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루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루섬은 태평양의 세람 해와 반다 해 사이에 위치한 말루쿠 제도의 섬으로, 면적은 9,505km²이다. 섬의 지형은 산악 지형이 많고, 와에아포 강이 섬에서 가장 긴 강이다.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고유종 동식물이 서식한다. 2020년 인구는 약 21만 명으로, 부루족, 리셀라족, 암발라우족 등이 거주하며, 수니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부루섬은 과거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1960~70년대에는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 경제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쌀을 비롯한 다양한 작물을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루쿠 제도 - 미솔섬
미솔섬은 인도네시아 라자 암팟 제도에 속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산호 삼각지대의 일부이고, 역사적으로 이슬람교 전파 및 식민 통치를 거쳤으며, 현재 남쪽 지역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구의 생태지역 - 숨바섬
숨바섬은 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 주에 위치하며 석회암 언덕과 사바나 기후, 거석 문화 전통, 독특한 사회 구조, 마라푸 신앙, 그리고 이캇 직물로 알려진 섬이다. - 오스트레일리아구의 생태지역 - 애드미럴티 제도
애드미럴티 제도는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섬들로, 마누스섬을 포함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고온 다습한 기후와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며, 1767년 명명 후 독일령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위임통치령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고, 현재는 파푸아뉴기니 영토이며 코코넛 재배와 진주 채취가 주요 산업이다.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월리스선
월리스선은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제안한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사이의 생물지리학적 경계선으로,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을 나누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생물상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부루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오세아니아 |
군도 | 말루쿠 제도 |
면적 | 12,655.58 km² |
가장 높은 산 | 카팔라트마다산 |
해발고도 | 2428 m |
국가 | 인도네시아 |
행정 구역 단위 (주) | 말루쿠 주 |
가장 큰 도시 | 남레아 |
가장 큰 도시 인구 | 37,869 명 |
인구 | 215,277 명 (2020년 인구 조사) |
인구 밀도 | 17.0 명/km² |
민족 | 부루족 리셀라족 암벨라우족 카옐리족 |
시간대 | 인도네시아 동부 표준시(IEST) |
UTC 오프셋 | +09:00 |
행정 구역 단위 (군) | 부루 군 남부 부루 군 |
지리 | |
위치 | 말루쿠 제도 |
면적 | 9,505 km² |
둘레 | - |
최고점 | 2,729 m |
해역 | 모르카 제도 |
행정 | |
국가 | 인도네시아 |
행정 구역 (주) | 말루쿠 주 |
인구 통계 | |
인구 | 161,828 명 (2010년) |
인구 밀도 | - |
기타 | |
관련 항목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2. 지리 및 지질
부루섬의 기후는 습한 열대 몬순 기후로, 말루쿠 제도의 전형적인 기후를 보인다. 우기는 10월부터 4월까지이며, 12월에서 2월 사이에 강수량이 가장 많다. 섬의 크기는 비교적 작지만, 산악 지형으로 인해 여러 기후대가 나타난다. 고도에 따른 기온 감소 외에, 이러한 기후대 간의 온도 변화는 미미하며, 연평균 기온은 약 26°C이다.[1] 그러나 연간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북쪽에서는 1400mm~1800mm, 중앙에서는 1800mm~2000mm, 남쪽에서는 2000mm~2500mm, 해발 500m 이상 산악 지역에서는 3000mm~4000mm에 달한다.[2]
1999년까지 부루섬은 중앙 말루쿠 군의 일부였으나, 이후 같은 이름의 별도 군으로 분리되었다. 2008년에는 부루 군과 남부 부루 군으로 나뉘었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 부루섬의 인구는 161,828명이었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210,648명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약 64.2%가 북부 군에, 35.8%가 남부 군에 거주했다. 2022년 중반의 공식 인구 추정치는 215,277명이었다.[5] 남부 군에는 부루섬 남동쪽에 있는 작은 섬인 암발라우도 포함되었다.
