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5년 4월 12일부터 16일까지 영국 제2군 예하 제1 캐나다군단이 네덜란드 아른험을 해방하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1944년 마켓 가든 작전의 실패 이후 독일군에게 점령된 아른험을 탈환하고 라인강 도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연합군은 3단계에 걸쳐 공격을 감행했으며, 치열한 전투 끝에 아른험을 해방했지만, 도시가 심각하게 파괴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작전 이후 연합군은 네덜란드 북부로 진격을 계속했고, 독일군의 항복을 이끌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네덜란드 - 보텐플라테 작전
보덴플라테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벌지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1945년 1월 1일 연합군 공군 기지를 기습 공격한 작전으로, 전술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군 오사 및 연합군 방어망으로 독일 공군이 큰 손실을 입어 공군력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1945년 네덜란드 - 텍셀 반란
텍셀 반란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네덜란드 텍셀 섬에서 독일군에 맞선 그루지야인 부대의 봉기로, 연합군 상륙을 예상하고 섬을 넘기려 했으나 실패하고 많은 희생자를 낳았으며, 종전 후 생존자들은 소련으로 송환되어 가혹한 운명을 맞이한 사건이다. - 서부 전선 (1944년~1945년) - 메스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메스에서 벌어진 메스 전투는 독일군이 요새화한 메스를 점령하려는 미군의 공세에 독일군이 강력하게 저항하며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독일군의 패배로 끝났으나 미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 서부 전선 (1944년~1945년) - 용기병 작전
용기병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1944년 8월 15일에 남부 프랑스에 상륙하여 마르세유와 툴롱 항구를 확보, 연합군 보급을 원활히 하고 프랑스 남부를 해방하는 데 기여했으나, 일각에서는 자원 분산으로 다른 전선 강화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비판도 있는 작전이다. - 1945년 4월 -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오키나와에서 벌인 격전으로, 일본군의 치열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미군 승리로 끝났지만 현재까지 오키나와 미군 기지 존속의 원인이 되었다. - 1945년 4월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분노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충돌 정보 | |
분쟁 명칭 | 분노 작전 |
관련 명칭 | 제2차 아른험 전투 |
관련 명칭 | 아른험 해방 |
개요 | |
일부 |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구의 서부 전선, 1944-45년의 일부 |
![]() | |
날짜 | 1945년 4월 12일 – 4월 16일 |
장소 | 네덜란드 아른험 |
결과 | 연합군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캐나다 |
지휘관 및 지도자 | |
연합군 지휘관 | 찰스 폴크스 |
연합군 지휘관 | 스튜어트 롤린스 |
독일군 지휘관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독일군 지휘관 | 필리프 클레펠 |
병력 규모 | |
연합군 병력 | 보병 1개 사단 |
연합군 지원 병력 | 장갑 지원 |
독일군 추정 병력 | 1,000명 이상 |
사상자 및 피해 | |
연합군 사상자 | 62명 사망 |
연합군 사상자 | 134명 부상 |
독일군 사상자 | 사상자 수 미상 |
독일군 포로 | 600명 포로 |
2. 배경
1944년 9월, 연합군은 마켓 가든 작전 중 아른험을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영국 제1공수사단이 큰 피해를 입었다.[53][1] 이후 연합군은 네더라인강 남쪽으로 철수했고, 아른험 일대는 겨울 동안 교착 상태에 빠진 전선의 일부가 되었다.[54][2] 이 전투로 아른험 시가지는 크게 파괴되었으며, 독일군은 이곳을 강력한 방어 거점으로 만들었다.[55][3]
1945년 봄, 라인강 도하에 성공한 연합군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진격했다. 이때 제1캐나다군은 네덜란드를 해방하는 임무를 맡았으며,[58][6] 전략적으로 중요한 아른험을 점령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60][8] 이에 따라 아른험 탈환을 위한 '분노 작전'이 계획되기 시작했다.[61][9]
2. 1. 제1차 아른험 전투 (1944년 9월)
