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봉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봉로는 송나라 시대 간쑤성 중부와 남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현재의 간쑤성 중부와 남부 일대에 해당한다. 진주(秦州)와 봉상부(鳳祥府)가 이 지역에 속했다. 진봉로 지역은 경원로, 희하로와 인접해 있었다.
2. 경원로(涇原路) 지역
2. 1. 위주(渭州)
군명은 농서군이며, 평량군절도(平涼軍節度)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1117년(북송 휘종 정화 7년), 군사에서 절도로 격상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6,584호 63,512명을 거느렸으며, 견(絹), 종용(蓯蓉)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평량현 | 平涼縣 | 핑량 시 | 中 | 와정채(瓦亭砦, 구위안 시 징위안 현 육반산진 북동)가 있었다. |
심원현 | 瀋原縣 | 핑량 시 쿵퉁 구 상만촌 | 中 | |
안화현 | 安化縣 | 구위안 시 징위안 현 | 中 | 1074년 제승관(制勝關)을 폐지하고 현의 치소를 본관으로 옮겼다. 옛 치소는 진으로 격하되었다. |
숭신현 | 崇信縣 | 핑량 시 충신 현 | 中 | |
화정현 | 華亭縣 | 핑량 시 화팅 현 | 中下 | 1072년 의주를 폐지하고 안화현과 숭신현과 함께 내속되었다. |
정하성 | 靖夏城 | colspan="2" | | ||
감천보 | 甘泉堡 | 1106년 경원로경략관할의 감정자에서 설치되었다. 하주군에 속했는지는 불명이며 진주에 속했던것으로도 추정되었다. |
2. 2. 경주(涇州)
군명은 안정군이다. 976년(북송 태종 태평흥국 원년), 창화군절도(彰化軍節度)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8,411호 88,699명을 거느렸다. 자이(紫茸), 모갈단(毛毼段)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관할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보정현 | 保定縣 | 핑량 시 징촨 현 성관진 | 望 | 장무채(長武砦)가 있었다. |
영태현 | 靈台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 上 | |
양원현 | 良原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양원향 | 上 | |
장무현 | 長武縣 | 핑량 시 징촨 현 경명향일대 | 望 | 1001년(북송 진종 함평 4년) 장무진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 1002년, 채로 격하되어 보정현에 통폐합되었다. 1108년 채에서 현으로 복구되었다. |
2. 3. 원주(原州)
원주(原州)는 평량군이라는 군명을 가진 망급주로, 군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숭녕연간에는 23,036호 63,499명을 거느렸으며, 감초를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임경현 | 臨涇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 中 | |
팽양현 | 彭陽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팽양향 | 中 | 태평흥국초에 풍의현(豐義縣)에서 개명되었다. 997년(지도 3년) 영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
신성진(新城鎭)은 칭양 시 전위안 현 신성향에 있었으며, 1070년 절원채(截原砦)를 통폐합했다. 유천진(柳泉鎭)은 칭양 시 전위안 현 주가태일대에 있었으며, 이타성채(耳朵城砦)를 관할했다. 개변채(開邊砦)는 칭양 시 전위안 현 개변진에 있었으며, 1070년 신문채를 통폐합했다. 서호채(西壕砦)는 칭양 시 전위안 현 맹패진, 평안채(平安砦)는 칭양 시 전위안 현 연자하만일대에 있었다. 수녕채(綏寧砦)는 구위안 시 펑양 현 맹원향일대에 있었고 강성보(羌城堡), 남산보(南山堡), 전도보(顛倒堡)를 관할했다. 정안채(靖安砦)는 구위안 시 펑양 현 소차향일대에 있었으며 중보보(中普堡), 흘라차보(吃囉岔堡), 중령보(中嶺堡), 장암보(張嵓堡), 상리보(常理堡), 신륵보(新勒堡), 계천보(鷄川堡), 입마성보(立馬城堡), 살장천보(殺獐川堡)의 9개보를 관할했다. 그 외에 안강보(安羌堡)와 신성보(新城堡)가 있었다.
2. 4. 덕순군(德順軍)
1043년(북송 인종 경력 3년) 위주 농간성(隴幹城)에서 군으로 독립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9,269호 126,241명을 거느렸다. 감초를 공납으로 바쳤다.농간현(隴幹縣)하나의 현을 관할했다.
수락성(水洛城), 정변채(靜邊砦), 득승채(得勝砦), 융덕채(隆德砦), 치평채(治平砦), 회원채(懷遠砦), 중안보(中安堡), 위융보(威戎堡)를 관할했다.
