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분데스플라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분데스플라츠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 및 U반 환승역이다. 1877년 개업한 빌머스도르프-프리데나우역이 전신이며, 여러 차례의 개명을 거쳐 1993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U9 노선은 1971년 개통되었으며,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다. S반과 U반 모두 상대식 승강장 형태이며, 화물역이 존재했으나 2008년 폐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지하철 9호선 - 베를린 동물원역
베를린 동물원역은 베를린 시가지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지하철 U2, U9 노선과 장거리, 지역 열차, S반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이며, 과거 서베를린의 주요 관문이자 독일 분단 시절 상징적인 장소였고, 주변 명소와 대중문화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 베를린 지하철 9호선 - 베를린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역
베를린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역은 베를린 슈테글리츠에 위치한 지하철 9호선과 S반 반제선 환승역으로, 지하철역은 1974년에, S반역은 1839년에 개업하여 폐업과 재개업을 거쳐 1992년에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라이너 륌러가 설계하고 발데마르 그리메크의 케르베로스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 - 1892년 개업한 철도역 - 신유바리역
신유바리역은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선의 철도역으로, 1892년 모미지야마역으로 개업하여 1981년 신유바리역으로 변경되었으며, 과거 유바리 지선 분기점이었으나 폐지 후 현재는 세키쇼선의 역으로 특급열차가 정차한다. - 1892년 개업한 철도역 - 유바리역
유바리역은 1892년 개업하여 2019년 폐역된 홋카이도 유바리시의 철도역으로, 석탄 산업의 흥망성쇠를 겪으며 유바리 관광 안내 센터와 찻집으로 활용되고 있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발트뷔네
발트뷔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22,000명 이상을 수용 가능한 야외 원형 극장으로,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나치 시대 선전 장소로 사용되다, 이후 다양한 문화 행사와 록 공연장으로 명성을 얻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 및 베를린 필하모닉 여름 콘서트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란트베어 운하
란트베어 운하는 페터 요제프 렌네가 설계한 베를린의 운하로, 슈프레 강에서 텔토 운하로 이어지며 36개의 교량이 있고, 관광 유람선이 이용되며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지나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장소이다.
베를린 분데스플라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베를린 분데스플라츠역 |
원어 이름 | Bahnhof Berlin Bundesplatz (독일어) |
다른 이름 | 분데스플라츠 (U9 노선만 해당) |
주소 | 베를린 프리데나우 및 빌머스도르프 |
역 종류 | Bf |
노선 | 베를린 순환선 (, , ) |
승강장 | 해당 정보 없음 |
선로 수 | 해당 정보 없음 |
연결 노선 | 해당 정보 없음 |
역 코드 | S반: BBUP 화물역: BWL U9: Bd |
구역 | VBB: 베를린 A/5555 |
건축가 | 해당 정보 없음 |
건축 양식 | 해당 정보 없음 |
개업 | 순환선: 1892년 5월 1일 U9: 1971년 1월 29일 S반 재개통: 1993년 12월 17일 |
폐업 | S반 파업: 1980년 9월 18일, 공식 폐업: 1980년 9월 28일 |
전철화 | 1928년 11월 6일 |
이전 이름 | 1892-1938: 빌머스도르프-프리데나우 1938-1980: 빌머스도르프 (S반만 해당) |
승객 수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 | |
운행 정보 | |
S반 | S41: 인스브루커 플라츠 - 하이델베르거 플라츠 S42: 인스브루커 플라츠 - 하이델베르거 플라츠 S46: 하이델베르거 플라츠 - 인스브루커 플라츠 |
U반 | U9: 프리드리히-빌헬름-플라츠 - 베를리너 슈트라세 |
위치 정보 | |
소재지 | 베를린 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
좌표 | 해당 정보 없음 |
연혁 | |
S반 파업 | 1980년 9월 18일 |
S반 공식 폐업 | 1980년 9월 28일 |
순환선 개업 | 1892년 5월 1일 |
S반 복원 | 1993년 12월 17일 |
U9 개업 | 1971년 1월 29일 |
2. 역사
1877년 11월 순환선 교각이 당시 슈트라스부르거 플라츠(Straßburger Platz) 남쪽을 지나면서 이 역의 전신인 빌머스도르프-프리데나우역(Wilmersdorf-Friedenau)이 개업했다. 1892년 5월 1일 순환선 복복선화로 현재 위치에서 약간 동쪽으로 이전했다. 1928년 11월 6일 순환선 전철화와 함께 S반 정차역으로 편입되었고, 1938년 빌머스도르프역(Wilmersdorf)으로 개명되었다. 1980년 독일국영철도 파업으로 S반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독일의 재통일 이후 운행이 복구되었다. 1992년/1993년 먼저 개통된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분데스플라츠 방면으로 서쪽으로 110 m 이전하고 새로운 환승 통로를 건설하면서 도시 철도역 이름을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S반 정차역은 1993년 12월 17일에 개업했다.
