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추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추속(Allium)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적으로 약 800종 이상이 분포하며, 땅속줄기나 비늘줄기(알뿌리)를 가지고 있다. 잎은 선형, 원주형, 끈 모양 등 다양하며, 꽃은 우산 모양 또는 구형의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6개의 꽃잎과 수술을 가진다. 부추속은 식용 및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양파, 마늘, 파, 부추 등이 대표적이다. 분류학적으로는 과거 백합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 계통 연구를 통해 수선화과로 재분류되었으며, 15개의 아속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추속 - 삼채
    삼채(*Allium hookeri*)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재배되는 식용 식물로, 대한민국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부추속 - 차이브
    차이브는 유라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초본 식물로, 얇고 속이 빈 잎과 연한 보라색 꽃을 가지며 마늘과 비슷한 향을 내어 유럽 요리에 샐러드, 수프, 소스 등으로 활용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부추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Allium sativum Woodwill 1793
Allium sativum
학명Allium L.
명명자L.
모식종Allium sativum
모식종 명명자L.
크기5 ~ 150 cm
어원
라틴어Allium (마늘)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
외떡잎식물
비짜루목
수선화과
아과부추아과
부추속
하위 분류
진화 계통 및 아속진화 계통 및 아속
동의어

2. 형태

''알리움 오레오필룸''의 삭과


부추속 식물은 대부분 땅속줄기나 비늘줄기(알뿌리)를 가지며, 잎은 선형, 속이 빈 원주형, 끈 모양 등 다양하다. 키는 5cm에서 150c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8][19] 잎은 가늘고 길며 꽃은 잎이 없는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우산 모양 또는 구형으로 빽빽하게 모여 핀다. 많은 꽃이 모여서 '파꽃'이라고 불리는 하나의 꽃차례가 한 송이의 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6개이다.[18][19] 비늘줄기의 크기도 종류에 따라 다르며, 지름 2mm에서 3mm의 매우 작은 것부터 지름 8cm에서 10cm에 이르는 것까지 있다. (`A. fistulosum`)처럼 비늘줄기를 형성하지 않는 종류도 있다.

3. 분포

대부분의 부추속(''Allium'') 종은 북반구가 원산지이며, 건조한 아열대 지역에서부터 보리알 지대까지 구북구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18] 특히 아시아에 많이 분포하며, 중국에는 약 138종이 서식하는데, 이는 모든 부추속 종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며 5개의 아속을 대표한다. 아프리카와 중남미에도 일부 종이 서식한다.[18] 알려진 유일한 예외는 남반구(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알리움 드레게아눔(''A. dregianum'')이다. 다양성 중심지는 두 곳이 있는데, 주요 중심지는 지중해 분지에서 중앙아시아파키스탄까지 이어지고, 부차적인 중심지는 북아메리카 서부에 있다. 이 속은 특히 동지중해 지역에서 다양하다.

북반구의 온난한 지역에 분포하지만, 남아메리카(칠레의 ''A. juncifolium'', 브라질의 ''A. sellovianum'' 등)나 열대 아프리카(''A. spathaceum'')에 자생하는 예외도 있다.

4. 분류

린네가 그의 ''식물의 종''(1753)에서 ''Allium'' 속을 처음 기술했을 때, 이 이름을 가진 종은 30종이었다. 그는 ''Allium''을 ''Hexandria monogynia''(즉, 수술 6개와 암술 1개)로 분류했는데, 이는 총 51개의 속을 포함하고 있었다.[23] 린네는 원래 30종을 연합(Alliance) 세 가지(예: ''Foliis caulinis planis'')로 분류했다. 그 이후로 인식되는 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는 절(section)로, 그 후에는 다시 절로 나뉘는 아속(subgenus)으로 하위 속(infrageneric) 아구성체로 나누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간략한 역사는 Li 외 (2010)를 참조하면 된다. 계통 분석의 현대는 1996년부터 시작된다.[24] 2006년 Friesen, Fritsch, 그리고 Blattner는 리보솜 유전자 내부 전사 간격 서열을 기반으로 15개의 아속, 56개의 절, 그리고 약 780종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분류를 제시했다. 일부 아속은 한때 별개의 속(''Caloscordum'', ''Milula'', ''Nectaroscordum'')으로 포함되었던 Gilliesieae에 해당한다.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일부 저자는 아속을 절로 나누고 다른 저자는 연합으로 나눈다. '연합'이라는 용어는 종 내 아구성체(예: ''Allium nigrum'') 및 아절에도 사용되었다.

후속 분자 계통 연구에 따르면 2006년 분류는 이전 분류보다 개선되었지만, 일부 아속과 절은 단계통군이 아닐 수 있다. 한편, 새로운 종의 수는 2009년까지 800종에 달했고, 발견 속도는 줄어들지 않았다. 상세한 연구는 ''Amerallium''을 포함한 여러 아속에 초점을 맞추었다. ''Amerallium''은 단계통군으로 강력하게 지지된다. 아속 ''Melanocrommyum'' 또한 상당한 연구 대상이었으며(아래 참조), 아속 ''Allium''에 대한 연구는 ''Allium ampeloprasum''을 포함한 절 ''Allium''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샘플링이 절의 단계통성을 검증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주요 진화 계통 또는 계열은 세 가지 주요 분지군에 해당한다. 세 개의 아속을 포함하는 첫 번째 계통(가장 오래된 계통)은 주로 구근성이고, 다섯 개의 아속을 포함하는 두 번째 계통과 일곱 개의 아속을 포함하는 세 번째 계통은 구근성과 근경성 분류군을 모두 포함한다. 참고 문헌[22]에서 제안된 속 내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


