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라루스인은 벨라루스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동슬라브 민족이다. 명칭은 시대에 따라 "Byelorussians", "Belarusians" 등으로 불렸으며, "백러시아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유전적으로는 유럽인과 유사하게 크로마뇽인, 초기 유럽 농민, 서부 초원 유목민의 영향을 받았다. 벨라루스인의 기원은 키예프 루스,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러시아 제국을 거치며 형성되었으며, 20세기에 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1991년 독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민족 - 리투아니아인
리투아니아인은 발트족에 속하며 리투아니아에 주로 거주하며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건설하여 국가를 형성했으며, 가톨릭을 믿고 민속 음악과 요리, 리투아니아어가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며, 해외에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 폴란드의 민족 -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으로, 그들의 명칭은 우크라이나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세계 여러 곳에 거주하며 1991년 독립 후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 리투아니아의 민족 - 리투아니아인
리투아니아인은 발트족에 속하며 리투아니아에 주로 거주하며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건설하여 국가를 형성했으며, 가톨릭을 믿고 민속 음악과 요리, 리투아니아어가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며, 해외에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 리투아니아의 민족 - 립카 타타르인
- 동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동슬라브족 -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으로, 그들의 명칭은 우크라이나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세계 여러 곳에 거주하며 1991년 독립 후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벨라루스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현지 이름 |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ы 러시아어: белорусы |
로마자 표기 | bielarusy |
인구 | 약 900만 명 |
주요 거주 지역 | 벨라루스: 799만 명 미국: 60만 명 ~ 15만5천 명 (벨라루스계) 러시아: 52만1443명 (2010년) 우크라이나: 27만5763명 (2001년) 폴란드: 10만5404명 (2020년) 라트비아: 5만5929명~6만445명 (2023년) 카자흐스탄: 6만6476명 (2010년) 독일: 6만1000명 리투아니아: 3만1000명 체코: 3만1000명 몰도바: 2만 명 캐나다: 1만5565명 브라질: 1만2100명 에스토니아: 1만1828명 (2017년) 슬로바키아: 1만54명 이탈리아: 8529명 프랑스: 7500명 영국: 7000명 아르헨티나: 7000명 스페인: 5828명 스웨덴: 2833명 노르웨이: 2015명 투르크메니스탄: 2000명 벨기에: 2000명 오스트레일리아: 1560명 (2006년) 그리스: 1168명 포르투갈: 1002명 (2009년) 불가리아: 1000명 네덜란드: 973명 (2016년) 오스트리아: 500명 미만 |
사용 언어 | 벨라루스어 (역사적 및 모국어) 러시아어 (주요 사용) |
종교 | 정교회 (다수) 로마 가톨릭교회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교회 무종교 (소수) |
관련 민족 | 기타 동슬라브족 폴레슈크인 포들라슈크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
주요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정보 | |
관련 민족 | 동슬라브족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
2. 명칭
소련 시대에는 벨라루스인들을 러시아어 "Белоруссия"에서 유래한 "Byelorussians" 또는 "Belorussians" (벨로루시에서 유래)라고 불렀다.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White Russians" 또는 "White Ruthenians" (백러시아 또는 백러시아 루테니아에서 유래, "Белая Русь"를 기반으로 함)으로 알려져 있었다.[25]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그들은 "Беларусь"에서 유래한 "Belarusians" (벨라루스에서 유래)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때때로 "Belarusans",[30] "Belarussians"[30] 또는 "Belorusians"[30]으로 표기되기도 했다.
벨라루스인은 동슬라브 민족으로, 벨라루스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30] 벨라루스 소수 민족은 벨라루스 인접국인 우크라이나, 폴란드(특히 포들라스키 주), 러시아 연방, 리투아니아에 거주한다.[30] 20세기 초, 벨라루스인들은 러시아 스몰렌스크 주변 지역에서 소수 민족을 구성했다.
