당시 베네치아에는 알바로 레코바, 필리포 마니에로, 크리스티안 비에리 등이 주목할 만한 선수로 활약했다.
2005년, 베네치아는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고 파산을 선언했다.[13]
3. 5. 잦은 파산과 재창단 (2005-2015)
2005년 베네치아는 세리에 B로 강등되었고 파산을 선언했다.[69] 그해 여름, 클럽은 SSC 베네치아라는 이름으로 다시 시작하여 세리에 C2 참가 자격을 얻었다.2008-09년, 베네치아는 세리에 C에서 또다시 파산을 선언하였다. 클럽 파산 후, FBC 우니오네 베네치아라는 이름으로 새로 시작하여 세리에 D 참가 자격을 얻었다.
2011-12 시즌 베네치아는 세리에 D를 우승하여 세리에 C로 승격했지만, 곧 다시 파산하였다. 2015-16 시즌 베네치아는 베네치아 FC라는 이름으로 다시 시작하여 세리에 D 참가 자격을 얻었다.[70]
3. 6. 조 타코피나 시대와 부활 (2015-현재)
2015년 10월, 뉴욕의 변호사 조 타코피나를 비롯한 미국 투자가들이 베네치아를 인수했다.[28] 타코피나는 볼로냐 구단주와 AS로마 부구단주를 역임한 바 있다. 타코피나는 첫 시즌부터 베네치아를 세리에 C로 승격시켰으며,[29] 2016-17 시즌에도 세리에 C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리에 B로 승격하였다.[32]2016년 6월, 베네치아는 필리포 인차기를 감독으로 고용했다.[30]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스타였던 인차기의 이전 감독 경력은 2014-15 시즌의 AC 밀란이었다.[31] 인차기 감독의 첫 시즌인 2016-17 레가 프로 시즌에서 베네치아는 세리에 B로 승격했고,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에서 우승했다.
2017-18 세리에 B 시즌은 베네치아가 12년 만에 맞이한 세리에 B였으며, 구단은 세리에 A 승격을 위한 경쟁을 펼쳐 리그 5위로 시즌을 마쳤다.[33] 이는 2000-01 시즌에서 4위를 기록하며 최상위 리그로 승격한 이후, 세리에 B 최고 순위였다. 세리에 B 승격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베네치아는 페루자를 3-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지만,[34] 팔레르모에게 합계 점수 2-1로 패하며 탈락했다.
2018년 6월, 인차기는 베네치아를 떠나 볼로냐에 합류했다.[35][36] 인자기의 퇴임 이후, 베네치아는 2018-19 세리에 B 시즌 동안 스테파노 베키, 발테르 젠가, 세르세 코스미 세 명의 감독을 거쳤고, 최종 순위 15위로 시즌을 마쳤다. 살레르니타나에게 패배한 후, 베네치아는 세리에 C로 강등될 위기에 처했지만, 팔레르모가 "행정적 부적합성"으로 강등 처분을 받으면서 강등을 면하게 되었다.
2019-20 세리에 B 시즌을 앞두고, 베네치아는 알레시오 디오니시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2020년 2월, 팀이 다시 강등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베네치아는 자본을 확충했고, 구단 소유주들은 조 타코피나를 구단 회장직에서 해임했다. 클럽 재편 과정에서 베네치아 구단주 덩컨 니더아우어가 구단 회장직을 맡았다.[42]
이탈리아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2019-20 세리에 B가 6월에 재개되었고, 베네치아는 최종 10경기 중 단 두 경기만 패했고, 시즌 마지막 날 AC 페루자 칼초를 꺾고 세리에 B에 잔류하여 리그 순위 11위로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5점 차로 앞섰다.[43][44]
2024년 7월 구단에 대한 대규모 자본 조달이 발표되었다. 새로운 투자자에는 APEX Capital, Chiron Sports Group 및 PSALM Capital이 포함된다.[45][46]
2020년 8월, 베네치아는 기술 스태프를 재건하여, 베네치아의 오랜 선수 출신이자 지역 출신인 마티아 콜라우토와 파올로 포지를 각각 스포츠 디렉터와 기술 디렉터로 고용했으며,[47] 파올로 자네티를 감독으로 임명했다.[49]
2020-21 세리에 B 시즌에서 베네치아는 순위 5위로 마감하며, 다시 한번 세리에 A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베네치아는 키에보 베로나, 레체, A.S. 치타델라를 꺾고 19년 만에 세리에 A에 진출했다.[52][44] 이 성과는 또한 불과 5년 만에 세리에 D에서 세리에 A로 급격한 성장을 이룬 것을 의미했다.