  • ''Allium sect. Acanthoprason''
  • ''Allium subsect. Acuminatae''
  • ''Allium sect. Amerallium''
  • ''Allium sect. Anguinum''
  • ''Allium sect. Brevispatha''
  • ''Allium sect. Briseis''
  • ''Allium sect. Bromatorrhiza''
  • ''Allium sect. Caloscordum''
  • ''Allium subsect. Campanulatae''
  • ''Allium sect. Caulorhizideum''
  • ''Allium subsect. Cepa''
  • ''Allium subsect. Cernuae''
  • ''Allium sect. Codonoprasum''
  • ''Allium sect. Falcatifolia''
  • ''Allium subsect. Falcifoliae''
  • ''Allium sect. Halpostemon''
  • ''Allium sect. Haneltia''
  • ''Allium sect. Lophioprason''
  • ''Allium subg. Melanocrommyon''
  • ''Allium subsect. Mexicana''
  • ''Allium sect. Molium''
  • ''Allium sect. Multicaulea''
  • ''Allium sect. Oreiprason''
  • ''Allium sect. Petroprason''
  • ''Allium subg. Polyprason''
  • ''Allium sect. Porrum''
  • ''Allium sect. Rhiziridium''
  • ''Allium sect. Rhophetoprason''
  • ''Allium subsect. Sanbornae''
  • ''Allium sect. Schoenoprasum''
  • ''Allium sect. Scorodon''
  • ''Allium sect. Unicaulea''

이란 베흐바한의 야생 알리움
이란 베흐바한의 야생 알리움


대부분의 ''알리움'' 종은 북반구가 원산지이며, 건조한 아열대 지역에서부터 보리알 지대까지 구북구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특히 아시아에 많이 분포하며, 중국에는 약 138종이 서식하는데, 이는 모든 ''알리움'' 종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며 5개의 아속을 대표한다. 아프리카와 중남미에도 일부 종이 서식한다.[18] 알려진 유일한 예외는 남반구(남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알리움 드레게아눔''이다. 다양성 중심지는 두 곳이 있는데, 주요 중심지는 지중해 분지에서 중앙아시아파키스탄까지 이어지고, 부차적인 중심지는 북아메리카 서부에 있다. 이 속은 특히 동지중해 지역에서 다양하다. 약 800종을 포함하며, 파아과는 물론이고 수선화과에서 가장 큰 속이다.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자생한다.

일본에 자생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단, 노빌과 은 자생 상태로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고대에 도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름학명
산마늘(Allium victorialis subsp. platyphyllum)
히메닐라(A. monanthum)
쪽파(A. tuberosum)
칸케이닐라(A. togashii)
이트라키쿄(A. virgunculae)
키이이트라키쿄(var. kiiense)
미야마라키쿄(A. splendens)
산달래(A. macrostemon)
산부추(A. thunbergii)
정구지(A. schoenoprasum var. foliosum)
에조네기(var. schoenoprasum)
히메에조네기(var. yezomonticola)
시부츠아사츠키(var. shibutuense)
시로우마아사츠키(var. orientale)
이즈아사츠키(var. idzuense)



오른쪽


형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에нг러 체계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백합목(새로운 에нг러 체계에서는 Liliiflorae,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Liliales) 백합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형태를 기반으로 하더라도 달그렌 체계에서는 아스파라거스목의 백합과로 독립시켰다.

한편, 분자 계통을 기반으로 한 APG 분류 체계에서는 초기 판에서 단자엽식물(Monocots) 중에서 백합목 다음으로 분지한 아스파라거스목의 백합과(Alliaceae)에 위치되었다. APG III에서는 이 백합과가 수선화과의 아과로 위치되었다.

5. 하위 분류

부추속은 15개의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다시 여러 개의 절(section)로 세분화된다.