"백러시아"(), "White Ruthenia" 또는 "White Russia"라고도 알려진 이 용어("Rus'"는 종종 라틴어 형태인 "Russia"와 "Ruthenia"와 혼동됨)는 중세에 폴로츠크 지역을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30][26] "Rus'"라는 이름 자체는 루스인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키예프 루스의 영토에 이름을 부여했다.[27] 얀 오브 차르누프의 연대기에는 1381년 리투아니아 대공 요가이라와 그의 어머니가 "Albae Russiae, Poloczk dictola"에 투옥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8] 17세기 동안 러시아 차르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추가된 땅을 묘사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29] 그러나 러시아 내전 동안 "White Russian"이라는 용어는 백군과 관련되게 되었다.[30]
벨라루스의 "벨라"는 "흰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벨라루스인은 종종 "백러시아인"이라고도 불린다.[63] 이 "흰색"은 그들이 입는 새하얀 민족 의상을 나타내거나, 타타르인이나 몽골인과 같은 동방 민족의 침략을 받지 않았다는 순결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백러시아인"이라는 용어는 과거 서방 국가에서 사용되었지만, "백러시아인"이 러시아인의 일부를 나타낸다고 오해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벨라루스는 이 용어의 사용에 반대해 왔다.
3. 지리적 분포
상당수의 벨라루스인들이 20세기 초 미국, 브라질,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 소비에트 시대(1917~1991) 동안 많은 벨라루스인들이 강제 이주되거나 이주되어 소련의 여러 지역, 특히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로 보내졌다.[31]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수십만 명의 벨라루스인들이 발트 3국, 미국, 캐나다, 러시아, 그리고 EU 국가로 이민을 갔다.[32]
3. 1. 대한민국으로의 이주
4. 언어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는 벨라루스의 두 공식 언어이다. 러시아어는 1995년 벨라루스 국민투표 이후 벨라루스어와 함께 공용어가 되었다.[33] 유럽 안보 협력 기구 의회 의원 회의는 이 국민투표가 국제 기준을 위반했다고 밝혔으며, 야권 인사들은 국민투표 과정에서 헌법 위반을 포함한 여러 심각한 법률 위반이 있었다고 주장했다.[33]
벨라루스 국내에 거주하는 많은 벨라루스인들은 러시아어에 능숙하며, 일상생활에서도 주로 러시아어를 사용한다(특히 민스크 등의 주요 도시). 벨라루스어는 학교 등에서 가르치고 있지만, 일상 대화에서 사용되는 기회는 적고, 출판물도 적다.
벨라루스의 "벨라"는 "흰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벨라루스인은 종종 "백러시아인"이라고도 불린다.[63] 이 "흰색"은 그들이 입는 새하얀 민족 의상을 나타내거나, 타타르인이나 몽골인과 같은 동방 민족의 침략을 받지 않았다는 순결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백러시아인"이라는 용어는 과거 서방 국가에서 사용되었지만, "백러시아인"이 러시아인의 일부를 나타낸다고 오해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벨라루스는 이 용어의 사용에 반대해 왔다.
5. 유전학
벨라루스인은 대부분의 유럽인과 마찬가지로 크게 세 가지 계보에서 유래한다.[36] 약 4만 5천 년 전 유럽에 도착한 크로마뇽인에서 유래한 중석기 시대 수렵 채집인,[34] 9천 년 전 신석기 혁명 동안 소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초기 유럽 농민,[35] 그리고 5천 년 전 인도유럽어족의 이동 과정에서 폰토스-카스피해 초원에서 유럽으로 확장된 야므나야 문화의 서부 초원 유목민이다.[36]
벨라루스인에게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를 특징짓는 하플로그룹 R1a(Y염색체)가 39.0%[64]~51.0%[65]의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 같은 동슬라브 민족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과 달리, 루신인과 함께 서쪽으로 진출한 튀르크계 및 몽골계 등의 이민족과의 혼혈은 적고, 코카소이드의 유전자를 짙게 남긴 특징이 있다.
6. 역사
벨라루스 국민의 기원은 오랫동안 이 지역에 거주해 온 동슬라브계 여러 부족인 루시인(루테니아인)의 북부 집단으로 여겨지며, 고대에는 키예프 대공국을 구성하는 여러 공국을 지지했다. 이후 이 지역을 오랫동안 지배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는 루시의 남부 지역에 속했던 루테니아인의 남부 집단과는 다른 문화를 발전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에는 인구 수에서 우세한 벨라루스인 귀족들이 리투아니아인들에 비해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후에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연합으로 대부분이 폴란드화되어 슈략타(일반적으로 "폴란드 귀족"이라고 함)가 되었다. 이 시대에는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고, 루시인 또는 남부 루시인과 구분하여 리트비니/Літвіныbe라고 불렸다. 단, 이 경우의 리투아니아인은 일종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람"이라는 의미이며, 오늘날의 리투아니아인은 아니다.
