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룬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룬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대장장이로, 핀족의 왕자이자 발키리, 백조 처녀와의 만남, 니두드 왕의 배신과 고난, 복수와 탈출을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 에다》와 《시즈레크의 사가》 등 다양한 문헌에서 묘사되며, 특히 《볼룬드의 서사시》에서는 그의 형제들과의 관계, 백조 처녀와의 결혼과 이별, 그리고 니두드 왕에게 복수하는 과정이 상세히 묘사된다. 고대 영어 문헌에서도 뛰어난 무기를 제작하는 명장으로 언급되며, 고고학적으로는 아르드레 이미지석, 프랭크스 상자 등에서 그의 이야기가 묘사된 유물이 발견된다. 볼룬드의 전설은 현대 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소설, 음악,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 영웅전설 - 튀르핑 대계
    튀르핑 대계는 저주받은 검 튀르핑과 관련된 등장인물들의 운명, 전쟁, 복수, 인간의 비극을 다루며, 햘마르의 죽음, 헤르보르의 튀르핑 획득, 헤이드레크의 수수께끼 대결, 앙간튀르와 흘로드 형제의 갈등, 그리고 훈족의 위협에 맞선 고트족의 항쟁과 스웨덴 왕가의 역사를 주요 사건으로 묘사한다.
  • 잉글랜드 신화 - 브리튼 이야기
    브리튼 이야기는 5세기 초 아서 왕을 중심으로 영국의 전설적인 역사를 다루며, 제프리 오브 몬마스의 기록 이후 다양한 문학 작품과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볼룬드

2. 노르드어 문헌

핀인들의 왕의 아들이자 뛰어난 대장장이인 볼룬드는 발키리/백조 처녀와의 결혼과 이별, 니두드 왕에게 붙잡혀 오금을 잘리는 고난, 그리고 복수와 탈출을 겪는다.

고 에다》 〈볼룬드의 서사시〉에 따르면, 볼룬드는 에길, 슬라그피드와 형제였으며, 외르룬, 헤르보르 알비트, 흘라드구드 스반흐비트 라는 세명의 발키리중 한명과 결혼했다.[8][9][10] 9년 후 발키리들은 남편들을 떠났고, 에길과 슬라그피드는 그 뒤를 따라갔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볼룬드는 백조 처녀 헤르보르와 결혼하여 아들 헤이메(Heime)를 낳았지만 헤르보르는 나중에 볼룬드의 곁을 떠나면서 반지 하나를 남겼다. 볼룬드는 이 반지의 복제품을 7백 개 만들었다.

니두드 왕은 네리케(오늘날 스웨덴의 네르케)에서 잠자고 있는 볼룬드를 붙잡아 그의 오금을 잘라 앉은뱅이로 만들고 세바르스토드(Sævarstöð) 섬에 유폐시켰다. 왕은 감금당한 볼룬드에게 여러 가지 물건들을 대장하도록 강요했고, 헤르보르의 반지도 빼앗아 왕의 딸 보드빌드에게 주었다. 볼룬드는 복수하기 위하여 왕의 아들들이 그를 비밀리에 찾아오자 그들을 죽이고 그들의 두개골로 성작을, 눈알로 보물을, 이빨로 브로치를 만들어 각각 왕, 왕비, 공주에게 보냈다.

나중에 공주가 반지를 수선해 달라고 찾아오자 그는 반지를 빼앗고 공주를 강간아들을 잉태시킨 뒤 자기가 만든 날개를 이용해 탈출했다. 볼숭 대계에 등장하는 마검 그람을 만든 것도 볼룬드라고 한다.

중앙의 볼룬드의 대장간, 왼쪽의 니드하드의 딸, 대장간 오른쪽에 숨겨진 니드하드의 죽은 아들들. 소녀와 대장간 사이에는 피요르함르를 입고 날아가는 볼룬드를 볼 수 있다. 아르드레 이미지 스톤 VIII에서 발췌.


