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가슴흰죽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가슴흰죽지는 몸길이 41~47cm의 중형 오리로, 수컷은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색 머리와 짙은 밤색 가슴을, 암컷은 갈색 머리와 밤색 가슴을 갖는다. 1863년 처음 종으로 기재되었으며, 쇠흰죽지, 호주흰죽지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 동남부에서 번식하며,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일본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수생 식물이 풍부한 호수, 늪 등에서 서식하며, 수생 식물, 풀 씨앗, 연체동물 등을 먹는다. 붉은가슴흰죽지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 큰뒷부리도요
큰뒷부리도요는 유라시아 북부와 알래스카 서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연안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긴 거리를 논스톱으로 이동하는 새로 알려져 있으며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준위협 상태이다. - 흰죽지속 - 큰흰죽지
큰흰죽지는 북미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미국 남부와 멕시코로 이동하는 오리과에 속하는 오리류의 일종으로, 흰죽지보다 크고 쐐기 모양의 머리와 긴 목을 가진 철새이며, 과거 식용으로 이용되었고, 학명은 큰흰죽이가 즐겨 먹는 야생 셀러리에서, 영어 일반명은 수컷의 흰색 등에서 유래했다. - 흰죽지속 - 미국흰죽지
미국흰죽지는 북아메리카에서 번식하여 남부와 중앙아메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잠수성 오리로, 수컷은 구릿빛 머리와 검은 가슴, 회색 옆구리를 가지며 습지에 서식하고 수생 식물을 먹으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위급종 - 루펠독수리
루펠독수리는 사헬 및 동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높은 고도 비행이 가능한 대형 독수리로, 썩은 고기를 먹는 생태적 특징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와 독극물 중독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위급종 - 미국밤나무
미국밤나무는 과거 북미 동부에서 번성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밤나무 줄기마름병균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인 낙엽성 활엽수이다.
붉은가슴흰죽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Aythya baeri |
명명자 | 라데, 1863년 |
멸종위기등급 | CR (위기) |
분포 | 서식: 정주 번식기: 번식기 통과: 통과 비번식기: 비번식기 |
이명 | Anas leucophthalmos Kittlitz, 1829 Anas (Fuligula) baeri Radde, 1863 Aythya ferina Swinhoe, 1871 Fulix baeri Swinhoe, 1871 Fulix cristata G. R. Gray, 1871 Fuligula nyroca David, 1871 Fuligula baeri Dybowski, 1874 Fulix nyroca David and Oustalet, 1877 Nyroca ferruginea Blakiston and Pryer, 1882 Fuligula baueri Tristram, 1889 Nyroca baeri Salvadori, 1895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기러기목 |
과 | 오리과 |
속 | 흰죽지속 |
종 | 붉은가슴흰죽지 |
명칭 | |
한국어 | 아카하지로 |
영어 | Baer's pochard |
기타 영어 명칭 | Siberian pochard Siberian white-eye |
2. 분류
Gustav Radde영어가 1863년 자신의 저서 《동시베리아 남부 여행기》에서 베르의 흰죽지를 ''Anas baeri''로 종 기재하였다.[3] 종명과 영어 일반명은 발트 독일인 칼 에른스트 폰 베어를 기념하여 붙여졌다.[3] 이 종은 동부 흰눈이,[4] 시베리아 흰눈이,[5] 베르의 흰눈이,[6] 녹두머리 흰죽지라고도 불린다.[2] 모식 표본은 번식기 동안 아무르강 중류에서 소규모 무리에서 수집되었다.[7]
1929년, 영국의 조류학자 E. C. 스튜어트 베이커는 영국령 인도의 조류를 연구하면서 베르의 흰죽지와 쇠흰죽지를 동종으로 취급했다.[4] 그러나 중국 조류학자 청쭈신은 이들이 번식지가 겹치지 않고, 잡종화의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두 개의 별개의 종으로 취급했다.[19] 미국의 조류학자 폴 존스가드는 행동 양식을 볼 때 베르의 흰죽지가 호주흰죽지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6]
2. 1. 계통 발생
Gustav Radde영어가 1863년 자신의 저서 《동시베리아 남부 여행기》에서 베르의 흰죽지를 ''Anas baeri''로 종 기재하였다.[3]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베르의 흰죽지는 흰죽지속(''Aythya'')에 속하며, 검은머리흰죽지, 붉은머리흰죽지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10]3. 형태
붉은가슴흰죽지는 몸길이 41cm~47cm, 날개 길이 70cm~79cm 정도의 중형 오리이다. 수컷과 암컷의 평균 체중, 날개 길이, 꼬리 길이, 부리 길이, 부척 길이는 아래 표와 같다.