철기 시대에 현재 벨라루스 남부에는 밀로그라드 문화(기원전 7세기~기원전 3세기)와 후기 자루빈치 문화에 속하는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발트족으로 간주한다. 공원(Common Era) 초부터 슬라브족이 이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으며, 민족 대이동(4세기) 동안 그 과정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발트 문화와 슬라브 문화의 독특한 공생 현상이 일어났지만, 7세기~8세기 발트족 정착지의 수많은 화재에서 알 수 있듯이 완전히 평화로운 과정은 아니었다. 러시아 고고학자 발렌틴 세도프/Седов, Валентин Васильевичru에 따르면, 발트족과의 활발한 접촉이 다른 동슬라브들과 구별되는 벨라루스 부족의 독특한 특징에 기여했다.
발트족 인구는 점차 슬라브화되어 동화되었고, 이 과정은 벨라루스 동부와 중부에서는 12세기경에 끝났다. 8세기~9세기 벨라루스 지역에는 크리비치족, 드레고비치족, 라디미치족의 세 부족 연맹이 거주했다. 이 중 크리비치족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들이 건설한 폴로츠크는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화 및 정치 중심지였다. 이 시기에 벨라루스 지역에 형성된 공국들은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다. 동슬라브 언어 공동체의 형성과 벨라루스 방언의 분리 과정이 서서히 진행되었다.
벨라루스인의 민족적 기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그 이전의 키예프 루스, 폴로츠크 공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0] 13세기와 14세기에 네만 강, 드네프르 강, 다우가바 강 상류 유역에서 벨라루스인이 민족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39] 리투아니아의 영토 확장으로 벨라루스 땅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으며, 이 사건은 발트 지역 인구의 슬라브화를 가속화시켰다. 13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독특한 루테니아어가 형성되었으며,[39] 벨라루스 연구자들은 이를 "고대 벨라루스어"라고 부른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통치자들과 엘리트들은 루테니아 문화, 특히 루테니아어를 채택했으며, 이는 주요 서면 언어가 되었다.
리투아니아인 (Litvin)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모든 주민, 특히 귀족 계급을 민족이나 종교에 관계없이 지칭하는 용어였다. 정교회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Rusyn''(루테니아인)이라고 불렸으며, 16세기 말 이후로는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동슬라브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부에는 리투아니아 본토와 루스' 사이에 지리적 분할이 있었는데, 리투아니아 본토에는 폴로츠크, 비테프스크, 오르샤, 민스크 등이 포함된 벨라루스 중부와 서부 지역이 포함되었다.
17세기부터 동부 벨라루스(폴로츠크, 비테프스크) 지역을 가리키는 백러시아 (White Ruthenia)()라는 이름과 "벨라루스인", "벨라루스 신앙", "벨라루스어"라는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역사가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에 따르면, 자신을 "벨라루스인"이라고 처음으로 부른 사람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솔로몬 판테루스 레우코루수스)였다.
1630년대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폴란드의 고차원 문화가 높은 위상을 차지하면서 고대 벨라루스어(루테니아어)는 폴란드어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1697년 루테니아어는 공용어에서 제외되었다. 17세기까지 모스크바는 벨라루스라는 단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벨라루스인들을 러시아인으로 간주했다. 세 차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할 동안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부분 영토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90ca9e2_ed47dd85.png|thumb|
벨라루스인들의 역사적 영토
현대 국가 경계
예핌 카르스키(1903)의 언어 지도에 따름
미트로판 도브나르-자폴스키(1919)에 따름
카르스키와 도브나르-자폴스키 사이의 주요 차이는 카르스키가 우크라이나-벨라루스어의 과도기적 방언을 식별했기 때문입니다.