고 에다의 『볼룬드의 노래』에서, 스웨덴 왕 니두드는 볼룬드를 사로잡고 보물을 빼았았다. 또한 왕비의 권고에 따라 무릎 힘줄을 끊고, 세발스타즈라는 섬에 유폐하여, 자신을 위해 보물을 단련하게 했다. 볼룬드는 대장간을 방문한 두 왕자를 살해하고, 그 두개골로 만든 잔에 은을 발라 왕에게, 눈알로 만든 보석을 왕비에게, 이빨로 만든 장식품을 공주에게 선물했다. 또한 팔찌를 고치러 온 공주 베즈빌드를 술에 취하게 하여 범하고, 아이임신하게 한다. 그 후 움직일 수 있게 된 볼룬드는, 왕에게 공주의 생명을 보장할 것을 맹세하게 한 뒤, 자신의 소행을 밝히고 하늘로 날아가 버렸다.

2. 1. 《고 에다》 〈볼룬드의 서사시〉

핀인들의 왕의 아들이자 뛰어난 대장장이인 볼룬드는 발키리/백조 처녀와의 결혼과 이별, 니두드 왕에게 붙잡혀 오금을 잘리는 고난, 그리고 복수와 탈출을 겪는다.

고 에다》 〈볼룬드의 서사시〉에 따르면, 볼룬드는 에길, 슬라그피드와 형제였으며, 외르룬, 헤르보르 알비트, 흘라드구드 스반흐비트 라는 세명의 발키리중 한명과 결혼했다.[8][9][10] 9년 후 발키리들은 남편들을 떠났고, 에길과 슬라그피드는 그 뒤를 따라갔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볼룬드는 백조 처녀 헤르보르와 결혼하여 아들 헤이메(Heime)를 낳았지만 헤르보르는 나중에 볼룬드의 곁을 떠나면서 반지 하나를 남겼다. 볼룬드는 이 반지의 복제품을 7백 개 만들었다.

니두드 왕은 네리케(오늘날 스웨덴의 네르케)에서 잠자고 있는 볼룬드를 붙잡아 그의 오금을 잘라 앉은뱅이로 만들고 세바르스토드(Sævarstöð) 섬에 유폐시켰다. 왕은 감금당한 볼룬드에게 여러 가지 물건들을 대장하도록 강요했고, 헤르보르의 반지도 빼앗아 왕의 딸 보드빌드에게 주었다. 볼룬드는 복수하기 위하여 왕의 아들들이 그를 비밀리에 찾아오자 그들을 죽이고 그들의 두개골로 성작을, 눈알로 보물을, 이빨로 브로치를 만들어 각각 왕, 왕비, 공주에게 보냈다.

나중에 공주가 반지를 수선해 달라고 찾아오자 그는 반지를 빼앗고 공주를 강간아들을 잉태시킨 뒤 자기가 만든 날개를 이용해 탈출했다. 볼숭 대계에 등장하는 마검 그람을 만든 것도 볼룬드라고 한다.

고 에다의 『볼룬드의 노래』에서, 스웨덴 왕 니두드는 볼룬드를 사로잡고 보물을 빼았았다. 또한 왕비의 권고에 따라 무릎 힘줄을 끊고, 세발스타즈라는 섬에 유폐하여, 자신을 위해 보물을 단련하게 했다. 볼룬드는 대장간을 방문한 두 왕자를 살해하고, 그 두개골로 만든 잔에 은을 발라 왕에게, 눈알로 만든 보석을 왕비에게, 이빨로 만든 장식품을 공주에게 선물했다. 또한 팔찌를 고치러 온 공주 베즈빌드를 술에 취하게 하여 범하고, 아이임신하게 한다. 그 후 움직일 수 있게 된 볼룬드는, 왕에게 공주의 생명을 보장할 것을 맹세하게 한 뒤, 자신의 소행을 밝히고 하늘로 날아가 버렸다.

2. 2. 《시즈레크의 사가》 〈벨렌트의 이야기〉

볼룬드는 거인의 아들로, 훈란드의 대장장이 미메[25]와 드워프들에게 기술을 배웠다. 12세 때 미메의 형제 제자 시구르드에게 폭력을 당한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드워프 밑에서 수련을 받던 중 아버지가 사고사했다는 소식을 듣고 드워프들을 죽인 뒤 대장장이 도구와 보물을 가지고 배를 타고 표류한다.[25] 이후 윌란 반도 왕 니중(니즈즈)에게 보호받지만, 모함으로 인해 쫓겨나고 복수를 한다.[25]