베네치아는 대운하에서 역사적인 배, 조정 클럽, 그리고 곤돌라의 퍼레이드를 열어 세리에 A 복귀를 축하했다.[53]
2021년 8월 9일, 클럽은 미국 출신 미드필더 잔루카 부시오를 650만달러 (570만유로)에 영입하며 구단 최고 이적료 기록을 경신했다.[54][44] 2021년 8월 22일, 클럽의 세리에 A 복귀 첫 경기는 나폴리에게 2-0으로 패배했다.[55] 그러나 클럽의 세리에 A에서의 시간은 짧았으며, 시즌이 끝나고 다시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56]
2022-23 세리에 B 시즌을 앞두고, 구단은 새로운 감독으로 이반 야보르치치를 영입했다. 시즌 초반 부진을 겪었고, 결국 2022년 10월 31일, 야보르치치는 해고되었다. 전 안토니오 콘테 코치의 수석 코치였던 파올로 바놀리가 영입되었다. 팀은 발전하여 시즌을 8위로 마쳤고, 칼리아리에게 패하여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다음 2023-24 시즌 종료 후, 바놀리는 베네치아를 이끌고 3위를 기록했다.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베네치아는 팔레르모와 크레모네세를 꺾고 세리에 B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세리에 A로 복귀했다.[57]
4. 역대 성적
- '''코파 이탈리아 우승: 1회'''
- * 1940–41
- '''세리에 B 우승: 2회'''
- * 1960–61, 1965–66
- '''세리에 C/세리에 C1 우승: 3회'''
- * 1935–36, 1955–56, 2016–17
- '''세리에 C2 우승: 1회'''
- * 2005–06
- '''세리에 D 우승: 3회'''
- * 1982–83, 2011–12, 2015–16
- '''코파 이탈리아 레가 프로 우승: 1회'''
- * 2016–17
시즌 | 디비전 | 코파 이탈리아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1997-98 | 세리에 B | 38 | 17 | 13 | 8 | 51 | 31 | 64 | 2위 | 32강 |
1998-99 | 세리에 A | 34 | 11 | 9 | 14 | 38 | 45 | 42 | 11위 | 16강 |
1999-00 | 34 | 6 | 8 | 20 | 30 | 60 | 26 | 16위 | 4강 | |
2000-01 | 세리에 B | 38 | 19 | 12 | 7 | 62 | 43 | 69 | 4위 | 16강 |
2001-02 | 세리에 A | 34 | 3 | 9 | 22 | 30 | 61 | 18 | 18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2-03 | 세리에 B | 38 | 12 | 12 | 14 | 41 | 47 | 48 | 13위 | 조별 리그 탈락 |
2003-04 | 46 | 12 | 15 | 19 | 40 | 57 | 51 | 20위 | 16강 | |
2004-05 | 42 | 7 | 14 | 21 | 33 | 58 | 35 | 21위[74] | 조별 리그 탈락 | |
2005-06 | 세리에 C2・지로나 A | 34 | 20 | 9 | 5 | 49 | 27 | 69 | 1위 | — |
2006-07 | 세리에 C1・지로나 A | 34 | 14 | 12 | 8 | 41 | 29 | 54 | 4위 | 2회전 탈락 |
2007-08 | 34 | 13 | 5 | 16 | 38 | 41 | 43 | — | ||
2008-09 | 34 | 8 | 11 | 15 | 35 | 41 | 31 | 17위[76] | — | |
2009-10 | 세리에 D・지로나 C | 38 | 21 | 12 | 5 | 71 | 43 | 75 | 3위 | — |
2010-11 | 34 | 21 | 6 | 7 | 69 | 42 | 69 | 2위 | — | |
2011-12 | 34 | 21 | 10 | 3 | 74 | 37 | 73 | 1위 | — | |
2012-13 | 세리에 C2・지로나 A | 34 | 16 | 11 | 7 | 58 | 47 | 59 | 3위 | — |
2013-14 | 세리에 C1・지로나 A | 30 | 12 | 5 | 13 | 40 | 38 | 41 | 10위 | 1회전 탈락 |