]]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멸망한 후, 예카테리나 2세는 폴로츠크 주(Polotsk Governorate)와 모길료프 주를 합쳐 벨라루스 총독령을 설립했다.[26] 그러나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는 1839년에 벨라루스라는 명칭의 사용을 금지하고, 북서부 변경주(Northwestern Krai)로 대체했다.[44] 이 지역은 유대인의 영주권 거주가 허용된 지역인 거주지역(Pale of Settlement)에 속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제국의 몰락 동안, 1918년 3월 단명한 벨라루스 민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45] 그 후, 1921년 리가 조약에서 현대 벨라루스의 영토는 폴란드 제2공화국과 소비에트 러시아 사이에 분할되었다.[45] 후자는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건설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벨라루스와 재통합되어 소비에트 연방 해체(1991년 벨라베자 협정으로 종식) 때까지 존속했다.[45] 현대 벨라루스 공화국은 그 이후로 존재한다.[45]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이 지역을 지배해 온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뒤이은 러시아 임시 정부는 여러 민족을 하나로 묶을 만한 구심력이 없어 민족 독립의 기운이 높아졌다. 볼셰비키 정부가 수립되자 독립 운동은 본격화되었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의해 러시아의 지배는 끝났다. 이 조약으로 국제적으로 백러시아(벨라루스) 국가 건설이 인정되었고, 현재 벨라루스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의 루테니아인 농민 계급은 그들의 민족 국가를 얻게 되었다. 처음에는 독일 제국군의 점령하에 그 군사력을 배경으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수립했지만 볼셰비키와의 투쟁에서 패배하고, 볼셰비키 계열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건국되었다. 이 나라는 1919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고, 1923년부터는 소비에트 연방을 구성하는 공화국이 되었다. 벨라루스가 완전히 독립하게 된 것은 소련이 붕괴된 이후였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3년간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벨라루스에서 사망했는데, 이는 당시 지역 인구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45] 심지어 사망자 수가 300만 명에 달하거나 인구의 30%에 이른다는 주장도 있다.[46]
6. 1.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
신석기 시대 대부분의 현재 벨라루스 지역에는 핀우그리아인이 거주했다. 인도유럽계 인구는 청동기 시대에 나타났다.[37][38]6. 2. 중세 초기
철기 시대에 현재 벨라루스 남부에는 밀로그라드 문화(기원전 7세기~기원전 3세기)와 후기 자루빈치 문화에 속하는 부족들이 거주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발트족으로 간주한다. 공원(Common Era) 초부터 슬라브족이 이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으며, 민족 대이동(4세기) 동안 그 과정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발트 문화와 슬라브 문화의 독특한 공생 현상이 일어났지만, 7세기~8세기 발트족 정착지의 수많은 화재에서 알 수 있듯이 완전히 평화로운 과정은 아니었다. 러시아 고고학자 발렌틴 세도프/Седов, Валентин Васильевичru에 따르면, 발트족과의 활발한 접촉이 다른 동슬라브들과 구별되는 벨라루스 부족의 독특한 특징에 기여했다.발트족 인구는 점차 슬라브화되어 동화되었고, 이 과정은 벨라루스 동부와 중부에서는 12세기경에 끝났다. 8세기~9세기 벨라루스 지역에는 크리비치족, 드레고비치족, 라디미치족의 세 부족 연맹이 거주했다. 이 중 크리비치족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들이 건설한 폴로츠크는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화 및 정치 중심지였다. 이 시기에 벨라루스 지역에 형성된 공국들은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다. 동슬라브 언어 공동체의 형성과 벨라루스 방언의 분리 과정이 서서히 진행되었다. 벨라루스 국민의 기원은 오랫동안 이 지역에 거주해 온 동슬라브계 여러 부족인 루시인(루테니아인)의 북부 집단으로 여겨지며, 고대에는 키예프 대공국을 구성하는 여러 공국을 지지했다.
6. 3. 리투아니아 대공국
벨라루스인의 민족적 기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그 이전의 키예프 루스, 폴로츠크 공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0] 13세기와 14세기에 네만 강, 드네프르 강, 다우가바 강 상류 유역에서 벨라루스인이 민족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39] 리투아니아의 영토 확장으로 벨라루스 땅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으며, 이 사건은 발트 지역 인구의 슬라브화를 가속화시켰다. 13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독특한 루테니아어가 형성되었으며,[39] 벨라루스 연구자들은 이를 "고대 벨라루스어"라고 부른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통치자들과 엘리트들은 루테니아 문화, 특히 루테니아어를 채택했으며, 이는 주요 서면 언어가 되었다.
리투아니아인 (Litvin)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모든 주민, 특히 귀족 계급을 민족이나 종교에 관계없이 지칭하는 용어였다. 정교회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Rusyn''(루테니아인)이라고 불렸으며, 16세기 말 이후로는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동슬라브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부에는 리투아니아 본토와 루스' 사이에 지리적 분할이 있었는데, 리투아니아 본토에는 폴로츠크, 비테프스크, 오르샤, 민스크 등이 포함된 벨라루스 중부와 서부 지역이 포함되었다.
