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외상 후 발생하는 만성 통증 질환으로, 신경병증의 유무에 따라 제1형과 제2형으로 분류된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손상 후 팔다리에 발생하며, 신경성 염증, 혈관 운동 기능 장애, 신경 가소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화끈거림,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 피부 과민성, 체온 및 색상 변화 등이 나타나며,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진단한다. 치료에는 약물, 신경 차단술, 심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지만, 완치법은 아직 없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비타민 C 복용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IASP)는 1994년에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을 통일된 용어로 정하고, 측정 가능한 신경 병리의 유무에 따라 제1형과 제2형으로 나누었다.[5][6] 이전에는 작열통, 반사성 교감신경성 이영양증(RSD), 어깨 손 증후군(Shoulder hand syndrome, SHS)[91], 외상 후 이영양증, 주데크 골 위축, 교감신경성 지속 통증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2. 분류
2. 1. 임상 소견
국제 통증 연구 협회(IASP)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측정 가능한 신경 병리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5][6]
유형 | 임상 소견 | 동의어 |
---|---|---|
제1형 | 영향을 받은 사지에서 신경병증의 증거가 없는 CRPS. CRPS의 약 90%를 차지한다. |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 RSD, 수덱 위축 |
제2형 | 영향을 받은 사지에서 신경병증의 증거가 있는 CRPS. | 작열통 |
- 제1형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은 이전에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RSD), 수덱 위축 또는 통각신경이영양증으로 알려졌으며, 명백한 신경 병변이 나타나지 않는다. CRPS 진단을 받은 환자의 대다수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 제2형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은 이전에 작열통으로 알려졌으며, 명백한 신경 손상의 증거가 있다.
환자는 종종 온도에 따라 "따뜻한"(또는 "뜨거운") CRPS와 "차가운" CRPS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대다수의 환자(약 70%)는 "뜨거운" 유형을 보이며, 이는 CRPS의 급성 형태로 간주된다.[40] 차가운 CRPS는 더 만성적인 CRPS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며, 더 낮은 맥길 통증 설문지 점수, 증가된 중추 신경계 재조직화, 그리고 높은 근긴장이상 유병률과 관련이 있다.[40] 차가운 CRPS 환자의 예후는 좋지 않다.[41]
제1형은 신경 손상이 없는 조직 손상과 관련된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으로,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RSD)이 이에 해당한다. 손상 후 수 주가 경과한 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제2형은 신경을 포함한 손상과 관련된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으로, 작열통이 이에 해당한다. 손상 직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분류는 치료 시 참고가 되며 중요하지만, 신경 손상을 판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가 없기 때문에 분류에 부정적인 의견도 있다.
2. 2. 동의어
유형 | 동의어 |
---|---|
제1형 |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RSD), 수덱 위축 |
제2형 | 작열통 |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팔이나 다리에 강력한 충격을 받거나, 발목 염좌와 같이 크지 않은 손상을 입은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부상(예: 골절) 또는 수술 후 팔다리에 발생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96]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CRPS)의 병태 생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추 신경계의 염증과 통증 지각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속적인 통증과, 고통스럽지 않아야 할 자극을 고통스럽게 느끼는 것은 말초 신경에서 방출되는 염증 분자(IL-1, IL-2, TNF-α) 및 신경 펩타이드(물질 P)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5]
CRPS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불에 타는 듯하거나, 칼에 찔리는 듯한 극심한 고통, 욱신거림 등이 있으며, 이는 초기 부상의 정도에 비해 훨씬 심하게 나타난다.[7] 손발을 움직이거나 만지는 것만으로도 견딜 수 없는 통증(이질통)을 유발할 수 있다.[8][9]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 진단은 주로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확진을 위한 특정 검사 방법은 아직 없다. 1994년 국제 통증 연구 학회(IASP)에서 제안한 진단 기준이 있으며, 이후 이 기준의 단점을 보완한 다양한 진단 기준들이 제안되었다.[98]