2. 5. 진융군(鎭戎軍)
997년(지도 3년) 원주 평고현에서 군으로 독립했다. 숭녕연간에는 1,961호 8,057명을 거느렸으며, 백모(白氈)를 공납으로 바쳤다.성명/요새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진융군 | 鎭戎軍 | 구위안 시 | |
팽양성 | 彭陽城 | 구위안 시 펑양 현 | 1067년 신차보(信岔堡), 양붕보(涼棚堡)를 설치했다. 1068년 희녕채(熙寧砦), 초갱보(硝坑堡), 동서수구보(東西水口堡)를 설치했다. 1081년(북송 신종 원풍 4년) 동서수구보를 폐지하고 1083년(북송 신종 원풍 6년) 고채보(故砦堡)를 설치했다. |
개원보 | 開遠堡 | 구위안 시 위안저우 구 개성향 | |
장의보 | 張義堡 | 구위안 시 위안저우 구 장역진 | 1071년(북송 신종 희녕 4년), 안변보를 개원보에 통폐합하고 1072년 장의보를 신설했다. |
평하성 | 平夏城 | 구위안 시 위안저우 구 황택보진 | 1097년(북송 철종 소성 4년) 석문성(石門城)에서 개명되었고 1108년(북송 휘종 대관 2년) 회덕군(懷德軍)으로 분리했다. |
영평채 | 靈平砦 | 구위안 시 위안저우 구 황택보진 남 감구촌 | 1097년 호자채(好水砦)에서 개명되었고 1108년 회덕군으로 이관되었다. |
2. 6. 서안주(西安州)
1099년 남모회신성을 세우고 서안주(西安州)로 칭했다. 동으로 천도채까지 26리, 서로 통회보까지 55리, 남으로 영안채까지 100리, 북으로 나몰령보(囉沒寧堡)까지 35리였다. 지금의 하이위안현에 있었다.3. 진봉로(秦鳳路) 지역
진봉로는 송나라의 서쪽 변경 지역으로, 현재의 간쑤성 중부와 남부 일대에 해당한다. 진주(秦州)와 봉상부(鳳祥府)가 이 지역에 속했다.
3. 1. 진주(秦州)
3. 2. 농주(隴州)
농주(隴州)는 상급주로 군명은 견양군(汧陽郡)이며, 방어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숭정연간에는 28,370호 89,750명을 관할했고, 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4개의 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견원현 | 汧源縣 | 바오지시 룽현 | 望 | 고도은장(古道銀場)이 있다. 1075년 진주 정변채를 농서진으로 바꿔 본현에 소속시켰다. |
견양현 | 汧陽縣 | 바오지 시 첸양현 신흥촌 일대 | 緊 | |
오산현 | 吳山縣 | 바오지 시 천창구 현공진 | 中 | |
농안현 | 隴安縣 | 바오지 시 진타이구 북 | 中 | 969년(북송 태조 개보 2년), 견양현의 4향을 분리해 신설했다. |
3. 3. 성주(成州)
군명은 동곡군(同穀郡)이다. 973년 단련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12,964호 33,995명을 거느렸다. 밀랍으로 만든 초, 녹용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관할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동곡현 | 同穀縣 | 룽난 시 청 현 | 上 | 골록채(骨鹿砦), 마읍채(馬邑砦), 적토채(赤土砦), 평원채(平原砦), 도산채(滔山砦), 호도채(湖桃砦)의 6개채가 있었다. |
율정현 | 栗亭縣 | 룽난 시 후이 현 요천향과 복가진사이 | 中 |
3. 4. 봉주(鳳州)
봉주는 하급주로 군명은 하지군(河池郡)이며 단련이 민정을 맡았다. 963년(북송 태조 건덕 원년), 방어에서 단련주로 강등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7,796호 61,145명을 거느렸으며, 꿀, 밀랍으로 만든 초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관할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양천현 | 梁泉縣 | 바오지 시 펑 현 봉주진 | 上 | |
하지현 | 河池縣 | 룽난 시 후이 현 | 緊 | 972년(북송 태조 개보 5년), 야고진으로 치소를 옮겼다. 수은무(水銀務)가 있었다. |
양당현 | 兩當縣 | 룽난 시 량당 현 | 上 | 995년(북송 태종 지도 원년) 황향진으로 치소가 옮겨졌다. |
개보감 | 開寶監 | colspan="2" | | 962년(북송 태조 건륭 3년) 양당현에 은야를 새웠다. 972년 감으로 올렸다. 1064년(북송 영종 치평 워년) 폐지되고 관이 설치되었다가 감이 양당현에 소속되었다. 하지만 1083년(북송 신종 원풍 6년) 폐지되었다. |
3. 5. 계주(階州)
군명은 무도군이며, 군사가 본주의 민정을 맡았다. 무주(武州)였으나 일시적으로 이민족에게 점령당했다 수복한 뒤 계주로 개명되었다. 숭녕연간에는 20,674호 49,520명을 거느렸다. 영양의 뿔과 밀랍으로 만든 초를 공납으로 바쳤다.계주는 2현을 관할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복진현 | 福津縣 | 룽난 시 | 中下 | 봉첩채, 협무채, 평사탄채의 3개채를 관할했다. 단성보와 평정관이 있었다. |