볼룬드는 윌란 반도 왕 니중의 궁정 대장장이 아밀리아스와 실력 겨루기 내기에서 승리하고, 대장장이 도구를 훔친 왕의 신하에게 똑같은 조각상을 만들어 도구를 되찾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왕의 총애를 받는 신하를 죽여 왕에게 쫓겨나고, 복수를 위해 변장하고 궁정에 돌아왔다가 발각되어 다리 힘줄이 잘리고 대장장이 오두막에 연금된다. 볼룬드는 오두막을 방문한 왕의 차남과 삼남을 살해하고, 그 시체로 만든 보물을 왕에게 보낸다. 또한 팔찌 수리를 부탁하러 온 왕녀 바드힐드(베즈비르드)와 동침하여 아이를 임신시킨다.

볼룬드는 동생 에길(Egil)을 궁정에 부른다. 에길은 활의 명수로, 왕은 에길의 아들 머리에 사과를 올려놓고 활로 쏘게 한다. 에길은 이에 성공하지만, 실패했다면 왕과 신하들을 쏘아 죽일 생각이었다고 고백한다. 형제간의 우애와 위기 상황에서의 기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볼룬드는 날개를 만들어 탑에서 탈출하려 하고, 왕은 에길에게 볼룬드를 쏘게 하지만, 예상대로 화살은 볼룬드가 옆에 매달아 놓았던 피가 든 자루에 맞아 도망에 성공한다. 이후 니중 왕이 죽고 아들 오트빈이 왕위를 잇자 볼룬드는 그와 화해하고 윌란 반도로 돌아가 바드힐드와 결혼한다. 후에 처자식과 함께 고향 셸란 섬으로 돌아갔다.

볼룬드와 바드힐드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비즈가는 대장장이가 되는 것을 거부하고 여행을 떠난다. 볼룬드는 아들을 위해 방어구 한 세트를 단련하고, 말 스케밍과 검 미뭄을 주어 보냈다. 이는 부모의 사랑과 헌신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3. 고대 영어 문헌

볼룬드는 고대 영어로 쓰인 문학 작품에서도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형태로 등장한다.

베오울프』에서는 뛰어난 무기와 방어구를 만드는 명장으로[26], 『데오르의 탄식(''The Lament of Deor'')에서는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의지를 가진, 긍지 높은 인물로 언급된다[27][28]

리즈 십자가의 패널 Civ(남쪽 면, 가장 낮은 패널)에는 볼룬드(아래)가 베두힐드/보드빌드를 머리 위로 직각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볼룬드의 머리는 없어졌지만, 그의 날개는 왼쪽과 오른쪽에 보이며, 그의 도구는 패널 하단에 있다. 고대 영어 시 ''데오르''는, 데오르의 저자에게 넘어가기 전 다양한 인물들의 고통을 이야기하는데, "볼룬드"로 시작한다.[22]

c. 10세기 경에 리즈 민스터에서 발견된 리즈 십자가의 패널 Civ(남쪽 면, 가장 낮은 패널)로, 볼룬드(아래)가 베두힐드/보드빌드를 머리 위로 직각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볼룬드의 머리는 없어졌지만, 그의 날개는 왼쪽과 오른쪽에 보이며, 그의 도구는 패널 하단에 있다.


볼룬드는 베오울프가 착용한 사슬 갑옷을 제작한 명장으로 언급된다.[26] 서사시 베오울프의 450–455행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그렇기에

>오래 슬퍼하거나 내 몸을 내버려둘 필요는 없다.

>만약 전투에서 내가 죽으면,

>볼룬드가 만들고

>흐레델이 나에게 준 이 가슴 갑옷을

>영주 히겔라크에게 돌려보내라.

>운명은 늘 운명이 정해진 대로 간다.