3. 원인
CRPS는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부상, 수술, 심장 마비, 뇌졸중 후에 발생한다.[7][11] 연구자들은 말초 신경 손상 환자의 2~5%,[67] 반신불완전마비(신체의 한쪽 마비) 환자의 13~70%가 CRPS를 겪을 것으로 추정한다.[12] 일부 연구에서는 흡연이 CRPS 환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흡연은 교감 신경 활동 강화, 혈관 수축, 또는 알려지지 않은 신경 전달 물질 관련 기전을 통해 CRPS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이 연구 결과는 RSD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한 회고적 분석에 기초한 것으로, 환자의 68%가 흡연자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37%만이 흡연자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예비적이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3] 한쪽 팔다리에 CRPS가 발생한 사람의 7%는 나중에 다른 팔다리에도 발생한다.[14]
CRPS의 정확한 기전은 불분명하지만,[91] 교감 신경 구심성 섬유 또는 원심성 섬유에서 방출되는 신경 전달 물질이 침해 수용기를 직접 자극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통증으로 인한 교감 신경 활성화는 구심성 C 섬유를 활성화시켜 이차 통증을 유발하고, 이는 다시 교감 신경 활성을 항진시켜 통증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CRPS는 교감 신경계뿐만 아니라 뇌의 기능과도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뇌 모니터링 기술의 발달로 기억이나 공간 인식 기능이 CRPS에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92]
CRPS는 손보다 발에 더 많이 발생하며,[91] 골절, 수술, 염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 자연적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91]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후 CRPS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3.4배 더 많다.[91]
4. 병태 생리
CRPS는 신경성 염증(신경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 통각 수용성 과민화(극심한 민감성 또는 이질통을 유발), 혈관 운동 기능 장애(부종 및 변색을 유발하는 혈류 문제) 및 부적응적 신경 가소성(뇌가 지속적인 통증 신호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이다. CRPS는 "조직 손상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의 결과이다.[17]
윈드업(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 감각이 증가하는 현상)[20]과 중추 신경계(CNS) 민감화는 CRPS의 유도 및 유지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학적 과정이다.[21]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 수용체[22]와 글루탐산[21]은 중추 신경계 민감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면역 기능, 외상 관련 사이토카인 방출, 과장된 신경성 염증, 교감 신경 구심성 결합, 아드레날린 수용체 병증, 신경교 세포 활성화, 피질 재조직,[26] 산화 손상(활성 산소)[27], 자가항체[28] 등도 CRPS의 병태 생리에 관여한다.
골밀도 감소(골다공증)를 유발하는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자율 신경계의 활동 불균형[29][30][31] 및 경미한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32]
CRPS의 원인은 불분명하지만,[91] 통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감 신경 활성이 구심성 C 섬유를 활성화시켜 통증의 악순환을 유발할 수 있다.
CRPS는 뇌의 기능 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92]
5. 증상
흔한 증상 피부 과민성 피부 온도, 색깔, 질감의 변화 (보통 뜨겁고 붉은색이나, 드물게 차갑고 붉은 보라색) 머리카락이나 손발톱 성장의 변화 (초기에는 빠르게 자라다가 이후 느려지고 부서지기 쉬움) 관절 경직도 증가, 부종 근육 경련, 약화 및 위축 통증 부위의 운동성 감소 다한증 환부의 얼룩무늬 골다공증
이 외에도 CRPS는 변연계에 영향을 주어 수면, 감정 조절, 식욕, 성욕 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CRPS 환자의 92%가 불면증을 겪고, 78%는 흥분, 불안, 분노 등의 감정 조절 장애를, 73%는 우울증을, 48%는 기억력 및 집중력 저하를 호소했다.[97]
CRPS의 증상은 신경성 염증, 통각 수용체의 과민화, 국소적인 혈관 수축 및 혈관 확장 기능 부전, 부적응적 신경 가소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CRPS가 세 단계로 진행된다는 과거의 개념은 더 이상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으며,[10] 현재는 CRPS의 별개 하위 유형을 고려하는 추세이다.[10]
6. 진단
1994년 세계 통증 연구학회 제안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98]1994년 세계 통증 연구학회 제안 진단 기준
CRPS 1형은 신경 손상 없이 나타날 수 있는 반면, 2형은 신경 손상이 확인되어야 한다. 두 유형의 차이점은 질환을 유발한 사건뿐이다. CRPS 1형은 외상이든 아니든 몸에 해로운 자극으로부터 시작되고, 2형은 신경 손상이 발생한 뒤에 나타난다.[99]
국제 통증 연구 학회(IASP)의 CRPS 진료용 진단 기준(2005)과 CRPS 연구회의 임상용 판정 지표(2008)도 참고할 수 있다.
