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 저장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저장소는 일제강점기 일본군이 군수물자 보관을 위해 설치한 시설에서 시작되었다. 해방 후 미군이 인수하여 제55병참기지창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제55병참창으로 개칭되었다가 캠프 마켓으로 이전 및 해산되었다. 현재는 제55보급창으로 불리고 있으며, 2007년 부산 저장시설로 개편되었다. 부산 동구청은 국방부로부터 토지를 반환받아 녹지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부산 저장소는 POV 급유지점, 스낵바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 8번 부두, 진해 함대지원부대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군의 시설 - 포항경주공항
    포항경주공항은 1970년 포항비행장으로 개항하여 서울 및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한국 전쟁 당시 미 공군 기지로도 사용되었으며, 2022년 현재 명칭을 변경하였다.
  • 주한 미군의 시설 - CP 탱고
    CP 탱고는 한반도 유사시 한미 연합사의 지휘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청계산 지하에 건설된 벙커이며, 전술핵 공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한미 연합 군사 훈련 시 지휘부가 집결하며, 주한 미군 철수와 함께 대한민국 육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 1940년대 설립 - 도네츠크 국제공항
    도네츠크 국제공항은 1933년 개항하여 유로 2012를 앞두고 확장되었으나, 2014년 돈바스 전쟁으로 파괴되어 현재 운영이 중단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의 국제공항이다.
  • 1940년대 설립 - 아밀카르 카브랄 국제공항
    아밀카르 카브랄 국제공항은 카보베르데 살섬에 위치하며 유럽과 남아메리카를 잇는 노선으로 건설되어, 현재는 다양한 항공편이 운항하고 빈치 공항이 운영한다.
부산 저장소 - [지명]에 관한 문서
시설 정보
명칭부산 저장소
원래 명칭Busan Storage Center
위치부산광역시 동구
종류군사 건축물
규모55 acre (21,7000 m2)
사용일본군 (19??년 ~ 1945년)
주한 미군 (1945년 ~ 현재)
상태사용 중
소유자주한 미군
공공 개방아니요

2. 역사

일본군태평양 전쟁 발발 후 한반도에서 생산한 군수물자를 보관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일본군 철수 후, 이 시설에서 "제55병참기지창"이 재소집되어 "제55병참창"으로 개명되었다가 캠프 마켓으로 이전하며 해산되었다.[1] 부산에서는 여전히 제55보급창으로 불리고 있다.[2]

2007년 5월 29일, 부산 저장시설(Busan Storage Facility영어)에서 55 에이커 규모의 부산 저장소로 개편되었다.[3]

부산 동구청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주한 미군으로부터 제55보급창 부지를 반환받으면, 협상을 통해 이양받아 녹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캠프 하야리아의 경우처럼 국방부에 의해 토지값이 폭등할 것을 우려하여 상업 용지(131000m2) 및 준공업 용지(96000m2)를 녹지로 변경하였다.[4][5]

2. 1. 일제강점기

일본군태평양 전쟁 발발 후 한반도에서 생산한 군수 물자를 보관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일본군이 철수한 뒤, 해당 시설에서 "제55병참기지창"이 1950년 10월 17일에 재소집되었고, 1954년 3월 27일 "제55병참창"으로 개명되었다. 1955년 5월 캠프 마켓으로 이전하여 1964년 5월 1일에 해산하였다.[1] 부산에서는 여전히 그들의 이름을 따 제55보급창으로 부르고 있다.[2]

2. 2. 해방 이후

미군이 시설을 인수하여 1950년 10월 17일에 제55병참기지창이 해당 시설에서 재소집되었다. 1954년 3월 27일에 "제55병참창"으로 개명되었고, 1955년 5월 캠프 마켓으로 옮겨가서 1964년 5월 1일에 해산하였다.[1] 부산에서는 여전히 그들의 이름을 따서 제55보급창으로 부르고 있다.[2]

2007년 5월 29일 화요일, 부산 저장시설(Busan Storage Facility영어)은 55에이커 규모의 부산 저장소로 개편되었다.[3]

부산 동구청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주한 미군으로부터 제55보급창 토지를 반환받으면, 협상하여 이양받을 예정이다. 캠프 하야리아의 경우처럼 국방부에 의해 토지값이 폭등할 것을 우려하여 상업(131000m2) 및 준공업(96000m2)에서 녹지로 용도를 바꿨다.[4][5]

2. 3. 캠프 마켓 이전 및 부산 저장시설 개편

1955년 5월 제55병참창이 캠프 마켓으로 이전하며 해산되었으나,[1] 부산에서는 여전히 제55보급창으로 불리고 있다.[2] 2007년 5월 29일, 부산 저장시설(Busan Storage Facility영어)에서 55acre 규모의 부산 저장소로 개편되었다.[3]

2. 4. 대한민국 반환 및 개발 계획

부산 동구청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주한 미군으로부터 제55보급창 부지를 반환받으면, 협상을 통해 이양받아 녹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캠프 하야리아의 경우처럼 국방부에 의해 토지값이 폭등할 것을 우려하여 상업 용지(131000m2) 및 준공업 용지(96000m2)를 녹지로 변경하였다.[4][5]

3. 시설

부산 저장소에는 POV영어 급유지점과 스낵바가 있으며, 주변에는 8번 부두, 진해 함대지원부대, 마산 탄약창이 있다.

3. 1. 내부 시설

3. 2. 주변 시설

참조

[1] 웹인용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5th quartermaster Base Depot https://web.archive.[...] US Army Quartermaster Foundation 2015-11-13
[2] 웹인용 55 보급창 http://busan.grandcu[...]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6-25
[3] 뉴스 Civilian named manager of Busan Storage Center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07-06-02
[4] 뉴스 부산시, 55보급창 자연녹지로 묶은 까닭은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3-03-13
[5] 뉴스 "55보급창 반환계획, 하야리아보다 치밀하게 세워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