17세기부터 동부 벨라루스(폴로츠크, 비테프스크) 지역을 가리키는 백러시아 (White Ruthenia)()라는 이름과 "벨라루스인", "벨라루스 신앙", "벨라루스어"라는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41] 역사가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에 따르면, 자신을 "벨라루스인"이라고 처음으로 부른 사람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솔로몬 판테루스 레우코루수스)였다.[42]
1630년대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폴란드의 고차원 문화가 높은 위상을 차지하면서 고대 벨라루스어(루테니아어)는 폴란드어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1697년 루테니아어는 공용어에서 제외되었다.[43] 17세기까지 모스크바는 벨라루스라는 단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벨라루스인들을 러시아인으로 간주했다.[41] 세 차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할 동안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부분 영토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90ca9e2_ed47dd85.png|thumb|
벨라루스인들의 역사적 영토
카르스키와 도브나르-자폴스키 사이의 주요 차이는 카르스키가 우크라이나-벨라루스어의 과도기적 방언을 식별했기 때문입니다.
]]
벨라루스 국민의 기원은 루시인(루테니아인)의 북부 집단으로, 키예프 대공국을 구성하는 여러 공국을 지지했다.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루시의 남부 지역과는 다른 문화를 발전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 벨라루스인 귀족들은 리투아니아인들에 비해 실권을 장악했고, 폴란드 왕국과의 연합으로 대부분 폴란드화되어 슈략타가 되었다. 이 시대에는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 대신 리트비니/Літвіныbe라고 불렸는데,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람"이라는 의미였다.
6. 4.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벨라루스 국민의 기원은 오랫동안 이 지역에 거주해 온 동슬라브계 여러 부족인 루시인(루테니아인)의 북부 집단으로 여겨지며, 고대에는 키예프 대공국을 구성하는 여러 공국을 지지했다. 이후 이 지역을 오랫동안 지배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는 루시의 남부 지역에 속했던 루테니아인의 남부 집단과는 다른 문화를 발전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에는 인구 수에서 우세한 벨라루스인 귀족들이 리투아니아인들에 비해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후에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연합으로 대부분이 폴란드화되어 슈략타(일반적으로 "폴란드 귀족"이라고 함)가 되었다. 이 시대에는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고, 루시인 또는 남부 루시인과 구분하여 리트비니/Літвіныbe라고 불렸다. 단, 이 경우의 리투아니아인은 일종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람"이라는 의미이며, 오늘날의 리투아니아인은 아니다.6. 5. 러시아 제국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리투아니아가 멸망한 후, 예카테리나 2세는 폴로츠크 주(Polotsk Governorate)와 모길료프 주를 합쳐 벨라루스 총독령을 설립했다.[26] 그러나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는 1839년에 벨라루스라는 명칭의 사용을 금지하고, 북서부 변경주(Northwestern Krai)로 대체했다.[44] 이 지역은 유대인의 영주권 거주가 허용된 지역인 거주지역(Pale of Settlement)에 속해 있었다.벨라루스 국민의 기원은 오랫동안 이 지역에 거주해 온 동슬라브계 여러 부족인 루시인(루테니아인)의 북부 집단으로 여겨지며, 고대에는 키예프 대공국을 구성하는 여러 공국을 지지했다. 이후 이 지역을 오랫동안 지배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는 루시의 남부 지역에 속했던 루테니아인의 남부 집단과는 다른 문화를 발전시켰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 인구 수에서 우세한 벨라루스인 귀족들은 리투아니아인들에 비해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고, 후에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연합으로 대부분이 폴란드화되어 슈략타(일반적으로 "폴란드 귀족"이라고 함)가 되었다. 이 시대에는 벨라루스인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고, 루시인 또는 남부 루시인과 구분하여 리트비니/Літвіныbe라고 불렸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뒤이은 러시아 임시 정부는 여러 민족을 하나로 묶을 만한 구심력이 없었고 민족 독립의 기운이 높아졌다. 볼셰비키 정부가 수립되자 독립 운동은 본격화되었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의해 러시아의 지배는 끝났다.
