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카섬은 파푸아뉴기니 부건빌 자치주에 속한 섬으로, 약 3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19세기에는 유럽인들이 방문했고, 1899년 독일 제국에 의해 독일령 뉴기니에 병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에 점령되었으며, 연합군의 주요 비행장으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자급 농업과 코프라, 코코아 콩 등의 현금 작물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부카 공항이 부건빌 지역의 주요 공항 역할을 한다. 섬은 5개의 선거구로 나뉘며, 솔로스어와 할리아어를 사용하고 족장 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사회 구조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주민은 기독교를 믿으며, 과거에는 하할리스 복지 협회와 같은 사회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부카섬은 킬루 동굴에서 약 3만 년 전 인류 거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현재 주민들은 약 2,700년 전 라피타 문화의 확산과 함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부카섬의 경제는 크게 도시 부문과 마을 부문으로 나뉜다. 마을 부문은 고구마를 주식으로 하는 자급 농업이 특징이며, 코프라와 코코아 콩을 현금 작물로 생산한다. 도시 부문에는 뱅크 사우스 퍼시픽, CPL, 아그마크와 같은 주요 뉴기니 사업체의 부건빌 지부가 있으며, 부카 공항이 부건빌 지역의 주요 공항이다.
2. 역사
19세기에는 영국, 호주, 미국 등지의 포경선들이 식량, 물, 나무를 보급하기 위해 부카섬을 방문했다. 기록에 따르면 1806년 ''엘리자''호가 최초로 방문했고, 1881년 ''팔메토''호가 마지막으로 방문했다.[3]
1899년, 독일 제국은 부카섬을 독일령 뉴기니에 편입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일본군이 섬을 점령하여 비행장을 건설하는 등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했다.[4] 연합군의 폭격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은 1945년 항복할 때까지 부카섬에서 전투를 벌이지 않고 버텼다.
2. 1. 선사 시대
부카섬은 약 3만 년 전 킬루 동굴에서 인류가 거주한 증거가 발견되면서 구석기 시대에 처음으로 인간이 거주했다. 현재 거주민들은 약 2,700년 전 라피타 문화 복합체의 동쪽으로 확산된 오스트로네시아어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2. 2. 유럽인과의 접촉
부카섬은 약 3만 년 전 킬루 동굴에서 인류가 거주한 증거가 발견되면서 구석기 시대에 처음으로 인간이 거주했다.
19세기에 영국, 호주, 미국의 포경선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을 방문했다. 기록상 최초의 방문은 1806년 ''엘리자''호였으며, 마지막으로 알려진 방문은 1881년 ''팔메토''호였다.[3]
2. 3. 독일 식민지 시대
킬루 동굴에서 약 3만 년 전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증거가 발견되었다.[3]
19세기에 영국, 호주, 미국의 포경선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을 방문했다. 기록상 최초의 방문은 1806년 ''엘리자''호였으며, 마지막으로 알려진 방문은 1881년 ''팔메토''호였다.[3]
현재 거주민들은 약 2,700년 전 라피타 문화 복합체의 동쪽으로 확산된 오스트로네시아어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1899년 독일 제국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독일령 뉴기니에 병합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부카섬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4] 연합군에게 전략적으로 간주된 중요한 일본 비행장의 위치였다.
이 섬은 연합군 공군과 전함에 의해 폭격을 받았지만, 연합군은 부카에서 전투를 벌인 적이 없었다. 수년간 열악한 보급품으로 버틴 일본군은 1945년 연합군이 인근 부건빌섬의 셀라우 반도에 접근했을 때 항복했다.
3. 경제
3. 1. 마을 부문
부카섬의 경제는 크게 도시 부문과 마을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마을 부문은 주로 고구마를 주식으로 하는 자급 농업이 특징이며, 가족 단위 및 소규모 협동 작업 그룹에서 코프라와 코코아 콩을 현금 작물로 생산한다. 바닐라와 열대 향신료 작물 재배는 더딘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여전히 마을 사람들에게는 매우 미미한 수입원이다.