2014-15 | 38 | 13 | 10 | 15 | 47 | 44 | 46 | 13위[77] | 2회전 탈락 | |
2015-16 | 세리에 D・지로나 C | 38 | 27 | 9 | 2 | 89 | 26 | 90 | 1위 | — |
2016-17 | 세리에 C1・지로나 B | 38 | 22 | 8 | 4 | 56 | 29 | 80 | 1위 | — |
2017-18 | 세리에 B | 42 | 17 | 16 | 9 | 56 | 42 | 67 | 5위 | 2회전 탈락 |
2018-19 | 36 | 8 | 14 | 14 | 35 | 46 | 38 | 15위 | 2회전 탈락 | |
2019-20 | 38 | 12 | 14 | 12 | 37 | 40 | 50 | 11위 | 3회전 탈락 | |
2020-21 | 38 | 15 | 14 | 9 | 53 | 39 | 59 | 5위 | 3회전 탈락 | |
2021-22 | 세리에 A | 38 | 6 | 9 | 23 | 34 | 69 | 27 | 20위 | 16강 |
2022-23 | 세리에 B | 38 | 13 | 10 | 15 | 51 | 50 | 49 | 8위 | 1회전 탈락 |
2023-24 | 38 | 21 | 7 | 10 | 69 | 46 | 90 | 3위 | 1회전 탈락 | |
2024-25 | 세리에 A |
5. 선수
1980년대 후반, 안드레아 포지, 잔카를로 필리피니, 파올로 포지 등이 베네치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유명 선수'''
- 발렌티노 마쫄라 1939-1942
- 파올로 포지 1989-1992, 2002-2003, 2006-2009
- 마르코 델베키오 1992-1993
-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4-1995
- 알바로 레코바 1998.1-1999.6
- 필리포 마니에로 1998-2002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9일 현재 베네치아 FC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78]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예세 요로넨 |
4 | DF | 제이 이드제스 |
5 | DF | 리지치아노 합스 |
6 | MF | 잔루카 부시오 |
7 | DF | 프란체스코 잠파노 |
9 | FW | 크리스티안 기트케아 |
10 | FW | 존 예보아 |
11 | FW | 가에타노 오리스타니오 |
12 | GK | 브루누 베르티나투 |
14 | MF | 한스 니콜루시 카빌리아 (유벤투스에서 임대) |
15 | DF | 조르조 알타레 |
16 | MF | 루카 피오르딜리노 |
19 | MF | 뱌르키 스테인 뱌르카손 |
20 | FW | 요엘 포얀팔로 |
21 | DF | 리치 사그라도 |
22 | MF | 도멘 체르니고이 |
23 | GK | 마테오 그란디 |
25 | DF | 조엘 신티엔느 |
27 | DF | 안토니오 칸델라 |
30 | DF | 미하엘 스보보다 |
32 | MF | 알프레드 던칸 |
33 | DF | 마린 슈베르코 |
35 | GK | 필리프 스탄코비치 (인테르에서 임대) |
38 | MF | 마그누스 코포드 안데르센 |
45 | FW | 안토니오 라이몬도 (볼로냐에서 임대) |
77 | MF | 미카엘 에길 엘레르트손 |
79 | DF | 프랑코 카르보니 (인테르에서 임대) |
80 | FW | 사드 엘 하다드 |
97 | MF | 이사 둠비아 |
- | GK | 필리포 네리 |
참고: 선수들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5. 2. 역대 유명 선수
발터 노벨리노 감독 하의 베네치아는 1997-98 세리에 B에서 리그 2위를 기록하며 31년 만에 세리에 A로 승격했다.[22]1998-99 세리에 A 시즌을 앞두고 베네치아는 AC 밀란에서 공격수 필리포 마니에로와 골키퍼 마시모 타이비를 영입했다. 인테르 밀란에서 임대 온 알바로 레코바는 마니에로와 함께 공격에서 뛰어난 호흡을 보여주며 베네치아의 잔류를 이끌었다.[22]

'''역대 최다 출장 선수'''
:''공식, 프로 경기만 해당.''
