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창공군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창공군기지는 평안남도 순천시 부근에 위치한 조선인민군 공군 기지이다. 14/32 방향의 콘크리트 활주로 1개와 지하 격납고를 갖추고 있으며, 미사일 시험 발사 및 전투기 운용과 관련된 활동이 이루어졌다. 2017년에는 화성 12형, 북극성 2형 미사일 발사 장소로 언급되었으며,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에는 MiG-23ML 전투기의 전개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미림비행장
평양 동쪽 대동강변에 위치한 미림비행장은 활주로와 유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김일성 광장 열병식 훈련장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용, 미림 비행 클럽의 경량 항공기 시내 관광 운영, 그리고 과거 무수단 미사일 발견 및 정치범 공개 처형 장소 이용 등 다양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 덕산비행장
덕산 비행장은 05/23 방향의 콘크리트 활주로 1개를 갖춘 군 비행장이며, 2,484 x 49m 크기의 활주로를 가지고, 지형적 특성상 방어에 유리한 계곡에 위치해 있고, 현재는 군사 공항으로 사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항 - 미림비행장
평양 동쪽 대동강변에 위치한 미림비행장은 활주로와 유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김일성 광장 열병식 훈련장으로 주로 활용되지만,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용, 미림 비행 클럽의 경량 항공기 시내 관광 운영, 그리고 과거 무수단 미사일 발견 및 정치범 공개 처형 장소 이용 등 다양한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항 - 선덕비행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위치한 선덕비행장은 한국 전쟁 당시 K-26으로 불렸고 대한항공 YS-11기 납치 사건 때 납치 항공기가 착륙한 곳이며, 활주로 1본을 갖추고 고려항공이 평양과의 부정기편을 운항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북창공군기지 | |
---|---|
비행장 정보 | |
이름 | 북창공항 |
IATA 코드 | 해당 없음 |
ICAO 코드 | 해당 없음 |
FAA 코드 | 해당 없음 |
종류 | 군용 |
소유자 | 해당 없음 |
운영자 | 해당 없음 |
관할 도시 | 북창군, 북한 |
위치 | 해당 없음 |
고도 (피트) | 217 |
고도 (미터) | 66 |
지도 | 북한, 아시아, 북태평양, 지구 |
지도 마크 | Roundel of North Korea.svg |
지도 마크 크기 | 15 |
지도 릴리프 | '예' |
지도 레이블 | 북창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번호 | 14/32 |
활주로 길이 (피트) | 8,150 |
활주로 길이 (미터) | 2,484 |
활주로 표면 | 콘크리트 |
2. 시설
북창공군기지는 평양 방어를 주로 담당하며, 평남 순천시에서 북쪽으로 약 8km 떨어져 있다. 인근에는 초평역, 룡악역이 위치한다. 좌표는 39°30′15.90″N 125°57′51.60″E이다. 활주로는 14/32 방향의 콘크리트 활주로 1개이며, 크기는 2,484 x 50m이다.[1] 여러 개의 주기장과 유도로가 격납고와 지하 항공기 격납고로 연결되어 있다.[1] 미코얀-구레비치 MiG-23 제트 전투기 연대가 주둔하고 있다.[2] 산속으로 연결된 유도로와 지하 격납고가 있으며, 동남쪽 개울 너머에는 헬기 비행장도 있다.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했다. 포사격 직전인 23일 오후 평안남도 북창공군기지에 근위 제60비행연대 소속 MiG-23ML 전투기 5대가 이륙 후 전투초계비행 후 황해남도 황주공군기지에 전개해 대기 중이었다.
