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경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경로는 금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일대에 위치했다. 대정부, 의주, 금주, 서주, 광녕부, 의주, 흥중부, 건주, 전주, 흥주, 임황부로, 경주, 태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지역은 현과 진을 관할했다. 몽골 제국에 의해 점령되면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나라의 로 - 상경로 (금나라)
    상경로는 금나라가 통치했던 지역으로, 여진족의 발상지이자 초기 수도였던 상경을 중심으로 통치 체제가 강화되었으며, 고려에게 반환받은 동북 9성 일대에 설치된 합라로가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 금나라의 로 - 진봉로
    진봉로는 송나라 시대 간쑤성 중부와 남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현재의 간쑤성 중부와 남부 일대에 해당하며, 진주와 봉상부가 이 지역에 속했다.
  • 내몽골의 역사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내몽골의 역사 - 판석묘 문화
    판석묘 문화는 기원전 1300년경 자바이칼에서 시작하여 몽골, 중국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판석으로 둘러싸인 무덤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이다.
  • 허베이성의 역사 - 하북도
    하북도는 당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베이성, 산둥성 전역, 허난성 북부를 관할했으며,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 체제로 전환되어 당나라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제나라
    제나라는 중국 고대 국가로, 강태공에게 봉해진 땅에서 시작하여 강제와 전제 시대를 거쳐 진나라에 멸망했으며, 어업, 제염, 철 생산으로 경제적 부를 쌓고 직하학궁을 통해 학문과 사상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다.
북경로
개요
전칭명북경로(北京路)
유형로(路)
약칭경로(京路)
설치 시기
폐지 시기
관할 구역동경도(東京路), 상경회령부로(上京會寧府路), 함평로(咸平路)
위치요양로(遼陽路) 이동(以東)
주요 도시심양로(瀋陽路)
역사
금나라 시기금나라 초기에 설치
요의 동경 지역, 상경 지역, 함평 지역을 관할
원나라 시기요양행성에 편입
폐지
행정 구역
속군심양로(瀋陽路)
개원로(開元路)
광녕로(廣寧路)
철령로(鐵嶺路)
등주로(澄州路)
조주로(肇州路)
속평부(涑平府)
장새현(長寨縣)
래원현(來遠縣)
회화현(懷化縣)
안정현(安定縣)
회원현(懷遠縣)
창투현(昌圖縣)
빈주(賓州)
상건현(祥芹縣)
농안현(農安縣)
영강주(永康州)
융안현(隆安縣)
서주(舒州)
안동현(安東縣)
부여현(扶餘縣)

2. 북경로(北京路)

北京路|북경로중국어는 금나라 북부의 핵심 지역으로,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랴오닝성 일대를 포함한다. 북경로에는 대정부, 의주, 금주, 서주, 광녕부, 의주, 흥중부, 건주, 전주, 흥주 등의 행정 구역이 있었다.


  • '''대정부'''는 북경로의 중심지로,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닝청 현에 위치했다.
  • '''의주'''는 하급주로 자사를 두었으며, 1151년 요나라의 의주(宜州)를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하급주 숭의군절사(崇義軍節使)를 두었다.
  • '''금주'''는 흥중부에 소속된 하급주로 임해군절도사가 파견되었다.
  • '''서주'''는 하급주로 귀덕군 절도가 파견되었다. 내주를 참조하라.
  • '''광녕부'''는 하급부로 진령군절도사(鎭寧軍節度使)를 두었다. 1123년 현주를 부로 승격시키고 봉선군절사(奉先軍節使)를 두었다.
  • '''의주'''는 하급주로 영창군절사를 두었다. 금나라는 함평로에 소속시켰다가 태화말에 북경로로 이관시켰다.
  • '''흥중부'''는 흥중부 문서를 참조하라.
  • '''건주'''는 보정군자사(保靖軍刺史)가 파견된 하급주로,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일대이다.
  • '''전주'''는 반안군절도사(盤安軍節度使)가 파견된 하급주이다. 1197년 설치되었다.
  • '''흥주'''는 1143년 요나라 북안주를 군으로 격하시키고 흥화현(興化縣)을 두었다. 1200년 흥주를 설치하고 절도를 두었으며 군명을 영삭군으로 하였다.