1944년 9월, 연합군은 지크프리트 선을 우회하여 루르로 가는 길을 확보하기 위한 마켓 가든 작전을 개시했다.[53][1] 이 작전의 일환으로 영국 제1공수사단은 아른험에 상륙하여 시가지와 주변 지역에서 9일간 격전을 벌였다.[53][1] 그러나 영국의 제2군 본대가 제때 아른험에 도달하지 못하면서, 제1공수사단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사실상 와해되었다.[53][1]연합군은 결국 네더라인 남쪽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이후 네이메헌과 아른험 사이의 폴더 지대(소위 "아일랜드")에서 전선이 형성되어 겨울 동안 교착 상태에 빠졌다.[54][2] 전투 과정에서 아른험과 오스테르베크 주민 45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2] 생존한 주민들은 집에서 강제로 쫓겨났다. 독일군은 자국 난민을 돕는다는 명분 아래 주민들의 집에서 귀중품을 조직적으로 약탈했다.[54][2] 폐허가 된 아른험과 오스테르베크 일대는 이후 연합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한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 거점으로 변모했다.[55][3] 영국군이 치열한 전투 끝에 확보하려 했던 존 프로스트 다리(아른험 도로 다리)는 1944년 10월, 독일군의 이용을 막기 위해 연합군에 의해 폭격으로 파괴되었다.[54][2] 아른험 시가지는 겨울 내내 연합군의 광범위한 포격을 받았으며,[54][2] 심지어 독일군이 발사한 V-2 로켓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56][4]
한편, 1944년 9월 연합군의 진격을 지원하기 위해 네덜란드 철도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이자, 독일군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네덜란드 내 모든 내륙 화물 운송을 금지했다.[57][5] 이로 인해 네덜란드 북부에서 생산된 식량이 남부와 서부 지역으로 운송되지 못하면서 극심한 식량난이 발생했고, 이는 결국 1944년~1945년 네덜란드 대기근(홍허르빈터르)으로 이어져 수천 명의 네덜란드인이 아사하는 비극을 초래했다.[57][5]
2. 2. 연합군의 네더라인 도하 (1945년 2월 ~ 4월)
1945년 2월, 연합군은 마켓 가든 작전 동안 점령한 네덜란드 영토에서 동쪽의 독일 본토를 직접 공격하기 위해 베리터블 작전과 그레나데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들은 이후 플런더 작전과 바시티 작전으로 이어지는 발판을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연합군은 아른험보다 더 상류 지역에서 라인강을 건널 수 있었다. 제21집단군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진격했다. 영국의 제2군이 동쪽으로 진격하는 동안, 해리 크레러 장군이 이끄는 제1캐나다군은 네덜란드를 해방하는 임무를 맡았다.[58][6]제1캐나다군은 1944년 11월 네이메헌 돌출부(네이메헌과 아른험 사이의 간척지로 '아일랜드'라고도 불림)의 통제권을 처음 인수했을 때 네더라인강을 건너는 작전을 계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1944년 겨울과 이후 베리터블 작전에 자원이 우선 배분되면서 계획은 지연되었다.[59][7] 하지만 베리터블 작전 이후, 크레러는 라인강 도하 작전 중에 아른험을 점령하고 에미리히로 가는 길을 열 수 있다는 전략적 이점을 인식했다.[60][8] '분노 작전'으로 명명된 아른험 점령 계획의 초안은 1945년 2월, 플런더 작전의 보조 작전으로 구상되었다. 그러나 당시 네덜란드에 도착한 제1캐나다군단의 사령관 찰스 폴크스 중장은 라인강을 완전히 건넌 이후에 아른험에 대한 작전을 시작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분노 작전은 잠정 보류되었다.[61][9]


플런더 작전 이후, 가이 시먼즈 중장이 지휘하는 제2캐나다군단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에미리히를 점령하고 동쪽에서 에이설강에 접근했다.[62][10] 크레러는 아른험을 점령하여 도시와 북쪽의 쥣펀 사이의 경로를 확보할 기회를 포착하고, 두 군단 사령관에게 진격을 서로 조정하도록 명령했다.[63][11] 그러나 크레러는 에이설강 북쪽에 교량이 확보되기 전에 아른험을 점령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었다.[64][12]
1945년 3월, 1944년 11월부터 네이메헌 돌출부('아일랜드')에 주둔해 있던 제49(웨스트라이딩)사단 (별칭 '북극곰')이 제1캐나다군단의 지휘 하에 편입되었다.[64][12] 4월 2일, 캐나다 부대의 지원을 받은 제49사단은 디스트로이어 작전을 개시하여 '아일랜드' 지역을 소탕하기 시작했다. 이 공격은 제2군단이 에이설강 동쪽 강둑을 정리하는 시점과 조율하여 이루어졌다.[65][13] 4월 3일, 제1군단의 일부 부대는 에이설강 동쪽에서 네더라인강을 건너 아른험 맞은편의 베스테르보르트 마을에서 제2군단 부대와 합류했다.[66][14] '아일랜드'의 나머지 지역은 하루 만에 정리되었고, 연합군은 아른험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네더라인강 남쪽 강둑을 확보했다.[14]
원래 2월에 수립된 분노 작전 계획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포함했다. 상황이 허락한다면 오스터베이크 근처에서 네더라인강을 즉시 도하하거나('퀵 앵거' 작전), 만약 독일군의 방어가 너무 강고하다고 판단될 경우 하류의 렝쿰에서 더 철저히 준비된 도하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분노' 작전).[65][13] 하지만 크레러는 제2군단이 에이설강을 건너 아펠도른으로 진격하기 전까지는 아른험에 대한 작전을 실행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분노 작전은 여전히 보류 상태였다.[67][15] 더욱이 4월 3일과 4일에 실시된 정찰 결과, 강을 내려다보는 베스터보우잉 고지에 위치한 독일군 관측소와 진지 때문에 네더라인강을 직접 건너는 것이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68][16] 연합군은 플런더 작전 준비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전술인 연막을 이용하여 네더라인강 남쪽 강둑을 독일군의 관측으로부터 가리려는 시도를 했다.[69][17][70][18] 이 연막은 아른험 서쪽 약 16.09km 떨어진 란트비크 마을에서부터 아른험 남쪽의 후이센까지 강 남쪽 강변을 따라 펼쳐졌으나, 강한 바람과 적절한 연막 생성 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67][15][17] 또한 '아일랜드' 지역의 지반 상태가 악화되면서, 폴크스 중장은 여러 대안을 검토한 끝에 4월 7일, 아른험을 동쪽에서 에이설강을 건너 공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67][15][71][19]