3. 2. 도시 부문
부카섬의 경제는 크게 도시 부문과 마을 부문으로 나뉜다. 부카 통로의 도시 부문에는 뱅크 사우스 퍼시픽, 현금 작물을 구매하는 CPL, 아그마크와 같은 주요 뉴기니 사업체의 부건빌 지부, 그리고 부카 통로 근처 쿠부에 본부를 둔 자치 부건빌 정부가 있다. 섬에는 소규모 사업체도 많이 있다.
부카 공항은 부건빌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라바울, 라에, 포트모르즈비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4. 지리
부카 섬은 남북으로 약 52km, 동서로 최대 18km 뻗어 있는 비교적 평평한 섬이다. 섬 서쪽 해안에는 리처드 파킨슨 산맥이 뻗어 있다. 섬의 나머지 부분은 융기된 석회암 지형으로, 내륙에서 10m, 동쪽 해안 절벽을 따라 70m에서 100m 높이로 솟아 있다.
4. 1. 부카 해협
부카 해협은 너비가 약 200m인 좁고 깊으며 매우 빠르게 흐르는 조류 수로로, 부건빌섬과 부카 섬을 구분한다. 동쪽 해안은 일 년 중 대부분 바람이 불어오는 지역이며, 해안 절벽이 바다 가까이 솟아 있어 좁고 종종 바위가 많은 해변만 남겨두는 특징을 보인다. 산호초는 섬 전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해양풍과 큰 파도에 시달리는 동쪽 해안에서는 좁고, 서쪽 해안에서는 석호로 뻗어 있다.4. 2. 해안
부카섬은 남북 방향으로 약 52km, 동서 방향으로 최대 18km 너비의 비교적 평평한 섬이다. 부카 해협은 너비가 약 200m인 좁고 깊으며 매우 빠르게 흐르는 조류 수로로, 부건빌섬과 부카섬을 구분한다. 동쪽 해안은 일 년 중 대부분 바람이 불어오는 지역이며, 해안 절벽이 바다 가까이 솟아 있어 좁고 종종 바위가 많은 해변만 남겨두는 특징을 보인다. 산호초는 섬 전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해양풍과 큰 파도에 시달리는 동쪽 해안에서는 좁고, 서쪽 해안에서는 석호로 뻗어 있다.4. 3. 리처드 파킨슨 산맥
리처드 파킨슨 산맥은 독일의 농장주이자 탐험가인 리처드 파킨슨(Richard Parkin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작은 산맥이다. 이 산맥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베이 산(Mt. Bei)이며 해발 458m이다. 이 산맥은 부카와 카롤라 항구 사이에 뻗어 있다. 섬의 몇 안 되는 큰 강들은 산맥 내부의 발원지에서 흘러나오며, 가장 큰 강은 가간 강이다.[1]4. 4. 강
섬의 몇 안 되는 큰 강들은 리처드 파킨슨 산맥 내부의 발원지에서 흘러나오며, 가장 큰 강은 가간 강이다.[1]4. 5. 석회암 지형
섬의 나머지 부분은 크게 융기된 석회암 지형이다. 내륙에서 10m 솟아 있으며, 동쪽 해안의 절벽을 따라 70m에서 100m 솟아 있다. 절벽은 고대 석호의 산호초에 해당한다.석회암 지형으로 인해 섬 대부분 지역에서 표면수가 거의 없다. 이는 섬 주민들에게 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건기에는 마을 사람들이 절벽 기슭을 따라 있는 "쿠쿠부이" 샘에서 물을 모으게 된다.[1]
4. 6. 행정 구역
부카섬은 부겐빌 자치 정부의 5개 선거구로 나뉜다.선거구명 |
---|
하쿠 |
페이트 (서해안 및 솔로스 포함) |
할리아 (토하치에서 하할리스까지) |
하고고헤 (살라사에서 싱까지) |
치탈라토 (로나한에서 부카 해협까지) |
각 선거구는 원로 위원회로 알려진 자체 지방 정부를 가지고 있다.