{{columns-list|colwidth=20em|


  • 가는산부추(''A. splendens'')
  • * ''A. s.'' subsp. ''insulare''
  • 강부추(''A. longistylum'')
  • 갯부추(''A. pseudojaponicum'')
  • 나도산마늘(''A. ursinum'')
  • 나폴리부추(''A. neapolitanum'')
  • 노랑부추(''A. condensatum'')
  • 달래(''A. monanthum'')
  • 독일부추(''A. carinatum'')
  • * 용골부추(''A. c.'' subsp. ''pulchellum'')
  • 돌부추(''A. koreanum'')
  • 두메부추(''A. senescens'')
  • * 푸른두메부추(''A. s.'' subsp. ''glaucum'')
  • 둥근산마늘(''A. rotundum'')
  • 마늘(''A. sativum'')
  • 무시르(''A. stipitatum'')
  • 백두부추(''A. baekdusanense'')
  • 부추(''A. tuberosum'')
  • 붉은나리부추(''A. oreophilum'')
  • 산달래(''A. macrostemon'')
  • 산마늘(''A. microdictyon'')
  • 산부추(''A. thunbergii'')
  • * 세모산부추(''A. t.'' var. ''deltoides'')
  • * 둥근산부추(''A. t.'' var. ''teretifolium'')
  • 산파(''A. maximowiczii'')
  • 삼채(''A. hookeri'')
  • * ''A. h.'' var. ''muliense''
  • 서아시아부추(''A. aflatunense'')
  • 선부추(''A. linearifolium'')
  • 수선부추(''A. narcissiflorum'')
  • 슈베르트부추(''A. schubertii'')
  • 시킴부추(''A. sikkimense'')
  • 실부추(''A. anisopodium'')
  • * 털실부추(''A. a.'' var. ''zimmermannianum'')
  • 양파(''A. cepa'')
  • 염교(''A. chinense'')
  • 울릉산마늘(''A. ochotense'')
  • 잔디부추(''A. caespitosum'')
  • 장구채산마늘(''A. sphaerocephalon'')
  • * ''A. s.'' var. ''aegaeum''
  • * ''A. s.'' subsp. ''arvense''
  • * ''A. s.'' subsp. ''laxiflorum''
  • * ''A. s.'' subsp. ''trachypus''
  • 장미부추(''A. roseum'')
  • * ''A. r.'' subsp. ''gulekense''
  • * ''A. r.'' var. ''tourneuxii''
  • 조선마늘(''A. scorodoprasum'')
  • 좀부추(''A. minus'')
  • 중국차이브(''A. ramosum'')
  • 중동부추(''A. bucharicum'')
  • 차이브(''A. schoenoprasum'')
  • 참두메부추(''A. spirale'')
  • * ''A. s.'' var. ''saxomarinum''
  • 참산부추(''A. sacculiferum'')
  • 코끼리마늘(''A. ampeloprasum'')
  • 타래부추(''A. obliquum'')
  • 털부추(''A. subhirsutum'')
  • 투르크멘부추(''A. turcomanicum'')
  • (''A. fistulosum'')
  • 파랑부추(''A. caeruleum'')
  • 피레네부추(''A. pyrenaicum'')
  • 한라부추(''A. taquetii'')
  • 흰노랑부추(''A. ericetorum'')
  • ''A. aaseae''
  • ''A. abbasii''
  • ''A. abramsii''
  • ''A. achaium''
  • ''A. acidoides''
  • ''A. aciphyllum''
  • ''A. acuminatum''
  • ''A. acutiflorum''
  • ''A. aegilicum''
  • ''A. aeginiense''
  • ''A. aetnense''
  • ''A. affine''
  • ''A. afghanicum''
  • ''A.'' × ''agarmyschicum''
  • ''A. agrigentinum''
  • ''A. akaka''
  • * ''A. a.'' subsp. ''bozgushense''
  • ''A. akirense''
  • ''A. aksekiense''
  • ''A. aktauense''
  • ''A. alabasicum''
  • ''A. aladaghense''
  • ''A. alaicum''
  • ''A. alamutense''
  • ''A. albiflorum''
  • ''A. albotunicatum''
  • ''A. albovianum''
  • ''A. alekii''
  • ''A. alexandrae''
  • ''A. alexeianum''
  • ''A. alibile''
  • ''A. alpinarii''
  • ''A. altaicum''
  • ''A. altissimum''
  • ''A. altoatlanticum''
  • ''A. altyncolicum''
  • ''A. amethystinum''
  • ''A. amphibolum''
  • ''A. amplectens''
  • ''A. anacoleum''
  • ''A. anatolicum''
  • ''A. anceps''
  • ''A. angulosum''
  • ''A. anisotepalum''
  • ''A. antalyense''
  • ''A. antiatlanticum''
  • ''A. anzalonei''
  • ''A. apergii''
  • ''A. apolloniensis''
  • ''A. apulum''
  • ''A. archeotrichon''
  • ''A. arkitense''
  • ''A. arlgirdense''
  • ''A. armenum''
  • ''A. armerioides''
  • ''A. aroides''
  • ''A. arsuzense''
  • ''A. artemisietorum''
  • ''A. asarense''
  • ''A. ascalonicum''
  • ''A. aschersonianum''
  • ''A. asclepiadeum''
  • ''A. asirense''
  • ''A. asperiflorum''
  • ''A. assadii''
  • ''A. atropurpureum''
  • ''A. atrorubens''
  • * ''A. a.'' var. ''cristatum''
  • ''A. atrosanguineum''
  • * ''A. a.'' var. ''fedschenkoanum''
  • * ''A. a.'' var. ''tibeticum''
  • ''A. atroviolaceum''
  • ''A. aucheri''
  • ''A. auriculatum''
  • ''A. austrodanubiense''
  • ''A. austroiranicum''
  • ''A. austrokyushuense''
  • ''A. austrosibiricum''
  • ''A. autumnale''
  • ''A. autumniflorum''
  • ''A. aybukeae''
  • ''A. azaurenum''
  • ''A. aznavense''
  • ''A. azutavicum''
  • ''A. backhousianum''
  • ''A. baeticum''
  • ''A. bajtulinii''
  • ''A. bakhtiaricum''
  • ''A. balansae''
  • ''A. balcanicum''
  • ''A. balkhanicum''
  • ''A. baluchistanicum''
  • ''A. barsczewskii''
  • ''A. barthianum''
  • ''A. basalticum''
  • ''A. bassitense''
  • ''A. baytopiorum''
  • ''A. beesianum''
  • ''A. bekeczalicum''
  • ''A. bellulum''
  • ''A. bidentatum''
  • * ''A. b.'' var. ''qinggouense''
  • ''A. bigelovii''
  • ''A. bilgeae''
  • ''A. bilgilii''
  • ''A. bingoelense''
  • ''A. birkinshawii''
  • ''A. bisceptrum''
  • ''A. bisotunense''
  • ''A. blandum''
  • ''A. blomfieldianum''
  • ''A. boissieri''
  • ''A. bolanderi''
  • * ''A. b.'' var. ''mirabile''
  • ''A. bornmuelleri''
  • ''A. borszczowii''
  • ''A. botschantzevii''
  • ''A. bourgeaui''
  • * ''A. b.'' subsp. ''creticum''
  • * ''A. b.'' subsp. ''cycladicum''
  • ''A. brachyodon''
  • ''A. brachyscapum''
  • ''A. brachyspathum''
  • ''A. bracteolatum''
  • ''A. brandegeei''