부루섬은 북쪽의 세람 해와 남쪽 및 서쪽의 반다 해 사이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세람 섬과 마니파 해협으로 구분된다. 할마헤라, 세람 다음으로 말루쿠 제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면적은 9505km2이다. 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길쭉한 타원형이며, 최대 길이는 약 130km, 남북 방향으로는 약 90km이다. 해안선은 매끄러우며, 동쪽 해안에 위치한 카예리 만이 유일한 주요 만입부이다. 섬에서 가장 큰 도시인 남레아는 카예리 만 입구 북쪽에 위치한다.
섬의 최고점은 카팔라트마다 산으로 해발 2700m이다.[1] 부루섬 해안에는 암발라우와 렝아 섬 등 사람이 거주하는 섬과 포기섬, 오키섬, 토마후섬 등 무인도가 있다.[1][2]
섬은 대부분 산악 지형으로, 특히 중앙부와 서부가 그렇다. 평탄한 지역은 해안 근처의 좁은 지대와 와에아포 강(Apo River) 유역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이곳에서 동일한 이름의 계곡을 형성한다. 섬의 상당 부분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다.
와에아포 강은 부루섬에서 가장 긴 강으로, 북동쪽으로 흘러 카예리 만으로 흘러든다. 강바닥은 굴곡이 심하며, 전체 길이를 따라 고리가 있다. 다른 강으로는 게렌강과 니베강이 있으며, 강 유량은 우기에 최대에 이른다. 섬 중앙에는 담수호인 라나 호수가 있으며, 면적은 11.5km2이다.[1]
지각은 주로 신생대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마도 호주 대륙에서 기원했을 것이다.[1] 또한, 더 젊은 화산암과 충적 퇴적물도 존재한다. 실트, 이탄, 모래 및 진흙 형태의 퇴적물은 대부분 강 유역에서 발견된다. 점판암, 편암 및 사암의 변성암이 섬 북부를 지배한다. 석회암만이 상업적으로 채굴되며, 2009년에는 대륙붕에서 상당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발견되었다. 섬 주변에는 수많은 산호초가 있다. 토양은 주로 황색-적색 포드졸, 유기질토, Grumosol 및 다양한 혼합물로 구성된다.
3. 기후
4. 동식물
부루는 생물지리학적 구역인 호주와 아시아의 경계에 위치해 있어, 그 동식물상은 독특하며 국내외 과학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섬에서 발견된 포유류 25종 중 최소 4종이 부루와 가장 가까운 섬에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부루 바비루사(''Babyrousa babyrussa'')는 야생 돼지의 지역 종으로, 비교적 길고 두꺼운 체모를 가지고 있어 다른 ''Babyrousa'' 종과 구별된다. 또한 고기의 지방 함량이 매우 낮아(국내산 돼지의 경우 5–15%에 비해 1.27%에 불과) 현지인들에게는 별미로 여겨지며, 식감과 풍미 면에서 다른 야생 돼지나 사슴보다 선호된다. 부루에는 몰루카 날여우(''Pteropus chrysoproctus''), 세람 과일 박쥐(''Pteropus ocularis''), 작은 코관 박쥐(''Nyctimene minutus'') 등 세 종류의 박쥐가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부루와 인근 섬에 고유종으로 서식하는 조류는 178종 중 10종이다. 부루 래킷테일(''Prioniturus mada''), 검은얼굴 앵무(''Tanygnathus gramineus''), 푸른얼굴 로리(''Charmosyna toxopei''), 부루 꿀빨이새(''Lichmera deningeri''), 부루 뻐꾸기두견(''Coracina fortis''), 부루 정글 포획자(''Rhinomyias additus''), 마당가(''Madanga ruficollis''), 부루 흰눈썹새(''Zosterops buruensis''), 황갈색 부채꼬리(''Rhipidura superflua''), 부루 군주(''Monarcha loricatus'')가 이에 해당한다. 