구분 | 평균 체중 | 날개 길이 | 꼬리 길이 | 부리 길이 | 부척 길이 |
---|---|---|---|---|---|
수컷 | 500g~730g | 18.6cm~20.3cm | 53mm~60mm | 38mm~44mm | 33mm~34.7mm |
암컷 | 590g~655g | 19.1cm~20.5cm | 51mm~64mm | 40mm~44mm | 33mm~34.7mm |
[34][35]
번식기의 수컷은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색 머리와 목,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 눈, 검은 갈색 등, 짙은 밤색 가슴, 흰색 또는 옅은 밤색 옆구리, 짧고 낮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빛이 약할 때는 완전히 검게 보일 수 있다. 암컷은 갈색 눈과 짙은 갈색 머리와 목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밤색 가슴과 옆구리로 이어진다. 쇠퇴기 및 첫 번째 겨울의 수컷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흰색 눈을 유지한다. 수컷과 암컷 모두 넓은 흰색 날개거울깃, 흰색 배설강 쪽, 어두운 회색 부리, 검은색 부리 발톱 및 어두운 회색 부척을 가지고 있다.[34][35]
가까운 친척인 쇠오리와 유사하며, 둘 다 흰색 배설강 쪽과 수컷의 홍채, 검은색 부리 발톱, 넓은 흰색 날개거울깃을 가지고 있다. 붉은가슴흰죽지가 더 크고, 머리, 몸, 부리가 더 길다. 쇠오리의 높고 삼각형 모양의 머리와 달리, 붉은가슴흰죽지는 더 둥근 머리와 평평한 이마를 가지고 있다. 붉은가슴흰죽지의 배의 흰색 부분은 물에 떠 있을 때 보이는 옆구리까지 뻗어 있으며, 쇠오리는 배에 더 작은 흰색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암컷 붉은가슴흰죽지는 부리에 뚜렷한 밝은 밤색 반점이 있는데, 쇠오리에는 없다.[34][35]
붉은가슴흰죽지는 일반적으로 조용한 오리이지만, 구애 행동 동안 양성 모두 거친 "graaaak" 소리를 낸다. 암컷은 다른 때에 "kura kura kura" 소리를 낼 수 있고, 수컷은 "kuro kuro" 소리를 낼 수 있다.[34][35]
전체 길이는 46cm이다.[33][35] 날개 길이는 수컷 21~23.3cm, 암컷 18.6~20.3cm이다.[34] 체중은 680~880g이다.[33] 목은 약간 길다.[34]
부리의 색깔은 청회색이나 짙은 청색이다.[34][35] 뒷다리는 회색이다.[34][35]
수컷 성조는 홍채가 흰색이나 옅은 황색이다.[34][35] 번식기 수컷은 머리 부분이 녹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35] 목은 검은색이다.[34][35] 등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다.[34][35] 가슴의 깃털은 적갈색, 배와 꼬리 깃털 기부의 아랫면(하미병)을 덮는 깃털은 흰색이다.[34][35] 어깨 깃털의 색깔은 흑갈색이며, 날개 깃털의 색깔은 흰색이다.[35] 비번식기 수컷(이클립스)은 전신의 깃털이 갈색이나 흑갈색이다.[34] 암컷은 눈 앞쪽에 옅은 색 반점이 있다.[35] 홍채는 갈색이다.[33][34]
4. 분포
붉은가슴흰죽지는 전통적으로 중국 동북부의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유역과 러시아 극동 남동부에서 번식했다. 최근에는 중국 북부와 중국 중부로도 서식지를 넓혔다. 겨울에는 중국의 황하 이남 대부분 지역, 대만, 일본, 방글라데시, 인도, 북한, 라오스, 미얀마, 네팔, 태국, 베트남에서 월동하며, 드물게 부탄, 대한민국, 필리핀 또는 파키스탄에서도 길 잃은 방랑 개체로 발견된다.[1] 3월 중순에 월동지를 떠나 10월 중순 또는 11월 초에 다시 돌아온다.[13]
이 종은 전통적인 번식 지역에서 극도로 희귀해졌으며, 2010년 이후 베이징 북쪽의 모든 지역에서 번식 보고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번식기 동안 기록된 개체수는 겨울에 기록된 개체수보다 적으므로, 아직 알려지지 않은 번식지가 있을 수 있다.[14] 예를 들어, 한카호의 중국 부분, 하산호의 러시아 부분 및 Муравьёвский парк|무라비오프카 공원ru에서 의심스러운 번식 보고가 있다. 2012년 이후, 허베이 성, 후베이 성[15], 장시 성을 포함한 여러 중국의 성에서 새로운 번식지가 발견되었으며, 후베이 성과 장시 성은 아무르강과 우수리강 유역의 전통적인 번식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1]
겨울 서식지도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축소되었다. 최소 2010-2011년 겨울부터 붉은가슴흰죽지는 방랑 개체를 제외하고 중국 본토 이외의 지역에서는 더 이상 겨울을 나지 않는다. 중국 본토의 겨울 서식지에서도 개체수가 99% 이상 심각하게 감소했다.[1][17]
5. 생태
붉은가슴흰죽지는 조용하고 수줍음이 많은 종으로, 수생 식물이 풍부한 호수, 늪, 연못 등에서 서식한다. 잠수하여 먹이를 찾으며, 수생 식물, 풀 씨앗, 연체동물 등을 먹는다.[20] 식물의 뿌리 등도 먹지만, 동물성 먹이도 먹는 것으로 보인다.[35]