# | 이름 | 활동 연도 | 경기 |
---|---|---|---|
1 | 지아니 그로시 | 1960–1969 | 269 |
2 | 마리오 테스코니 | 1954–1957, 1958–1964 | 255 |
3 | 마르코 모돌로 | 2009–2010, 2015– | 241 |
4 | 지안카를로 필리피니 | 1989–1993, 1994–1998 | 220 |
5 | 마티아 콜라우토 | 2004–2012 | 218 |
6 | 파올로 포지 | 1989–1992, 2002–2003, 2004, 2006–2009 | 217 |
7 | 마리오 아르디존 | 1956–1963, 1971–1974 | 215 |
8 | 로베르토 벨리나치 | 1967–1969, 1970–1972, 1973–1974 | 202 |
9 | 프란체스코 페르니고 | 1938–1947 | 197 |
10 | 조반니 부바코 | 1957–1969 | 191 |
'''역대 최다 득점 선수'''
:''공식 경기만 해당.''
# | 이름 | 연도 | 골 |
---|---|---|---|
1 | 프란체스코 페르니고 | 1938–1947 | 70 |
2 | 필리포 마니에로 | 1998–2002 | 54 |
3 | 로베르토 벨리나치 | 1967–1969, 1970–1972, 1973–1974 | 52 |
4 | 조반니 알베르티 | 1938–1947 | 49 |
5 | 에밀 주빈 | 2010–2012 | 48 |
6 | 요엘 포흐얀팔로 | 2022–현재 | 46 |
7 | 파올로 포지 | 1989–1992, 2002–2003, 2004, 2006–2009 | 44 |
8 | 지노 라핀 | 1960–1963 | 39 |
9 | 아드리아노 제카 | 1947–1949 | 38 |
10 | 라파엘레 체르보네 | 1993–1996 | 35 |
루이지 카푸초 | 1982–1987 |
- 마시모 타이비 1998-1999
- 미하엘 콘젤 1999-2000
- 프란체스코 베누시 1999-2005
- 미켈레 셀레나 1987-1989
- 파올로 트라메차니 1994-1995
- 잔루카 루피 1997-2001
- 알레산드로 델칸토 1994-95, 1996-2000, 2001-2004
- 다니엘레 칼라셰리 1998-2000
- 스테파노 베타리니 1999-2002
- 브뤼노 뇌고티 1999-2000
- 주세페 카르도네 1999-2001
- 파울로 다 실바 2000-2001
- 로베르토 이베르츠베르거 2000-2003
- 요아킴 뵤르클룬 2001-2002
- 마우리치오 도미치 2016-2019
- 시니샤 안젤코비치 2017-2019
- 프란체스코 구이돌린 1984-1986
- 크리스티아노 자네티 1996-1997
- 주세페 야키니 1997-2000
- 세르지오 볼피 1998-2000
- 파비안 발트리나 1998-2002
- 나나미 히로시 1999-2000
- 다니엘 안데르손 2001-2002
- 파블로 가르시아 2002
- 발렌티노 마쫄라 1939-1942
- 파올로 포지 1989-1992, 2002-2003, 2006-2009
- 마르코 델베키오 1992-1993
-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4-1995
- 알바로 레코바 1998.1-1999.6
- 필리포 마니에로 1998-2002
- 마우리치오 간츠 1999-2000
- 이고르 부단 1999-2002
- 데얀 페트코비치 1999-2000
- 페데리코 마갈라네스 2001-2002
- 루이스 올리베이라 2005
6. 클럽 문화
베네치아 FC는 연고지인 베네치아 석호 때문에 ''lagunari'' ("석호의 사람들")라는 별명으로 불린다.[63] 클럽의 상징은 베네치아의 사자를 참조한 날개 달린 사자인데, 이는 베네치아 현의 공식 상징이기도 하다.[61] 이 때문에 ''leoni alati'' ("날개 달린 사자")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60]
1987년 메스트레와의 합병으로 오렌지색이 추가되면서 "arancioneroverdi" ("오렌지-검정-녹색")라는 별명이 붙었다.[59][60]
베네치아 FC의 경쟁 구단으로는 우디네세 칼초[81], FBC 트레비소, 칼초 파도바, 비첸차 칼초가 있다.