2. 3. 분노 작전 계획 (1945년 2월 ~ 4월)
1945년 2월, 연합군은 작전 버리터블과 작전 그레나데를 통해 마켓 가든 작전에서 확보한 교두보로부터 독일 본토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이 작전들의 성공은 라인강 도하 작전인 작전 플런더와 작전 버시티로 이어졌으며, 연합군은 아른험보다 상류에서 라인강을 건넜다. 이후 제21군집단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진격했으며, 영국 제2군이 동쪽으로 진격하는 동안 헨리 크레러 장군이 이끄는 제1 캐나다군은 네덜란드 해방 임무를 맡았다.[6]제1 캐나다군은 이미 1944년 11월 네이메헌 돌출부(Nijmegen salient)를 담당하게 되면서 네데르라인강(Nederrijn, 라인강 하류)을 건너는 진격 계획을 지시받았으나, 겨울이 오고 이후 버리터블 작전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모든 계획은 연기되었다.[7] 그러나 버리터블 작전 이후, 크레러 장군은 아른험을 점령하고 다가올 라인강 도하 작전을 위해 엠머리히(Emmerich)로 가는 길을 확보하는 것의 전략적 이점을 인지했다.[8] 작전 분노(Operation Anger)로 명명된 아른험 점령 계획의 첫 초안은 2월에 플런더 작전의 부수 작전으로 작성되었다. 하지만 당시 새로 부임한 제1 캐나다 군단의 사령관 찰스 폴크스 중장은 라인강을 건넌 후에 아른험에 대한 작전을 개시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했고, 이에 따라 분노 작전은 보류되었다.[9]
플런더 작전 이후, 가이 시먼즈 중장이 지휘하는 제2 캐나다 군단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엠머리히를 점령하고 동쪽에서 에이설강(IJssel)에 접근했다.[10] 크레러 장군은 다시 아른험을 점령하고 북쪽의 주트펜(Zutphen)까지 길을 열 기회를 포착하고, 두 군단 사령관에게 진격을 조율하도록 명령했다.[11] 그러나 그는 에이설강 북쪽에 교량이 확보되기 전에 아른험을 점령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었다.[12]
3월, 1944년 11월부터 네이메헌 남쪽 '섬'(the Island, 발강과 네데르라인강 사이 지역)에 주둔해 있던 제49(웨스트라이딩)보병사단(별칭 '북극곰')이 제1 캐나다 군단 지휘 하에 편입되었다.[12] 4월 2일, 이 사단은 캐나다 부대의 지원을 받아 작전 디스트로이어(Operation Destroyer)를 개시하여 '섬' 지역을 소탕했다. 이 공격은 제2 군단이 에이설강 동쪽 강변을 정리하는 시점과 맞추어 진행되었다.[13] 4월 3일, 제1 군단의 일부 병력이 에이설강 동쪽에서 네데르라인강을 건너, 아른험 맞은편의 베스터르보르트(Westervoort) 마을에서 제2 군단 병력과 합류했다.[14] '섬'의 나머지 지역은 하루 만에 정리되었고, 연합군은 아른험 공격 준비를 위해 네데르라인강 남쪽 강변을 확보했다.[14]
원래 2월에 수립된 분노 작전 계획은 두 가지 방안을 포함했다. 상황이 유리하면 오스터르베이크(Oosterbeek) 인근에서 즉시 네데르라인강을 도하하거나(신속한 분노 작전, Operation Quick Anger), 독일군 방어가 견고할 경우 렝큄(Renkum)에서 더 철저히 준비된 도하 작전을 수행하는 것(분노 작전, Operation Anger)이었다.[13] 그러나 크레러 장군은 제2 군단이 에이설강을 건너 아펠도른(Apeldoorn)으로 진격할 때까지 아른험 작전을 실행할 수 없다고 결정했고, 분노 작전은 다시 연기되었다.[15] 또한 4월 3일과 4일의 정찰 결과, 강을 조망하는 베스터르보빙언(Westerbouwing) 고지에 위치한 독일군 관측소와 진지가 네데르라인강 도하를 매우 위험하게 만들 것이라는 판단이 내려졌다.[16] 작전 플런더 준비 단계에서 성공했던 네데르라인강 남쪽 강변을 가리는 연막 생성 작전도 시도되었다.[17][18] 이 연막은 아른험 서쪽 약 약 16.09km 떨어진 란트베이크(Randwijk) 마을에서 아른험 남쪽의 하위선(Huissen)까지 강 남쪽을 따라 펼쳐질 예정이었으나, 강한 바람과 연막 생성 장비 부족으로 효과가 크게 감소했다.[15][17] 게다가 '섬' 지역의 지반 상태가 악화되면서, 4월 7일 폴크스 중장은 여러 대안을 검토한 끝에 아른험을 네데르라인강 남쪽에서 직접 공격하는 대신, 동쪽에서 에이설강을 건너 공격해야 한다고 최종 결정했다.[15][19]
3. 준비
1945년 2월, 작전 버리터블과 작전 그레나데를 통해 연합군은 마켓 가든 작전 중 확보한 교두보에서 독일 본토로 진격을 개시했다. 이 성공적인 작전들은 라인강 상류를 도하하는 작전 플런더와 작전 버시티로 이어졌고, 제21군집단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나아갔다. 이 과정에서 영국 제2군이 동쪽으로 진격하는 동안, 헨리 크레러 장군이 이끄는 제1 캐나다군은 네덜란드 해방 임무를 부여받았다.[6]
제1 캐나다군은 이미 1944년 11월 네이메헌 돌출부를 담당하면서 니더라인강 도하 작전을 계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동절기 도래와 이후 작전 버리터블에 자원이 우선 배분되면서 모든 계획은 지연되었다.[7] 그러나 작전 버리터블 이후 크레러 장군은 아른험을 점령하고 라인강 도하 작전을 위해 엠머리히로 향하는 경로를 확보할 필요성을 인지했다.[8] 아른험 점령을 위한 초기 계획인 '분노 작전' 초안은 2월에 작전 플런더의 부수 작전으로 구상되었지만, 새로 부임한 제1 캐나다 군단 사령관 찰스 폴크스 중장은 라인강 도하 이후에 아른험을 공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작전 실행은 보류되었다.[9]
작전 플런더 이후, 가이 시몬즈 중장이 지휘하는 제2 캐나다 군단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엠머리히를 점령하고 동쪽에서 에이설강에 도달했다.[10] 크레러 장군은 이를 아른험 점령과 주트펜으로 향하는 길을 열 기회로 보고, 두 군단 사령관에게 진격을 조율하도록 지시했다.[11] 그러나 그는 에이설강 북쪽에 다리가 확보되기 전에 아른험을 공격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었다.[12]