이 중 붉은목 흰눈썹새는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되며, 검은얼굴 앵무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취약종(위협)으로 분류된다. 두 종 모두 부루 섬의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부루에 거의 고유종으로 서식하는 새는 다음과 같은 19종이 더 있다. 적갈색 목매 사냥매(''Accipiter erythrauchen''), 검은발 멧새(''Megapodius forstenii''), 몰루카 멧새(''Megapodius wallacei''), 안경제비집비둘기(''Ducula perspicillata''), 부루 산비둘기(''Gymnophaps mada''), 붉은 로리(''Eos bornea''), 몰루카 매부엉이(''Ninox squamipila''), 몰루카 가면 올빼미(''Tyto sororcula''), 와콜로 마이조멜라(''Myzomela wakoloensis''), 부루 프라이어버드(''Philemon moluccensis''), 탁한 휘파람새(''Pachycephala griseonota''), 흰목 군주(''Monarcha pileatus''), 어두운 회색 포획자(''Myiagra galeata''), 검은귀 솔개(''Oriolus bouroensis''), 창백한 매미새(''Coracina ceramensis''), 부루 울새(''Zoothera dumasi''), 계피가슴 포획자(''Ficedula buruensis''), 부루 덤불 휘파람새(''Locustella disturbans''), 부루 꽃새(''Dicaeum erythrothorax'')가 이에 해당한다. 부루에서 발견되는 나비 중 흰나비과의 25%와 호랑나비과의 7%가 섬의 고유종이다.
식생은 열대 저지대 상록수 및 반상록수 우림의 특징을 보이며, Dipterocarpaceae 과, ''Hopea'', ''Shorea'', ''Vatica'' 속, 그리고 개별 종인 ''Anisoptera thurifera'', ''Hopea gregaria'', ''Hopea iriana'', ''Hopea novoguineensis'', ''Shorea assamica'', ''Shorea montigena'', ''Shorea selanica'', ''Vatica rassak''가 우세하다. 이러한 나무 중 일부는 30m 이상으로 자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꺼운 덩굴과 다른 착생식물에 의해 묶여 있다. 개방된 숲, 삼림지, 사바나 지역도 부루에 존재한다. 내화성 종이 나무(''Melaleuca cajuputi'')는 건조 지역에서 흔히 발견된다. 섬 북서부 지역에는 ''Shorea'' 나무를 포함하는 혼합림으로 덮여 있고, 석회암 절벽이 가파르게 솟아 있으며, 산 정상에는 stunted ''Dacrydium novo-guineense''이 존재한다.
1차 숲은 섬의 60%를 차지하며, 대부분 에어 부아야와 와에아포 지역에서 발견된다. 2차 숲은 0.51%에 불과하며 바타부알 지역에 있고, 맹그로브는 0.9%로 와에아포, 에어 부아야, 바타부알, 남레아 지역에 존재한다. 섬의 상당 부분(23.10%)은 관목이 차지하고 있으며, 개방된 토지는 5.83%에 불과하며 부루의 대부분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5. 행정 구역
6. 인구
2020년대 초반, 인구 대부분은 해안 지역에 집중되었으며,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1900년대 네덜란드 식민 행정부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인도네시아 당국은 부루섬으로의 이주를 장려했다.