6. 6.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제국의 몰락 동안, 1918년 3월 단명한 벨라루스 민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45] 그 후, 1921년 리가 조약에서 현대 벨라루스의 영토는 폴란드 제2공화국과 소비에트 러시아 사이에 분할되었다.[45] 후자는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건설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벨라루스와 재통합되어 소비에트 연방 해체(1991년 벨라베자 협정으로 종식) 때까지 존속했다.[45] 현대 벨라루스 공화국은 그 이후로 존재한다.[45]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이 지역을 지배해 온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뒤이은 러시아 임시 정부는 여러 민족을 하나로 묶을 만한 구심력이 없어 민족 독립의 기운이 높아졌다. 볼셰비키 정부가 수립되자 독립 운동은 본격화되었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의해 러시아의 지배는 끝났다. 이 조약으로 국제적으로 백러시아(벨라루스) 국가 건설이 인정되었고, 현재 벨라루스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의 루테니아인 농민 계급은 그들의 민족 국가를 얻게 되었다. 처음에는 독일 제국군의 점령하에 그 군사력을 배경으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수립했지만 볼셰비키와의 투쟁에서 패배하고, 볼셰비키 계열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건국되었다. 이 나라는 1919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고, 1923년부터는 소비에트 연방을 구성하는 공화국이 되었다. 벨라루스가 완전히 독립하게 된 것은 소련이 붕괴된 이후였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3년간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벨라루스에서 사망했는데, 이는 당시 지역 인구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45] 심지어 사망자 수가 300만 명에 달하거나 인구의 30%에 이른다는 주장도 있다.[46]
6. 6. 1.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집권과 독재
아무 내용도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 정보를 제공해 주십시오.7. 요리
벨라루스 요리는 다른 동유럽과 북유럽 국가들의 요리와 같은 뿌리를 공유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hanges in the populations of the majority ethnic groups
http://www.belstat.g[...]
2016-07-28
[2]
웹사이트
Demographic situation in 2015
http://belstat.gov.b[...]
Belarus Statistical Office
2016-01-27
[3]
서적
Belarus at the Crossroads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4]
백과사전
Belarusan americans
http://www.everycult[...]
2016-07-28
[5]
웹사이트
Country: United States: Belarusians
https://joshuaprojec[...]
2016-05-23
[6]
웹사이트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2010 population by nationality, sex and subjects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demoscope.ru/[...]
2016-07-28
[7]
웹사이트
Всеукраїнський перепис населення 2001 - Результати - Основні підсумки -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населення
http://2001.ukrcensu[...]
2017-08-02
[8]
웹사이트
Populacja cudzoziemców w Polsce w czasie COVID-19
https://stat.gov.pl/[...]
2022-01-20
[9]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ity at the beginning of year – Time period and Ethnicity | National Statistical System of Latvia
https://data.stat.go[...]
2023-06-10
[10]
웹사이트
Latvijas iedzīvotāju sadalījums pēc nacionālā sastāva un valstiskās piederības, 01.01.2023. - PMLP
https://www.pmlp.gov[...]
2023-06-10
[11]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2009 года. Краткие итоги. (Census for the Republic of Kazakhstan 2009. Short Summary)
http://www.stat.kz/p[...]
Republic of Kazakhstan Statistical Agency
2010-12-10
[12]
웹사이트
Bevölkerung in Privathaushalten nach Migrationshintergrund im weiteren Sinn nach ausgewählten Geburtsstaaten
https://www.destatis[...]
2022-03-14
[13]
웹사이트
Gyventojų skaičius metų pradžioje. Požymiai: Tautybė - Rodiklių duomenų bazėje
http://db1.stat.gov.[...]
2011-12-03
[14]
웹사이트
Как живешь, белорусская диаспора?
http://www.belarusti[...]
2012-03-13
[15]
웹사이트
Ethnic Origin (264),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Groups (10)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http://www12.statcan[...]
2013-05-08
[16]
웹사이트
Rahvaarv rahvuse järgi, 1. jaanuar, aasta - Eesti Statistika
http://www.stat.ee/3[...]
2017-08-02
[17]
웹사이트
Población extranjera por Nacionalidad, provincias, Sexo y Año
https://www.ine.es/j[...]
2021-04-12
[18]
웹사이트
Utrikes födda efter födelseland och invandringsår
http://www.scb.se/sv[...]
2015-12-31
[19]
웹사이트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https://www.ssb.no/e[...]
[20]
웹사이트
20680-Ancestry (full classification list) by Sex - Australia
http://www.censusdat[...]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8-06-02
[21]
웹사이트
Usually resident population by citizenship and age on 1 January - Both sexes
http://www.statistic[...]
