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영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영로는 1898년 서울에서 태어난 시인, 번역가, 교육자, 언론인이다. 1918년 영시 '코스모스'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으며,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영문으로 번역했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동아일보 기자,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961년 인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일보 사람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경성YMCA영어학교 동문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는 1893년 통제영학당을 기원으로 1949년 개칭된 4년제 사관학교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하며 "진리를 구하자, 허위를 버리자, 희생하자"라는 교훈 아래 해군 장교를 양성한다.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진해비행장
진해비행장은 1942년 일본 해군 기지로 설립되어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 및 한국 전쟁 중 미 공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정기 운항편이 없고 주변 고도 제한으로 건물 건설에 제약이 있다.
변영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업 | 시인 영문학자 |
활동 기간 | 1914년 ~ 1960년 2월 29일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898년 |
출생지 | 한성부 |
사망일 | 1961년 |
사망 장소 | 서울특별시 |
학력 | |
대학교 | 미국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
경력 | |
언론 | 동아일보 기자 |
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교수 |
가족 | |
조부 | 변해영 |
부 | 변정상 |
모 | 진주 강씨 부인 |
배우자 | 초배 이흥순 계배 양창희 |
자녀 | 슬하 2남 3녀 (그 중 장남 변공수, 차남 변문수) |
형제 | 변영만 변영태 |
작품 활동 | |
주요 작품 | 「코스모스」 「꿈많은 나에게」 「나의 꿈은」 「논개」 |
수상 | |
수상 내역 | 1948년 제1회 서울시문화상 |
기타 | |
![]() 변영로 작가의 논개 시비 |
2. 생애
변영로는 시인이자 교육자, 언론인, 영문학자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했다. 그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초기: 1898년 서울특별시 출생, 중앙학교 중퇴,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임.
- 문학: 1918년 등단, 《폐허》, 《장미촌》 동인으로 활동. 민족 의식을 담은 시와 수필 발표. 일제 강점기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 영문 번역,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투옥.
- 교육: 이화여자전문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영문학 교수 재직. 미국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문학 수학.
- 언론: 동아일보 기자, 『신가정』 주간 역임. 광복 후 대한공론사 이사장으로 영자 일간지 발간.
- 국제 교류: 1955년 초대 한국 펜클럽 회장, 국제 펜클럽 대회 한국 대표로 참석.
- 말년: 1961년 인후암으로 사망.
연도 | 내용 |
---|---|
1919년 | 장남 변철수 출생. 독립선언서 영역, 해외 발송. |
1920년 | 일본 도쿄 체류. |
1925년 | 장녀 변진수 출생. |
1931년 | 차남 변공수 출생. |
1934년 | 부인 이순흥 사망. |
1935년 | 양창희와 재혼. |
1937년 | 사남 변문수 출생. |
1938년 | 오남 변천수 출생. |
1949년 | 서울시 문화상(문학 부문) 수상. |
1950년 | 한국 전쟁으로 부산 피난. |
1953년 | 서울 귀환. 서울신문사 이사, 대한공론사 사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위원장 역임. |
2. 1. 출생과 성장
변영로는 1898년 음력 5월 9일 한성부 남서 회현방(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원적지는 경기도 부평도호부 하오정면 고리동(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313번지)이다. 6남매 중 막내였으며, 아버지는 변정상으로 23세에 과거 시험에 수석으로 급제하여 삼화감리 겸 부윤을 지낸 인물이며, 시에도 뛰어난 재능이 있었다.[5]
고려 왕조 말기의 대표적인 시인 변계량의 후손이기도 하다. 변영로의 시문에 대한 재능은 먼 조상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것이었을 것이다.[5]
장남 변영만은 한학자이자 법률가였고, 차남 변영태는 영문학자이며 후일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변영로는 6세부터 학업을 시작하였고, 14세 때 두 살 위인 이순흥과 결혼하였다.[5]
소년 시절에는 장난기가 많았던 듯하며, 체육 선생님에게 문제아로 취급받아 중앙학교를 중퇴하고 중앙기독교청년회관 영어반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보통 몇 년이 걸리는 과정을 6개월 만에 마칠 정도의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 영어반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 영문학에 몰두하였고, 16세 때 잡지 『동명』에 영시 "코스모스"를 발표하며 재능을 세상에 알리게 되었다. 그 재능을 인정받아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과 중앙학교 영어 교사를 역임하게 된다.[5]
1910년 사립 중앙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2년 자퇴하고, 1915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학교 영어반에 입학하여 3년 과정을 6개월 만에 마쳤다.[4]
다음은 연도별 상세 행적이다.