5. 언어 및 민족
부카섬의 주요 섬에는 솔로스어와 할리아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언어 집단이 있다. 할리아어는 부카섬에서 하나한 할리아, 하쿠, 셀라우 방언으로 나뉜다. 할리아어와 하쿠어 사용자는 서로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셀라우는 더 먼 방언이다. 솔로스어는 북부 부건빌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뚜렷한 언어이며, 할리아어와 솔로스어는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
부카섬 서해안에는 부카섬 본섬과 문화적, 언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포로란과 인근 히타우, 페타츠와 야멘, 마추간 등의 섬들이 있다. 이 섬들의 언어는 페타츠어라고 불린다.[1]
5. 1. 언어
부카섬의 주요 섬에는 솔로스어와 할리아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언어 집단이 있다. 할리아어는 부카섬에서 두 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하나는 부카 해협(현지에서는 이에타로 알려짐)에서 토하치까지 동해안에서 사용되는 하나한 할리아이고, 다른 하나는 엘루투판에서 론티스까지 북부 해안 마을에서 사용되는 하쿠이다. 셀라우로 알려진 할리아어의 세 번째 방언은 북부 부건빌의 동명의 반도에서 사용된다. 할리아어와 하쿠어 사용자는 서로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셀라우는 더 먼 방언이다. 솔로스어는 북부 부건빌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의 뚜렷한 언어이며, 할리아어와 솔로스어는 상호 이해가 되지 않는다.[1]부카섬 서해안에는 부카섬의 주요 섬과 문화적, 언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다섯 개의 작은 유인도가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포로란과 인근 히타우, 페타츠와 야멘, 마추간이 있다. 이 섬들의 언어는 할리아어와 솔로스어와 다르지만, 솔로스어보다는 할리아어와 더 가깝다. 이 언어는 언어학 문헌에서는 페타츠어라고 불리며, 부카에서는 서해안 언어라고 불린다.[1]
5. 2. 서해안 언어 (페타츠어)
부카섬 서해안에는 부카섬 주요 섬과 문화적, 언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다섯 개의 작은 유인도가 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포로란과 인근 히타우, 페타츠와 야멘, 마추간이 있다. 이 섬들의 언어는 할리아어와 솔로스어와는 다르지만, 솔로스어보다는 할리아어와 더 가깝다. 이 언어는 언어학 문헌에서는 페타츠어라고 불리며, 부카에서는 서해안 언어라고 불린다.6. 문화 및 관습
부카 사회는 크게 네 개의 모이(moiety) 계급으로 나뉜다. 모이는 사회 집단을 의미하는 인류학 용어이다. 각 모이는 고유한 토템(totem) 상징을 가진다.
모이 계급 | 토템 |
---|---|
나카리파(Nakaripa) | 닭 |
나보엔(Naboen) | 독수리 |
나카스(Nakas) | 개 |
나타시(Natasi) | 코토이아나(바다매의 일종), 푸에(바다 거품) |
나카리파와 나보엔은 명망 있는 계급으로 여겨지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보상으로는 나카스나 나타시에 속하더라도 자신을 나카리파나 나보엔이라고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나카스와 나타시는 명망 있는 계급의 궂은일을 담당했으나, 최근에는 독립하여 스스로를 "고유의 씨족"으로 칭하고 있다. 부카인들은 모이 범주를 영어와 톡 피신어로 "씨족(clan)"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인류학적으로 엄밀히 말하면 모이와 씨족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다. 할리아어로는 피나포사(finaposa)라고 한다.
모이 분류는 갈등 해결과 권위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남자가 어머니의 형제를 츠노노(족장)로 승계하려면, "반대" 모이(항상 나카리파 또는 나보엔)가 '하츠노노'(츠노노를 만들다) 의식을 주관해야 한다. 화해 의식에서도 "반대" 모이가 조건을 설정하고 희생을 주관한다.[1]
오늘날 부카섬 주민 대다수는 기독교인이며, 그중에서도 로마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고, 연합 교회(감리교) 신자와 다양한 오순절, 복음주의 종파 신자들이 그 뒤를 잇는다.