2. 1. 대정부(大定府)

대정부는 북경로의 중심지로,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닝청 현(寧城縣)에 위치했다.

2. 1. 1. 속현(屬縣)

대정부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으로는 랴오닝성 차오양시내몽골 자치구 츠펑시에 해당한다. 대정부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속현(屬縣)현재 지명
부속현(阜俗縣)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용산현(龍山縣)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서남


2. 2. 의주(義州)

하급주로 자사를 두었다. 1151년(천덕 3년) 요의 의주(宜州)를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하급주 숭의군절사(崇義軍節使)를 두었다. 30,233호 3현 1진을 거느렸다.

2. 2. 1. 속현(屬縣)

북경로 속현
현명위치비고
홍정현(弘政縣)진저우시 이현능하(淩河)가 흐른다.
개의현(開熙縣)1143년 해북주 폐지 후 본주의 속현이 됨. 요경진(饒慶鎭)은 개의현의 속진.
동창현(同昌縣)푸신 시 홍모자촌(紅帽子村)금나라 초 천주(川州) 소속. 1166년 천주 폐지 후 의주(懿州) 속현. 1197년 천주 복구 후 천주 속현. 1204년 본주 속현.

[1]

2. 3. 금주(錦州)

금주(錦州)는 흥중부에 소속된 하급주로 임해군절도사가 파견되었다. 39,123호와 영락현(永樂縣), 안창현(安昌縣), 신수현(神水縣) 3개 현을 거느렸다.

2. 3. 1. 속현(屬縣)

영락현(永樂縣)은 진저우시에 있는데, 모용황이 두었던 옛 서악현(西樂縣) 땅에 설치되었다. 안창현(安昌縣)은 후루다오시 난퍄오구 북쪽에, 신수현(神水縣)은 차오양시 차오양현 서북쪽에 있었다.[1]

속현(屬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락현永樂縣진저우시모용황이 두었던 옛 서악현(西樂縣) 땅에 설치되었다.
안창현安昌縣후루다오시 난퍄오구 북쪽
신수현神水縣차오양시 차오양현 서북


2. 4. 서주(瑞州)

하급주로 귀덕군 절도가 파견되었다. 내주를 참조하라.

2. 5. 광녕부(廣寧府)

광녕부(廣寧府)는 하급부로 진령군절도사(鎭寧軍節度使)를 두었다. 1123년 현주를 부로 승격시키고 봉선군절사(奉先軍節使)를 두었다. 1130년(천회 8년) 군명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1150년(천덕 2년) 함평부에 소속시켰다가 군을 폐하고 동경로에 소속시켰다. 1201년(태화 원년) 7월 내속시켰으며, 43,161호, 3현, 6진, 4채, 2진관성을 거느렸다.

2. 5. 1. 속현(屬縣)

현명/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광녕현廣寗縣진저우시 베이전시1189년(대정 29년) 산동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요 세종의 무덤인 현릉이 있다.
여성채閭城寨 광녕현의 속채다.
토아와채兔兒窩寨 광녕현의 속채다.
망평현望平縣진저우시 헤이산현1189년 9월 어업을 장려하기 위해 설치했다.
어모진漁務鎭 망평현의 속진이다.
산서점진山西店鎭 망평현의 속진이다.
여양현閭陽縣진저우시 링하이시 동북1130년 요 건주를 폐하고 그 주현을 본부로 내속시켰다. 능하, 요 성종의 무덤인 건릉이 있다.
여양진閭陽鎭 여양현의 속진이다.
형가진衡家鎭 여양현의 속진이다.
대부산채大斧山寨 여양현의 속채다.
북천채北川寨 여양현의 속채다.
봉현현奉玄縣베이전시1130년 종수현(鐘秀縣)으로 개명되었다.
요서진遼西鎭진저우시 이현 동남 
관성진觀城鎭  


2. 6. 의주(懿州)