상황이 진전되면서 3월에는 1944년 11월부터 네이메헌 섬에 주둔해 온 제49 (웨스트 라이딩) 보병 사단(별칭 ''북극곰'')이 제1 캐나다 군단의 지휘 하에 편입되었다.[12] 4월 2일, 이 사단은 캐나다 부대의 지원을 받아 네이메헌 섬을 소탕하는 작전 디스트로이어를 개시했고, 이는 제2 캐나다 군단의 에이설강 동안 정리 작전과 동시에 진행되었다.[13] 다음 날인 4월 3일, 제1 캐나다 군단의 일부 병력이 에이설강 동쪽의 니더라인강을 건너 아른험 맞은편 베스테르보르트에서 제2 캐나다 군단 병력과 연결되었다.[14] 네이메헌 섬의 잔여 지역은 하루 만에 완전히 확보되었고, 연합군은 아른험 공격 준비를 위해 니더라인강 남쪽 강변을 장악했다.[14]
원래 2월에 수립된 분노 작전 계획은 상황이 허락한다면 니더라인강의 오스터베이크 인근에서 즉시 도하하거나(신속한 분노 작전), 독일군 방어가 견고할 경우 렌쿰에서 더 철저히 준비된 도하 작전(분노 작전)을 수행하는 두 가지 방안을 포함하고 있었다.[13] 그러나 크레러 장군은 제2 캐나다 군단이 에이설강을 건너 아펠도른으로 진격하기 전까지는 아른험에 대한 작전을 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분노 작전은 다시 보류되었다.[15] 설상가상으로 4월 3일과 4일에 실시된 정찰 결과, 강을 조망하는 베스테르보우잉 고지에 위치한 독일군 관측소와 진지 때문에 니더라인강 도하가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작전 플런더 준비 과정에서 효과를 보았던 니더라인강 남쪽 강변을 연막으로 차폐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17][18] 아른험 서쪽 약 16.09km 떨어진 란드윅 마을에서 아른험 남쪽 후이센까지 설치된 연막은 강한 바람과 발전기 부족으로 인해 효과가 크게 떨어졌다.[15][17] 게다가 네이메헌 섬의 지반 상태가 악화되자, 4월 7일 폴크스 중장은 여러 대안을 검토한 끝에 니더라인강 직접 도하를 포기하고, 대신 에이설강을 건너 동쪽에서 아른험을 공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5][19]
3. 1. 연합군
1945년 2월, 연합군은 작전 버리터블과 작전 그레나데를 통해 마켓 가든 작전에서 확보한 지역에서 독일 본토로 직접 진격하기 시작했다. 이 작전들은 라인강 상류에서 도하하는 작전 플런더와 작전 버시티로 이어졌고, 제21군집단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진격했다. 영국 제2군이 동쪽으로 진격하는 동안, 헨리 크레러 장군이 이끄는 제1 캐나다군은 네덜란드 해방 임무를 맡았다.[6]캐나다군은 1944년 11월 네이메헌 돌출부를 담당하게 되면서 니더라인강 도하 작전을 계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겨울과 작전 버리터블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계획은 지연되었다.[7] 그러나 작전 버리터블 이후 크레러 장군은 아른험을 점령하여 라인강 도하 작전 중 엠머리히로 가는 길을 확보할 필요성을 느꼈다.[8] 아른험 점령 계획 초안인 '분노 작전'은 2월에 작전 플런더의 부수 작전으로 작성되었으나, 새로 부임한 제1 캐나다 군단 사령관 찰스 폴크스 중장은 라인강 도하 이후에 아른험 작전을 시작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작전은 보류되었다.[9]
작전 플런더 이후 가이 시몬즈 중장이 지휘하는 제2 캐나다 군단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엠머리히를 점령하고 동쪽에서 에이설강에 접근했다.[10] 크레러 장군은 아른험 점령 기회를 포착하고 두 군단 사령관에게 진격을 조정하도록 명령했다.[11] 그러나 그는 에이설강 북쪽에 다리가 놓이기 전에 아른험을 점령하는 것을 경계했다.[12]
3월, 1944년 11월부터 네이메헌 섬에 주둔해 온 제49 (웨스트 라이딩) 보병 사단(별칭 ''북극곰'')이 제1 캐나다 군단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12] 4월 2일, 이 사단은 캐나다 부대의 지원을 받아 작전 디스트로이어를 개시하여 섬을 소탕했고, 이는 제2 군단의 에이설강 동안 정리 작전과 동시에 진행되었다.[13] 4월 3일, 제1 군단 일부 병력이 에이설강 동쪽의 니더라인강을 건너 베스테르보르트에서 제2 군단 병력과 합류했다.[14] 섬의 나머지 지역은 하루 만에 정리되었고, 연합군은 아른험 공격 준비를 위해 니더라인강 남쪽 강변을 확보했다.[14]
원래 분노 작전 계획은 오스터베이크 인근에서 즉시 니더라인강을 도하하거나(신속한 분노 작전), 독일군 방어가 강할 경우 렌쿰에서 준비된 도하 작전(분노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13] 그러나 크레러 장군은 제2 군단이 에이설강을 건너 아펠도른으로 진격할 때까지 아른험 작전을 수행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15] 또한 4월 3일과 4일의 정찰 결과, 강을 조망하는 베스테르보우잉 고지의 독일군 관측소와 진지 때문에 니더라인강 도하가 위험하다고 판단되었다.[16] 작전 플런더 준비 단계에서 성공했던 니더라인강 남안을 연막으로 가리는 시도가 있었다.[17][18] 이 연막은 아른험 서쪽 약 16.09km 떨어진 란드윅 마을에서 아른험 남쪽의 후이센까지 강 남쪽 강변을 따라 뻗어 있었지만, 강풍과 발전기 부족으로 효과가 미미했다.[15][17] 섬의 지반 상태 악화로 인해 4월 7일, 폴크스 중장은 여러 대안을 검토한 후 아른험을 동쪽에서 에이설강을 건너 공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5][19]

제49사단이 베스테르보르트로 이동하고 제2캐나다군단이 북쪽으로 에이설강을 건널 준비를 하면서 공격은 지연되었다.[16] 이 이동은 네이메헌 지역과 베스테르보르트 주변 도로의 교통 체증을 유발하여 심각한 병참 문제를 야기했다.[16] 병참 지연으로 독일군이 방어 준비 시간을 벌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독일군에게 상황을 개선할 병력이나 장비가 부족했다.[20]
공격은 3단계로 계획되었다.