2011-06-05
[22]
웹사이트
POPULAÇÃO ESTRANGEIRA RESIDENTE EM TERRITÓRIO NACIONAL - 2009
http://sefstat.sef.p[...]
2011-01-01
[23]
웹사이트
CBS StatLine - Population; sex, age and nationality, 1 January
http://statline.cbs.[...]
2017-08-02
[24]
웹사이트
The Belarusian Diaspora Awakens {{!}} German Marshall Fund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gmfus.or[...]
2023-08-11
[25]
웹사이트
"Як нас заве сьвет — "Беларашэн" ці Belarus(i)an?"
https://www.svaboda.[...]
2016-07-28
[26]
서적
Belarus: pages of history
https://books.google[...]
Litres
2022-05-15
[27]
서적
Viking Ru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8]
논문
[29]
논문
[30]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5-25
[31]
웹사이트
Belarus: Russian Revolution and the Soviet Union - EuroDocs
https://eudocs.lib.b[...]
2023-08-11
[32]
웹사이트
Migration Dilemmas Haunt Post-Soviet Russia
https://www.migratio[...]
2002-10-01
[33]
웹사이트
› Беларуская Салідарнасьць » Сяргей Навумчык: Парушэньні ў часе рэфэрэндуму - 1995
http://www.bielarus.[...]
[34]
뉴스
The first Europeans weren't who you might think
https://www.national[...]
2019-08-01
[35]
학술지
Thousands of horsemen may have swept into Bronze Age Europe, transforming the local population
https://www.science.[...]
2017-02-21
[36]
논문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2015-06-11
[37]
서적
История Беларус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2012 г.
Вышэйшая школа
2012
[38]
서적
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2 ч. Частка 1. Са старажытных часоў да канца XVIII ст.
РІВШ БДУ
2000
[39]
서적
Беларусы : у 10 т.
Беларус. навука
2007
[40]
웹사이트
Belarus - Culture, Traditions, Arts
https://www.britanni[...]
2023-08-11
[41]
서적
Handbook of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The Success-Failure Continuum in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Efforts (Volume 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21
[42]
웹사이트
The Orthodoxy in the Grand Duchy of Lithuania and Protestants of Belarus
https://belreform.or[...]
2024-08-19
[43]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44]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3
[45]
웹사이트
The tragedy of Khatyn - Genocide policy
https://www.khatyn.b[...]
SMC Khatyn
[46]
웹사이트
World War II -- 60 Years After: Legacy Still Casts Shadow Across Belarus
https://www.rferl.or[...]
2005-05-04
[47]
웹사이트
1999 census
http://belstat.gov.b[...]
[48]
웹사이트
Demographics of Russia
https://en.wikipedia[...]
[49]
웹사이트
Demographics of USA
https://en.wikipedia[...]
[50]
웹사이트
Про кількість та склад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за підсумками Всеукраїнського перепису населення 2001 року
http://2001.ukrcensu[...]
[51]
웹사이트
Demographics of Kazakhstan
https://en.wikipedia[...]
[52]
웹사이트
On key provisional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http://www.csb.gov.l[...]
2015-03-18
[53]
웹사이트
Ethnic Origin (264), Single and Multiple Ethnic Origin Responses (3), Generation Status (4), Age Groups (10)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in Private Households of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http://www12.statcan[...]
2013-11-24
[54]
웹사이트
EMZ Berlin
http://www.emz-berli[...]
2015-03-18
[55]
웹사이트
Przynależność narodowo-etniczna ludności – wyniki spisu ludności i mieszkań 2011
http://www.stat.gov.[...]
2013-03-06
[56]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db1.stat.gov.[...]
[57]
웹사이트
http://www.belarusti[...]
[58]
웹사이트
2013 census
http://www.stat.ee/3[...]
Eesti Statistikaamet
[59]
웹사이트
http://www.istat.it/[...]
[60]
웹사이트
Error
http://www.statistic[...]
2015-03-18
[61]
웹사이트
http://sefstat.sef.p[...]
[6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5-03-18
[63]
웹사이트
루시
[64]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in Europe is Clinal and Influenced Primarily by Geography, Rather than by Language
[65]
논문
Multiple origins of Ashkenazi Levites: Y chromosome evidence for both Near Eastern and European ancest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