승강장에는 승무용 조망실이 설치되어 있으며,[3] 2015년 말에는 1인 승무용 ZAT-FM이 설치되었다.[4]
=== U반 ===
분데스플라츠 지하철역은 1971년 1월 29일에 U9 노선의 일부로 개업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진행된 G선 공사의 일부였다. 라이너 륌러가 역사를 설계했다. 분데스알레(Bundesallee)가 순환선 철도 아래를 통과하는 지하 차도 때문에 베를리너 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양방향 승강장이 별도의 터널상에 건설된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형태이며, 대합실을 통해 양방향을 오갈 수 있다.
승강장 외벽은 흰색 타일이며, 선로 쪽 외벽은 파란색이다. 원래 역명판은 역사 외벽 중앙을 평행하게 따라 가는 흰색 타일 위에 금속제 글자로 역명이 표기된 형태였다. 프리드리히빌헬름플라츠역 및 베를리너 슈트라세역에서 비슷한 양식을 볼 수 있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승강장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승강장 외벽 타일은 더 커졌으며, 선로 쪽 외벽 타일은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방면 서쪽 승강장은 파란색, 오슬로어 슈트라세 방면 동쪽 승강장은 갈색으로 변경되었다. 대합실은 파란색, 갈색, 흰색을 사용했다. 외벽에는 과거 분데스플라츠 일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밝은 회색 화강암으로 바닥이 교체되었고 점자 블록이 설치되었다.
=== 화물역 ===
빌머스도르프 화물역은 S반 승강장의 남동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스브루커 플라츠역 일대까지 이어진다. 1996년 이노트랜스 옥외 전시장으로도 사용되었다.[5]
화물역 폐역 후 2008년에는 선로가 철거되었다. 2010년에는 도이체 반에서 58,000 m² 부지를 매각했다. 해당 부지에는 프리데나우어 회에(Friedenauer Höhe) 주택 단지 및 상업 시설이 설치되었다. 라이너 륌러가 설계한 화물역을 제어하는 Wl 신호소는 아우토반 100호선 건설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1971년 6월부터 2003년까지 사용했다가 2014년 초에 철거되었다. 2015년 10월 6일 독일 연방철도청이 해당 부지를 철도 부지에서 지정 해제했다.[5]
2. 1. S반
1877년 11월 순환선 교각이 당시 슈트라스부르거 플라츠(Straßburger Platz) 남쪽을 지나면서 이 역의 전신인 빌머스도르프-프리데나우역(Wilmersdorf-Friedenau)이 개업했다. 1892년 5월 1일 순환선 복복선화로 현재 위치에서 약간 동쪽으로 이전했다. 1928년 11월 6일 순환선 전철화와 함께 S반 정차역으로 편입되었고, 1938년 빌머스도르프역(Wilmersdorf)으로 개명되었다. 1980년 독일국영철도 파업으로 S반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독일의 재통일 이후 운행이 복구되었다. 1992년/1993년 먼저 개통된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분데스플라츠 방면으로 서쪽으로 110 m 이전하고 새로운 환승 통로를 건설하면서 도시 철도역 이름을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S반 정차역은 1993년 12월 17일에 개업했다.승강장에는 승무용 조망실이 설치되어 있으며,[3] 2015년 말에는 1인 승무용 ZAT-FM이 설치되었다.[4]
2. 2. U반
분데스플라츠 지하철역은 1971년 1월 29일에 U9 노선의 일부로 개업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진행된 G선 공사의 일부였다. 라이너 륌러가 역사를 설계했다. 분데스알레(Bundesallee)가 순환선 철도 아래를 통과하는 지하 차도 때문에 베를리너 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양방향 승강장이 별도의 터널상에 건설된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형태이며, 대합실을 통해 양방향을 오갈 수 있다.승강장 외벽은 흰색 타일이며, 선로 쪽 외벽은 파란색이다. 원래 역명판은 역사 외벽 중앙을 평행하게 따라 가는 흰색 타일 위에 금속제 글자로 역명이 표기된 형태였다. 프리드리히빌헬름플라츠역 및 베를리너 슈트라세역에서 비슷한 양식을 볼 수 있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승강장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승강장 외벽 타일은 더 커졌으며, 선로 쪽 외벽 타일은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방면 서쪽 승강장은 파란색, 오슬로어 슈트라세 방면 동쪽 승강장은 갈색으로 변경되었다. 대합실은 파란색, 갈색, 흰색을 사용했다. 외벽에는 과거 분데스플라츠 일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밝은 회색 화강암으로 바닥이 교체되었고 점자 블록이 설치되었다.