1. 1단계: 영국 제56보병여단이 온타리오 연대의 수륙양용 버팔로 IV를 타고 야간에 에이설강을 건너 아른험 동쪽과 남쪽 구역을 확보한다.[6]
2. 2단계: 영국 제146보병여단이 전진하여 아른험 북쪽 고지대를 공격한다.[6]
3. 3단계: 영국 제147보병여단이 제56보병여단의 진지를 통과하여 도시 서쪽의 니더라인강 북안과 고지를 확보한다.[6]
아른험 주변 고지를 확보하면 제5캐나다기갑사단이 아른험 시내로 진격하고, 제1군단은 서쪽으로 진격을 재개할 예정이었다.[21] 영국군은 제79 영국 기갑 사단 소속 처칠 크로커다일 화염방사전차를 포함한 여러 캐나다 부대를 지휘 하에 두었다.[22] 제1캐나다보병사단과 제5캐나다기갑사단의 대부분은 지원 부대로 배치되었고,[23] '머피포스'(Murphyforce)로 알려진 혼성 부대가 니더라인강 남쪽에서 교란 작전을 수행했다.[32]
도하 작전은 영국 해군 상륙정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24] 제509 LCA 함대와 제660, 661, 662 LCM 함대 등 총 45척의 상륙정이 투입되었다.[25] 영국 육군 수송대(RASC)는 DUKW 수륙양용트럭을 운용하여 강을 건넜다.[6] 제1군단 소속 캐나다 왕립 공병대(RCE)는 적 강둑을 점령하는 즉시 에이설강에 2개, 니더라인강에 2개, 총 4개의 베일리 부교를 건설할 예정이었다.[24] RCE는 또한 상황이 허락하는 대로 조립식 베일리교를 설치할 계획이었다.[24] 이 다리들은 상류의 도른넨부르크에서 미리 제작되어 공격 직전에 에이설강 근처로 이동되었다.[6] 상황이 허락하면 이 다리들은 베스테르보르트와 아른험 사이에 설치되어, 기갑 부대가 예상보다 훨씬 빨리 강을 건널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었다.[6] 캐나다 선발공병(Pioneers)들은 공격 중 아른험 상공에 짙은 포병 연막을 치고, 전투 준비 과정에서 니더라인강을 따라 연막을 유지하여 독일군이 실제 도하 지점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했다.[17]
'''연합군 전투 서열'''
부대 | 지휘관 | |
---|---|---|
![]() | 제49 (웨스트 라이딩) 보병 사단 | 스튜어트 롤린스 소장 |
제56 보병 여단 | R.H. 시니어 준장 | |
제2대대, 사우스 웨일스 보더스 연대 | ||
제2대대, 글로스터셔 연대 | ||
제2대대, 에식스 연대 | ||
제146 보병 여단 | D.S. 고든 준장 | |
제4대대, 링컨셔 연대 | ||
제1/4대대, 킹스 오운 요크셔 라이트 보병 연대 | ||
할람셔 대대, 요크 앤 랭커스터 연대 | ||
제147 보병 여단 | H. 우드 준장 | |
제1대대, 레스터셔 연대 | ||
제1/7대대, 웰링턴 공작 연대 | ||
제11대대, 로열 스코츠 퓨질리어스 | ||
배속 부대 | ||
![]() | 제5 캐나다 기갑 사단 예하 부대 | |
제11기갑연대 (온타리오 연대) | ||
제12독립기관총중대, 프린세스 루이즈 퓨질리어스 | ||
![]() | 제79 영국 기갑 사단 예하 부대 | |
제617공격중대, 왕립 공병대 |
3. 2. 독일군
분노 작전 당시 네덜란드에 주둔한 독일군은 상급대장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가 지휘하는 네덜란드 최고사령부 소속이었다.[79][26] 이 사령부는 작전 직전에 요새 네덜란드( Festung Hollanddeu )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이러한 변화가 실제 지상 부대에 미친 영향은 거의 없었다.[20][72]1944년 한 해 동안 독일군이 입은 막대한 병력 손실과 임시 캄프그루페(전투단)의 잦은 편성 및 해체는 연합군 정보 당국이 라인강 북쪽 독일군의 정확한 전력을 파악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80] 이러한 혼란 때문에 전쟁이 끝난 후에도 네덜란드 최고사령부의 실제 병력 규모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남았다.[27]
연합군은 아른험-아펠도른 지역에 기병대장 필리프 클레펠 장군이 지휘하는 제30군단 소속 병력 약 10,000명이 주둔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72][20] 아른험 시와 그 주변 지역은 제346보병사단 (약 1,000명 규모로 추정[24]), 제858척탄병 연대, 그리고 사단 전투 학교, 공수부대, 네덜란드인으로 구성된 SS 부대 등 다양한 부대들이 방어하고 있었다.[77][24][58][6][81][82][28][44]
아른험은 네데르라인강과 도시 북쪽 및 서쪽의 고지대가 제공하는 자연적인 방어 이점 외에도, 1944년 9월 마켓 가든 작전 이후 독일군에 의해 강력한 방어 거점으로 요새화된 상태였다.[77][24] 더욱이 연합군의 공격이 임박했던 1945년 4월 14일, SS의 수장 하인리히 힘러는 모든 도시를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사수해야 하며, 이를 어기는 지휘관은 사형에 처한다는 강경한 명령을 내렸다.[83][29]
4. 전투
1945년 2월, 연합군은 버리터블 작전과 그레나데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마켓 가든 작전 때 확보한 교두보를 발판 삼아 독일 본토로 직접 진격했다. 이 작전들은 라인강 상류에서 도하 작전을 펼치는 플런더 작전과 버시티 작전의 성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제21군 집단은 독일 북서부로 빠르게 진격했으며, 영국 제2군이 동쪽으로 나아가는 동안 헨리 크레러 장군이 이끄는 제1 캐나다군은 네덜란드 해방 임무를 맡았다.[6]
