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변 다항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변 다항식은 체 K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의 쌍대 공간 위에 정의된 대칭 대수의 특정 원소로, 리 대수의 불변성을 만족하는 다항식이다. L∞-대수의 베유 대수와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의 코호몰로지와 관련되며, 리 대수의 분류 공간의 특이 코호몰로지와 연관된다. 단순 리 대수의 경우, 킬링 형식을 포함한 특정 차수의 불변 다항식을 가지며, 이는 리 군의 특이 코호몰로지 환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가환대수학 - 매개계
매개계는 뇌터 국소 가환환과 유한 생성 가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가군의 길이와 크룰 차원을 활용하여 정칙 국소환에서 정칙 매개계의 성질을 규명하고, 추상대수기하학에서 기하학적 대상의 분류와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환대수학 - 크룰 차원
크룰 차원은 환 내의 소수 아이디얼 체인의 길이를 이용하여 정의되며, 환론 및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불변 다항식 | |
---|---|
불변 다항식 | |
개요 | |
세부 정보 | |
2. 정의
체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의 쌍대 공간 위의 대칭 대수
:
를 생각하자.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의 '''차 불변 다항식'''이라고 한다.
:
위의 불변 다항식은 각 차수들의 불변 다항식들의 합이다.
2. 1. 불변 다항식
체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의 쌍대 공간 위의 대칭 대수:
를 생각하자. 원소 가 모든 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의 '''차 불변 다항식'''이라고 한다.
:
여기서 는 의 리 괄호이다.
위의 불변 다항식은 각 차수별 불변 다항식들의 합으로 구성된다. 즉, 불변 다항식들의 공간은 다음과 같이 등급 벡터 공간을 이룬다.
:
여기서 는 차 불변 다항식들의 공간이다.
2. 2. 베유 대수
유한형 (즉, 각 차수의 차원이 유한한) L∞-대수 의 '''베유 대수'''(Weil algebra영어) 는 다음과 같은 미분 등급 대수이다. 이는 미분 구조를 잊으면 자유 등급 가환 대수이며, 의 동차 원소 기저를 라고 할 때, 의 생성원은 및 이다 (). 또한, 그 미분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란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의 미분이다. 즉, 이는 을 따른다.
물론, 베유 대수에서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로 가는 전사 미분 등급 대수 준동형
:
:
:
이 존재한다.
2. 3. L∞-대수의 불변 다항식
유한형 L∞-대수 의 불변 다항식은 베유 대수 의 원소 중에서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3]:
:
즉, 베유 대수의 닫힌 원소 중에서 만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는 리 대수의 경우의 정의를 일반화한다. 가 리 대수인 경우, 불변 다항식은
:
의 원소이며, 여기서 불변 다항식 조건은 이 원소가 닫힌 원소라는 조건과 동치이다.
3. 성질
리 대수 에 대응하는 불변 다항식의 공간 , 베유 대수 ,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는 리 군 및 그와 관련된 위상 공간들의 특이 코호몰로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대수적 도구로 사용된다.
특히, 이 대수들은 표수 0인 체 위에서 리 군 , 보편 주다발의 전체 공간 , 분류 공간 의 특이 코호몰로지에 대한 대수적 모형을 제공한다. 이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사슬 관계가 존재하며,
:
이는 위상 공간들의 관계 와 대응된다. 각 대수의 코호몰로지는 해당하는 위상 공간의 특이 코호몰로지와 같다는 중요한 성질을 가진다.
3. 1. 코호몰로지 관계
리 대수 에 대하여, 베유 대수 ,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 그리고 불변 다항식의 공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사슬 관계가 존재한다.:
이 대수적 구조는 리 군 와 관련된 위상 공간들의 관계를 표수 0인 체 위의 특이 코호몰로지 관점에서 설명하는 모형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의 분류 공간 와 보편 주다발의 전체 공간 사이의 관계
:
에 대응된다. 즉, 각 대수의 (공사슬 복합체로서의) 코호몰로지는 대응하는 위상 공간의 특이 코호몰로지와 같다.
각 대수와 공간 사이의 구체적인 코호몰로지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베유 대수 의 코호몰로지는 의 특이 코호몰로지와 같다. 는 축약 가능 공간이므로, 그 코호몰로지는 0차에서만 이고 나머지 차수에서는 0이다.
:
-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의 코호몰로지는 리 군 의 특이 코호몰로지 와 같으며, 이는 또한 리 대수 의 리 대수 코호몰로지 와 같다.
:
- 불변 다항식의 공간 은 그 자체로 코호몰로지 군으로 볼 수 있으며 (정의상 모든 원소가 닫힌 원소이므로), 이는 분류 공간 의 특이 코호몰로지 와 같다.