6. 1. 유니폼
원래 베네치아의 유니폼 색상은 파란색과 빨간색이었고, 셔츠는 이 두 색상으로 반반씩 나뉘어 있었다. 이는 제노아의 유니폼과 매우 유사했다.[58] 그러나 클럽 창단 1년 만에 유니폼 색상을 검은색과 녹색으로 변경했다.[58]
1987년, 베네치아는 오렌지와 검은색을 사용하던 지역 팀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메스트레''와 합병하면서 오렌지색도 공식 색상 중 하나가 되었다.[59] 이로 인해 베네치아는 "arancioneroverdi" ("오렌지-검정-녹색")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60] 베네치아의 유니폼은 매우 독특하여 셔츠, 반바지, 양말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셔츠는 녹색과 오렌지색으로 장식되어 있다.[44]
2021-22 시즌 세리에 A 승격과 함께 유니폼 공급업체를 카파로 변경했다. 베네치아는 소속 선수가 아닌 모델을 기용하여 패션 잡지와 같은 화보를 선보였고, 이는 공식 스토어에서 완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72] 바렌시아가와 슈프림의 디자인을 담당하는 "뷰로 볼셰"라는 스튜디오가 유니폼 디자인에 참여했다.[73]
6. 2. 엠블럼
베네치아의 원래 색상은 파란색과 빨간색이었고, 셔츠는 이 색상으로 반반씩 나뉘어 있었다. 유니폼은 제노아와 매우 유사했다.[58] 그러나 클럽 창단 1년 만에 검은색과 녹색으로 색상을 변경했다.[58]1987년, 클럽이 오렌지와 검은색을 사용하던 메스트레의 지역 팀인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메스트레''와 합병하면서,[59] 오렌지색도 베네치아의 공식 색상 중 하나가 되었고, "arancioneroverdi" ("오렌지-검정-녹색")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60] 베네치아의 색상과 유니폼은 매우 독특하다. 셔츠, 반바지, 양말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셔츠는 녹색과 오렌지색으로 장식되어 있다.[44]
베네치아 클럽의 상징은 날개 달린 사자(베네치아의 사자 참조)이며, 흔히 그리핀으로 오해받는다. 금색 날개 달린 사자는 베네치아 현 도시가 사용하는 공식 상징이다.[61] 이 상징은 클럽의 가장 인기 있는 별명 중 하나인 ''leoni alati'' ("날개 달린 사자")라는 별명을 갖게 하였다.[60]
클럽은 역사상 여러 번 이름을 변경했기 때문에 엠블럼도 여러 번 변경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엠블럼은 금색 날개 달린 사자와 함께 녹색과 오렌지색의 클럽 색상, 금색 테두리가 특징이다.[62]
6. 3. 별명
베네치아는 연고지인 베네치아 석호 때문에 ''lagunari'' ("석호의 사람들")라는 별명으로 불린다.[63] 클럽의 상징은 베네치아의 사자를 참조한 날개 달린 사자인데, 이는 베네치아 현의 공식 상징이기도 하다.[61] 이 상징 때문에 ''leoni alati'' ("날개 달린 사자")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60]1987년, 베네치아가 오렌지와 검은색을 사용하던 메스트레의 지역 팀인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메스트레''와 합병하면서,[59] 오렌지색도 베네치아의 공식 색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arancioneroverdi" ("오렌지-검정-녹색")라는 별명이 붙었다.[60]
6. 4. 경쟁 관계
베네치아 FC의 경쟁 구단으로는 우디네세 칼초[81], FBC 트레비소, 칼초 파도바, 비첸차 칼초가 있다.참조
[1]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Il Venezia dalla nascita al girone unico
[2]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Il Venezia dalla nascita al girone unico
[3]
간행물
Agendina Barlassina 1937-38
[4]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Il Venezia dalla nascita al girone unico
[5]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Storia del Penzo
[6]
서적
1907-2007 Cent'Anni da Leoni, Serenissima per sfuggire ai creditori
[7]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Il Venezia dalla nascita al girone unico
[8]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Dalla Serenissima alla presidenza Bennati
[9]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italiano 1940
[10]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Dalla Serenissima alla presidenza Bennati
[11]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Storia del Penzo
[12]
서적
1907-2007 Cent'anni da leoni, Verso la gloria con Valentino Mazzola
[13]
서적
Un Secolo di Calcio Venezia, Coppa Italia 1941:come entrammo nella leggenda
[14]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47
[15]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55
[16]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60
[17]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61
[18]
웹사이트
La Storia del Venezia (1957-1967)
http://venicexplorer[...]