2. 3. 화물역
빌머스도르프 화물역은 S반 승강장의 남동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인스브루커 플라츠역 일대까지 이어진다. 1996년 이노트랜스 옥외 전시장으로도 사용되었다.[5]화물역 폐역 후 2008년에는 선로가 철거되었다. 2010년에는 도이체 반에서 58,000 m² 부지를 매각했다. 해당 부지에는 프리데나우어 회에(Friedenauer Höhe) 주택 단지 및 상업 시설이 설치되었다. 라이너 륌러가 설계한 화물역을 제어하는 Wl 신호소는 아우토반 100호선 건설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1971년 6월부터 2003년까지 사용했다가 2014년 초에 철거되었다. 2015년 10월 6일 독일 연방철도청이 해당 부지를 철도 부지에서 지정 해제했다.[5]
3. 역 구조
분데스플라츠 지하철역(U반)은 1971년 1월 29일에 개업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진행된 G선(오늘날의 U9) 공사의 일부로 포함되었다. 라이너 륌러가 역사를 설계했다. 분데스알레(Bundesallee)가 순환선 철도 아래를 통과하는 지하 차도 때문에 같은 노선상에 있는 베를리너 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양방향 승강장이 별도의 터널상에 건설되었다. 전체적으로는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대합실을 통해서 양방향을 오갈 수 있다.
승강장 외벽은 흰색 타일이며, 선로 쪽의 외벽은 파란색이다. 원래의 역명판은 역사 외벽 중앙을 평행하게 따라 가는 흰색 타일 위에 금속제 글자로 역명이 표기된 형태였다. 비슷한 양식은 프리드리히빌헬름플라츠역 및 베를리너 슈트라세역에서 볼 수 있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승강장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승강장 외벽 타일은 더 커졌으며, 선로 쪽 외벽 타일은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방면 서쪽 승강장은 파란색, 오슬로어 슈트라세 방면 동쪽 승강장은 갈색으로 변경되었다. 대합실은 파란색, 갈색, 흰색을 사용했다. 외벽에는 과거 분데스플라츠 일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밝은 회색 화강암으로 바닥이 교체되었고 점자 블록이 설치되었다.
3. 1. S반
3. 2. U반
라이너 륌러가 설계하였으며 1971년 1월 29일에 개업했다. 1962년부터 1968년까지 진행된 G선(오늘날의 U9) 공사의 일부로 포함되었다. 분데스알레(Bundesallee)가 순환선 철도 아래를 통과하는 지하 차도 때문에 같은 노선상에 있는 베를리너 슈트라세역과 비슷하게 양방향 승강장이 별도의 터널상에 건설되었다. 전체적으로는 폐쇄형 상대식 승강장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대합실을 통해서 양방향을 오갈 수 있다.승강장 외벽은 흰색 타일이며, 선로 쪽의 외벽은 파란색이다. 원래의 역명판은 역사 외벽 중앙을 평행하게 따라 가는 흰색 타일 위에 금속제 글자로 역명이 표기된 형태였다. 비슷한 양식은 프리드리히빌헬름플라츠역 및 베를리너 슈트라세역에서 볼 수 있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승강장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승강장 외벽 타일은 더 커졌으며, 선로 쪽 외벽 타일은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방면 서쪽 승강장은 파란색, 오슬로어 슈트라세 방면 동쪽 승강장은 갈색으로 변경되었다. 대합실은 파란색, 갈색, 흰색을 사용했다. 외벽에는 과거 분데스플라츠 일대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밝은 회색 화강암으로 바닥이 교체되었고 점자 블록이 설치되었다.
4. 인접역
반시계방향 순환
베스트엔트 방면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