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리한 추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리한 추정은 법정에서 증거 훼손이나 증언 거부 등 불리한 상황에 대해, 해당 당사자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추론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민사소송법은 상대방의 사용을 방해할 목적으로 문서를 훼손한 경우, 법원이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로 인정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미국에서는 민사 재판에서 증거 훼손 시 불리한 추론이 적용되지만, 형사 재판에서는 수정 헌법 제5조에 따라 자기 부죄 거부권이 보장되어 적용되지 않는다. 영국에서는 1994년 법 개정 이후 묵비권에 대한 불리한 추론이 가능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론 - 추론 규칙
추론 규칙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필연적으로 참임을 보이는 논리적 도출 과정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규칙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에서 기본적인 추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형식 체계의 핵심 요소이다. - 추론 - 추론 엔진
추론 엔진은 지식 베이스의 규칙과 주어진 사실을 이용하여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시스템으로, 초기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알고리즘과 기술 발전을 거쳐 딥러닝과 융합되며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고려가 중요해지고 있다. - 영미법 - 기소
기소는 검사가 피고인에 대해 법원에 재판을 요구하는 행위이며, 형사소송 절차의 한 단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영미법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민사소송법 - 배심제
배심제는 법정에서 시민들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증거를 심리하고 평결을 내리는 제도로, 대배심과 소배심으로 나뉘며, 영미법 체계 국가에서 주로 시행되고, 한국에서는 국민참여재판 제도가 시행된다. - 민사소송법 - 항소
항소는 제1심 법원 판결에 불복하여 상급 법원에 재판을 요청하는 행위로, 민사소송은 2주, 형사소송은 7일 이내에 항소장을 제출해야 하며, 항소심은 새로운 사실 자료 제출과 변론 갱신이 가능한 속심제이고, 항소심 법원은 항소 이유가 없을 시 기각, 이유가 있을 시 원판결 취소 후 자판, 환송 또는 이송한다.
불리한 추정 | |
---|---|
법률 | |
유형 | 증거법 |
관할권 | 영미법 |
다른 이름 | Spoliation 추정 |
불리한 추론 | |
설명 | 불리한 추론은 당사자가 증거를 파기하거나 숨기거나 접근을 막을 때 법원이나 재판관이 그러한 증거가 그 당사자에게 불리하다고 추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증거법상의 원칙이다. |
적용 | 법원은 소송 당사자가 증거를 파기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해당 증거가 해당 당사자에게 불리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유추' 또는 '불리한 추정 규칙'으로 알려져 있다. |
예시 | 소송에서 회사가 관련된 이메일을 삭제한 경우 법원은 해당 이메일이 회사에 불리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
예외 | 증거가 의도적으로 파기되지 않았거나 파기된 증거가 소송 결과에 중요하지 않은 경우 불리한 추론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민사소송법 제350조는 문서 제출 의무가 있는 당사자가 상대방의 사용을 방해할 목적으로 해당 문서를 훼손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만든 경우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이러한 경우, 법원은 그 문서의 내용에 관한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데, 이는 소송 과정에서 증거 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조항이다.
미국 법 체계에서 불리한 추정은 민사 재판과 형사 재판에서 다르게 적용된다. 형사 재판의 피고인은 미국 헌법 수정 제5조에 따라 자기 부죄 거부권(묵비권 포함)을 보장받으므로, 피고인의 침묵이나 증거 미제출이 불리하게 추정되지 않는다.[2]
3. 미국
반면, 민사 재판에서는 특정 상황 하에 불리한 추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송 당사자가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임을 인지하고 고의로 증거를 훼손하거나 파기한 경우,[3] 법원은 해당 증거가 그 당사자에게 불리한 내용을 담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도록 배심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은 파기된 증거뿐 아니라, 당사자가 보유하고 있음에도 제출하지 않는 증거나 증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4] 증인과 관련된 불리한 추정은 '미제출 증인 원칙'(Missing-Witness Ruleeng) 또는 '빈 의자 원칙'(Empty-Chair Doctrineeng)으로 불리기도 한다.[4]
3. 1. 민사 재판
민사소송법 제350조는 당사자가 상대방의 사용을 방해할 목적으로 제출 의무가 있는 문서를 훼손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만든 경우, 법원이 그 문서의 내용에 관한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민사 재판에서는 불리한 추정이 적용될 수 있지만, 형사 재판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형사 피고인은 미국 헌법 수정 제5조에 따라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하지 않을 권리(침묵할 권리 포함)를 보장받기 때문이다.[2]
민사 재판에서 불리한 추정은 관련된 이메일을 고의로 파기하는 등의 증거 훼손 행위에 대한 법원의 제재로서 내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법원은 배심원단에게 파기된 증거가 그것을 파기한 당사자에게 불리한 내용이었을 것, 즉 무언가를 숨기기 위해 파기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3] 이러한 추정은 파기된 증거뿐만 아니라, 당사자가 가지고 있으면서도 제출하지 않는 증거, 또는 당사자의 관리하에 있지만 제출되지 않은 증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증거 제출 통지를 참조하라. 불리한 추정은 증거를 가진 당사자가 만약 그 증거가 자신의 주장에 유리했다면 당연히 제출했을 것이라는 생각에 기초한다.