>::(히니 번역)

''발데레''에서의 언급은 베오울프에서의 언급과 유사하다 – 영웅의 검은 볼룬드에 의해 만들어졌다.[23] 알프레드 대왕은 보에티우스를 번역하면서 "이제 볼룬드의 뼈, 특히 현명한 금세공인은 무엇인가?"라고 질문한다.[24] 볼룬드가 만든 검은 중세 기사도 로맨스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리더흐 하엘 왕은 멀린에게 검을 주었고, 리멘힐드는 어린 혼에게 비슷한 선물을 했다. 영국 문학은 또한 ''Þiðreks saga''에서 볼룬드의 아버지인 바디와 이름이 유사한 인물인 웨이드를 알고 있었다.[2]

3. 1. 《베오울프》

리즈 십자가의 패널 Civ(남쪽 면, 가장 낮은 패널)에는 볼룬드(아래)가 베두힐드/보드빌드를 머리 위로 직각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볼룬드의 머리는 없어졌지만, 그의 날개는 왼쪽과 오른쪽에 보이며, 그의 도구는 패널 하단에 있다. 고대 영어 시 ''데오르''는, 데오르의 저자에게 넘어가기 전 다양한 인물들의 고통을 이야기하는데, "볼룬드"로 시작한다.[22]

볼룬드는 베오울프가 착용한 사슬 갑옷을 제작한 명장으로 언급된다.[26] 서사시 베오울프의 450–455행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그렇기에

:오래 슬퍼하거나 내 몸을 내버려둘 필요는 없다.

:만약 전투에서 내가 죽으면,

:볼룬드가 만들고

:흐레델이 나에게 준 이 가슴 갑옷을

:영주 히겔라크에게 돌려보내라.

:운명은 늘 운명이 정해진 대로 간다.

::(히니 번역)



''발데레''에서의 언급은 베오울프에서의 언급과 유사하다 – 영웅의 검은 볼룬드에 의해 만들어졌다.[23] 알프레드 대왕은 보에티우스를 번역하면서 "이제 볼룬드의 뼈, 특히 현명한 금세공인은 무엇인가?"라고 질문한다.[24] 볼룬드가 만든 검은 중세 기사도 로맨스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리더흐 하엘 왕은 멀린에게 검을 주었고, 리멘힐드는 어린 혼에게 비슷한 선물을 했다. 영국 문학은 또한 ''Þiðreks saga''에서 볼룬드의 아버지인 바디와 이름이 유사한 인물인 웨이드를 알고 있었다.[2]

『디오르의 탄식』(''The Lament of Deor'')에서는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의지를 가진, 긍지 높은 인물로 언급된다.[27][28]

3. 2. 《데오르의 탄식》

볼룬드는 고대 영어 시 《데오르》에서 "볼룬드는 뱀 사이에서 고통을 맛보았다."라는 구절로 시작하며, 강인한 마음을 가진 영웅으로서 고난을 견뎌냈다고 묘사된다.[22] 슬픔과 갈망, 겨울처럼 차가운 잔혹함 속에서도 불행을 발견했지만, 니사드가 그를 억제하고 유연한 힘줄 결합을 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고통을 이겨냈다.[22] 베도힐데는 형제들의 죽음보다 자신의 임신 사실에 더 큰 고통을 느꼈고, 앞으로 닥칠 상황에 대해 두려워했다. 그러나 이 또한 지나갔다.[22]

리즈 십자가의 패널 Civ에는 볼룬드가 베두힐드를 머리 위로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그의 날개와 도구도 함께 보인다.[22]

볼룬드는 베오울프가 착용한 사슬 갑옷을 제작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23] 서사시 베오울프의 450-455행에 따르면, 베오울프는 전투에서 자신이 죽으면 볼룬드가 만들고 흐레델이 준 가슴 갑옷을 히겔라크에게 돌려보내라고 말한다.[23] 발데레에서도 볼룬드가 만든 검이 언급되며,[23] 알프레드 대왕은 보에티우스를 번역하면서 볼룬드의 뼈에 대해 질문한다.[24]

볼룬드가 만든 검은 중세 기사도 로맨스의 일반적인 특징이며, 리더흐 하엘 왕은 멀린에게, 리멘힐드는 어린 혼에게 검을 선물했다. 영국 문학은 또한 ''Þiðreks saga''에서 볼룬드의 아버지인 바디와 이름이 유사한 인물인 웨이드를 알고 있었다.[2]

베오울프』에서는 뛰어난 무기와 방어구를 만드는 명장으로,[26] 『데오르의 탄식』(''The Lament of Deor'')에서는 역경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의지를 가진, 긍지 높은 인물로 언급된다.[27][28]