겨울에는 다른 흰죽지류와 함께 크고 탁 트인 담수호와 저수지에서 큰 무리를 짓기도 한다.[11][18] 날개가 강하여 빠른 속도로 날거나 걸을 수 있으며, 위협을 받으면 물에서 재빨리 이륙할 수 있다. 이주기에는 10마리 이상 또는 수십 마리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낮은 고도로 V자형 대형을 이루며 비행한다.[19][13]
5. 1. 번식
붉은가슴흰죽지는 5월 중순에서 늦은 5월 사이에 번식한다.[13] 둥지는 원통형이며, 보통 얕은 물이나 작은 섬, 둑의 수생 식물 사이에서 발견된다. 둥지는 주변에서 수집한 사초, 갈대 및 기타 식물로 만들어지며, 솜털 층으로 덮여 있다. 한 번에 낳는 알의 수는 5개에서 14개 사이이며, 평균 9.7개이다.[22] 일본에서는 6-9개의 알을 낳는다고 알려져 있다.[33][34][35]수컷은 부화하는 동안 둥지에서 약 10m 떨어진 곳에서 경계 임무를 수행한다.[21] 암컷의 포란 기간은 23~26일이다.[22] 일본에서는 27일이라고 알려져 있다.[33][34]
연구에 따르면 붉은가슴흰죽지의 둥지 생존율은 약 14~45%이며, 둥지당 3~16마리의 새끼가 둥지를 떠났다. 실패의 주요 원인은 둥지 버려짐(어미에 의해 버려짐), 둥지 포식(주로 시베리아족제비) 및 홍수 등 세 가지이다.[22]
5. 2. 생물학적 상호 작용
붉은가슴흰죽지는 불완전한 종간 및 종내 탁란이 발견되었다. 向海|향해 국가자연보호구중국어에서 붉은가슴흰죽지는 알락오리와 흰죽지에 탁란할 수 있으며, 흰죽지에게 탁란을 당할 수도 있다.[23] 우한에서 붉은가슴흰죽지는 애집오리, 알락오리, 청둥오리와 번식지를 공유한다. 종간 탁란은 관찰되지 않았다.[21] 우한에서 종내 기생이 발견되었다. 기생이 발견되면 숙주는 붉은가슴흰죽지를 공격한다.[22]붉은가슴흰죽지는 사육 상태에서 검은머리흰죽지, 흰죽지, 쇠오리, 뉴질랜드검은머리흰죽지, 밤색오리 및 혹부리오리와 잡종을 형성했다.[24]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쇠오리가 붉은가슴흰죽지에게 여러 번 구애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일부 개체는 흰죽지, 쇠오리 및 붉은가슴흰죽지의 혼합된 특징을 보였으며, 따라서 현재 야생에서 잡종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붉은가슴흰죽지는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히 감소했지만, 쇠오리와 흰죽지는 번식지를 확장하여 심지어 붉은가슴흰죽지의 핵심 지역까지 진출했으며, 이는 이러한 가설을 가능하게 한다.[25]
6. 위협 및 보호
붉은가슴흰죽지는 한때 흔했지만, 현재는 매우 희귀한 종이 되었다.[11]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은 2008년에 붉은가슴흰죽지를 위기종으로 분류했고, 2012년에는 심각한 위기종으로 상향 조정했다.[1] 성체 개체 수는 1,0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20]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16,792마리의 붉은가슴흰죽지가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 후반에는 2,131마리까지 감소했다. 1999년부터 2011년 사이 중국을 제외한 월동지에서는 719마리, 이후에는 48마리만 관찰되었다.[20]
이러한 개체 수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는 중국에서의 사냥과 서식지 파괴가 꼽힌다.[2] 1981년부터 1997년까지 후베이성 홍후에서만 매년 336마리에서 4,803마리의 흰죽지가 사냥되었다.[20] 양쯔강 범람원의 습지 변화, 수질 오염, 어업 관리 등도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20] 번식지와 이동 경로의 문제도 감소를 가속화했을 수 있다.[20]
2014년,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 파트너십(EAAFP)은 붉은가슴흰죽지 태스크 포스를 구성했다.[14][27] 중국에서는 2021년에 붉은가슴흰죽지를 1급 보호 동물로 지정했다.[28] 베이징 동물원에는 2022년 기준 54마리의 붉은가슴흰죽지 사육 개체군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는 재도입에 활용될 예정이다.[29]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번식지(81.8%)와 적합한 서식지(94%)가 보호 구역 밖에 위치하며, 대도시와 겹친다. 기후 변화는 보호 구역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붉은가슴흰죽지 보존을 위해서는 국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30]
일본은 붉은가슴흰죽지의 주요 월동지가 아니며, 2013년까지의 조사에서 2003년을 제외하고는 10마리 이상 도래한 기록이 없다.[32]
7. 인간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드문 겨울새이며, 일본은 주요 월동지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32] 1996년 이후 2013년까지의 환경청 조사 보고에 따르면, 2003년 1월에 12마리가 확인된 것을 제외하고는 10마리 이상 도래한 기록이 없으며, 2009년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32] 1973년 이전에는 원앙을 제외한 오리류가 수렵 조수였기 때문에 사냥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이후에는 사냥되지 않아 일본 국내 도래수 감소 원인은 불명이다.[32]