6. 1. 부다페스트 진단 기준
1994년 국제 통증 연구 협회(IASP)에서 채택한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의 진단 기준은 2003년에 더 민감하고 특이적인 "부다페스트 기준"으로 대체되었으며[33], 이후 IASP에서 채택되었다. 이 기준은 통증뿐만 아니라 감각, 혈관운동, 발한, 운동 또는 영양 변화에 대한 병력과 임상적 증거를 요구하며, 배제 진단을 명시하고 있다.[34]
부다페스트 진단 기준에 따른 임상 진단은 다음 네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35]
# 유발 사건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심한 지속적인 통증.
# 다음 네 가지 범주 중 ''세 가지'' 이상에서 최소한 하나의 증상을 보고해야 한다.
#* '''감각:''' 과다 감각 보고.
#* '''혈관운동:''' 온도 비대칭 및/또는 피부색 변화 및/또는 피부색 비대칭 보고.
#* '''발한'''/'''부종:''' 부종 및/또는 발한 변화 및/또는 발한 비대칭 보고.
#* '''운동'''/'''영양:''' 운동 범위 감소 및/또는 운동 기능 장애(쇠약, 떨림, 근육긴장이상) 및/또는 영양 변화(모발, 손톱, 피부) 보고.
# 평가 시 다음 범주 중 두 가지 이상에서 최소한 하나의 징후를 보여야 한다.
#* '''감각:''' 과민성 통각(핀 찌르기에 대한) 및/또는 이질통(가벼운 접촉 및/또는 온도 감각 및/또는 심부 체성 압력 및/또는 관절 움직임에 대한) 증거.
#* '''혈관운동:''' 온도 비대칭(>1°C) 및/또는 피부색 변화 및/또는 비대칭 증거.
#* '''발한'''/'''부종:''' 부종 및/또는 발한 변화 및/또는 발한 비대칭 증거.
#* '''운동'''/'''영양:''' 운동 범위 감소 및/또는 운동 기능 장애(쇠약, 떨림, 근육긴장이상) 및/또는 영양 변화(모발, 손톱, 피부) 증거.
# 이러한 징후와 증상을 더 잘 설명하는 다른 진단은 없다.
6. 2. 진단 보조 검사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특정 검사로 확진할 수는 없지만, 주로 증상 관찰을 통해 진단한다. 다음은 CRPS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 검사들이다.[99]
하지만 위에 언급된 모든 검사에서 CRPS 환자가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7. 치료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법이 없지만, 여러 치료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관리한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작하면 회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43]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중재적 통증 치료법, 심리 치료 등이 있다. 약물 치료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등 다양한 약제가 사용될 수 있다.[100] 이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재적 통증 치료법으로는 신경차단술과 같은 방법이 있으며, 척수 자극기 시술이나 척수 약물 투여 펌프를 이용한 약물 지속 주입도 고려될 수 있다.
CRPS 환자들은 우울증 등 정신적, 심리적 불안정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정신과 의사나 임상 심리사의 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마약성 진통제를 주기적으로 처방하기도 하며, 모르핀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가 들어있는 주입기를 신체에 삽입하고 리모컨을 통해 통증을 조절하는 약물투여 펌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아픈 부위를 절단하는 방법도 있지만, 뇌의 변화 때문에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이미지를 통해 정신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하지 않다. 외상 직후 비타민 C 복용이 CRPS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있지만, 모든 외상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당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CRPS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7. 1. 치료 방법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의 확실한 치료법은 없으며, 각 임상 양상에 따라 여러 치료법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한다.'''수술적 치료'''
- '''신경차단술''': 척수와 통증이 유발되는 신체 부위와 가까운 중추신경이 지나가는 곳에 주사를 놓아 병의 진행을 단기간 막을 수 있다.
- '''경막외강 척수자극기 삽입술''': 아랫배 지방질에 경막외강 척수자극기를 삽입하고, 척추 내 척수신경에 연결된 구리선을 심어 전기 자극을 통해 통증을 경감시킨다.