2016-03-10
[19]
서적
1907-2007 Cent'anni da Leoni, I mitici anni sessanta
[20]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88
Edizioni Panini
[21]
간행물
Almanacco illustrato del calcio 1990
Edizioni Panini
[22]
웹사이트
Serie A seasons: Venezia 1998-99
https://www.football[...]
[23]
웹사이트
Luglio '02: Zamparini porta metà Venezia a Palermo
https://sport.sky.it[...]
2017-07-21
[24]
웹사이트
Venezia addio è ancora fallito
http://www.repubblic[...]
2009-11-18
[25]
웹사이트
Aeroterminal di Venezia, condannati per bancarotta i due fratelli Poletti. Il Corriere del Veneto
http://corrieredelve[...]
[26]
웹사이트
Arrigo Poletti indagato per truffa a Padova. Geolocal Trentino
http://trentinocorri[...]
[27]
웹사이트
Crac Aeroterminal, la banca pignora case e garage di Arrigo Poletti. Geolocal Trentino
http://trentinocorri[...]
[28]
웹사이트
Il suo accostamento al Venezia, come partner occulto del presidente James Daniels
https://www.ilgazzet[...]
2015-09-13
[29]
웹사이트
American Tacopina buys Italy club Venezia
https://www.espn.com[...]
2015-10-09
[30]
웹사이트
Inzaghi named Venezia coach
https://www.goal.com[...]
2016-06-07
[31]
웹사이트
Assessing Filippo Inzaghi
https://football-ita[...]
[32]
웹사이트
Pippo Inzaghi coy on Venezia future
https://www.football[...]
[33]
웹사이트
The rebirth of Venezia FC
https://thesetpieces[...]
2017-04-19
[34]
웹사이트
Serie B: Palermo push past Venezia
https://www.football[...]
2018-06-10
[35]
웹사이트
Inzaghi confirms Venezia exit
https://www.football[...]
2018-06-11
[36]
웹사이트
Inzaghi arrives for Bologna
https://www.football[...]
[37]
웹사이트
Serie B: Venezia appoint Vecchi
https://www.football[...]
2018-06-14
[38]
웹사이트
Official: Venezia appoint Zenga
https://www.football[...]
2018-10-12
[39]
웹사이트
Venezia sack Zenga for Cosmi
https://www.football[...]
[40]
웹사이트
Serie B: Salernitana send Venezia down
https://www.football[...]
2019-06-09
[41]
웹사이트
Official: Palermo out of Serie B
https://www.football[...]
[42]
웹사이트
Venezia, nuova proprietà: via Tacopina, ecco Niederauer
https://www.corriere[...]
2020-02-19
[43]
웹사이트
Serie B: Promotion and relegation play-offs decided
https://www.football[...]
2020-07-31
[44]
간행물
The Club Behind the Kit: The Making of Venezia's Miracle
https://www.si.com/s[...]
2022-01-17
[45]
웹사이트
https://www.veneziaf[...]
[46]
웹사이트
https://finance.yaho[...]
