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 곱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소 곱셈은 타원 곡선 자기준동형환이 허수 이차 수체의 순서와 동형일 때, 해당 타원 곡선이 갖는 성질을 의미한다.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은 가우스 정수환으로 나눈 복소 평면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크로네커는 이러한 타원 곡선이 허수 이차 수체의 아벨 확장을 생성한다고 추측했다. 이 추측은 힐베르트의 열두 번째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특이 모듈러스, 라마누잔 상수 등과 연결되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벨 다양체 - 모델-베유 정리
모델-베유 정리는 대수적 수체 K 위에서 정의된 아벨 다양체 A의 K-유리점들이 이루는 군 A(K)가 유한 생성 아벨 군이라는 정리이며, 앙리 푸앵카레가 문제를 제기하고 루이스 모델과 앙드레 베유가 일반화했지만 랭크 계산 문제 등 해결되지 않은 과제가 남아있다. - 아벨 다양체 - 야코비 다양체
야코비 다양체는 대수 곡선에서 파생된 아벨 다양체이며, 아벨-야코비 정리를 통해 0차 선다발의 모듈라이 공간과 동형이고, 곡선의 종수와 같은 차원을 가지며, 복소 토러스 구조를 갖는다. - 유체론 - 베유 군
베유 군은 유체론에서 기본류를 갖는 class formation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군으로, 다양한 체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지며, 비아르키메데스 국소체에서는 베유-들리뉴 군으로 확장된다. - 유체론 - 아델 환
아델 환은 전역체 K의 모든 place ν에 대한 완비화 K_ν들의 제한된 곱으로 정의되는 부분환 \mathbf{A}_K이며, 수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타원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에타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에타 함수는 오메가 상수와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고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와 관련된 특수 함수이다. - 타원함수 - 타원 적분
타원 적분은 불완전 타원 적분과 완전 타원 적적으로 나뉘며, 단진자의 주기나 타원의 호 길이 계산 등 물리적 현상 설명에 응용되는 특정한 형태의 적분이다.
복소 곱셈 | |
---|---|
개요 | |
분야 | 수론 |
하위 분야 | 타원곡선론 |
관련 분야 | 류베르빌 수론, 복소수 곱셈, 류수체론, 이데알류군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가우스의 이차 형식 이론 |
발전 | 크로네커의 "청년 시절의 꿈" |
주요 개념 | |
핵심 개념 | 타원곡선, 복소수 곱셈, 모듈러 함수, 류베르빌 수 |
역할 | 주어진 타원곡선에 대해 수론적 성질을 연구하는데 사용됨 |
주요 결과 | |
주요 결과 | 지겔 정리, 슈타르크-히그너 정리 |
응용 | |
사용 분야 | 암호학, 정수론 |
2. 전개
타원 곡선 의 자기준동형환 는 원점(군 구조의 항등원)을 보존하는 정칙 함수(regular map)들의 집합이다. 이는 덧셈과 합성에 따라 환을 이룬다.[6]
가우스 정수환 '''Z'''[''i'']에 의한 복소 평면의 몫공간은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의 예시이다. 이 타원 곡선의 자기준동형환(endomorphism ring)은 가우스 정수환과 동형이다.
타원 곡선의 자기준동형환은 항상 정수의 환 와 동형인 부분환 를 가진다. 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타원곡선의 군 구조에 따른 것이다.[6]
만약 가 어떤 허수 이차 수체 의 순서(order)와 동형이라면, 가 에 대한 '''복소 곱셈'''을 갖는다고 한다.[6]
정의 필드가 유한체일 때, 타원 곡선에는 항상 프로베니우스 사상에서 비롯되는 자명하지 않은 자기 사상이 존재하므로, 모든 그러한 곡선은 복소 곱셈을 갖는다. 그러나 기저 필드가 수체일 때, 복소 곱셈은 예외적이다. 일반적으로 복소 곱셈의 경우가 호지 추측에 대해 해결하기 가장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6]
3.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의 예
보다 일반적으로, 허수 이차 수체 의 순서 에 대해, 복소 평면을 에 의한 격자로 나눈 몫공간은 에 대한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이 된다.
이러한 타원 곡선은 (는 복소수)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이는 두 개의 켤레 4차 자기 동형 사상을 갖는다. 이는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에서 ''i''의 작용과 일치한다.
크로네커는 의 모든 아벨 확장은 복소 곱셈을 갖는 적절한 타원 곡선의 (근) 방정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고 추측했으며, 이는 크로네커의 유겐트라움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실제로 해결된 힐베르트의 열두 번째 문제의 몇 안 되는 경우 중 하나이다.