지역 사회는 일상생활에서 부루어, 리셀라어, 암발라우어를 사용하지만, 국제적인 의사 소통 수단으로 국가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며, 문어에도 사용된다. 또한 말레이어의 암본 방언(''Melayu Ambon'')도 흔히 사용된다. 후자는 말루쿠 제도에서 제2 언어로 널리 사용되며, 지역 어휘가 추가된 인도네시아어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후쿠미나어 및 카예리어와 같은 일부 지역 방언은 20세기 후반에 사멸되었다.[6]
인구의 종교 구성은 다양하다. 수니 이슬람교를 믿는 섬 주민(90%)과 기독교(10%)의 수가 많으며, 나머지는 주로 외딴 산간 지역의 주민들로, 여전히 전통적인 지역 숭배를 따르거나 뚜렷한 종교적 소속이 없다. 1990년대의 경제 위기는 종교적 갈등으로 인해 부루족 간의 빈번한 분쟁을 초래했다. 1999년 12월 며칠 동안 와이니베 마을에서 43명이 사망하고 최소 150채의 집이 불탔다.[1]
7. 역사
부루 섬에 대한 최초의 언급 중 하나는 1365년 마자파힛 왕국의 통치자 하얌 우루크를 찬양하는 고대 자바어 시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나타난다. 이 섬은 마자파힛의 지배를 받는 토지 목록의 15번째 노래 3행에 Hutan Kadali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
16~17세기에는 부루가 테르나테 섬의 통치자와 포르투갈인에 의해 주장되었지만, 양측의 주장은 상징적인 것에 불과했다. 어느 쪽도 섬을 통제하지 못하고 무역 문제로 방문만 했을 뿐이다. 술라웨시 섬에서 온 마카사르인들은 부루에 요새를 건설하고 원주민들에게 정향과 같은 귀중한 향신료를 재배하도록 강요했다.
7. 1. 식민 시대


마카사르족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말레이 제도 동부에서 향신료 생산과 무역 지배권을 놓고 경쟁하며 군사적 갈등을 빚었다. 1648년, 네덜란드 원정대는 부루에 파견되어 마카사르족을 몰아내고 건물과 배를 파괴했다. 네덜란드는 기존 정향 농장을 재사용하는 대신 섬에 정착할 입장이 아니었고, 마카사르족이 철수 후 돌아올 것을 우려하여 3천 그루 이상의 나무를 불태웠다. 1658년, 네덜란드는 부루 동부 카예리만 남쪽 해안에 4문의 대포와 24명의 병사로 무장한 요새를 세웠다. 이 요새는 영구적인 정착지가 되었고 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섬의 다른 지역에서 원주민 약 2,000명이 강제 이주되었으며, 부족 귀족 상당수도 포함되었다. 요새 주변에는 루마이트, 후쿠미나, 팔라마타, 토마후, 마사레테, 와이사마, 마룰라트, 렐리아리, 타갈리사, 일라트, 카예리, 바라, 리셀라 등 13개의 대규모 마을이 건설되었다. 이는 현지 인구를 통제하고 네덜란드가 심고 있던 정향 밭의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카예리 민족은 새롭게 이주해 온 정착민과 요새 지역 원주민이 섞여 언어를 사용하며 형성되었다.
부족 귀족의 조상들과 네덜란드 식민 행정부 간의 상호 작용은 카예리족에게 다음 세기 동안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으며, 이들은 섬의 원주민 엘리트 역할을 주장했다. 특히 카예리족은 부루의 각 씨족으로부터 쌀, 기장, 코코넛, 사고, 고구마, 담배와 같은 기부를 요청했으며, 카예리 라자를 위해 독점적으로 일할 사람들을 공급했다.
19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폐지되었고 말레이 제도의 모든 소유지는 네덜란드 왕실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었다. 1824년, 식민 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부루는 14개 지방으로 나뉘었고(이후 100년 동안 점차 7개로 감소), 각 지방은 네덜란드 고문에게 종속된 현지 통치자 라자가 이끌었다. 모든 라자는 네덜란드에 대한 충성을 증명한 카예리 부족 귀족 중에서 선출되었다.
카예리 지배는 1880년대에 렐리아리, 와에 사마, 포기 씨족의 지도자들이 그들의 민족 집단 상당수를 원래 정착지로 옮기면서 종말을 맞기 시작했고, 1900년대 초에는 타갈리사가 합류했다. 그 무렵, 원래 13개 카예리 마을 중 많은 곳이 버려지거나 라자를 잃었다. 1910년경에는 카예리 씨족의 주도적 역할이 거의 사라졌다.
