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해남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부에 위치한 도이다. 서쪽은 황해, 북쪽은 황해북도, 남포특별시, 평안남도와 접하며, 남쪽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와 경계를 이룬다. 해주가 도 소재지이며, 1개의 시와 1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넓은 평야를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하여 북한의 곡창 지대로 불리며, 금, 아연, 은 등 광물 자원도 풍부하다. 황해선과 황해청년선이 지나가며, 해주를 중심으로 도로가 발달했다. 석담구곡, 몽금포, 구월산 등 관광 자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 - 자혜사
자혜사는 대한민국에 있는 사찰로, 대웅전, 오층석탑, 석등 등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웅전은 조선 초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맞배지붕 익공집이고, 오층석탑은 고려 초기에 세워진 석탑이며, 석등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정육각형 석등이다. - 황해남도 - 해주 다라니석당
- 1954년 설치 - 량강도
량강도는 1954년 함경도, 평안도, 자강도 일부를 합쳐 신설되었으며 압록강,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하고 백두산이 위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이다. - 1954년 설치 - 황해북도
황해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위치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강원도, 황해남도, 남포특별시,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대한민국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와 접하고, 금, 석회석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고 고려시대 수도였던 개성에 역사 유적이 많은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황해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해남도 |
원어 이름 (한자) | }}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Hwanghaenam-do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 | Hwanghaenam-do |
유형 | 도 |
지역 | 해서 |
수도 | 해주시 |
하위 행정 구역 | 1개 시, 19개 군 |
면적 | 8450 km² |
인구 (2008년) | 2,310,485명 |
인구 밀도 | 273명/km² |
시간대 |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9 |
방언 | 황해도 방언 |
ISO 3166-2 | KP-05 |
정치 | |
집권 정당 | 조선로동당 |
당위원회 위원장 | 리철만 |
인민위원회 위원장 | 김철범 |
2. 지리
황해남도는 조선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남포특별시, 동쪽으로는 황해북도, 서쪽과 남쪽으로는 서해를 경계로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화군과 접한다.[1] 해주시는 황해남도의 교통, 산업, 사회, 문화의 중심지이며, 조선 시대 임꺽정이 활동했던 구월산(954m)이 있다.[1]
한국전쟁 때 학살당한 이들을 추모하기 위해 1999년에 건립된 신천박물관이 신천군에 있다.[1] 황해남도는 대부분 평지여서 산지가 적고, 황해에 접해 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강원도와 더불어 가장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1]
황해남도는 해서 지방에 속하며, 대한민국과의 휴전선으로 남쪽 경계가 형성된다.[2] 도의 이름은 황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였던 해주와 황주에서 유래했으며,[2] '황해'는 도의 서쪽 경계를 이루는 바다를 가리킨다.[2] 해안선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있고, 그중 많은 섬들은 무인도이다.[2] 백령도 등 가장 큰 섬들 중 상당수는 대한민국이 관할하며, 남북 간 분쟁 중인 북방한계선은 잦은 분쟁의 원인이 된다.[2]
해주는 원산을 제외하고 북한 남부에서 가장 큰 항구이다.[2] 이 지역에는 강서사 불교 사찰, 고대 석탑, 고려 시대 냉장고 등 여러 고대 고분과 문화 유적이 있으며, 아낙 3호분과 같은 철기시대 돌무덤과 고구려 시대 무덤도 많이 있다.[2]
동쪽은 황해북도, 서쪽은 황해, 북쪽은 평안남도, 남포특별시, 황해북도, 남쪽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조선 서해에 면한다.[3]
일본 통치 시대 황해도 지역에 북위 38도선이 지나가면서 황해도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황해도 주요 도시 대부분이 북쪽에 속했기 때문에, 1945년 11월 4일 한국은 황해도 벽성군, 연백군, 장연군, 옹진군을 경기도에 편입했다. 벽성군은 연백군과 옹진군에 분할 편입되었고, 장연군은 옹진군에 편입되어 소멸하였다.