  • ''A. brevicaule''
  • ''A. brevidens''
  • * ''A. b.'' subsp. ''pshikharvicum''
  • ''A. brevidentatum''
  • ''A. brevidentiforme''
  • ''A. brevipes''
  • ''A. breviscapum''
  • ''A. brevistylum''
  • ''A. brulloi''
  • ''A. brussalisii''
  • ''A. bungei''
  • ''A. burjaticum''
  • ''A. burlewii''
  • ''A. caesioides''
  • ''A. caesium''
  • ''A. calabrum''
  • ''A. calamarophilon''
  • ''A. callidyction''
  • ''A. callimischon''
  • * ''A. c.'' subsp. ''haemostictum''
  • ''A. calocephalum''
  • ''A. calyptratum''
  • ''A. campanulatum''
  • ''A. canadense''
  • * ''A. c.'' var. ''ecristatum''
  • * ''A. c.'' var. ''hyacinthoides''
  • * ''A. c.'' var. ''lavandulare''
  • * ''A. c.'' var. ''mobilense''
  • ''A. canariense''
  • * ''A. c.'' subsp. ''obtusitepalum''
  • ''A. candargyi''
  • ''A. candolleanum''
  • ''A. capitellatum''
  • ''A. cappadocicum''
  • ''A. caput-medusae''
  • ''A. cardiostemon''
  • ''A. carmeli''
  • ''A. caroli-henrici''
  • ''A. carolinianum''
  • ''A. caspium''
  • * ''A. c.'' subsp. ''baissunense''
  • ''A. cassium''
  • ''A. castellanense''
  • ''A. cathodicarpum''
  • ''A. cephalonicum''
  • ''A. cernuum''
  • ''A. chalcophengos''
  • ''A. chalkii''
  • ''A. chamaemoly''
  • ''A. chamaespathum''
  • ''A. chamarense''
  • ''A. changduense''
  • ''A. chienchuanense''
  • ''A. chitralicum''
  • ''A. chiwui''
  • ''A. chloranthum''
  • ''A. chloroneurum''
  • ''A. chlorotepalum''
  • ''A. chodsha-bakirganicum''
  • ''A. choriotepalum''
  • ''A. chorkessaricum''
  • ''A. chrysantherum''
  • ''A. chrysanthum''
  • ''A. chrysocephalum''
  • ''A. chychkanense''
  • ''A. circassicum''
  • ''A. circinnatum''
  • * ''A. c.'' subsp. ''evae''
  • * ''A. c.'' subsp. ''peloponnesiacum''
  • ''A. circumflexum''
  • ''A. cisferganense''
  • ''A. cithaeronis''
  • ''A. clathratum''
  • ''A. clausum''
  • ''A. clivorum''
  • ''A. colchicifolium''
  • ''A. columbianum''
  • ''A. commutatum''
  • ''A. confragosum''
  • ''A. consanguineum''
  • ''A. constrictum''
  • ''A. convallarioides''
  • ''A. cornutum''
  • ''A. corsicum''
  • ''A. coryi''
  • ''A. costatovaginatum''
  • ''A. crameri''
  • ''A. cratericola''
  • ''A. crenulatum''
  • ''A. cretaceum''
  • ''A. crispum''
  • ''A. cristophii''
  • * ''A. c.'' subsp. ''golestanicum''
  • ''A. croaticum''
  • ''A. crystallinum''
  • ''A. cucullatum''
  • ''A. cupani''
  • * ''A. c.'' subsp. ''cyprium''
  • * ''A. c.'' subsp. ''hirtovaginatum''
  • ''A. cupuliferum''
  • * ''A. c.'' subsp. ''nuratavicum''
  • ''A. curtum''
  • * ''A. c.'' subsp. ''palaestinum''
  • ''A. cuthbertii''
  • ''A. cyaneum''
  • ''A. cyathophorum''
  • * ''A. c.'' var. ''farreri''
  • ''A. cyprium''
  • * ''A. c.'' subsp. ''lefkarense''
  • ''A. cyrilli''
  • * ''A. c.'' subsp. ''asumaniae''
  • * ''A. c.'' subsp. ''fritschii''
  • ''A. czelghauricum''
  • ''A. daghestanicum''
  • ''A. damascenum''
  • ''A. daninianum''
  • ''A. darwasicum''
  • ''A. dasyphyllum''
  • ''A. decaisnei''
  • ''A. deciduum''
  • ''A. decipiens''
  • * ''A. d.'' subsp. ''quercetorum''
  • ''A. decoratum''
  • ''A. delicatulum''
  • ''A. dentigerum''
  • ''A. denudatum''
  • ''A. derderianum''
  • ''A. deserti-syriaci''
  • ''A. desertorum''
  • ''A. diabolense''
  • ''A. dichlamydeum''
  • ''A. dictuon''
  • ''A. dictyoprasum''
  • ''A. dictyoscordum''
  • ''A. dilatatum''
  • ''A. dinsmorei''
  • ''A. diomedeum''
  • ''A. dirphianum''
  • ''A. djimilense''
  • ''A. dodecadontum''
  • ''A. dodecanesi''
  • ''A. dolichomischum''
  • ''A. dolichostylum''
  • ''A. dolichovaginatum''
  • ''A. douglasii''
  • ''A. drepanophyllum''
  • ''A. drobovii''
  • ''A. drummondii''
  • ''A. drusorum''
  • ''A. dshungaricum''
  • ''A. dumetorum''
  • ''A. durangoense''
  • ''A. ebusitanum''
  • ''A. eduardi''
  • ''A. efeae''
  • ''A. egorovae''
  • ''A. ekeri''
  • ''A. ekimianum''
  • ''A. elburzense''
  • ''A. eldivanense''
  • ''A. elegans''
  • ''A. elegantulum''
  • ''A. ellisii''
  • ''A. elmaliense''
  • ''A. elmendorfii''
  • ''A. enginii''
  • ''A. erdelii''
  • ''A. eremoprasum''
  • ''A. eriocoleum''
  • ''A. ertugrulii''
  • ''A. erubescens''
  • ''A. erythraeum''
  • ''A. erzincanicum''
  • ''A. esfahanicum''
  • ''A. esfandiarii''
  • ''A. euboicum''
  • ''A. eugenii''
  • ''A. eulae''
  • ''A. eurotophilum''
  • ''A. eusperma''
  • ''A. exaltatum''
  • ''A. exile''
  • ''A. falcifolium''
  • ''A. fanjingshanense''
  • ''A. fantasmasense''
  • ''A. farctum''
  • ''A. fasciculatum''
  • ''A. favosum''
  • ''A. fedtschenkoi''
  • ''A. feinbergii''
  • ''A. ferganicum''
  • ''A. fethiyense''
  • ''A. fetisowii''
  • ''A. fibriferum''
  • ''A. fibrillum''
  • ''A. filidens''
  • * ''A. f.'' subsp. ''mogianense''
  • * ''A. f.'' subsp. ''ugami''
  • ''A. filidentiforme''
  • ''A. fimbriatum''
  • * ''A. f.'' var. ''denticulatum''
