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22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22도는 북위 22°를 기준으로 하는 위선으로, 이집트와 수단 국경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알제리, 니제르, 차드, 리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중화인민공화국, 라오스, 베트남, 중화민국, 미국, 멕시코, 쿠바, 바하마, 서사하라, 모리타니, 말리 등을 통과한다. 이집트와 수단 간에는 할라입 트라이앵글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북위 22도는 홍해, 인도양, 남중국해, 태평양, 멕시코만, 카리브해, 대서양 등을 지나며, 주요 분쟁 지역으로는 할라입 트라이앵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관계, 서사하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이집트 국경 - 홍해
홍해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 사이의 열곡대에 위치한 좁고 긴 바다로, 붉은색 조류 번성에서 이름이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과 주요 해상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단-이집트 국경 - 나세르호
나세르 호는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생성된 인공 호수로, 이집트 농업과 전력 생산에 기여했으나 누비아인 강제 이주, 유적 침수, 생태계 변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했으며, 현재는 물 부족 문제와 영토 분쟁에 직면해 있다.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북위 22도 | |
---|---|
개요 | |
위치 | 북위 22도 선 |
영역 | 북반구 |
통과 지역 | 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카리브해 |
상세 정보 | |
주요 통과 국가 | 이집트 사우디 아라비아 방글라데시 미얀마 중국 인도 멕시코 서사하라 (모로코 주장) 모리타니 말리 알제리 리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 파키스탄 네팔 대만 바하마 서사하라 |
지리 | 이 위선은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측정했을 때 동경 0도에서 동경 180도까지, 서쪽으로 측정했을 때 서경 0도에서 서경 180도까지의 거리를 갖는다. |
시간대 | 이 위선에서는 UTC 기준으로 일년 내내 약 13시간 15분의 낮을 볼 수 있다. 6월 동지에는 최대 13시간 35분, 12월 동지에는 10시간 41분이다. |
기타 | 이 위선은 수단과 이집트 사이의 국경의 일부를 정의한다. |
2. 지리
북위 22도선은 지구의 적도에서 북쪽으로 22도 떨어진 위선이다. 이 선은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북아메리카, 대서양 등을 가로지른다.
지리적으로는 여러 국가와 지역을 통과하며, 특히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아프리카의 이집트와 수단 사이 국경의 상당 부분이 북위 22도선을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다만, 나세르 호 인근의 와디 할파 돌출부나 영유권 분쟁 지역인 할라입 트라이앵글, 어느 나라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지역인 비르 타윌 등 일부 예외적인 구간도 존재한다.
2. 1. 주요 통과 지역
북위 22도선은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 방향으로 다음 지역들을 지나간다.
국가·지역·해역 | 비고 |
---|---|
알제리 | |
니제르 | |
차드 | |
리비아 | |
이집트와 수단의 국경 | |
수단 | 국경선은 나세르 호에서 북쪽으로 우회하여 와디 할파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부분에서는 위도선이 완전히 수단 내에 위치한다. |
이집트와 수단의 국경 | |
이집트와 비르 타윌의 경계 | 비르 타윌은 이집트와 수단 어느 나라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지역이다. |
할라입 트라이앵글과 수단의 경계 | 할라입 트라이앵글은 이집트와 수단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며, 현재 이집트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
홍해 | |
사우디아라비아 | |
오만 | |
인도양 | 아라비아해 |
인도 | 구자라트주 - 카티아와르 반도 |
인도양 | 캄바트만 |
인도 | 구자라트주, 마디아프라데시주, 차티스가르주, 오디샤주, 서벵골주 |
방글라데시 | 갠지스강 삼각주의 여러 섬들을 통과한다. |
인도양 | 벵골만 |
방글라데시 | |
인도 | 약 3km |
미얀마 | |
인도 | 약 4km |
미얀마 | 약 5km |
인도 | 약 3km |
미얀마 | |