의주(懿州)는 하급주로 영창군절사를 두었다. 금나라는 함평로에 소속시켰다가 태화말에 북경로로 이관시켰다. 42,351호를 관할했다. 1166년(대정 6년) 천주를 폐하고 천주의 의민현(宜民縣)과 동창현을 본주로 내속시켰다가 1197년(승안 2년) 복구했다. 1204년(태화 4년) 천주를 다시 폐하고 의민현은 흥중부에, 동창현은 의주(義州)에 소속시켰다.[1]

2. 6. 1. 속현(屬縣)

속현
현명/진명한자대략적 위치
순안현順安縣푸신시 푸신 몽골족 자치현 탑자영촌
영산현靈山縣푸신시 푸신 몽골족 자치현 서북


2. 7. 흥중부(興中府)

흥중부 참조

2. 8. 건주(建州)

보정군자사(保靖軍刺史)가 파견된 하급주로, 11,439호를 거느렸다.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일대이다.

2. 8. 1. 속현(屬縣)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패현永覇縣차오양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수천향(水泉鄕) 일대당나라가 창려현(昌黎縣)을 둔 땅에 설치했다.[1]


2. 9. 전주(全州)

반안군절도사(盤安軍節度使)가 파견된 하급주이다. 1197년(승안 2년) 설치되었고, 호설무(胡設務)는 정봉현(靜封縣), 흑하포(黑河鋪)는 노천현(盧川縣)으로 개명되었다. 대정부 삼한현의 열호 등의 5개 맹안을 통치했다. 9,319호를 거느린 1개 현이 있었다. 1214년(정우 2년) 몽골 제국에 점령되면서 치소가 평주일대로 옮겨졌다.

2. 9. 1. 속현(屬縣)

安豊縣|안풍현중국어츠펑시 웡뉴터기에 있다.[1] 1196년 10월 풍주포(豊州鋪)를 안풍현으로 바꾸어 임황부에 소속시켰다가 다음 해 전주를 설치하면서 절도사의 치소가 되었다.[1] 황하(黃河)와 흑하(黑河)가 흐른다.[1]

2. 10. 흥주(興州)

1143년 요나라 북안주를 군으로 격하시키고 흥화현(興化縣)을 두었다. 1200년(승안 5년) 흥주를 설치하고 절도를 두었으며 군명을 영삭군으로 하였다. 2현 15,970호를 거느렸다. 1214년 몽골 제국에 점령당했고 밀운으로 치소를 옮겼다.[1]

2. 10. 1. 속현(屬縣)

속현(屬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흥화기興化倚청더시1143년 북안주가 폐지되면서 흥화군을 두었고 대정부에 소속시켰다. 1200년 흥주를 세우면서 현으로 바뀌고 기곽(倚郭)으로 칭하게 되었다. 옛 한나라의 어양군 백단현의 땅이 있다.
이민현利民縣청더시 룽화현1200년 이민채(利民寨)를 현으로 승격시켰다. 필한맹안(必罕猛安), 영강맹안(寗江猛安), 속마랄맹안(速馬剌猛安)을 통치했다. 1204년 폐지되었다.


3. 임황부로(臨潢府路)

1150년(천덕 2년) 임황부에 임황부로가 설치되었으나, 1년 만에 폐지되었다. 1153년(정원 원년) 대정부가 북경으로 승격되면서 임황부로 격하되었다. 천평산(天平山), 호수천(好水川)과 1185년(대정 25년) 행궁, 살이내(撒裏乃)의 땅이 있었다. 67,907호 5현 37보를 두었는데, 대정연간에 몽골의 침공에 대비하여 24보를 증축했다. 하지만 1214년 몽골 제국에게 점령당했다.