캐나다군은 이미 1944년 11월 네이메헌 돌출부의 방어를 책임지면서 로어 라인강을 건너 진격하는 작전을 계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겨울이 오고 버리터블 작전에 자원이 우선 투입되면서 계획은 지연되었다.[7] 버리터블 작전 이후, 크레러 장군은 아르넘을 점령하고 라인강 도하 작전을 준비하면서 엠머리히로 향하는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했다.[8] 이에 따라 아르넘 점령 계획인 '작전 분노'(Operation Anger)의 초안이 2월에 플런더 작전의 부수 작전으로 작성되었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제1 캐나다 군단 사령관 찰스 폴크스 중장은 라인강을 먼저 건넌 후에 아르넘을 공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분노 작전은 잠시 보류되었다.[9]
플런더 작전 이후, 가이 시몬즈 중장이 지휘하는 제2 캐나다 군단은 서쪽으로 진격하여 엠머리히를 점령하고 동쪽에서 아이설강에 접근했다.[10] 크레러 장군은 아르넘을 점령하고 아르넘과 북쪽의 주트펜 사이의 경로를 확보할 기회라고 보고, 두 군단 사령관에게 진격 방향 조정을 명령했다.[11] 그러나 그는 아이설강 북쪽에 다리가 확보되기 전에 아르넘을 점령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었다.[12]
3월, 1944년 11월부터 네이메헌 섬에 주둔해 있던 제49 (웨스트 라이딩) 사단('북극곰' 사단)이 제1 캐나다 군단의 지휘 아래로 편입되었다.[12] 4월 2일, 이 사단은 캐나다 부대의 지원을 받아 네이메헌 섬을 정리하는 작전 디스트로이어를 개시했다. 이는 제2 군단이 아이설강 동쪽 강변을 정리하는 작전과 동시에 진행되었다.[13] 4월 3일, 제1 군단의 일부 병력이 아이설강 동쪽에서 네데르 라인강을 건너 아르넘 맞은편의 웨스터보르트 마을에서 제2 군단 병력과 합류했다.[14] 나머지 섬 지역은 하루 만에 정리되었고, 연합군은 아르넘 공격 준비를 위해 네데르 라인강 남쪽 강변을 완전히 장악했다.[14]
원래 2월에 수립된 분노 작전 계획은 상황이 허락하면 네데르 라인강의 오스터베이크 근처에서 즉시 도하하거나(신속한 분노 작전), 독일군 방어가 강할 경우 렌쿰에서 더 철저히 준비된 도하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분노 작전).[13] 그러나 크레러 장군은 제2 군단이 아이설강을 건너 아펠도른으로 진격할 때까지 아르넘 공격을 개시할 수 없다고 결정하여 분노 작전은 다시 연기되었다.[15] 게다가 4월 3일과 4일의 정찰 결과, 강을 내려다보는 웨스터보우잉 고지에 위치한 독일군 관측소와 진지 때문에 네데르 라인강 도하가 매우 위험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작전 플런더 준비 과정에서 효과를 보았던 연막 작전을 시도하여 네데르 라인강 남쪽 강변을 가리려 했다.[17][18] 연막은 아르넘 서쪽 약 16.09km 떨어진 란드윅 마을에서 아르넘 남쪽의 후이센까지 강변을 따라 펼쳐졌으나, 강한 바람과 연막 생성 장비 부족으로 효과는 미미했다.[15][17] 또한 네이메헌 섬의 지반 상태가 악화되자, 4월 7일 폴크스 중장은 여러 대안을 검토한 끝에 아이설강을 건너 동쪽에서 아르넘을 공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5][19]
4월 11일, 제2 군단은 데벤터 북쪽에서 아이설강을 건너 서쪽의 아펠도른으로 향하는 캐논샷 작전을 시작했다.[30] 4월 12일 아침, 캐논샷 작전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폴크스 중장은 제49사단에 그날 저녁 공격을 개시하라고 명령했다.[31] 공격에 앞서 하루 종일 아르넘의 독일군 진지에 대한 대규모 포격과 공습이 이루어졌다. 영국 공군은 독일군 진지를 약화시키기 위해 36대의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전투기와 83대의 로켓 발사 호커 타이푼 공격기를 동원했다.[32] 제1 캐나다 군단 포병대는 군단 역사상 최대 규모의 포격을 실시했다.[31] 8문으로 구성된 한 야전 포대는 단 10분 만에 640발의 포탄을 발사했으며(포 1문당 분당 평균 8발),[33] 개척 군단은 작전 중 총 3만 발의 연막탄을 사용했다.[17] 또한, 네데르 라인강 남쪽에서 기만 포격을 실시하자 독일군이 강하게 응사했는데, 이는 독일군이 실제 공격이 동쪽이 아닌 남쪽에서 올 것으로 예상했음을 시사했다.[32]
4. 1. 제1단계 (1945년 4월 12일 ~ 13일)