중화인민공화국 | 윈난성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징훙시 북쪽을 통과한다. |
라오스 | |
베트남 | |
중화인민공화국 | 광시 좡족 자치구 (약 4km) |
베트남 | 약 6km |
중화인민공화국 | 광시 좡족 자치구, 광둥성 |
남중국해 | |
중화인민공화국 | 마카오에서 남쪽으로 약 12km 떨어진 완산 군도(광둥성)의 섬들을 통과한다. |
남중국해 | |
중화인민공화국 | 홍콩에서 남쪽으로 약 20km 떨어진 완산 군도(광둥성)의 섬들을 통과한다. |
남중국해 | |
중화민국 | 대만섬 남단 (핑둥현 헝춘진, 컨딩 국가공원)을 통과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 주장) |
태평양 | 중화민국의 란위섬 바로 남쪽을 통과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 주장) |
미국 | 하와이주 니하우섬 |
태평양 | |
미국 | 하와이주 카우아이섬 (리후에 북쪽 통과) |
태평양 | 멕시코의 마리아스 제도 산후아니토섬 바로 북쪽을 통과한다. |
멕시코 | 아과스칼리엔테스주 아과스칼리엔테스 북쪽 8km 지점을 통과한다. |
멕시코만 | |
쿠바 | |
카리브해 | 바타바노만 (쿠바 후벤투드섬 북쪽 통과), 카소네스만 (쿠바 사파타반도 남쪽 통과) |
쿠바 | 산크티스피리투스주 산크티스피리투스 북쪽 3km 지점을 통과한다. |
대서양 | 바하마의 여러 섬 사이를 통과하고,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노스케이코스섬 바로 북쪽을 통과한다. |
서사하라 |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모리타니 | |
말리 | |
알제리 |
2. 2. 이집트-수단 국경
북위 22도선은 이집트와 수단 사이 국경의 기준선이다. 이 국경선은 동경 25도에서 시작하여 북위 22도선을 따라 동쪽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나세르 호 부근에서는 북쪽으로 우회하여 와디 할파 돌출부를 수단의 영토로 포함시킨다.
동쪽으로 더 가면 북위 22도선은 이집트와 비르 타윌의 경계를 이루는데, 비르 타윌은 어느 나라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지역이다. 이어서 북위 22도선은 할라입 트라이앵글과 수단의 경계를 형성한다. 할라입 트라이앵글은 이집트와 수단 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며, 현재 이집트가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3. 주요 분쟁 지역
북위 22도선은 아프리카의 서사하라 지역을 통과한다. 이 지역은 현재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 국제적인 분쟁의 소지가 있는 곳이다. 또한 이집트와 수단 국경 사이에 위치한 비르 타윌 지역도 지나가는데, 이곳은 어느 국가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특이한 지역이다.
3. 1. 할라입 트라이앵글
북위 22도선은 할라입 트라이앵글과 수단의 경계 일부를 지나간다. 할라입 트라이앵글은 이집트와 수단 양국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지역이다.3. 2.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대만) 관계
북위 22도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를 여러 차례 지나간다. 윈난성의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징훙시 북쪽을 통과하고, 광시성과 광둥성을 거친다. 남중국해 상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인 마카오 남쪽 약 12km 지점과 홍콩 남쪽 약 20km 지점에 위치한 완산 군도(광둥성)를 통과한다. 이후 동쪽으로 계속 나아가 중화민국(대만)의 영토를 지나간다.4. 통과하는 수역
5. 기타
(내용 없음)
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북위 22도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북위 22도선이 통과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미얀마, 방글라데시,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여러 국가들과 대한민국은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이 위도선 자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해당 지역의 정세 변화나 사건들은 대한민국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Sudan – Egypt (United Arab Republic) Boundary
http://www.law.fsu.e[...]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1962-07-27
[2]
웹사이트
Duration of Daylight/Darkness Table for One Year
http://aa.usno.navy.[...]
2021-03-10
[3]
URL
http://aa.usno.nav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