  • * ''A. f.'' var. ''mohavense''
  • * ''A. f.'' var. ''purdyi''
  • ''A. flavellum''
  • ''A. flavescens''
  • ''A. flavidum''
  • ''A. flavovirens''
  • ''A. flavum''
  • * ''A. f.'' var. ''minus''
  • * ''A. f.'' var. ''pilosum''
  • * ''A. f.'' subsp. ''ionochlorum''
  • * ''A. f.'' subsp. ''tauricum''
  • ''A. formosum''
  • ''A. forrestii''
  • ''A. franciniae''
  • ''A. fraseri''
  • ''A. frigidum''
  • ''A. fritschii''
  • ''A. funckiifolium''
  • ''A. furkatii''
  • ''A. fuscoviolaceum''
  • ''A. fuscum''
  • ''A. gabardaghense''
  • ''A. galanthum''
  • ''A. galileum''
  • ''A. garbarii''
  • ''A. garganicum''
  • ''A. gasyunense''
  • ''A. gemiciana''
  • ''A. geyeri''
  • * ''A. g.'' var. ''chatterleyi''
  • * ''A. g.'' var. ''tenerum''
  • ''A. giganteum''
  • ''A. gilgiticum''
  • ''A. gillii''
  • ''A. glaciale''
  • ''A. glandulosum''
  • ''A. glomeratum''
  • ''A. glumaceum''
  • ''A. goekyigitii''
  • ''A. goloskokovii''
  • ''A. gomphrenoides''
  • ''A. gooddingii''
  • ''A. gorumsense''
  • ''A. goulimyi''
  • ''A. gracillimum''
  • ''A. gramineum''
  • ''A. grande''
  • ''A. graveolens''
  • ''A. greuteri''
  • ''A. griffithianum''
  • ''A. grisellum''
  • ''A. grosii''
  • ''A. grumm-grshimailoi''
  • ''A. guanxianense''
  • ''A. guatemalense''
  • ''A. gubanovii''
  • ''A. guicciardii''
  • ''A. gunibicum''
  • ''A. gusaricum''
  • ''A. guttatum''
  • * ''A. g.'' subsp. ''dalmaticum''
  • * ''A. g.'' subsp. ''kartalkayaense''
  • * ''A. g.'' subsp. ''sardoum''
  • * ''A. g.'' subsp. ''tenorei''
  • ''A. gypsaceum''
  • ''A. gypsodictyum''
  • ''A. haemanthoides''
  • ''A. haematochiton''
  • ''A. hamedanense''
  • ''A. hamrinense''
  • ''A. haneltii''
  • ''A. haussknechtii''
  • ''A. hedgei''
  • ''A. heldreichii''
  • ''A. helicophyllum''
  • ''A. hemisphaericum''
  • ''A. henryi''
  • ''A. herderianum''
  • ''A. hermoneum''
  • ''A. heteronema''
  • ''A. hexaceras''
  • ''A. hickmanii''
  • ''A. hierosolymorum''
  • ''A. hindukuschense''
  • ''A. hintoniorum''
  • ''A. hirtovaginum''
  • ''A. hissaricum''
  • ''A. hoffmanii''
  • ''A. hollandicum''
  • ''A. hooshidaryae''
  • ''A. horvatii''
  • ''A. hoshabicum''
  • ''A. howellii''
  • * ''A. h.'' var. ''clokeyi''
  • * ''A. h.'' var. ''sanbenitense''
  • ''A. huber-morathii''
  • ''A. humile''
  • ''A. huntiae''
  • ''A. hyalinum''
  • ''A. hymenorhizum''
  • * ''A. h.'' var. ''dentatum''
  • ''A. hymettium''
  • ''A. hypsistum''
  • ''A. ilgazense''
  • ''A. iliense''
  • ''A. inaequale''
  • ''A. inconspicuum''
  • ''A. incrustatum''
  • ''A. inderiense''
  • ''A. inops''
  • ''A. insubricum''
  • ''A. insufficiens''
  • ''A. integerrimum''
  • ''A. intradarvazicum''
  • ''A. inutile''
  • ''A. ionandrum''
  • ''A. ionicum''
  • ''A. iranicum''
  • ''A. iranshahrii''
  • ''A. isakulii''
  • ''A. isauricum''
  • ''A. israeliticum''
  • ''A. istanbulense''
  • ''A. ivasczenkoae''
  • ''A. jacquemontii''
  • ''A. jaegeri''
  • ''A. jakuticum''
  • ''A. jaxarticum''
  • ''A. jepsonii''
  • ''A. jesdianum''
  • * ''A. j.'' subsp. ''angustitepalum''
  • ''A. jodanthum''
  • ''A. joharchii''
  • ''A. jubatum''
  • ''A. jucundum''
  • ''A. juldusicola''
  • ''A. julianum''
  • ''A. junceum''
  • * ''A. j.'' subsp. ''tridentatum''
  • ''A. kandemirii''
  • ''A. karacae''
  • ''A. karamanoglui''
  • ''A. karataviense''
  • ''A. karelinii''
  • ''A. karistanum''
  • ''A. karyeteini''
  • ''A. kaschianum''
  • ''A. kastambulense''
  • ''A. kasteki''
  • ''A. kayae''
  • ''A. kazerouni''
  • ''A. keeverae''
  • ''A. kermesinum''
  • ''A. keusgenii''
  • ''A. kharputense''
  • ''A. khozratense''
  • ''A. kiiense''
  • ''A. kingdonii''
  • ''A. kirilovii''
  • ''A. kirindicum''
  • ''A. koelzii''
  • ''A. koenigianum''
  • ''A. kokanicum''
  • ''A. kollmannianum''
  • ''A. komarowii''
  • ''A. kopetdagense''
  • ''A. kopsedorum''
  • ''A. korolkowii''
  • ''A. kossoricum''
  • ''A. kotschyi''
  • ''A. koyuncui''
  • ''A. kuhrangense''
  • ''A. kuhsorkhense''
  • ''A. kujukense''
  • ''A. kunthianum''
  • ''A. kuramense''
  • ''A. kurdistanicum''
  • ''A. kurssanovii''
  • ''A. kurtzianum''
  • ''A. kwakense''
  • ''A. kysylkumi''
  • ''A. lachnophyllum''
  • ''A. lacunosum''
  • * ''A. l.'' var. ''davisiae''
  • * ''A. l.'' var. ''kernensis''
  • * ''A. l.'' var. ''micranthum''
  • ''A. lagarophyllum''
  • ''A. lalesaricum''
  • ''A. lamondiae''
  • ''A. lasiophyllum''
  • ''A. latifolium''
  • ''A. lazikkiyense''
  • ''A. ledebourianum''
  • ''A. lehmannianum''
  • ''A. lehmannii''
  • ''A. lemmonii''
  • ''A. lenkoranicum''
  • ''A. leptomorphum''
  • ''A. leucocephalum''
  • ''A. leucosphaerum''
  • ''A. libani''
  • ''A. lilacinum''
  • ''A. liliputianum''
  • ''A. lineare''
  • ''A. lipskyanum''
  • ''A. listera''
  • ''A. litardierei''
  • ''A. litvinovii''
  • ''A. lojaconoi''
  • ''A. longanum''
