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캠프 하야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프 하야리아는 미국 플로리다주 하이얼리아 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부산에 주둔했던 주한 미군 기지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경마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945년 주한 미군이 접수하여 군수 기지로 활용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에는 군수 물자 보급과 병력 숙영 시설로 사용되었으며, 1984년 제34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가 1990년 제20지원단이 인수했다. 2006년 기지가 폐쇄되었으며, 이후 부산시로 소유권이 이전되어 부산시민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부산진구의 건축물 - 범일역 (한국철도공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위치한 범일역은 영동선, 가야선, 동해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과거에는 여객과 화물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 단선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 부산 부산진구의 건축물 - 가야역 (한국철도공사)
    가야역은 부전선 상의 철도역으로, 개업 후 폐지, 역명 변경 등을 거쳤으며, 과거 여객과 화물을 취급했으나 현재는 모두 중단되었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가야역과는 환승역이 아니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2006년 폐지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2006년 폐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국가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불리다 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칭되었으나 몬테네그로 독립으로 2006년 해체되었다.
캠프 하야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군사 건축물 정보
명칭캠프 하야리아
원래 명칭Camp Hialeah
일부해당 없음
위치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 연지동
지도 종류대한민국
위도35.168231
경도129.057791
종류군영
좌표35.168231, 129.057791
코드해당 없음
건설해당 없음
건설자해당 없음
재질강철, 콘크리트
규모543,360 m2
사용일본 조선군 (?~1945)
유엔사령부 (1945~195?)
주한 미국 육군 (195?~2006)
해체2006년 8월 10일
상태부산시민공원으로 바뀜.
소유자유엔사령부 (1945~195?)
주한 미국 육군 (195?~2006)
공공 개방 여부
통제해당 없음
주둔해당 없음
현재 지휘관해당 없음
지휘관해당 없음
점유해당 없음
전투해당 없음
사건해당 없음

2. 명칭

캠프 하야리아는 미국 플로리다주 하이얼리아 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4] '하이얼리어'(/ˌhaɪəˈliə//Hialeah영어)는 북아메리카 중부 지역(현재 미국의 남동부)에 살던 원주민인 크릭 족 언어에서 유래했는데, "하이약포"(북아메리카의 대초원 지역을 말하는 프레리를 뜻함)와 "힐리"(아름답다를 뜻함)를 합친 말로, "아름다운 프레리"라는 뜻이다.[3] 또 다른 설은 플로리다 원주민인 세미놀 족의 미카스키 말로 "높은 프레리"라는 뜻이라고도 한다.[3]

주한 미군 측의 정식 명칭은 캠프 하이얼리어지만, 부산시민들은 발음이 어려워 '하야리아 부대'로 불렀다.[5]

3. 역사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경마협회 소유로 경마장으로 쓰였으며, 경주로는 기지 내 순환 도로로 사용되었다.[3]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경마장 터는 일본 조선군의 훈련소로 쓰이다가, 1945년 광복 직후, 한반도에 상륙한 주한 미군이 접수하였다.[3]

1945년 광복 직후, 주한 미군일제강점기에 조선 경마협회 소유의 경마장이었던 캠프 하야리아 부지를 접수하였다. 경주로는 기지 내 순환 도로로 사용되었다.[3] 초기에는 미국 제6보병사단이 주둔하였고, 이후 미 영사관, 유엔 등이 사용하였다.[3]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부산은 군수물자와 병사의 주요 보급창이 되었다.[3] 1953년 휴전 이후에는 한국군 전사자 및 부상자 교환, 병력 숙영 등으로 사용되다가 시설이 확장되었다.[3] 이후 40여 년간 미군 사령부가 설치되어 대한민국 최대 군수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3][6] 일제강점기에 경마장 입장과 관람객을 수용하던 건물은 미군 장교클럽(헤븐클럽)으로 쓰였다.[3]

부대 내에는 군인 숙소, 학교, 병원, PX, 식당 등 다양한 시설이 존재했다.[7] 1960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미국인 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3]

캠프 하야리아에서 훈련중인 "제4병참파견대 (공수)" 소속 군인, 2000년 8월 촬영


1984년 주한 미군 부산 사령부가 해체되고, 제19지원사령부 예하 제34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제34지원단은 서울특별시 용산기지로 이동하고, 1990년 9월 4일 대구의 제20지원단이 인수하게 된다.[3]

3. 1. 일제강점기 ( ~ 1945년)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경마협회 소유로 경마장으로 쓰였으며, 경주로는 기지 내 순환 도로로 사용되었다.[3]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경마장 터는 일본 조선군의 훈련소로 쓰이다가, 1945년 광복 직후, 한반도에 상륙한 주한 미군이 접수하였다.[3]

3. 2. 미군 주둔기 (1945년 ~ 2006년)

1945년 광복 직후, 주한 미군일제강점기에 조선 경마협회 소유의 경마장이었던 캠프 하야리아 부지를 접수하였다. 경주로는 기지 내 순환 도로로 사용되었다.[3] 초기에는 미국 제6보병사단이 주둔하였고, 이후 미 영사관, 유엔 등이 사용하였다.[3]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부산은 군수물자와 병사의 주요 보급창이 되었다.[3] 1953년 휴전 이후에는 한국군 전사자 및 부상자 교환, 병력 숙영 등으로 사용되다가 시설이 확장되었다.[3] 이후 40여 년간 미군 사령부가 설치되어 대한민국 최대 군수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3][6] 일제강점기에 경마장 입장과 관람객을 수용하던 건물은 미군 장교클럽(헤븐클럽)으로 쓰였다.[3]