[47]
웹사이트
Venezia, risoluzione consensuale per il direttore sportivo Lupo
https://www.tuttospo[...]
2020-08-06
[48]
웹사이트
A 29-year-old West Chester native aims to help return Venice to Italy's soccer spotlight
https://www.inquirer[...]
2020-11-16
[49]
웹사이트
Serie B: Zanetti new Venezia coach
https://www.football[...]
2020-08-14
[50]
웹사이트
Serie B: Venezia victorious in Chievo thriller
https://www.football[...]
[51]
웹사이트
Serie B: Venezia in play-off final
https://www.football[...]
[52]
웹사이트
Venezia promoted to Serie A
https://football-ita[...]
2021-05-27
[53]
웹사이트
Venezia players celebrate return to Serie A with boat parade through city – video
https://www.theguard[...]
2021-05-31
[54]
웹사이트
Gianluca Busio joins Venezia FC
https://www.veneziaf[...]
2021-08-09
[55]
웹사이트
Serie A 21/22: Napoli 2-0 Venezia
https://www.veneziaf[...]
[56]
웹사이트
Venezia relegated from Serie A
https://forzaitalian[...]
2022-05-14
[57]
뉴스
Pohjanpalon ja Jorosen edustama Venezia FC nousi Serie A:han
https://yle.fi/a/74-[...]
Yle
2024-06-02
[58]
뉴스
Storia
http://www.kromeidon[...]
Venezia Calcio
2007-06-24
[59]
뉴스
Italian Ultras Scenedate=29 June 2007
http://website.lineo[...]
View from the Terrace
2007-06-29
[60]
뉴스
SSC Venezia Information
http://www.abcgoal.c[...]
ABCGoal.com
2007-06-24
[61]
뉴스
Stemma Provincia di Venezia
http://www.comuni-it[...]
Comuni-Italiani
2007-06-24
[62]
뉴스
SSC Venezia
http://www.weltfussb[...]
WeltFussballArchiv.com
2007-06-24
[63]
뉴스
La presunta combine Genova-Venezia Preziosi: "Mai fatto quella chiamata"
http://www.repubblic[...]
Repubblica.it
2007-06-24
[64]
웹사이트
Residence #54 {{!}} 'Stadio Pier Luigi Penzo' Venezia FC
https://www.soccerbi[...]
[65]
웹사이트
Prima Squadra
https://www.veneziaf[...]
2023-12-30
[66]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s://www.veneziaf[...]
[67]
웹사이트
Technical staff
https://www.veneziaf[...]
[68]
웹사이트
Contatti
http://www.veneziafc[...]
Venezia FC
2016-01-21
[69]
웹사이트
レッジーナとヴェネツィア、イタリア3部リーグへの登録が果たせず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6-01-21
[70]
웹사이트
U.S. lawyer Joe Tacopina buys Italian club Venezia FC
http://www.espnfc.co[...]
ESPN FC
2016-01-21
[71]
웹사이트
ヴェネツィアがセリエA昇格決定! 退場者出すも終盤の劇的ゴールでプレーオフ突破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21-05-28
[72]
웹사이트
「あまりに美しい」20年ぶりセリエA昇格、ヴェネツィアのユニフォームがイケてると絶賛され即完売
https://web.ultra-so[...]
超WORLDサッカー
2021-07-31
[73]
웹사이트
オシャレユニフォームが話題のヴェネツィア、「シュプリーム」手がけるスタジオ制作のアウェイユニはホームとの対比がテーマで大注目!
https://web.ultra-so[...]
超WORLDサッカー
2022-07-14
[74]
문서
破産により4部へ降格
[75]
문서
財政不備により勝ち点1はく奪
[76]
문서
破産により5部へ降格
[77]
문서
財政不備により4部へ降格
[78]
웹사이트
team
https://www.veneziaf[...]
2024-09-09
[79]
서적
Club
http://www.dipionlin[...]
DiPI Online - Dizionario di Pronuncia Italiana
2021-08-03
[80]
웹인용
Residence #54 {{!}} 'Stadio Pierluigi Penzo' Venezia FC
https://www.soccerbi[...]
[81]
웹사이트
http://en.soccerwi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