3. 1.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를 이용한 정의
4. 자기준동형환의 구조
타원 곡선의 자기 사상환은 정수 '''Z''', 허수 이차 수체의 order, 또는 '''Q''' 위의 결정적인 사원수 대수의 order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6]
유한체 위에 정의된 타원 곡선은 항상 프로베니우스 사상이라는 비자명한 자기준동형을 가지므로, 복소 곱셈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체 위에 정의된 타원 곡선의 경우, 복소 곱셈을 갖는 것은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 호지 추측을 푸는 것이 매우 어렵다.[6]
5.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과 아벨 확대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독일어: Kronecker Jugendtraum)은 허수 이차 수체의 최대 아벨 확대가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의 유한 차수 점들의 좌표로 생성된다는 추측이다.[7] 이는 유리수체의 최대 아벨 확장이 원분체의 원주 상의 점들의 좌표로 생성된다는 사실과 유사하다.
레오폴트 크로네커는 타원 함수의 비틀림 점에서의 값들이 허수 이차체에 대한 모든 아벨 확장을 생성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가정했는데, 이는 몇몇 경우에서 아이젠슈타인과 심지어 가우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아이디어였다.[7] 크로네커는 1880년 3월 15일 리하르트 데데킨트에게 보낸 서신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인용문2|이것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청춘의 꿈이라네. 즉, 유리수의 제곱근에 대한 아벨 방정식이 타원 함수의 특이 모듈러스의 변환 방정식으로 소진되는 걸 증명하는 것이라네. 정수에 대한 아벨 방정식이 원분체 방정식으로 소진되는 것처럼 말일세.
크로네커, Collected Works, vol. V, p. 455/Es handelt sich um meinen liebsten Jugendtraum, nämlich um den Nachweis, dass die Abel’schen Gleichungen mit Quadratwurzeln rationaler Zahlen durch die Transformations-Gleichungen elliptischer Functionen mit singulären Moduln grade so erschöpft werden, wie die ganzzahligen Abel’schen Gleichungen durch die Kreistheilungsgleichungen.}}de
''K''가 유수체 ''H''를 갖는 허수 이차체이고, ''E''가 ''H'' 위에서 정의된 ''K''의 정수로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일 때, ''K''의 최대 아벨 확대는 ''H'' 위의 ''E''의 어떤 바이어슈트라스 모델의 유한 위수 점의 ''x''-좌표에 의해 생성된다.[7]
크로네커의 청춘의 꿈을 허수 이차 수체 말고도 다른 수체로 확장시키는 것이 힐베르트의 12번째 문제이다. 시무라 상호 법칙을 통해 유리수체의 아벨 확장이 1의 멱근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이며, 류체론을 더욱 명백하게 만들었다.
크로네커의 아이디어에 대한 많은 일반화가 모색되었지만, 이는 랑글란즈 철학의 주요 흐름과는 다소 벗어나 있으며, 현재 알려진 확정적인 진술은 없다.
6. 특이 모듈러스
복소 곱셈을 갖는 타원 곡선의 주기 비율에 해당하는 상반 평면의 점 τ는 허수 이차 수이다.[11][8] 이러한 점에서의 j-불변량 j(τ)를 특이 모듈러스(singular modulus영어)라고 한다.[11] 특이 모듈러스 j(τ)는 항상 대수적 수이며,[11] j-불변량이 대수적인 상반 평면의 점은 특이 모듈러스에 해당한다.[4][10] 여기서 '특이'는 특이 곡선을 지칭하기보다는 자명하지 않은 자기 준동형 사상을 갖는 속성을 지칭하는 이전 용어에서 유래되었다.[8]
허수 이차체 K의 정수환의 아이디얼 a에 대한 특이 모듈러스 j(a)는 실수 대수적 정수이며, K의 힐베르트 유수체 H를 생성한다. 체 확대 [H:K]의 차수는 K의 유수와 같으며, H/K는 K의 아이디얼 유수군과 동형인 갈루아 군을 갖는 갈루아 확대이다. 유수군은 ['''b'''] : j('''a''') → j('''ab''')에 의해 값 j('''a''')에 작용한다.
특히, K가 유수가 1이면, j('''a''') = j(O)는 유리 정수이다. 예를 들어, j('''Z'''[i]) = j(i) = 1728이다.
7. 라마누잔 상수와 관련된 결과
라마누잔 상수는 초월수이며, 혹은 와 같이 정수에 매우 근접한 값을 갖는다.[2][3] 이는 수학적 우연이 아니며, 복소 곱셈 이론, 모듈 형식, 그리고 가 고유 인수 분해 정역이라는 사실로 설명된다. 여기서 는 ''α''2 = ''α'' - 41을 만족하며, ''S''[''α'']는 ''α''와 ''S''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환을 나타낸다.
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정 아이젠슈타인 급수의 구조에 기인하며, 다른 헤그너 수에 대해서도 유사한 표현이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Hilbert
https://archive.org/[...]
Springer
[2]
웹사이트
Transcendental Number
[3]
웹사이트
Ramanujan Constant – from Wolfram MathWorld
http://mathworld.wol[...]
[4]
서적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Hilbert
Springer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서적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ranscendental Number The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