7. 2. 전환기 (1942~1950)
1942년 봄부터 1945년 여름까지 부루를 포함한 모든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섬은 일본 군사 기반 시설, 특히 부루의 주요 도시인 남레아 공항을 무력화시키려는 연합군의 폭격기들에 의해 공격받았다.1945년 9월 2일 일본의 항복 이후, 섬에 대한 통제권은 네덜란드로 넘어갔다. 1946년 12월, 부루는 다른 말루쿠 제도, 술라웨시 및 소순다 열도와 함께 네덜란드 정부가 동인도의 이전 식민지를 종속 국가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립한 준독립적인 동부 인도네시아 국가(Negara Indonesia Timurid)에 포함되었다. 1949년 12월, 동부 인도네시아는 1949년 8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열린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담에서 설립된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Republik Indonesia Serikatid RIS)에 합류했다.[1]
1950년 4월, RIS가 폐지되고 동부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편입되기 직전에, 부루, 암본, 세람 및 주변의 여러 작은 섬의 지방 당국은 독립적인 남말루쿠 공화국(Republik Maluku Selatanid, RMS)의 설립을 선포하고 네덜란드와의 긴밀한 정치적 유대를 유지하기로 했다. RMS를 협상을 통해 흡수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1950년 7월에 6개월간의 군사적 갈등을 시작했다. 1950년 12월, 부루는 인도네시아 군대의 통제를 받게 되었고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로 선포되었다.
7. 3. 인도네시아의 일부
수하르토 정권 시기, 부루 섬은 공산주의자, 좌익 인사, 반체제 지식인 등 정치범을 수용하는 주요 장소였다.[1] 1980년에 대부분의 수용소가 폐쇄되었지만, 당시 12,000명 이상이 수감되었고,[1] 최소 수백 명이 사망하거나 살해되었다.대표적인 수감자로는 인도네시아 작가 프라모에디아 아난타 투르가 있다. 그는 1965년부터 1979년까지 부루 섬에 수감되어 ''부루 4부작''을 비롯한 많은 소설을 썼다. 특히 첫 작품은 ''이 세상의 인간들''이다. 1975년까지 그는 필기도구를 사용할 수 없어 소설을 암기하여 동료 수감자들에게 구술했고, 그들의 기억에 의존했다.
1970년대 후반, 자바에서 이주민들이 부루 섬에 도착했다. 이들은 정치범들과 함께 수천 헥타르의 벼농사를 개척하고 와에아포 강 충적 평원에 관개 시설을 건설했다. 이로 인해 지역 쌀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고, 부루 섬은 말루쿠 제도에서 가장 큰 쌀 생산지가 되었다.[7][8]
8. 경제
섬의 경제는 1990년대 후반 국가 및 지역 위기로 인해 침체되었으나, 2000년대 초반부터 성장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2008년 기준으로 실업률은 9.92%로 여전히 높고, 섬 주민의 37% 이상이 국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다.
2008년 GDP의 51.22%를 차지하는 농업이 섬 경제의 기반이다. 주요 작물은 쌀로, 부루 레겐시에서만 5,700헥타르가 넘는 농장에서 연간 약 23,000톤(2008년 기준)을 생산한다.[1] 논은 주로 섬 북부 해안의 남레아(Namlea), 와에아포(Waeapo), 에어 부아야(Air Buaya) 지역에 위치한다. 남부 지역에서는 옥수수가 135헥타르 면적에서 연간 176톤(2008년 기준) 생산되며, 와이사마(Waisama), 케팔라마단(Kepalamadan), 남롤레(Namrole)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 그 외 고구마 (211ha, 636ton), 콩 (926ha, 946ton), 대두 (965ha, 965ton)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코코넛 (5724ha, 2742ton), 코코아 (4453ha, 2368ton), 정향 (947ha, 881ton), 커피 (114acres, 1223ton)는 남레아, 에어 부아야, 와에아포, 바투부알(Batubual), 와플라우(Waplau) 지역에서 재배되며, 육두구 (143ha, 75ton)는 바투부알에서만 재배된다. 티크 농장은 부루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며, 천연 목재 자원을 보완한다.