연도 | 내용 |
---|---|
1898년 | 음력 5월 9일, 서울특별시 한성(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맹현(가회동)에서 태어남. |
1904년 | 제동보통학교 입학. 이후 계동보통학교로 전학. |
1909년 | 중앙학교(후의 중앙고등보통학교) 입학. |
1912년 | 이순흥과 결혼. 중앙학교 중퇴. |
1913년 |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 6개월 수료. |
1916년 |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 교사 역임. |
1918년 |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사 역임. |
2. 2. 학창 시절
1898년 음력 5월 9일, 한성부 남서 회현방(지금의 서울특별시)에서 출생하였다. 원적지는 경기도 부평도호부 하오정면 고리동(지금의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313번지)이다. 6세부터 학업을 시작하였고, 1904년 제동보통학교에 입학, 이후 계동보통학교로 전학하였다. 1909년 중앙학교(후의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2년 자퇴하였다.소년 시절에는 장난기가 많아 체육 선생님에게 문제아로 취급받아 중앙학교를 중퇴했다고 한다. 14세 때 두 살 위인 이순흥과 결혼하였다.
1913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에 입학하여 3년 과정을 6개월 만에 마쳤다.[1] 1916년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 교사를, 1918년에는 중앙고등보통학교 교사를 역임했다.
2. 3. 문학 활동과 사회 참여
변영로는 1918년 『청춘(靑春)』에 영시 「코스모스(Cosmos)」를 발표하면서 시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 1919년에는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영문으로 번역하는 일을 맡았다.[1] 1920년에는 문예잡지 《폐허》, 1921년에는 《장미촌(薔薇村)》 동인으로 참가하였으며, 『신민공론(新民公論)』 주필을 지냈다.[1] 신문학 초창기에 등장한 신시의 선구자로서, 압축된 시구 속에 서정과 상징을 담은 기교를 보였다.[1] 민족 의식을 시로 표현하고 수필에도 재능이 있었다.[1]1924년에 발표된 "조선의 심"은 일제에 대한 울분을 내포하고 있다. 1922년부터 문예잡지 『개벽』에 수필과 영시 번역을 발표하기 시작했다.[4]
1937년 기독교청년회의 비밀결사였던 "흥업클럽" 회원들이 검거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그와 관련된 "청우회" 회원들도 검거되어 회원이었던 변영로 또한 체포되어 서대문경찰서 유치장에 1개월간 구금되었다.[4] 이후에도 일제의 압력이 강해져 문학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게 되자 술로써 괴로움을 달랬다.[4]
해방 후 1955년 "불혹과 부동심"이라는 작품이 공자와 맹자를 모욕한 것이라는, 이른바 "선성모독" 사건으로 인해 성균관대학교를 사임하게 된다.[4]
2. 4. 교육 활동
1913년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에서 3년 과정을 6개월 만에 마치는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1] 영어반을 마친 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 영문학에 몰두하였고, 16세 때 잡지 『동명』에 영시 "코스모스"를 발표하며 재능을 세상에 알렸다.[4] 이러한 재능을 인정받아 중앙기독교청년회 영어반과 중앙학교 영어 교사를 역임하게 된다.1923년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 강사로 부임하여 활동하였다.[1] 1927년, 이화여자대학교(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취임하였다.[4]
1931년 미국으로 유학을 가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중퇴하였다.[1] 1933년, 산호세 주립대학교 졸업 후 귀국하였다.[4]
광복 뒤 1946년에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교수[1], 1950년에 해군사관학교 영어교관을 역임하였다.[1] 1955년 "불혹과 부동심"이라는 작품이 공자와 맹자를 모욕한 것이라는, 이른바 "선성모독" 사건으로 인해 성균관대학교를 사임하게 된다.[4]
2. 5. 언론 활동과 광복 이후
1933년 동아일보 기자, 1934년 『신가정(新家庭)』 주간을 지냈다.[1] 광복 후 1946년에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교수, 1950년에 해군사관학교 영어교관을 역임하였다.[1] 1951년 제2회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했다.[1]1953년에 대한공론사(大韓公論社) 이사장에 취임하여 영자 일간지를 발간하였다.[1] 1955년 제1대 한국 펜클럽 회장에 선출되어 제27차 비엔나국제펜클럽대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다.[1]