4. 고고학적 유물

볼룬드의 전설은 아르드레 이미지석 VIII에 묘사되어 있으며[7], 2011년 우푸크라에서 발견된 10세기 구리 부착물에도 묘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 중세 스칸디나비아에도 다른 시각적 표현이 존재할 수 있지만, 문헌에 기록된 볼룬드의 이야기와 일치하는 특징이 충분하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다.[7]

7세기의 유물인 프랭크스 상자(Franks Casket, 오존 상자(Auzon Casket)라고도 함)의 앞면 왼쪽에는, 왕자를 죽여 술잔을 만든 벨룬드가 베즈빌드에게 술잔을 건네 맥주를 따르게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29] 또한 상자 뚜껑에는 활을 든 인물이 그려져 있으며, 함께 새겨진 이름으로 보아 볼룬드의 형제 에길이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30]

또한, 영국의 옥스퍼드셔주에 있는 분묘(burial mound)는 벨룬드의 전설과 관련되어, 색슨족에 의해 웨일랜드의 대장간(Wayland's Smithy)이라고 명명되었다. 그러나 이 거석 기념물은 그들 색슨족보다 훨씬 전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로 인해 말을 작은 은화(그로트)와 함께 하룻밤 놔두면, 다음 날 아침 그 말에게 말굽이 박혀 있다는 미신이 생겨났다.

벨룬드에게는 플리버티지벳(Flibbertigibbet)이라는 조수가 있었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4. 1. 프랭크스 상자

8세기 노섬브리아 프랭크스 궤짝의 정면에서 본 대장장이 볼룬드는 니두드 왕에게 노예로 붙잡혀 아킬레스건이 잘린 채 대장간의 맨 왼쪽에 서 있다.[20] 대장간 아래에는 볼룬드가 죽여서 해골로 술잔을 만든 니두드의 아들의 머리 없는 시신이 있고, 그의 머리는 볼룬드의 손에 집게로 잡혀 있다.[20] 볼룬드는 다른 손으로 술잔을 니두드의 딸 보드빌드에게 내민다.[20] 프랭크스 상자(Franks Casket, 오존 상자(Auzon Casket)라고도 함)의 앞면 왼쪽에는, 왕자를 죽여 술잔을 만든 벨룬드가 베즈빌드에게 술잔을 건네 맥주를 따르게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29] 중앙에 묘사된 또 다른 여성 인물은 볼룬드의 조력자, 형제 에길, 또는 보드빌드일 가능성이 있다.[20] 장면 오른쪽에는 그의 형제가 새를 잡고, 그들의 깃털로 날개를 만들어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20] 상자 뚜껑에는 활을 든 인물이 그려져 있으며, 함께 새겨진 이름으로 보아 볼룬드의 형제 에길이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30]

바이킹 시대 잉글랜드 북부에서 볼룬드는 랭커셔 할턴에 있는 그의 대장간에서 도구에 둘러싸여 묘사되었고, 날아가는 새에 매달려 그의 왕족 포로로부터 도망치는 모습이 리즈, 웨스트 요크셔, 셔번 인 엘멧, 그리고 베일, 둘 다 노스 요크셔의 십자가에 새겨져 있다.[21]

4. 2. 웨일랜드의 대장간

신석기 시대의 장제 묘인 웨이랜드의 대장간(Wayland's Smithy)의 입구


웨일랜드는 버크셔 다운스에 있는 고분인 웨이랜드의 대장간(Wayland's Smithy)과 연관되어 있다.[24] 이 이름은 잉글랜드인들에 의해 붙여졌지만, 거석 묘는 그들보다 훨씬 앞선다. 이 연관성에서, 그곳에 작은 은화(그로트)와 함께 밤새 말을 맡겨두면 아침에 말굽이 박힌다는 민간 신앙이 생겨났다.[24]

이 믿음은 러디어드 키플링의 ''푸크의 언덕'' 첫 번째 에피소드인 "웨일랜드의 검"에서 언급되었으며, 이 에피소드는 신의 흥망성쇠를 이야기한다.[24]