부카는 하할리스 복지 협회[5]와 같이 크고 호전적인 사회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 인류학 문헌에 자주 등장하며, 여러 정치 및 종교 운동의 발생지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운동들은 반대 세력에 의해 "화물 숭배"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이 용어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태평양 지역의 인류학자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분분하다.
6. 1. 사회 구조
부카 사회는 셋 또는 넷의 서로 다른 언어 집단으로 나뉘지만, 섬 전체에서 매우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전통적인 부카 사회는 광범위한 멜라네시아 원예 조직의 패턴을 따랐다. 해안(또는 "타시" - 해변) 마을 사람들, 즉 하쿠, 할리아 및 서해안 화자들은 토란을 심고, 닭을 키우고, 물고기를 잡고, 조개류를 채집했다. 솔로스족은 부카의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할리아 및 서해안 섬 주민들과 숲에서 나는 산물과 토란을 교역했다. 대부분의 태평양 섬과 마찬가지로 돼지는 매우 중요했으며, 의례와 공식적인 축제를 제외하고는 거의 먹지 않았다. 쿠스쿠스(유대류의 일종)와 다양한 새들도 식단을 보충한다.계보는 모계이며 친족 용어는 하와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부카의 친족 관계는 결혼 후 거주지를 규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젊은 부부가 처음에는 남편의 모계 친족과 함께 살다가 나중에 아내의 토지로 이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남자는 자신의 씨족 구성원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그의 자녀는 아내의 씨족에 속하기 때문이다.
6. 2. 친족
부카 사회는 셋 또는 넷의 서로 다른 언어 집단으로 나뉘어 있지만, 섬 전체에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전통적인 부카 사회는 광범위한 멜라네시아 원예 조직의 패턴을 따랐다. 해안(또는 "타시" - 해변) 마을 사람들, 즉 하쿠, 할리아 및 서해안 화자들은 토란을 심고, 닭을 키우고, 물고기를 잡고, 조개류를 채집했다. 솔로스족은 부카의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할리아 및 서해안 섬 주민들과 숲에서 나는 산물과 토란을 교역했다. 대부분의 태평양 섬과 마찬가지로 돼지는 매우 중요했으며, 의례와 공식적인 축제를 제외하고는 거의 먹지 않았다. 쿠스쿠스(유대류의 일종)와 다양한 새들도 식단을 보충한다.계보는 모계이며 친족 용어는 하와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부카의 친족 관계는 결혼 후 거주지를 규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젊은 부부가 처음에는 남편의 모계 친족과 함께 살다가 나중에 아내의 토지로 이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남자는 자신의 씨족 구성원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그의 자녀는 아내의 씨족에 속하기 때문이다.
6. 3. 족장 (Chiefs)
부카섬에는 세습되는 권위의 지위인 족장이 있으며, 이를 할리아어로 츠노노(tsunono)라고 부른다. 여성 족장도 존재하는데, 할리아어로는 테이타홀(teitahol), 하쿠어로는 투히카우(tuhikauu)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여성 족장은 겉으로 드러나는 권한은 거의 없지만, 매우 존경받는다. 여성은 세속적인 권력보다는 신성한 가치를 지닌다고 여겨진다. 부카섬 내전 동안 NGO의 영향과 여성의 평화 운동 지도력으로 인해 이러한 상황이 다소 변화하고 있다.츠노노는 이론상 계보에 따라 결정되지만, 실제로는 이 규칙이 자주 깨진다. 만약 어떤 남자가 훌륭한 연설가가 아니거나, 그의 형제가 뛰어난 연설가라면, 츠노노 집단은 그를 "마우스만"(톡 피신어로 대변인) 또는 촌페페이토(tsonpepeito|할리아어로 수호자hal)로 인정할 수 있다.