2. 1. 주요 지형
황해남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남포특별시, 동쪽으로는 황해북도, 서쪽과 남쪽으로는 서해를 경계로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화군과 접한다. 해안선에는 기린도, 창린도, 선위도 등 여러 섬들이 있다.황해남도는 대부분 평지여서 산이 적고 농사에 유리하다. 재령평야, 연백평야 등 넓은 평야가 발달하여 쌀, 목화, 옥수수 등을 재배하며, 북한의 주요 곡창지대이다. 특히, 과일군은 과수원으로 유명하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러시아 등 여러 나라에 수출될 정도로 품질이 좋다.
3.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남포특별시, 동쪽으로는 황해북도, 서쪽과 남쪽으로는 서해를 경계로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화군과 접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 통치 시대의 황해도 지역에 북위 38도선이 지나가면서 황해도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황해도의 주요 도시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이 북쪽에 속하게 되었기 때문에, 1945년 11월 4일에 한국은 황해도 벽성군, 연백군, 장연군, 옹진군을 경기도에 편입했다.[1] 벽성군은 연백군과 옹진군에 분할 편입되었고, 장연군은 옹진군에 편입되어 소멸하였다.[1]
4. 행정 구역
황해남도는 1개의 시와 19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시 농촌 지역의 리(里)와 도시 지역의 동(洞)으로 세분화된다.
4. 1. 시
해주시는 황해남도의 시이다.[2]4. 2. 군
황해남도는 1개의 시와 19개의 군으로 나뉜다.이름 | 인구 (2008년 기준) |
---|---|
강령군 | 106,827명 |
과일군 | 89,895명 |
룡연군 | 90,102명 |
벽성군 | 90,753명 |
봉천군 | 79,740명 |
배천군 | 159,825명 |
삼천군 | 79,740명 |
송화군 | 42,919명 |
신천군 | 141,407명 |
신원군 | 83,161명 |
장연군 | 91,422명 |
재령군 | 125,631명 |
청단군 | 142,607명 |
태탄군 | 64,258명 |
안악군 | 125,924명 |
연안군 | 158,845명 |
은율군 | 107,997명 |
은천군 | 95,597명 |
옹진군 | 152,878명 |
1945년 9월 2일 분단으로 38선 이북인 교정면과 가천면을 제외한 옹진군 지역과 서해 5도 등이 대한민국의 인천광역시 옹진군이 되었다. 한국전쟁의 정전협정에 따라 서해 5도를 제외한 옹진군 전 지역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관할하게 되었다.[1]
5. 교통
6. 경제
황해남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농업, 광업, 수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해주시는 황해남도의 교통, 산업, 사회, 문화의 중심지이다. 조선시대에는 임꺽정이 활동했던 구월산이 있다.
평야가 넓고, 재령평야, 연백평야 등 조선에서 손꼽히는 평야가 있다. 황해 연안에서 수산업이 활발하며, 금, 아연, 은 등 자원이 풍부하다.
6. 1. 농업
황해남도는 산이 많지 않아 농업에 유리하며, 북한의 "곡창지대"로 불린다. 재령평야, 연백평야 등 조선에서 손꼽히는 평야가 있으며, 쌀, 목화, 옥수수 등의 생산이 많고 북한에서도 특히 농업이 발달하였다.[2] 평야 지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채소, 과일, 곡물, 쌀이 재배되며, 과일군은 과수원을 조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과일군은 과일을 생산해내기로 유명한 곳이며 이곳에서 생산하는 사과는 매우 유명하여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 수출한다.[1]6. 2. 광업
황해남도에는 금, 아연, 은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1]6. 3. 수산업
황해 연안에서 수산업이 활발하다.7. 관광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North Korean Leadership
https://www.unikorea[...]
Political and Military Analysis Divis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Bureau; Ministry of Unification
2018-10-17
[2]
뉴스
New Houses Built in Unryul County of South Hwanghae Province
http://kcna.kp/en/ar[...]
2024-08-01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00-00으로 처리
[4]
웹인용
대한민국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북한권력기구표 정보
https://web.archive.[...]
2011-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