축산업은 부차적이지만, 그 역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주요 가축은 소 (2008년 기준 41,349마리), 물소 (3,699마리), 닭 (1,346,000마리 이상), 오리 (195,000마리), 양 (26,950마리), 돼지 (1,276마리), 말 (497마리)이다.[1]
2008년에는 410개의 어업 기업이 있었으며, 연간 3891ton의 어류 및 해산물을 어획했다. 주요 상업 어종은 참치 (900ton), 정어리 (420ton), 고등어 (385ton)이다.[1]
산업은 섬 주민 약 2,700명을 고용하며, GDP의 약 7%를 차지한다.[1] 2008년에 등록된 537개의 기업 중 482개는 농산물 가공, 44개는 엔지니어링, 화학 및 수리 분야에 종사했다. 2010년 1월,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섬에 주요 시멘트 공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농업 및 엔지니어링 외에 다른 중요한 경제 분야는 무역, 호텔 산업 및 케이터링 (2008년 GDP의 19.19%), 세관 서비스 (12.74%), 운송 및 통신 (3.10%), 건설 (3.13%), 금융 부문 (2.64%), 에너지 및 물 (0.49%)이다.[1] 섬의 관광 산업은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음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부루섬의 경제 성장률과 GDP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성장률 (%) | GDP (10억 IDR) |
---|---|---|
2001 | 0.38 | 123.657 |
2002 | 1.08 | 124.989 |
2003 | 2.90 | 128.610 |
2004 | 3.27 | 132.821 |
2005 | 3.79 | 137.851 |
2006 | 4.80 | 144.470 |
2007 | 4.36 | 150.767 |
2008 | 4.60 | 157.709 |
9. 교통
부루섬은 해상 노선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남레아와 남롤레에 2개의 주요 항구가 있다. 866척의 화물 및 여객선이 등록되어 있으며, 2008년 평균 운송량은 하루 400ton이었다. 스피드보트 "바하리 익스프레스"는 남레아와 말루쿠 주도 암본(거리 160km, 소요 시간 3시간) 사이를 매일 운행한다.
부루 지역 행정부와 현지 군 당국의 합의에 따라, 남레아의 군용 비행장(활주로 750m)이 항공 운송에 사용된다. CASA C-212 아비오카 항공기는 남레아와 말루쿠의 여러 마을 사이를 연간 96회 운항한다. 2007년에는 남레아에서 남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수바와 남롤레 마을 근처에 민간 공항 건설이 시작되었다.
철도가 없어, 대부분의 지역 교통은 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2008년, 총 길이는 1310km였으며, 이 중 278km는 아스팔트, 282km는 자갈로 포장되었고 나머지는 토사로 덮여 있었다. 남레아와 남롤레를 비롯한 여러 마을을 연결하는 섬을 가로지르는 현대적인 287km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는 자금 부족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다. 18대의 버스 노선으로 운영되는 정기 장거리 버스 서비스가 있다.