부대 내에는 군인 숙소, 학교, 병원, PX, 식당 등 다양한 시설이 존재했다.[7] 1960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미국인 학교가 설립되기도 했다.[3]

1984년 주한 미군 부산 사령부가 해체되고, 제19지원사령부 예하 제34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제34지원단은 서울특별시 용산기지로 이동하고, 1990년 9월 4일 대구의 제20지원단이 인수하게 된다.[3]

3. 3. 기지 반환 및 부산시민공원 조성 (2006년 ~ 현재)

1995년부터 부산 지역 시민 단체를 중심으로 하야리아 기지 반환 운동이 시작되었다.[8] 2002년 주한 미군과의 LPP 수정 협상을 통하여 일부 시설물을 2002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에 반환하기로 했으며, 2004년 7월 23일 FOTA 회의에서 하야리아 기지를 2005년까지 반환하며, 동시에 강서구 이전 계획을 완전히 백지화하기로 하였다.[8] 반환 협상 이후 2006년 8월 10일에 부대를 폐쇄하고,[9] 기지 내 오염물 처리 문제로 부대 폐쇄 이후에도 협상이 진행되다가[10] 2010년 1월 27일 반환 협상이 타결되어 부산시로 소유권이 넘어왔다.

부산시에서는 2010년 4월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지 일부를 시민에게 개방하였다.[11] 개방 이후 부산시는 부대 부지에 시민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 있으며, 2011년 2월부터 11월까지 문화재 발굴을 진행했다.[12] 3월 28일 시민 공원의 기본 설계가 확정되었다.[13]

부산진구 범전ㆍ연지동 일원 528,278 m²에 시민공원을 조성키로 하고, 2011년 3월 부산시민공원으로 공식 명칭을 선정했다. 2011년 8월 11일 기공식을 개최하였으며, 2014년 5월 1일, 부산시민공원이 개장하였다.

4. 주둔 부대

KCOMZ, CID, 육군 제8069부대 (보충창), 제2수송단(임시, 1970년 3월 23일 ~ ?)이 주둔하였다. 제34지역지원단 본부(1984년 9월 17일 ~ 1990년 9월 5일)과 제25수송대대, 제20지역지원단 본부(1990년 9월 6일 ~ 2006년 6월 15일)와 제23화학대대 61화학중대가 있었다. 제599수송단 제837수송대대(8번 부두 선착장), 제4병참파견대(공수)(? ~ 1992년), 제6병기대대 72병기중대(마지막 주둔 부대), 제728헌병대대 552헌병중대, 제65의무단 예하 제168의무대대(다기능) 제154의무파견대(PM)(1951년 11월 16일 ~ 1954년 12월 20일), 제106의무파견대(VET, 수의), 제7군수사령부 제665의무파견대(치의), 제66군무파견대(우정), 제168종합약국도 주둔했었다.

제1통신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CLSC-K), 제36통신대대 74통신중대(DCSOPS), 제546공병중대 (소방)(? ~ 1954 2월 24일), 제8075부대 소방중대 (1954년 2월 25일 ~ 1955년 6월 20일), 제25수송이동통제국도 있었다.

OSI, 제51통신전대(OL-A), 제51탄약정비전대 1파견대(OL-A), 제607병원(Contingency) (김해), NCIS, 한국 근무단 제6중대(마지막 주둔 부대), 국방부 부산통제보고대도 주둔하였다.

5. 관할 기관

캠프 하야리아의 관할 기관에는 제주 레크리에이션 센터와 김해공항 AMC 터미널이 있었다.

참조

[1] 뉴스 부산 美 하야리야부대 내일 공식 폐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6-04-05
[2] 뉴스 "“'하야리아' 다시 품었다"…반환 현장 https://archive.toda[...] 연합뉴스 2016-04-09
[3] 뉴스 BASE CLOSURE CEREMONY 2012-06-22
[4] 웹인용 기본현황 https://web.archive.[...] 부산시민공원 2012-06-23
[5] 뉴스 하야리아 부대 http://www.cnews.co.[...] CNEWS 2012-06-22
[6] 웹인용 '전범기' 연상 부산시민공원 역사관 천장 새옷 입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08-03
[7] 서적 Guide to military installation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8] 뉴스 하야리야 부대 부산시민의 품으로 http://www.ohmynews.[...] 2016-04-05
[9] 뉴스 Retreat ceremony planned for closing of Camp Hialeah http://www.stripes.c[...] 스타 앤 스트립스 2016-04-05
[10] 뉴스 하야리아 반환협상 타결 http://www.ingopress[...] 시민사회신문 2016-04-05
[11] 뉴스 하야리아 부지 24일부터 시민개방 https://news.busan.g[...] 부산시청 원도심개발팀 2016-04-05
[12] 뉴스 하야리아 터 문화재 발굴 내년 2월 착수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04-05
[13] 뉴스 부산·경남 부산시민공원 기본설계 확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