  • ''A. longicollum''
  • ''A. longifolium''
  • ''A. longipapillatum''
  • ''A. longiradiatum''
  • ''A. longisepalum''
  • ''A. longivaginatum''
  • ''A. lopadusanum''
  • ''A. loratum''
  • ''A. lusitanicum''
  • ''A. luteolum''
  • ''A. lutescens''
  • ''A. lycaonicum''
  • ''A. maackii''
  • ''A. macedonicum''
  • ''A. machmelianum''
  • ''A. macleanii''
  • ''A. macranthum''
  • ''A. macrochaetum''
  • ''A. macropetalum''
  • ''A. macrostylum''
  • ''A. macrum''
  • ''A. madidum''
  • ''A. maghrebinum''
  • ''A. mahneshanense''
  • ''A. mairei''
  • ''A. majus''
  • ''A. makrianum''
  • ''A. malyschevii''
  • ''A. maniaticum''
  • ''A. mannii''
  • ''A. maowenense''
  • ''A. maraschicum''
  • ''A. marathasicum''
  • ''A. mareoticum''
  • ''A. margaritae''
  • ''A. margaritiferum''
  • ''A. marginatum''
  • ''A. mariae''
  • ''A. marmoratum''
  • ''A. marschallianum''
  • ''A. massaessylum''
  • ''A. materculae''
  • ''A. mauritanicum''
  • ''A. megalobulbon''
  • ''A. meikleanum''
  • ''A. melanantherum''
  • ''A. melananthum''
  • ''A. melanogyne''
  • ''A. melitense''
  • ''A. melliferum''
  • ''A. membranaceum''
  • ''A. meronense''
  • ''A. meteoricum''
  • ''A. mexicanum''
  • ''A. michaelis''
  • ''A. michoacanum''
  • ''A. micranthum''
  • ''A. microspathum''
  • ''A. minutiflorum''
  • ''A. minutum''
  • ''A. mirum''
  • ''A. mirzajevii''
  • ''A. moderense''
  • ''A. moly''
  • * ''A. m.'' subsp. ''glaucescens''
  • ''A. monachorum''
  • ''A. mongolicum''
  • ''A. monophyllum''
  • ''A. montanostepposum''
  • ''A. montelburzense''
  • ''A. montibaicalense''
  • ''A. monticola''
  • ''A. moschatum''
  • ''A. mozaffarianii''
  • ''A. multibulbosum''
  • ''A. multiflorum''
  • ''A. munzii''
  • ''A. myrianthum''
  • ''A. najafdaricum''
  • ''A. nanodes''
  • ''A. naqabense''
  • ''A. nathaliae''
  • ''A. nazarenum''
  • * ''A. n.'' subsp. ''ramonense''
  • ''A. nebrodense''
  • ''A. nebularum''
  • ''A. negevense''
  • ''A. nemrutdaghense''
  • ''A. neriniflorum''
  • ''A. nevadense''
  • ''A. nevii''
  • ''A. nevsehirense''
  • ''A. nevskianum''
  • ''A. nigrum''
  • ''A. noeanum''
  • ''A. notabile''
  • ''A. nuristanicum''
  • ''A. nutans''
  • ''A. obtusum''
  • * ''A. o.'' var. ''conspicuum''
  • ''A. occultum''
  • ''A. oleraceum''
  • ''A. oliganthum''
  • ''A. olivieri''
  • ''A. oltense''
  • ''A. olympicum''
  • ''A. omeiense''
  • ''A. opacum''
  • ''A. ophiophyllum''
  • ''A. optimae''
  • ''A. oreodictyum''
  • ''A. oreophiloides''
  • * ''A. o.'' subsp. ''salangense''
  • ''A. oreoprasoides''
  • ''A. oreoprasum''
  • ''A. oreoscordum''
  • ''A. oreotadzhikorum''
  • ''A. orestis''
  • ''A. orientale''
  • ''A. orientoiranicum''
  • ''A. orunbaii''
  • ''A. oschaninii''
  • ''A. ovalifolium''
  • * ''A. o.'' var. ''cordifolium''
  • * ''A. o.'' var. ''leuconeurum''
  • ''A. ownbeyi''
  • ''A. paepalanthoides''
  • ''A. palentinum''
  • ''A. pallasii''
  • ''A. pamiricum''
  • ''A. pangasicum''
  • ''A. paniculatum''
  • * ''A. p.'' subsp. ''fussii''
  • * ''A. p.'' subsp. ''longispathum''
  • * ''A. p.'' subsp. ''obtusiflorum''
  • * ''A. p.'' subsp. ''pallens''
  • * ''A. p.'' subsp. ''tenuiflorum''
  • ''A. panjaoense''
  • ''A. panormitanum''
  • ''A. papillare''
  • ''A. paradoxum''
  • ''A. parciflorum''
  • ''A. parishii''
  • ''A. parnassicum''
  • ''A. parryi''
  • ''A. parvulum''
  • ''A. parvum''
  • ''A. passeyi''
  • ''A. pelagicum''
  • ''A. pendulinum''
  • ''A. peninsulare''
  • * ''A. p.'' var. ''franciscanum''
  • ''A. pentadactyli''
  • ''A. perdulce''
  • * ''A. p.'' var. ''sperryi''
  • ''A. permixtum''
  • ''A. peroninianum''
  • ''A. perpendiculum''
  • ''A. pervariensis''
  • ''A. pervestitum''
  • ''A. petraeum''
  • ''A. petri''
  • ''A. pevtzovii''
  • ''A. phanerantherum''
  • * ''A. p.'' subsp. ''deciduum''
  • * ''A. p.'' subsp. ''involucratum''
  • ''A. phariense''
  • ''A. phitosianum''
  • ''A. phrygium''
  • ''A. phthioticum''
  • ''A. pictistamineum''
  • ''A. pilosum''
  • ''A. platakisii''
  • ''A. platycaule''
  • ''A. platyspathum''
  • * ''A. p.'' subsp. ''amblyophyllum''
  • ''A. plummerae''
  • ''A. plurifoliatum''
  • * ''A. p.'' var. ''zhegushanense''
  • ''A. podolicum''
  • ''A. pogonotepalum''
  • ''A. polyrhizum''
  • ''A. ponticum''
  • ''A. popovii''
  • ''A. potosiense''
  • ''A. praecox''
  • ''A. praemixtum''
  • ''A. prattii''
  • ''A. proponticum''
  • * ''A. p.'' subsp. ''parviflorum''
  • ''A. prostratum''
  • ''A. protensum''
  • ''A. pruinatum''
  • ''A. przewalskianum''
  • ''A. psebaicum''
  • ''A. pseudoalbidum''
  • ''A. pseudoampeloprasum''
  • ''A. pseudobodeanum''
  • ''A. pseudocalyptratum''
  • ''A. pseudoflavum''
  • ''A. pseudofraseri''
  • ''A. pseudohollandicum''
  • ''A. pseudophanerantherum''
  • ''A. pseudosenescens''
  • ''A. pseudostamineum