해방 후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취임하였으나, 1955년 "불혹과 부동심"이라는 작품이 공자와 맹자를 모욕했다는 이른바 "선성모독" 사건으로 인해 동 대학교를 사임하게 된다.[4]
2. 6. 국제 교류와 말년
1953년 대한공론사 이사장에 취임하여 영자 일간지를 발간하였다. 1955년 초대 한국 펜클럽 회장에 선출되어 제27차 비엔나국제펜클럽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1]1961년 3월 14일 인후암으로 사망하였다.[5]
3. 작품 세계
변영로는 〈논개〉, 〈사벽송〉 등을 썼으며, 수필집 《명정 40년》 등을 발표했다. 초기작 〈코스모스〉는 1918년에 영시로 쓰여 《청춘》에 발표되었다.[1]
3. 1. 주요 작품
- 〈논개〉[6]
- 〈사벽송〉
- 수필집 《명정 40년》[7]
3. 2. 작품 경향
변영로의 대표작으로는 〈논개〉, 〈사벽송〉 등이 있고, 수필집 《명정 40년》 등이 있다.4. 일화
- 시인 수주 변영로는 자신의 단골 주점인 《은성》 주인 이명숙의 아들 최불암이 서라벌예술대학에 합격하자 막걸리 잔을 내밀고 술을 한 잔 주었다. 하지만 최불암이 막걸리 잔에 뜬 술지게미를 손으로 걷어서 내버리자, 변영로는 이놈이 음식을 함부로 버린다고 화를 내며 즉석에서 귀뺨을 후려쳤다 한다.[8]
- 변영로는 동창이자 절친인 윤치영과 함께 중학교 수업이나 YMCA 학당 강의를 빼먹고 땡땡이를 치는 일이 자주 있었다. 한번은 이를 본 중앙중학교 교사이자 YMCA 학당 강사인 월남 이상재가 변영로 일행이 있는 곳을 보고는 변정상 씨, 변정상 씨 하고 계속 불렀다. 화가 난 변영로가 이상재에게 "선생님 치매 걸리셨습니까? 왜 남의 아버지 이름을 부르십니까?" 하자 이상재는 "변정상이 내 친구이다. 그런데 네가 변정상의 씨가 아니면 다른 사람의 씨란 말이냐?"라고 답했다 한다. 이상재의 기지는 변정상의 회고록과 이를 지켜본 윤치영의 자서전에 모두 기록되어 있다.[8]
5. 가족 관계
구분 | 내용 |
---|---|
할아버지 | 변해영(卞海永) |
아버지 | 변정상 |
형 | 변영만 (1889년 음력 6월 23일 ~ 1954년) |
형 | 변영태 (1892년 12월 15일 ~ 1969년 3월 10일) |
부인(사별) | 평창 이씨 이흥순(李興順) |
부인(재혼) | 남원 양씨 양창희(梁昌姬) |
6. 학력
학교 | 졸업 여부 |
---|---|
경성 재동보통학교 | 전학 |
경성 계동보통학교 | 졸업 |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 중퇴 |
경성 YMCA 영어학교 | 졸업 |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중퇴[1] |
7. 경력
연도 | 경력 |
---|---|
1923년 | 이화여자전문학교 강사[1] |
1927년 | 이화여자대학교(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4] |
1933년 | 동아일보 기자[1] |
1935년 | 동아일보사 입사 |
1946년 |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교수[1] |
1950년 | 해군사관학교 영어교관 |
1953년 | 서울신문사 이사, 대한공론사 사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초대 위원장[4] |
1955년 |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1] |
8. 수상
1949년 서울시 문화상(문학 부문)을 수상하였다.[1] 1955년 성균관대학교 교수직을 사임하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은 공자와 맹자를 모욕했다는, 이른바 "선성모독" 사건이다.
9. 변영로를 연기한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변영로(卞榮魯)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4-26
[2]
웹사이트
[경기도를 빛낸 인물] 변영로 (1898~1961)
https://www.kyeonggi[...]
Kyeonggi Ilbo
[3]
웹사이트
Bucheon's Writers and their Works
https://web.archive.[...]
2018-04-26
[4]
웹사이트
List of Former Chairmen
http://www.penkorea.[...]
2018-04-26
[5]
웹사이트
문인, 옛 잡지를 거닐다 ⑧ 변영로와 오상순
http://monthly.chosu[...]
2015-02-01
[6]
웹사이트
논개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7]
웹사이트
명정사십년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8]
뉴스
[그때그사람]이상의 죽음을 슬퍼하다, 만취 심장마비로 간 박인환
https://www.asiae.co[...]
Asia Business Daily
2017-03-20
[9]
웹사이트
(142)초계 변씨(草溪卞氏)-49,506명
http://www.seoulecon[...]
2022-08-17
[10]
텍스트
[11]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