초기 공격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34] IJssel강 도하 작전은 4월 12일 오후 10시 40분에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공격용 선박이 늦게 도착하면서 지연되었다.[32] 또한, 강 동쪽에 설치된 지뢰와 방호벽을 통과할 길을 확보하기 위한 폭발물 중 일부가 터지지 않았다.[33] 이어서 제2대대 글로스터셔 연대는 여러 버팔로 장갑차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겪었고, 이로 인해 부대는 계획했던 한 번의 통합된 공격 대신 개별적으로 강을 건너야 했다.[33][34]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대대의 4개 중대는 개별적으로 도하를 시작했다. 이들의 경로는 구름에 빛을 반사하는 탐조등인 '몽고메리의 달빛'과 공격 방향으로 색깔 있는 예광탄을 발사하는 보포스포에 의해 밝혀졌다.[33] 중기관총과 박격포의 엄호 사격 아래, 첫 번째 중대는 오후 11시 15분에 IJssel강 서쪽 강둑에 도달했다.[32] 그들은 강둑을 따라 약간의 저항에 부딪혔지만 목표 지점을 점령하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3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34] 약간의 지연 후, 이들은 조립식 베일리 다리를 설치할 상륙 지역을 확보했고,[22] 4월 13일 오전 12시 50분에는 캐나다 왕립 공병대(RCE)가 다리 부품을 제 위치로 띄우기 시작했다.[32]
두 번째 공격 부대인 제2대대 사우스 웨일스 보더러스 연대는 격렬한 포격 속에서 강을 건넜다. 그들의 공격용 선박은 도하 중 하류로 떠내려갔지만, 상륙 후에는 도시를 향해 빠르게 진격했다.[35] 그러나 이들의 진격은 곧 멈추었고, 원래 3단계에서 도하할 예정이었던 제1/7대대 웰링턴 공작 연대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강을 건너 투입되었다.[22] 오전 7시까지 제2대대 에식스 연대가 강을 건넜고, 오전 8시 45분에는 캐나다 왕립 공병대가 부교 페리를 설치하여 온타리오 연대의 전차들도 이동시키기 시작했다.[32]
4. 2. 제2단계 (1945년 4월 13일 ~ 14일)
왕립 캐나다 공병대는 밤새도록 베일리 교 조립 작업을 계속했으며, 작전 개시(H시) 12시간 후에는 아이설 강을 건너 병력과 물자 이동이 가능해졌다.[32] 이를 통해 작전의 2단계가 시작되었고, 곧 제146 여단 병력과 온타리오 연대 전차들이 제56 여단의 위치로 이동하여 합류했다.[32]
4월 13일 아침, 독일군의 저항은 비교적 약했지만, 사우스 웨일스 보더러스 부대는 철도 교차로 근처에서 독일군의 반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36] 늦은 오전, 영국군은 엔카 BV(Enka BV)의 대규모 공장 단지로 진격했다. 이곳은 독일 제346 보병대대와 제46 요새 기관총 대대 병력이 방어 거점으로 삼고 있었다.[37] 이 독일 부대들은 그날 아침 오스터베크에서 이동해 왔기 때문에, 연합군의 사전 포격 피해를 입지 않은 상태였다.[37][38] 링컨셔 연대 제4 대대가 공장 단지 소탕 임무를 맡았으나,[39] 비교적 전력이 보존된 독일군은 완강하게 저항했다.[38] 온타리오 연대 소속 전차와 제79 사단의 지원에 힘입어, 연합군은 하루 종일 이어진 격전 끝에 마침내 독일군을 제압했다.[37]
4월 13일 저녁 무렵에는 아른험 시내 독일군의 저항은 대부분 와해되었으며, 제147 여단이 도하하여 전투에 합류할 준비를 마쳤다.[39]
4. 3. 제3단계 (1945년 4월 14일 ~ 16일)
제147여단은 밤사이 네데르라인 강을 건너 섬에서 이동했고[37], 4월 14일 아침까지 제56여단의 진지를 통과할 준비를 마쳤다.[24] 이때 독일군의 방어는 상당히 약화되었지만, 제147여단은 진격하면서 다수의 지뢰와 파괴 공작에 직면했다.[24] 웰링턴 공작 연대의 D 중대는 세 대의 프랑스 Char B1 전차가 이끄는 독일군의 반격을 매복했으나,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독일군은 영국군의 존재를 전혀 알지 못했다.[37][40] 그날 늦게, 34 SS 의용척탄병 사단 란트스토름 네덜란드 소속 네덜란드 군인들이 장갑차의 지원을 받아 웰링턴 공작 연대의 진지를 공격했다.[41] 치열한 전투 끝에 네덜란드 SS 부대는 전차가 파괴된 후 결국 격퇴되었지만, 이 교전으로 인해 해당 지역에서 영국군의 진격이 일시적으로 저지되었다.[41] 4월 14일 말까지 연합군 부대는 모든 목표 지점에 도달했고 아르헴 시가지 대부분을 확보했다.[39] 제5기갑사단은 그날 밤 도시 북쪽의 고지대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4월 초부터 키스톤 작전의 일환으로 적 후방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SAS 부대와 합류했다.[42][43] 4월 15일, 웰링턴 공작 연대는 도시의 동물원을 점령했고, 살아있는 북극곰 한 마리를 발견하여 여단 사령관에게 넘겨주려 했으나 거절당했다.[44][45] 독일군은 4월 15일과 16일에 걸쳐 벨프 구역과 주변 지역에서 완전히 소탕되었고, 이로써 분노 작전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44]5. 결과
분노 작전을 통해 연합군은 아른험을 성공적으로 해방시켰다.[46] 이후 연합군은 즉시 북쪽으로 진격을 계속하여 아이설호 방면으로 나아갔다.[48]
5. 1. 전후 처리