- '''척수 자극''': CRPS 1형 및 2형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지만, 정신 건강 및 일반적인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59][60]
- '''배근 신경절 자극''': 국소 신경병성 통증 관리에 효과적인 신경 자극의 한 유형으로, 2016년 FDA의 승인을 받았다. ACCURATE 연구는 CRPS 및 작열통 관리에 있어 척수 자극보다 배근 신경절 자극이 우수함을 입증했다.[61]
- '''교감신경절제술''': 수술, 화학적 방법 또는 고주파를 이용해 영향을 받는 교감 신경계 부분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조직 손실, 부종, 재발성 감염 또는 허혈성 괴사가 임박한 환자에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62] 그러나 효과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으며, 출혈 및 감염 외에도 신경 기능 변화와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다.
- '''절단술''': 위에 언급된 치료법에 실패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환자에게 시행될 수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절반 정도는 통증이 해결되지만, 나머지 절반은 환지통 및/또는 절단 부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뇌가 만성적인 통증 자극을 받게 되면 효과가 없을 수 있다. CRPS 1형 환자 15명 중 11명이 절단술 후 삶이 나아졌다고 응답했다.[63]
8. 예방
비타민 C 보충제를 전완, 발 또는 발목 골절 후에 복용하면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42]
9. 경과/합병증
증상 발생 3개월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경과는 좋은 편이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통증 부위가 주위로 급속히 퍼져나가게 되고 악화될 확률이 높다.[65] 만성 "냉"형 CRPS와 팔을 침범하는 CRPS의 경우 예후가 더 나쁘다.[65] 부상 후 팔다리 사용을 하지 않거나 부상과 관련된 심리적 스트레스 또한 CRPS의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65]
일부 CRPS는 자연적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는 수년 동안 만성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65] CRPS로 진단받은 후, 관해 상태에 들어간 경우, 관해 후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66] 어떠한 부상에 대해서도 예방 조치를 취하고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66]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의 이환 기간은 다양하며, 경증의 경우 수 주 후에 관해되지만, 많은 경우 수 년에 걸쳐 나타나며, 관해와 재발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단계에 따른 병기 분류가 이루어졌지만, 질환의 진행은 환자에 따라 다양하고 예측이 어려워,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10. 역학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진단 시 평균 연령은 42세이다.[67] 여성에게 남성보다 3배 더 자주 발생한다.[67] 청소년과 청년층에서 보고되는 CRPS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68] 최근 스코틀랜드 어린이의 발병률은 10만 명당 1.16명이었다.[69]
11. 역사
앙브루아즈 파레는 프랑스 왕 샤를 9세의 사지 정맥 절개술 후 발생한 통증 증후군을 치료하면서 CRPS를 처음 기술하였다.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사이러스 웨어 미첼은 "작열통"이라는 용어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70] 1940년대에는 교감 신경 과잉 활동 이론에 근거하여 "반사성 교감 신경 위축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72] 1993년,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특별 합의 워크숍에서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이라는 포괄적인 용어가 제안되었다.[74]
12. 연구
국립 신경 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는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수행한다. NINDS는 신경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과 예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CRPS 환자의 통증 유발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미세 신경 조영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단일 신경 섬유에서 신경 활동을 기록하고 측정하며, 이를 통해 CRPS의 자발적인 통증을 유발하는 고유한 메커니즘을 발견하고 통증을 차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고자 한다.[75]
거울 시각 피드백 치료법 연구가 바스에 있는 왕립 류마티스 질환 병원에서 진행 중이다. 환자들은 거울을 이용하여 뇌의 잘못된 신호를 재작성하고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방법을 배운다.[75]
네덜란드는 TREND라는 대규모 사업을 통해 CRPS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76] 독일 및 호주 연구팀도 CRPS에 대한 이해와 치료법을 모색하고 있다.[77]
13. 동물의 발병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101] 소와 같은 다른 동물 종에서도 이 증후군이 보고된 바 있다.[78]
참조
[1]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mystery explained?
https://pubmed.ncbi.[...]