7세기의 유물인 프랭크스 상자(Franks Casket, 오존 상자(Auzon Casket)라고도 함)의 앞면 왼쪽에는, 왕자를 죽여 술잔을 만든 벨룬드가 베즈빌드에게 술잔을 건네 맥주를 따르게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29] 또한 상자 뚜껑에는 활을 든 인물이 그려져 있으며, 함께 새겨진 이름으로 보아 볼룬드의 형제 에길이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30]

영국의 옥스퍼드셔주에 있는 분묘(burial mound)는 벨룬드의 전설과 관련되어 색슨족에 의해 웨일랜드의 대장간(Wayland's Smithy)이라고 명명되었다. 그러나 이 거석 기념물은 색슨족보다 훨씬 전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벨룬드에게는 플리버티지벳(Flibbertigibbet)이라는 조수가 있었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5. 한국과의 관계

6. 현대 문화에서의 볼룬드

월터 스콧은 1575년을 배경으로 한 소설 ''케닐워스''에 웨이랜드 스미스를 등장인물로 포함시켰다.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지크문트 폰 하우세거 (1904)와 러시아의 작곡가 레오폴드 판 데어 팔스 (1913) 모두 교향시를 짓는 데 웨이랜드 사가를 영감으로 사용했다.

ITV 시리즈 로빈 후드에서, 웨이랜드 더 스미스는 "빛과 어둠의 힘"으로 충전된 일곱 개의 검을 만든 공로를 인정받았다. "모락스, 솔라스, 오리아스, 앨비언, 엘리도르, 벨레스, 플라우로스. 각각의 검에는 만들어진 이후로 말해지지 않은 고도의 마법의 단어가 새겨져 있었다. 웨이랜드는 그 위험을 알았다. 물론, 그는 알았다. 그래서 그는 그것들을 흩뿌렸고, 수백 년 동안 그들은 떨어져 있었다. 그 중 두 개는 묻혔다. 다른 것들은 전투에서 잃었고, 일부는 루시퍼의 가마솥을 제외하고 아무도 알지 못하도록 교묘하게 숨겨져 있었다. 그들은 알았다. 그 수색은 많은 세월, 많은 생명을 앗아갔다. - 레이븐스카의 모르윈" 일곱 개의 검 중 주인공 록슬리의 로빈은 시리즈 시작 부분에서 사냥꾼 헤른으로부터 앨비언을 선물받는다.

참조

[1] 서적 A Catalogue of Persons Named in Germanic Heroic Literature
[2] 서적 'Legendary Cycles of the Middl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9
[3] EB1911 Wayland the Smith
[4] 웹사이트 Swords with Names https://www.tf.uni-k[...]
[5] 웹사이트 Weladu the flying blacksmith https://www.frisiaco[...] 2019-11-16
[6] 간행물 Merkwürdiges zu Goldbraktaeten und anderen Inschriftenträgern 2018
[7] 간행물 Bildliche Darstellungen vom Schmied Wieland und ein unerwarteter Auftritt in Walhall https://www.academia[...] Wachholtz 2012
[8] 서적 Norske gaardnavne: Finmarkens amt W. C. Fabritius & sønners bogtrikkeri
[9] 학위논문 Wayland Smith: A cultural-historical biography https://etheses.whit[...] University of Leeds
[10] 학술지 The Sami Representations Reflecting the Multi-Ethnic North of the Saga Literature https://umu.diva-por[...] 2017
[11] 서적 Þidriks saga
[12] 서적 Þidriks saga
[13] 서적 Þidriks saga
[14] 서적 Þidriks saga
[15] 서적 Þidriks saga
[16] 서적 Þidriks saga
[17] 서적 Þidriks saga
[18] 서적 Þidriks saga
[19] 학술지 '''Völundarhús -- Domus Daedali'' Labyrinths in Old Norse Manuscripts' 1993
[20] 서적 Early Medieval https://books.google[...] Penguin 1977
[21] 서적 Viking Age Archaeology In Britain & Ireland Shire 1995
[22] 학술지 deor http://www.kami.demo[...] 1997
[23] 서적 Anglo-Saxon Poetry https://www.questia.[...] Dent 1954
[24]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5] 서적 下宮・金子、p.80-82。
[26] 서적 『ベーオウルフ』p.55。
[27] 서적 唐沢、p.171。
[28] 서적 吉見、p.129。
[29] 서적 唐澤、p.38。
[30] 서적 唐澤、p.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