임황부로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임황부로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황기臨潢倚츠펑시 바린 좌기 요상경성유지금속하(金粟河)가 흐른다.
장태현長泰縣츠펑시 바린 좌기 서북입열지산(立列只山)이 있고 현 북쪽 1000리로 가면 용구하(龍駒河)가 있다. 용구하는 여진어로 갈필랄(喝必剌)이라고 한다. 살이갈도(撒裏葛睹)의 땅이 있다.
노천현盧川縣츠펑시 바린 우기 동남1197년 흑하포(黑河鋪)를 이우면서 전주에 소속되었다가 후에 본부로 내속되었다. 황하(潢河)가 흐른다.
영새현寗塞縣퉁랴오시 짜루터기 북서1201년 5월에 설치했다. 활하(滑河)가 흐른다.
장녕현長寧縣츠펑시 웡뉴터기 시라무룬허와 노합하가 합류하는 지점요나라 영주의 속현이었다. 1123년 절도사를 시험으로 설치했다가 1143년 주를 폐하고 본부로 내속시켰다.



경주(慶州)는 현녕군(玄寧軍刺使)이 파견된 하급주로, 북으로 국경까지 20리, 남으로 노천현까지 220리, 서로 환주(桓州)까지 900리, 동으로 임황부까지 160리 거리이다. 2,007호를 거느렸으며,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린시현 일대이다.

태주(泰州)에 대한 내용은 태주 문서를 참조하라.

3. 1. 임황부(臨潢府)

1150년(천덕 2년) 임황부에 임황부로가 설치되었으나, 1년 만에 폐지되었다. 1153년(정원 원년) 대정부가 북경으로 승격되면서 임황부로 격하되었다. 천평산(天平山), 호수천(好水川)과 1185년(대정 25년) 행궁, 살이내(撒裏乃)의 땅이 있었다. 67,907호 5현 37보를 두었는데, 대정연간에 몽골의 침공에 대비하여 24보를 증축했다. 하지만 1214년 몽골 제국에게 점령당했다.

3. 1. 1. 속현(屬縣)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임황기臨潢倚츠펑시 바린 좌기 요상경성유지금속하(金粟河)가 흐른다.
장태현長泰縣츠펑시 바린 좌기 서북입열지산(立列只山)이 있고 현 북쪽 1000리로 가면 용구하(龍駒河)가 있다. 용구하는 여진어로 갈필랄(喝必剌)이라고 한다. 살이갈도(撒裏葛睹)의 땅이 있다.
노천현盧川縣츠펑시 바린 우기 동남1197년 흑하포(黑河鋪)를 이우면서 전주에 소속되었다가 후에 본부로 내속되었다. 황하(潢河)가 흐른다.
영새현寗塞縣퉁랴오시 짜루터기 북서1201년 5월에 설치했다. 활하(滑河)가 흐른다.
장녕현長寧縣츠펑시 웡뉴터기 시라무룬허와 노합하가 합류하는 지점요나라 영주의 속현이었다. 1123년 절도사를 시험으로 설치했다가 1143년 주를 폐하고 본부로 내속시켰다.


3. 2. 경주(慶州)

현녕군(玄寧軍刺使)이 파견된 하급주이다. 북으로 국경까지 20리, 남으로 노천현까지 220리, 서로 환주(桓州)까지 900리, 동으로 임황부까지 160리 거리이다. 2,007호를 거느렸으며,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린시현 일대이다.

3. 2. 1. 속현(屬縣)

속현(屬縣)
현명/주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경민현慶民縣츠펑시 린시현 북동본래 효안현(孝安縣)이라고 하였으나 113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1143년 폐지되었다.
삭평현朔平縣츠펑시 바린 우기 숴보르가소목(索博日嘎蘇木)교장모(榷場務)가 있다.
조주祖州츠펑시 바린 좌기 석방자촌 조주성유지1130년 봉주(奉州)로 바뀌었다가 1143년 폐지되었다. 요 태조의 묘지가 있다.
회주懷州츠펑시 바린 우기 북동 50리1130년 봉덕군(奉德軍)으로 개칭되었다가 1143년 폐지되었다. 요 태종요 목종의 묘지인 회릉(懷陵)이 있다. 북쪽 산에는 요 성종, 요 흥종, 요 도종의 묘인 경릉(慶陵)이 있다. 주성내에는 요나라때의 행궁이 있다.


3. 3. 태주(泰州)

태주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