2003-11
[2]
논문
The natural history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9-05
[3]
논문
Proposed new diagnostic criteria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7-05
[4]
웹사이트
Amplified Musculoskeletal Pain Syndrome (AMPS) in Children
https://my.cleveland[...]
2024-02-10
[5]
논문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6]
논문
The Valencia consensus-based adaptation of the IASP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diagnostic criteria
[7]
웹사이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8]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Comprehensive Review
2021-12
[9]
논문
Disuse Osteoporosis: Clinical and Mechanistic Insights
[10]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re there distinct subtypes and sequential stages of the syndrome?
2002-01
[11]
웹사이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http://www.nhs.uk/Co[...]
2017-10-19
[12]
논문
Shoulder pain in hemiplegia
2004-08
[13]
논문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and cigarette smoking
1993-01
[14]
서적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in adults: UK guidelines for diagnosis, referral and management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London
2012-05
[15]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 comprehensive review
2015-07
[16]
논문
A review of psychosocial factors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3-06
[17]
논문
Clinical features and pathophysiology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1-07
[18]
논문
Brain processing during mechanical hyperalgesia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functional MRI study
2005-03
[19]
서적
Australasian anaesthesia 2011: invited papers and selected continuing education lectures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ge of Anaesthetists
2012
[20]
웹사이트
Pain
http://courses.washi[...]
University of Washington
2013-12-23
[21]
논문
Subanesthetic ketamine infusion therap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to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4-09
[22]
논문
A pilot open-label study of the efficacy of subanesthetic isomeric S(+)-ketamine in refractory CRPS patients
[23]
논문
Topically administered ketamine reduces capsaicin-evoked mechanical hyperalgesia
2006-01
[24]
논문
Immune regul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functions: from sickness responses to pathological pain
2005-02
[25]
논문
The neurocognitive effects of 5 day anesthetic ketamine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7-08
[26]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5-02
[27]
논문
Can vitamin C prevent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in patients with wrist fractures? A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dose-response study
2007-07
[28]
논문
Autoantibodies produce pain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by sensitizing nociceptors
2019-12
[29]
논문
Skeletal parasympathetic innervation communicates central IL-1 signals regulating bone mass accrual
2012-09
[30]
논문
β-Adrenergic signaling stimulates osteoclastogenesis via reactive oxygen species
2013-03
[31]
논문
The Physiology of Bone Pain. How Much Do We Really Know?
2016
[32]
논문
Compared to limb pain of other origin, ultrasonographic osteodensitometry reveals loss of bone density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9-06
[33]
논문
Validation of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the "Budapest Criteria")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0-08
[34]
서적
Essential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09-05
[35]
논문
Validation of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the "Budapest Criteria")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0-08
[36]
논문
Despite clinical similarit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ute limb trauma and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I (CRPS I)
2001-08
[37]
논문
Skin temperature side differences--a diagnostic tool for CRPS?
2002-07
[38]
논문
Stress infrared telethermography is useful in the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formerly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1997-03
[39]
웹사이트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http://www.rsdfounda[...]
Rsdfoundation.org
2013-12-23
[40]
논문
Warm and cold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s: differences beyond skin temperature?
2009-02
[41]
논문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as "warm" or "cold" CRPS 1 show differences in central sensory processing some eight years after diagnosis: a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study
2005-05
[42]
논문
Role of vitamin C in prevention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fter distal radius fractures: a meta-analysis
2015-05
[43]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1-06
[44]
논문
Interventions for treating pain and disability in adul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2023-06-12
[45]
논문
Body Perception Disturbance and Pain Reduction in Longstanding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Following a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Program
2019-11
[46]
논문
Interventions for treating pain and disability in adul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3-04
[47]
논문
Tactile discrimination, but not tactile stimulation alone, reduces chronic limb pain
2008-07
[48]
논문
Does evidence support physiotherapy management of adult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One? A systematic review
2009-04
[49]
웹사이트
Graded Motor Imagery
http://www.gradedmot[...]
Graded Motor Imagery
2013-12-23
[50]
논문
Treatment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2018-06
[51]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pract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guidelines, 4th edition
2013-02
[52]
Submitted manuscript
Local anaesthetic sympathetic blockade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6-07
[53]
논문
Intramuscular botulinum toxin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ase series and literature review
http://www.painphysi[...]