6. 이용

부추속 식물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많은 ''알리움'' 종이 인류 역사를 통해 수확되었지만, 오늘날 작물이나 정원 채소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것은 약 12종에 불과하다.[13][27]

양파(`A. cepa`), 샬롯(`A. oschaninii`), 부추(`A. ampeloprasum`), 마늘(`A. sativum`), (다양한 ''Allium'' 종), 차이브(`A. schoenoprasum`)와 같은 허브들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에 속한다. 일부는 전통 의약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리어니언(''A. fistulosum'')


식용 부위종류
인경양파, 샬롯, 마늘, 쪽파
꽃차례에 생긴 인편트리어니언, 마늘
아사쓰키, 쪽파(잎파), 실파, 차이브, 부추
비대해진 위경대파, 리크
꽃줄기


  • 마늘도 원래는 꽃차례에 인편을 붙이는 종이었지만, 꽃을 따는 등의 방법으로 구근만 대량 재배되고 있다.
  • 과거 일본에서 재배되었던 야구라네기(산가이네기: ''Allium fistulosum'' var. ''viviparum'')는 꽃차례에 인편을 붙여 번식하지만, 종으로는 의 종류이다. 현재는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산달래와 명이는 산과 들에 자생하는 것을 채취하여 식용으로 한다.

알리움 기간테움(Allium giganteum) (''A. giganteum'')과 알리움 크리스토피(Allium cristophii) (''A. cristophii'') 등 대형 품종은 입체적인 화단을 설계하는 데 중요하다. 알리움 홀란디쿰 '퍼플 센세이션'(Allium hollandicum 'Purple Sensation') (''A. hollandicum'')과 같이 화려한 보라색 꽃을 피우는 교배종이 여러 가지 육종되었는데, 그중 알리움 홀란디쿰 '퍼플 센세이션'은 인기가 많으며, 영국왕립원예협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 RHS)로부터 Award of Garden Merit을 수여받았다.