3. 역사
2017년 4월 29일,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북동쪽 방향(방위각 49도)으로 탄도 미사일 1기를 발사했다. 사거리 5000 km 화성 12형 IRBM이 발사 후 1분 만에 고도 70 km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평남 덕천시에 떨어졌다. 북창 비행장의 지하 격납고 시설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당시 시험을 참관한 김정은 위원장은 지하 시설 내부와 출입구 인근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출입구 입구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김 위원장의 뒤로 4~5개의 지하 격납고가 보였다. 북한이 평남 북창 일대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창에는 북한의 최신예 전투기인 미그 21 등이 배치돼 있는 공군 기지가 있는 곳이다. 또 정치범 수용소로 알려진 ‘18호 수용소’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2017년 5월 21일,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사거리 2500 km 북극성 2형 미사일 1기를 발사했다. 미사일은 평남 북창 일대에서 정동쪽으로 발사됐고, 500여 km를 날아가 동해에 떨어졌다. 2017년 2월 방현공군기지에서 최초 발사하고 2번째이다. 그 직후 북극성 2형을 실전배치했다.
2017년 5월 24일,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북극성 2형을 기습 발사한 장소는 평안남도에 있는 인공호수인 연풍호 주변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가 밝혔다. 사진과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번 발사 장소는 평양 근처의 북창이 아니라 연풍호 근처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2019년, 북창공군기지 인근 북창화력발전소는 위성사진에도 선명히 잡힐 정도로 많은 연기가 배출되고 있다.
3. 1. 미사일 시험 발사
2017년 4월 29일, 북한은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사거리 5000 km 화성 12형 IRBM 1기를 발사했으나, 1분 만에 고도 70 km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덕천시에 추락했다.[3] 이 사건으로 북창 비행장의 지하 격납고 시설이 언론에 보도되었으며, 김정은 위원장이 현장을 참관했다.
2017년 5월 21일, 북한은 북창 일대에서 사거리 2500 km 북극성 2형 미사일 1기를 발사하여 500여 km를 비행 후 동해에 낙하시켰다. 이후 북극성 2형은 실전 배치되었다.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2017년 5월 북극성 2형 발사 장소가 북창이 아닌 연풍호 주변이라고 분석했다.
3. 2. 기타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했다. 포사격 직전인 23일 오후 평안남도 북창공군기지에 근위 제60비행연대 소속 MiG-23ML 전투기 5대가 이륙 후 전투초계비행 후 황해남도 황주공군기지에 전개해 대기 중이었다.
2017년 4월 29일,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북동쪽 방향(방위각 49도)으로 탄도 미사일 1기를 발사했다. 사거리 5000 km 화성 12형 IRBM이 발사 후 1분 만에 고도 70 km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평남 덕천시에 떨어졌다. 북창 비행장의 지하 격납고 시설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당시 시험을 참관한 김정은 위원장은 지하 시설 내부와 출입구 인근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출입구 입구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김 위원장의 뒤로 4~5개의 지하 격납고가 보였다. 북한이 평남 북창 일대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창에는 북한의 최신예 전투기인 미그 21 등이 배치돼 있는 공군 기지가 있는 곳이다. 또 정치범 수용소로 알려진 ‘18호 수용소’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2017년 5월 21일,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사거리 2500 km 북극성 2형 미사일 1기를 발사했다. 미사일은 평남 북창 일대에서 정동쪽으로 발사됐고, 500여 km를 날아가 동해에 떨어졌다. 2017년 2월 방현공군기지에서 최초 발사하고 2번째이다. 그 직후 북극성 2형을 실전배치했다.
2017년 5월 24일,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북극성 2형을 기습 발사한 장소는 평안남도에 있는 인공호수인 연풍호 주변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가 밝혔다. 사진과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번 발사 장소는 평양 근처의 북창이 아니라 연풍호 근처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2019년, 북창공군기지 인근 북창화력발전소는 위성사진에도 선명히 잡힐 정도로 많은 연기가 배출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andings database page
https://archive.toda[...]
2010-08-24
[2]
웹사이트
Air Bases - North Korea
http://www.globalsec[...]
2010-08-25
[3]
간행물
When a North Korean Missile Accidentally Hit a North Korean City
https://thediplomat.[...]
2018-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