[54]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ketamine in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2012-03
[55]
논문
The use of ketamine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possible mechanisms
2011-05
[56]
논문
Ketamine for chronic pain: risks and benefits
2014-02
[57]
웹사이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Fact Sheet
https://www.ninds.ni[...]
[58]
논문
Updat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7
[59]
논문
Spinal cord stimulation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and cost-effectiveness literature and assessment of prognostic factors
2006-02
[60]
논문
A Comprehensive Outcome-Specific Review of the Use of Spinal Cord Stimulation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17-04
[61]
논문
The cleavable hydatiform polycystic pseudotumoural disease
[62]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s: guidelines for therapy
1998-06
[63]
논문
Therapy-resistant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to amputate or not?
https://research.rug[...]
2011-10
[64]
웹사이트
WorkSafeBC
https://www.worksafe[...]
2023-07-20
[65]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21-07
[66]
웹사이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Management and Treatment
https://my.cleveland[...]
Cleveland Clinic
2020-08-10
[67]
논문
Signs and symptoms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prospective study of 829 patients
1993-10
[68]
웹사이트
RSDSA ::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Association
http://rsds.org/2/fa[...]
Rsds.org
2010-04-10
[69]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in children: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2016-08
[70]
서적
Injuries of Nerves and their Consequences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71]
논문
The term 'causalgia'
1967-01
[72]
논문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eport on 57 cases
1947-03
[73]
서적
PAIN Problems pertaining to the transmission of nerve impulses which give rise to pain
Elsevier
[74]
논문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changing concepts and taxonomy
1995-10
[75]
논문
A controlled pilot study of the utility of mirror visual feedback in the treatment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03-01
[76]
웹사이트
TREND homepage
http://www.trendcons[...]
[77]
논문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3
[78]
논문
Continuous extradural analgesia in a cow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2006-05
[79]
웹사이트
Paula Abdul: Putting the Spotlight on Rare Disease
http://www.raredisea[...]
2015-06-02
[80]
뉴스
Jill Kinmont Boothe is still going strong
https://www.latimes.[...]
2011-05-22
[81]
뉴스
Paralympic ban devastating - Brown
https://www.bbc.co.u[...]
2014-04-20
[82]
웹사이트
Gemma Collis-McCann
https://paralympics.[...]
[83]
웹사이트
Radene Marie Cook
https://invisiblepro[...]
2017-12-02
[84]
웹사이트
Actor Shin Dong Wook suffering from rare disease
http://www.allkpop.c[...]
[85]
논문
Howard Hughes & Pseudoaddiction
http://pain-topics.o[...]
2011-01-07
[86]
웹사이트
A Shocking Accusation of Munchausen by Proxy Leads to a Mom's Death by Suicide: 'I Want Justice' (Exclusive)
https://people.com/t[...]
2023-06-07
[87]
웹사이트
Rachel Morris
http://www.paralympi[...]
[88]
웹사이트
Cynthia Toussaint
http://www.lifescrip[...]
2015-03-13
[89]
웹사이트
Rolstoelatlete Marieke Vervoort is overleden
https://www.standaar[...]
2019-10-22
[90]
웹사이트
複合性局所疼痛症候群(CRPS) - 07. 神経疾患
https://www.msdmanua[...]
2024-12-31
[91]
논문
複合性局所疼痛症候群の診断と治療
https://doi.org/10.2[...]
2016
[92]
논문
座談会 CRPS 複合性局所疼痛症候群
2013-06
[93]
저널
Clinical features and pathophysiology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http://bodyinmind.or[...]
The Lancet Neurology
2013-02-22
[94]
웹인용
Neuropathic pain
http://www.merckmanu[...]
[95]
문서
Wilfrid Jänig, Ralf Baron
http://link.springer[...]
[9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medtroni[...]
2018-12-20
[97]
웹인용
CRPS ABSTRACT
http://www.rsdrx.com[...]
2013-02-22
[98]
문서
https://terms.naver.[...]
[9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medtroni[...]
2018-12-20
[100]
문서
https://www.ncbi.nlm[...]
[101]
저널
Continuous extradural analgesia in a cow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