10. 보건
2007년 기준으로, 섬의 의료 시스템은 자금 부족과 자격을 갖춘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해 열악한 상태였다. 병원은 2개, 진료소는 16개였으며, 이 중 5개는 응급 처치 진료소, 11개는 비응급 환자를 위한 곳이었다. 의료진은 의사 22명(2명은 의학 학위 소지), 산부인과 의사 65명, 간호사 303명으로 구성되었다.[1] 당국은 2012년까지 의료 시설 및 인력을 2~4배 늘릴 계획이었다.[1]
11. 전통 문화
부루섬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마을에 거주했지만, 주로 사냥과 농업으로 이루어진 계절별 활동에 따라 흩어지거나 모이는 경향이 있었다. 남성들은 주로 동계절풍이 절정에 달하는 6월과 7월에 숲에서 야생 돼지인 부루 바비루사, 사슴, 포섬을 사냥했고, 여성들은 야생 채소를 채집했다. 서계절풍(11월~4월)에는 남녀 모두 밭에서 함께 일했다. 마을 위치 또한 섬의 낮은 토양 비옥도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토양 복구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고, 이 때문에 새로운 밭으로 장거리 이동을 해야 했다. 가족이 일주일의 대부분을 마을을 떠나 밭에서 일하고 일요일에 종교 행사에만 돌아오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었다. 또한 토지를 약 20년 동안 활용한 후 마을 전체를 옮기는 것도 흔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정착지는 매우 작았다. 가장 작은 유형은 1~2가구(''hum-hawa'' 또는 ''hum-tapa'')였고, 중간 유형(''hum-lolin'')은 3~10채의 가옥으로 구성되어 20~50명의 사람들을 수용했으며, 더 큰 유형(''fen-lale'')은 30~50채의 가옥과 150~300명의 사람들을 수용했다. 해안에는 200채 이상의 가옥이 있는 여러 다민족 정착지(''ibu kota kecamatan'')도 있었다.
전통적인 부루 가옥은 대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종종 말뚝 위에 세워졌다. 지붕은 야자 잎이나 갈대로 덮었다. 20세기에 시멘트, 금속, 타일이 도입되어 더 영구적인 주거지를 지을 수 있게 되었지만, 현지인들의 이주 습관과 지역 분쟁, 미신(특정 수의 사람들이 짧은 기간 내에 사망한 장소를 저주하는 것 등) 때문에 제한적인 결과만 얻었다. 마을에 교회가 있으면 한 세기 동안 이주를 막을 수 있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전통적인 부루 의상은 다른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민족의 의상과 유사하다. 남성들은 사롱(일종의 킬트)과 긴 치마 튜닉을 입고, 여성들은 사롱과 짧은 재킷을 입는다. 의상 색상은 섬의 다른 부족들 사이에서 체계적으로 달랐다.
12. 연구
부루섬의 독특한 동식물과 열대 우림 생태계는 인도네시아와 외국 과학 단체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해안 평원의 원래 초목은 제거되었고, 섬 북쪽의 산림 대부분은 목재를 위해 베어지고 불태워져 새로운 농경지를 만들었지만, 두 개의 큰 안정적인 열대 우림 지역이 여전히 산에 존재한다. 이들은 현재 보호 구역인 구눙 카팔랏 마다(1380km2)와 와에아포(50km2)이다.
섬의 역사, 문화 및 언어에 관한 대부분의 출판 연구는 198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선교사이자 민족지학자인 찰스 E. 그라임스(Charles E. Grimes)와 바바라 딕스 그라임스(Barbara Dix Grimes) 부부가 수행했다. 이들은 SIL 인터내셔널의 활동적인 회원이다. (찰스의 부모인 조셉 E. 그라임스(Joseph E. Grimes)와 바바라 F. 그라임스(Barbara F. Grimes) 또한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민족지학자로 알려져 있어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들은 또한 초기 네덜란드 선교사들이 시작한 부루어로의 성경 번역을 완료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ountain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http://peaklist.org/[...]
2012-09-24
[2]
웹사이트
Hydro Potential at Buru Island
http://www.danplan.n[...]
2011-07-23
[3]
웹사이트
Black-lored Parrot
http://birdbase.hokk[...]
Hokkaido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2011-07-22
[4]
웹사이트
Rufous-throated White-eye
http://birdbase.hokk[...]
Hokkaido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s and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2016-03-04
[5]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3
[6]
서적
Language contact and change in the Austronesian world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4
[7]
뉴스
Pulau Buru Tak Lagi Menyeramkan
https://news.detik.c[...]
2011
[8]
뉴스
Berawal dari Lembah Waeapo
https://travel.kompa[...]
2013-10-19
[9]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4
[10]
뉴스
18 killed in Indonesia landslide(2010年7月25日)
https://edition.cnn.[...]
CNN
2010-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