츠노노는 임의적인 권력을 휘두르지 않는다. 그들은 씨족의 이익을 대변해야 한다. 츠노노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씨족이 (쉽게) 그를 해임할 수는 없지만, 효과적인 정치적 행위자가 되는 데 필요한 토지와 노동 자원을 동원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각 하위 씨족은 츠하나(tsuhana)라고 불리는 자체 씨족 집을 가지고 있다. 이 건물들은 부카섬의 정치 조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례식, 추모식, 화해를 위한 연회가 열리는 공공 건물이다. 일반적으로 씨족이나 마을은 츠하나 내에서 정치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인다. 큰 나무 슬릿 징이 거기에 보관되어 있으며, 회의를 소집하고, 장례식, 사망, 기타 마을 행사를 알리기 위해 울린다.
츠하나는 츠노노 집단과 관련되어 있다. 츠하나의 기둥을 화가 나서 치는 것은 족장을 공격하는 것과 같으며, 돼지 희생으로 속죄해야 한다. 츠하나의 건설은 정교한 과정이지만, 실제 건물은 대개 소박하다. 건설의 각 단계마다 돼지 희생이 필요하며, 이는 다시 하위 씨족과 그 동맹의 동원을 필요로 한다. 강력하고 권위 있는 츠노노 족장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츠하나가 반드시 건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츠노노와 츠하나는 5~20개의 핵가족을 포함하는 하위 씨족 또는 작은 마을 크기의 영토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츠노노의 위계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츠하나가 탁월한 씨족의 지도력 아래 결합하며, 이 씨족의 지도자는 츠노노 말(tsunono mal)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관계는 불가역적이지 않으며, 다른 츠노노의 동의가 필요하다. 츠노노가 다른 츠하나를 정복하고 강제로 복종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쉽지 않다.
가장 강력한 족장은 무니힐(munihil)이라고 불린다. 이 족장은 이론적으로 여러 마을을 포함하는 지역에서 분할 계급의 씨족에 대한 권력을 갖는다. 이러한 족장은 가장 크고 강력한 토지 소유자가 아닐 것이며, 모든 마을에 대한 강력한 계보적 주장을 거의 갖지 않을 것이다. 때로는 이러한 족장이 지역 주민이 아닐 수도 있으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온 탁월한 지도자일 수도 있다. 그의 지도력에 대한 주장은 그 자신의 것이 아니라, 그를 대표할 수 있도록 "그를 추천"한 츠노노들의 집단적 합의에서 비롯된다.
6. 4. 츠노노의 위계
부카섬에는 남성에게 세습되는 권위의 지위인 족장이 있으며, 이를 츠노노(tsunono|츠노노hia)라고 부른다. 여성도 족장이 될 수 있으며, 할리아어로는 테이타홀(teitahol|테이타홀hia), 하쿠어로는 투히카우(tuhikauu|투히카우hak)라고 한다. 츠노노는 이론상 계보에 따라 결정되지만, 실제로는 이 규칙이 자주 깨진다. 만약 어떤 남자가 훌륭한 연설가가 아니거나, 그의 형제가 뛰어난 연설가라면, 츠노노 집단은 그를 "마우스만"(mausman|마우스만톡 피신) 또는 촌페페이토(tsonpepeito|촌페페이토hia)로 인정할 수 있다.츠노노는 임의적인 권력을 휘두르지 않으며, 씨족의 이익을 대변해야 한다. 츠노노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씨족이 그를 해임할 수는 없지만, 효과적인 정치적 행위자가 되는 데 필요한 토지와 노동 자원을 동원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츠노노와 츠하나는 5~20개의 핵가족을 포함하는 하위 씨족 또는 작은 마을 크기의 영토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츠노노의 위계가 존재한다. 츠노노의 위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족장 명칭 | 설명 |
---|---|
츠노노 말(tsunono mal|츠노노 말hia) | 일반적으로 여러 츠하나가 탁월한 씨족의 지도력 아래 결합하며, 이 씨족의 지도자 |
무니힐(munihil|무니힐hia) | 가장 강력한 족장으로, 이론적으로 여러 마을을 포함하는 지역에서 분할 계급의 씨족에 대한 권력을 갖는다. |
무니힐은 가장 크고 강력한 토지 소유자가 아닐 것이며, 모든 마을에 대한 강력한 계보적 주장을 거의 갖지 않을 것이다. 때로는 이러한 족장이 지역 주민이 아닐 수도 있으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온 탁월한 지도자일 수도 있다. 그의 지도력에 대한 주장은 그 자신의 것이 아니라, 그를 대표할 수 있도록 "그를 추천"한 츠노노들의 집단적 합의에서 비롯된다.