불리한 추정은 당사자가 신원을 알고 있음에도 증인으로 신청하지 않거나 출석을 거부하는 증인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미제출 증인 원칙'(Missing-Witness Rule) 또는 '빈 의자 원칙'(Empty-Chair Doctrine)이라고도 부른다.[4]
3. 2. 미제 증인 규칙
불리한 추정은 특정 상황에서 증거가 제출되지 않았을 때 그 증거가 제출하지 않은 당사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추론하는 법적 원칙이다. 이러한 불리한 추정은 당사자가 특정 증인을 식별하거나 법정에 출석시키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증인과 관련하여 불리한 추정을 적용하는 원칙을 미제 증인 규칙(Missing-Witness Ruleeng) 또는 빈 의자 원칙(Empty-Chair Doctrineeng)이라고 부른다.[4] 이는 만약 해당 증인이 증언대에 섰다면, 증인을 부르지 않은 당사자에게 불리한 내용의 증언을 했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데 근거한다.
4. 영국
1994년 법 개정 이후, 영국법에서는 법원과 배심원이 특정 상황에서 피의자의 묵비권 행사, 즉 침묵으로부터 불리한 추론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다.[5][6] 이는 경찰 신문 과정과 법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경찰 신문
1994년 법 개정 이후, 영국법상의 묵비권은 법원과 배심원이 피의자의 침묵으로부터 불리한 추론을 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5] 영국법에 따르면, 경찰은 피의자에게 경고할 때 "당신은 아무 말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질문을 받을 때 나중에 법정에서 자신에게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내용을 언급하지 않으면, 당신의 변호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라고 고지한다. 영국법에 따라, 법원과 배심원은 범죄 혐의를 받는 사람이 변론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침묵했다는 사실로부터 불리한 추론을 할 수 있다.[5][6]4. 2. 법원의 추론
1994년 법 개정 이후, 영국법상의 묵비권은 법원과 배심원이 피고인의 침묵으로부터 불리한 추론을 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5] 영국 경찰은 용의자에게 경고할 때 "귀하는 아무 말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질문을 받을 때 나중에 법정에서 의존할 무언가를 언급하지 않으면 변호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라고 고지한다. 영국법에 따라, 법원과 배심원은 범죄 혐의를 받는 사람이 변론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사실을 언급하지 않았을 경우, 그 사실로부터 불리한 추론을 할 수 있다.[5][6]참조
[1]
웹사이트
Virgin Gets Hammered by Adverse Inference
http://lawvibe.com/v[...]
LawVibe.com
2007-04-04
[2]
웹사이트
Fifth Amendment Danger in Civil Cases
https://www.law.com/[...]
2020-11-04
[3]
간행물
Spare the Rod, Spoil the Litigat e the Rod, Spoil the Litigator? The V or? The Varying Degr ying Degrees of Culpability Requir Culpability Required for an Adv ed for an Adverse Inf erse Inference Sanction Regar ence Sanction Regarding Spoliation of Electronic Discovery
https://uknowledge.u[...]
2010
[4]
웹사이트
Empty-Chair Doctrine Law and Legal Definition
https://definitions.[...]
airSlate Legal Forms, Inc.
null
[5]
간행물
Going "no comment": a delicate balancing act
http://www.lawgazett[...]
2012-05-24
[6]
간행물
Adverse Inferences
http://www.cps.gov.u[...]
Crown Prosecution Service
2014-09-26
[7]
웹인용
美 법원 “애플도 이메일 삭제”…삼성과 동일한 조치 적용 아주경제 2012-08-21
http://www.ajunews.c[...]
2012-08-30
[8]
뉴스
日 도요타·닛산·덴쏘가 한국에 특허전쟁 걸어온다면…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