:
4. 예
체 위의 리 대수 를 생각해보자. 이 리 대수 의 킬링 형식 는 2차 불변 다항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킬링 형식 는 위의 대칭 쌍선형 형식으로, 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이 불변 다항식이라는 것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는 의미이다.
:
이 식은 리 대수의 연산 에 대해 킬링 형식이 불변함을 보여준다.
4. 1. 단순 리 대수의 불변 다항식
계수 의 단순 리 대수는 개의 독립적인 불변 다항식을 가진다. 각 단순 리 대수 유형별 불변 다항식의 차수는 다음과 같다.[4]단순 리 대수 | 불변 다항식의 차수 |
---|---|
2, 3, …, n+1 | |
, | 2, 4, 6, …, 2n |
2, 4, 6, …, 2n−2, n | |
2, 5, 6, 8, 9, 12 | |
2, 6, 8, 10, 12, 14, 18 | |
2, 8, 12, 14, 18, 20, 24, 30 | |
2, 6, 8, 12 | |
2, 6 |
위 표에서 "차수"는 다항식으로서의 차수를 의미한다. 모든 단순 리 대수에서 가장 낮은 차수의 불변 다항식은 항상 2차이며, 이는 해당 리 대수의 킬링 형식에 해당한다.
이 불변 다항식의 차수들은 해당 리 대수에 대응하는 콤팩트 리 군의 위상적 성질과 깊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차수들은 리 군의 유리수 계수 특이 코호몰로지 환의 구조를 결정한다. 만약 어떤 단순 리 대수의 불변 다항식 차수가 (여기서 은 리 대수의 계수)이라면, 해당 리 군의 특이 코호몰로지 환은 각각 차수가 인 개의 생성원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이다.
:
이 관계를 통해 리 군의 전체 차원 또한 계산할 수 있다.
:
각 리 대수 유형별 불변 다항식의 구체적인 형태는 해당 리 대수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자세한 내용은 각 리 대수 유형별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1. An형 리 대수
형 리 대수는 특수 유니터리 군 SU(n+1)에 대응하는 리 대수로, 로 표기한다. 이 리 대수의 원소는 크기의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각합이 0인 반 에르미트 행렬이다.의 불변 다항식은 이러한 행렬 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차 불변 다항식 은 행렬 의 거듭제곱의 대각합으로 주어진다.
:
여기서 은 행렬의 대각합을 의미한다.
만약 이라면, 행렬 은 대각합이 0이므로 이다. 또한, 인 경우의 불변 다항식 는 더 낮은 차수의 불변 다항식들의 곱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독립적인 불변 다항식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형 리 대수의 독립적인 불변 다항식들은 차수가 2, 3, …, ''n''+1인 것들이다.[4]
4. 1. 2. Bn, Cn형 리 대수
형 단순 리 대수와 형 단순 리 대수의 불변 다항식은 각각 개 존재하며, 그 차수는 2, 4, 6, …, 2이다.[4]4. 1. 3. Dn형 리 대수
형 단순 리 대수의 불변 다항식은 총 개가 존재하며, 그 차수는 2, 4, 6, …, 2''n''−2, ''n'' 이다.[4] 이는 특수 직교 리 대수 에 해당한다.의 원소는 반대칭 행렬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행렬 을 이용하여 불변 다항식을 구성할 수 있다. 기본적인 불변 다항식은 행렬 의 짝수 거듭제곱의 대각합(trace)으로 주어진다.
:
여기서 는 짝수이다. 이 반대칭 행렬이므로, 가 홀수일 경우에는 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 불변 다항식 중 차수가 2, 4, …, 2''n''−2인 것들은 이러한 (단, )에 해당한다.
추가적으로, 차수가 인 불변 다항식이 하나 더 존재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은 레비치비타 기호이고, 는 행렬 의 성분이다. 이 은 행렬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리 대수의 중요한 불변량 중 하나이다.
4. 1. 4. E6, E7, E8, F4, G2형 리 대수
E6, E7, E8, F4, G2형 단순 리 대수의 불변 다항식 차수는 다음과 같다.[4]단순 리 대수 | 불변 다항식의 차수 |
---|---|
2, 5, 6, 8, 9, 12 | |
2, 6, 8, 10, 12, 14, 18 | |
2, 8, 12, 14, 18, 20, 24, 30 | |
2, 6, 8, 12 | |
2, 6 |
참조
[1]
웹사이트
invariant polynomial in nLab
https://ncatlab.org/[...]
[2]
웹사이트
Invariant Theory with Applications
http://www.win.tue.n[...]
[3]
저널
Čech cocycles for differential characteristic classes — an ∞-Lie theoretic construction
2011
[4]
서적
Reflection groups and Coxeter group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