6. 5. 모이 계급과 씨족 (Moiety classes and clans)
부카 사회에는 나카리파, 나보엔, 나카스, 나타시의 네 가지 모이 계급이 있다. 나카리파와 나보엔은 각각 닭과 독수리라는 토템 상징물로 대표되며, 나카스는 개로 대표된다. 나타시의 토템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지만, 바다매의 일종인 코토이아나와 바다 거품인 푸에가 종종 제시된다.[1] 나카리파와 나보엔은 명망 있는 계급으로 간주되며, 대다수의 인구는 계보상으로는 명망이 낮은 나카스나 나타시 계급에 속하더라도 나카리파나 나보엔 중 하나에 속한다고 주장한다.[1] 전통적으로 나카스나 나타시는 명망 있는 계급의 궂은 일을 담당했다.[1] 최근에는 이들이 독립(‘브루클루스’)하여 스스로를 "고유의 씨족"으로 칭하고 있다.[1]부카인들은 모이 범주를 토크 피신어와 영어로 "씨족"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사회학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이 단어는 실제로 인류학에서 모이와 씨족으로 구분되는 두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1] (이는 할리아어에서도 마찬가지이며, 할리아어로는 피나포사라고 한다.)[1] 공통 조상을 추적하며 때로는 공동체로서 행동하는 씨족이 존재한다.[1] 이들은 토지를 소유하는 집단이지만, 종종 서로 다른 마을이나 심지어 서로 다른 언어권에 하위 씨족을 두기도 한다.[1]
반면, 모이 계급은 여러 씨족을 포함한다.[1] 모이 분류는 갈등 해결과 권위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남자가 어머니의 형제를 츠노노로 승계하려면, "반대" 모이(항상 나카리파 또는 나보엔)가 하츠노노(츠노노를 만들다)를 해야 한다.[1] 화해 의식에서 "반대" 모이는 화해 당사자들에게 조건을 제시하는 연설을 하고 희생을 주관한다.[1]
6. 6. 현대 종교
오늘날 부카 섬의 압도적인 다수는 기독교인이며, 로마 가톨릭과 상당수의 연합 교회(감리교) 그리고 다양한 오순절 및 복음주의 종파로 나뉜다.6. 7. 사회 및 종교 운동
부카는 하할리스 복지 협회[5]라는 크고 호전적인 사회 운동의 현장으로, 인류학 문헌에서 유명하며, 이 외에도 여러 정치 및 종교 운동이 발생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운동들은 종종 반대 세력에 의해 "화물 숭배"라고 불리지만, 이 용어의 유용성은 태평양 지역의 인류학자 및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참조
[1]
간행물
Biophysically Special, Unique Marine Areas of the Solomon Islands
http://macbio-pacifi[...]
MACBIO, (GIZ, IUCN, SPREP), Suva
2021-03-31
[2]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east of New Guinea
https://www.worldwil[...]
World Wildlife Fund
2021-04-17
[3]
서적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to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Canberra, Pacific Manuscripts Bureau
[4]
서적
Australians in the Pacific War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5]
Thesis
Relationships of love and power in the Hahalis Welfare Society of Buka
https://researchspac[...]
ResearchSpace@Auckland
2014-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