연합군은 폐허가 된 도시를 해방시켰다. 이전 해의 약탈 이후, 가구, 가정용품, 심지어 문조차 없는 집들은 텅 빈 잔해에 불과했다.[46] 캐나다 방송 공사 특파원 매튜 홀턴은 그 도시를 "버려진, 불타는 껍데기"라고 묘사했고[47] 제49사단 전사 일지에는 "이보다 더 무자비하게 파괴된 도시는 없었다"고 기록했다.[39] 아른험 첫 번째 전투의 증거가 도처에 널려 있었고 해방은 "고대 무덤에 들어가는 것"과 같았다.[45]연합군의 진군은 즉시 계속되었다. 제5 캐나다 (기갑) 사단은 4월 14일에서 15일로 넘어가는 밤 아른험을 통과하여 도시 북쪽 고지대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서쪽으로 향하려던 원래 계획을 변경하여 제5사단에는 작전 클렌저로 알려진 새로운 임무가 주어졌고, 아른험과 아이설호 사이의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48] 대규모 독일군은 4월 16일 밤 오테를로에서 제5사단을 상대로 서쪽으로 탈출하려 반격을 시도했으나, 큰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오테를로 전투 참조).[49] 4월 17일, 제49사단은 네덜란드 SS가 점령하고 있던 에데를 공격하여 24시간 만에 마을을 해방시켰다.[50] 4월 27일에는 임시 휴전이 발효되어 독일 통제 하에 있는 지역의 굶주린 네덜란드 민간인에게 식량 원조(작전 만나)를 배포할 수 있게 되었다.[26] 그리고 5월 5일, Generaloberst|게네랄오버스트de 블라스코비츠는 네덜란드 주둔 모든 독일군의 무조건 항복에 동의했다.[51]
영국군은 이 작전에서 62명이 사망하고 134명이 부상당했다고 기록했지만,[44] 캐나다군 사상자가 포함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독일군 자료는 정확하지 않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전쟁 포로가 601명[24][39]으로 기록되었고, 다른 자료에서는 최대 1,600명으로 기록되었다.[44] 독일군 사상자 수 역시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3,000명에 달했을 수 있다.[44] 전투에서 사망한 대부분의 연합군 병사들은 전후 아른험 오스터베크 전쟁 묘지에 안장되었다. 지역 묘지나 야전 무덤에 묻혔던 독일군은 결국 이설스테인으로 이장되었으며, 네덜란드에서 사망한 대부분의 독일군도 이곳에 함께 묻혔다.[52] 전투에 참여한 부대들은 이후 전투 명예 '''아른험 1945'''를 수여받았다.[39] 1999년에는 프린세스 루이즈 퓨질리어스 연대도 산체스 킹 대위의 연구를 통해 자격이 입증되어 이 명예를 받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King, p. 49
[2]
서적
Middlebrook, p. 449
[3]
서적
Steer, p. 135
[4]
서적
Whiting, p. 161
[5]
서적
Evans, p. 21
[6]
서적
King, p. 50
[7]
서적
Stacey, p. 564
[8]
서적
Stacey, p. 530
[9]
서적
Stacey, p. 565
[10]
서적
Stacey, p. 541
[11]
서적
Stacey, p. 566
[12]
웹사이트
Legion Magazine. The Cruelest Month, part 49
http://www.legionmag[...]
2003-09-01
[13]
서적
Stacey, p. 567
[14]
서적
Stacey, p. 568
[15]
서적
Stacey, p. 569
[16]
서적
Delaforce, p. 228
[17]
서적
Bond, p. 57
[18]
서적
Whiting, p. 73
[19]
서적
Whiting, p. 156
[20]
서적
Stacey, p. 570
[21]
서적
Stacey, p. 572
[22]
서적
Whiting, p. 160
[23]
서적
Corry, p. 27
[24]
서적
Stacey, p. 571
[25]
서적
Howcroft, p. 314
[26]
서적
Stacey, p. 607
[27]
서적
Corry, p. 15
[28]
서적
Corry, p. 16
[29]
서적
Corry, p. 17
[30]
서적
Stacey, p. 551
[31]
서적
Corry, p. 28
[32]
서적
King, p. 51
[33]
서적
Whiting, p. 158
[34]
서적
Delaforce, p. 229
[35]
서적
Whiting, p. 159
[36]
서적
Corry
[37]
서적
Delaforce
[38]
서적
Corry
[39]
서적
King
[40]
서적
Whiting
[41]
서적
Whiting
[42]
서적
Stacey
[43]
서적
Whiting
[44]
서적
Delaforce
[45]
서적
Whiting
[46]
서적
Waddy
[47]
서적
Whiting
[48]
서적
Stacey
[49]
서적
Stacey
[50]
서적
Delaforce
[51]
서적
Stacey
[52]
서적
Middlebrook
[53]
서적
King
[54]
서적
Middlebrook
[55]
서적
Steer
[56]
서적
Whiting
[57]
서적
Evans
[58]
서적
King
[59]
서적
Stacey
[60]
서적
Stacey
[61]
서적
Stacey
[62]
서적
Stacey
[63]
서적
Stacey
[64]
웹인용
Legion Magazine. The Cruelest Month, part 49
http://www.legionmag[...]
2003-09-01
[65]
서적
Stacey
[66]
서적
Stacey
[67]
서적
Stacey
[68]
서적
Delaforce
[69]
서적
Bond
[70]
서적
Whiting
[71]
서적
Whiting, p156
[72]
서적
Stacey, p570
[73]
서적
Stacey, p572
[74]
서적
Whiting, p160
[75]
서적
Corry, p27
[76]
서적
King, p51
[77]
서적
Stacey, p571
[78]
서적
Howcroft, p314
[79]
서적
Stacey, p607
[80]
서적
Corry, p15
[81]
서적
Corry, p16
[82]
서적
Delaforce, p232
[83]
서적
Corry, p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