장리현 | 將利縣 | 룽난 시 캉 현 일대 | 中下 | |
고성채 | 故城砦 | 룽난 시 불애향일대 | 고성진에서 채가 축성되면서 채로 바뀌었다. |
4. 희하로(熙河路) 지역
4. 1. 희주(熙州)
군명은 임도군(臨洮郡)이었고 진도군절도가 파견되었다. 1072년 무승군(武勝軍)을 수복하고 주를 설치했다. 초기 희하로의 중심지가 되어 희주, 하주, 도주, 민주, 통원군을 관할했으며 이후 난주와 회주를 얻었다. 원우연간에 하난회로를 희하난민로(熙河蘭岷路)로 바꿨다가 원부연간에 복구했다. 경원으로 이관되었기에 희하란곽로(熙河蘭廓路)로 불리다 선화연간에 희하황곽로(熙河湟廓路)로 개명되었고 황주가 악주(樂州)로 개칭되자 희하난악로로 개명되었다. 결과적으로 난주, 곽주, 서녕주, 진무주, 정석주의 6주군을 새로 관할했으며 통원군을 공주(鞏州)로 바꿔 총 9주3군을 관할했다.숭녕연간에는 1현 1채 9보 1,893호 5,254명을 거느렸다. 모갈단(毛毼段), 사향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관할했다: 적도현(狄道縣).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적도현 | 狄道縣 | 딩시 시 린타오 현 | 中下 | 1072년 신설되었다가 1075년 폐지되었고 1079년 복구되었다. |
강악채 | 康樂砦 | 린샤 후이족 자치주 캉러현 | 1073년 강악성을 채로 바꾸고 진주 마도현에 세워진 마종채(馬騌砦)를 폐지했다. | |
안강성 | 安羌城 | 1124년(북송 휘종 선화 6년) 희하난곽로의 새로 지어진 익기보(溢機堡)를 안강성으로 개명했다. |
4. 2. 회주(會州)
1082년(북송 신종 원풍 5년), 희하로(熙河路)에 난회(蘭會)라는 2글자가 추가되었을 때 회주를 얻었다. 1099년 처음 성이 만들어졌고 안서성이북 6개채를 본주로 내속시켰다. 1104년(북송 휘종 숭녕 3년) 경원로로 옮겨졌다. 회주는 1현을 관할했다.성명/요새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부문현 | 敷文縣 | 바이인 시 징위안현 | 1104년 의곽현(倚郭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안서성 | 安西城 | 딩시 시 | 1096년 여차(汝遮)에서 축성되었고 희하로에 속했다. 동으로 본로경계까지 62리, 서로 원천자(原川子)까지 100리, 남으로 정서채까지 27리, 북으로 평서채까지 33리였다. |
평서채 | 平西砦 | 딩시 시 안딩 구 참구진 | 희하로 청석협(靑石硤)이라 불리다 1097년 평서채로 불리게 되었다. 동으로 본로경계까지 30여리, 서로 승여보(勝如堡)까지 110리, 남으로 안서성까지 33리, 북으로 회령관까지 44리였다. |
회령관 | 會寧關 | 딩시 시 안딩 구 북서 위영향일대 | 1098년 전이관(顛耳關)땅에서 축성되어 통회관이라 불렸다가 말기(末幾)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으로 경원로 원화시까지 7리, 서로 희하로 정원성분계까지 50리, 남으로 희하로 평서채까지 40리, 부긍로 황하남쪽변 옛 봉화까지 100여리였다. |
회천성 | 會川城 | 바이인 시 후이닝현 곽성역진일대 | 1099년 청남눌심(青南訥心)땅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경원로 통안채까지 60리, 서로 희하로 정원성까지 150리, 남으로 회령관까지 60리, 북으로 신천채까지 40리였다. |
신천채 | 新泉砦 | 바이인 시 징위안 현 대로향 서 | 1098년 동북냉모(東北冷牟)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으로 회융보경계 백초원까지 30리, 서로 회천성 경계 조아원(粗兒原)까지 35리, 남으로 회천성까지 30리, 북으로 회주까지 40리였다. |
회융보 | 懷戎堡 | 바이인 시 핑촨 구 공화진일대 | 1099년 축성되었다. 동으로 경원로 경계 정융채까지 22.5리, 서로 본보직할 수천보(水泉堡)까지 20리, 남으로 회천성경계까지 35리, 북으로 유랑산(柔狼山)돈대까지 30리였다. 서하 서수보태군사(西壽保泰軍司)랑 접하고 있었다. |
회위성 | 懷威城 | 1116년 청수하신성(淸水河新城)에서 건설되었고 회융성이 되었다. 동으로 마루산(麻累山)까지 25리, 서로 황하까지 4리, 남으로 남이곡구(囉迷穀口)로 옮겨진 정천보(正川堡)까지 25리, 북으로 북랑구의 마련적성(馬練賊城)까지 20여리였다. | |
정승보 | 靜勝堡 | 1116년, 청수하신성 정응보(接應堡)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
통천보 | 通泉堡 | 바이인 시 징위안 현 평보향 | 신천채관할이었다. 본래의 보는 40리거리에 있었다. |
수천보 | 水泉堡 | 바이인 시 동만진 동 | 회융보직할이었다가 분리되었다. |
정천보 | 正川堡 | 신천채 서북 | 덕위성관할이었다가 분리도되었다. |
4. 3. 하주(河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