원예종은 모두 지하경 또는 비늘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가을 심기 구근으로 취급된다. 오랫동안 절화로 유통되었지만, 최근에는 원예 애호가들 사이에서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 판매 등을 통해 구근을 구할 수 있다.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좋아한다. 중간에 옮겨 심을 수 없으므로 화단이나 화분에 직접 심는다.

7. 재배

부추속 식물은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좋아하며, 대부분 내한성이 있어 한국에서도 노지 재배가 가능하다. 중간에 옮겨 심을 수 없으므로 화단이나 화분에 직접 심는다. 심는 간격은 알리움 몰리(''Allium moly'')와 같은 작은 종은 약 15cm, 알리움 기간테움(''Allium giganteum'')과 같은 큰 종은 약 40cm 정도가 필요하다. 구근 높이의 약 2배 정도 흙을 덮어 심는다.

구근성 부추속 식물은 종자로 번식하는 것 외에, 오래된 구근 주위에 작은 구근을 만들거나 곁눈을 뻗어서 주아(무카고, bulbil)를 만들기도 한다. 일부 종은 꽃차례에 직접 작은 인편(주아)을 만들어 발아하기도 한다. 노빌이나, 피클에 사용되는 트리오니온(''Allium cepa'' var. ''proliferum'')이 이에 해당하며, 꽃차례가 무게로 인해 쓰러지면서 구근이 흩어져 번식한다.

8. 유전학

부추속(''Allium'')은 염색체 수 변화 없이 게놈 크기가 종 간에 매우 크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23] 이러한 변이는 정크 DNA 진화 논의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며, "정크 DNA에 대한 보편적인 기능을 찾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현실 검증"이라 불리는 양파 테스트를 이끌어냈다.[24] 게놈 크기는 이배체인 솔잎나리(''A. schoenoprasum'')의 7.5 Gb에서 산마늘(''A. ursinum'')의 30.9 Gb까지 다양하다.[23]

9. 독성

개와 고양이는 부추속 식물을 섭취하면 중독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3][39] 소도 양파 중독을 겪은 사례가 있다.[40]

참조

[1] 웹사이트 1793 illustration from William Woodville: "Medical botany", London, James Phillips, 1793, Vol. 3, Plate 168: ''Allium sativum'' (Garlic). Hand-coloured engraving http://www.meemelink[...] 2015-04-07
[2]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3] 웹사이트 Allium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7-25
[4] 웹사이트 WFO Plant List World Flora Online https://wfoplantlist[...] 2024-11-23
[5] 논문 History and concepts of big plant genera
[6] 서적 Edible allium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 International 2022
[7] 서적 Roots, Tubers, and Bulb Crop Wastes: Management by Biorefinery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4
[8] 서적 The Names of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Allium Regnum Vegetabile
[10] 서적 Alliaceae Springer-Verlag
[1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for genus Allium https://web.archive.[...]
[12] 논문 A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expanded asparagalean families Amaryllidaceae, Asparagaceae and Xanthorrhoeaceae
[13] 서적 Garlic and Other Alliums: The Lore and the Science Royal Society of Chemistry
[14] 서적 Onions and Other Alliums CABI Publishing
[15] 서적 Allium Crop Sciences: Recent Advances CABI Publishing
[16] 서적 Garlic and Friends: The History, Growth and Use of Edible Alliums Hyland House
[17] 서적 Alliums: The Ornamental Onions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18] 웹사이트 Allium in Flora of China http://www.efloras.o[...] Efloras.org 2012-12-11
[19] 웹사이트 Allium in Flora of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 Efloras.org 2012-12-11
[20] 서적 A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Houghton Mifflin
[21] 서적 Stalking the wild asparagus David McKay
[22] 웹사이트 Tropicos https://www.tropicos[...]
[23] 논문 Evolution of genome size across some cultivated Allium species
[24] 논문 A Solution to the C-Value Paradox and the Function of Junk DNA: The Genome Balance Hypothesis
[25] 논문 Allium telomeres unmasked https://onlinelibrar[...] Petr Fajkus et el, The Plant Journal December 2015
[26] 웹사이트 Allium cepa Telomere https://bioserf.org#[...] SERF de novo Genome Analysis, BioSerf July 2018
[27] 서적 Simon & Schuster's Guide to Herbs and Spices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Inc
[28] 서적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The Macmillan Press, Limited, The Stockton Press
[29]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30] 서적 RHS Plant Finder 2009–2010 Dorling Kindersley
[31] 서적 Garden Flowers From Seed Viking
[32]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llium 'Ambassador'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6-01-05
[33]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llium 'Beau Regard'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1995-01-05
[34]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llium 'Gladiator'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1995-01-05
[35]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llium 'Globemaster'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1995-01-05
[36] 웹사이트 ''Allium rosenorum'' 'Michael H. Hoog' https://www.rhs.org.[...] RHS 2020-02-27
[37]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llium'' 'Round 'n' Purple'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1-05
[38] 웹사이트 ''Allium'' 'Universe' https://www.rhs.org.[...] RHS 2020-02-27
[39] 논문 Toxicology Brief: Allium species poisoning in dogs and cats https://dungenessran[...] 2005-08
[40] 논문 Onion toxicosis in a herd of beef cows 1999-01
[41] 서적 Chives: Nutritional Value, Health Benefits and Potential Side Effects of Chives HealthifyMe 2022-10-12
[42] 간행물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1827
[43] 간행물 Species Plantarum 175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