참조
[1]
간행물
"''Aythya baeri''"
2021-11-12
[2]
서적
A Natural History of the Ducks
https://www.biodiver[...]
Houghton Mifflin Company
2022-07-29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www.worldcat[...]
Christopher Helm
2010
[4]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 VI.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5]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Modern Pochards (Anatidae: Aythyini)
1996-01-01
[6]
서적
Handbook of Waterfowl Behavi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07-29
[7]
서적
Reisen im Süden von Ost-Sibirien in den Jahren 1855–1859
https://www.biodiver[...]
Buchdruckerei der K.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22-07-29
[8]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anseriformes based on mitochondrial DNA analysis
https://www.scienced[...]
2002-06-01
[9]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two mitochondrial genes and hybridization patterns in Anatidae
https://onlinelibrar[...]
[10]
논문
Mitochondrial genom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Baer's Pochard, Aythya baeri,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Anatidae species
2021-12-21
[11]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sia : Eastern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Eastern Russia
https://www.worldcat[...]
Christopher Helm
2010
[12]
서적
日本のカモ識別図鑑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Ducks of Japan)
https://www.worldcat[...]
株式会社誠文堂新光社 (SEIBUNDO SHINKOSHA Publishing Co., LTD)
2015
[13]
서적
中国鸟类志 (Aves of China)
https://www.worldcat[...]
吉林科学技术出版社 (Jili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1
[14]
논문
The troubled Baer's Pochard Aythya baeri: cause for a little optimism?
https://eaaflyway.ne[...]
2022-07-26
[15]
논문
Baer's Pochard Aythya baeri: breeding in central Yangtze region, China
https://eaaflyway.ne[...]
2015
[16]
논문
关于青头潜鸭九江群体的最新报道
https://www.cnki.net[...]
2022-07-28
[17]
논문
Wintering waterbirds in the middle and lower Yangtze River floodplain: changes in abundance and distribution
https://www.cambridg[...]
2017-05-16
[18]
서적
中国鸟类观察手册 (The CNG field guide to the birds of China)
https://www.worldcat[...]
湖南科学技术出版社 (Hu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21
[19]
서적
鸟纲 第2卷 雁形目 (Anseriformes, Volume 2 of Aves)
http://zgdwz.lifesci[...]
科学出版社 ([[China Science Publishing & Media]])
2022-07-26
[20]
논문
Serious contractions in wintering distribution and decline in abundance of Baer's Pochard Aythya baeri
2012-06-15
[21]
논문
武汉市黄陂区青头潜鸭繁殖生态观察初报 (Reproduction of Baer's Pochard (''Aythya baeri'') in Huangpi District, Wuhan City)
2019
[22]
논문
Reproductive ecology of Baer's Pochard Aythya baeri in south China
https://wildfowl.wwt[...]
2022-07-29
[23]
논문
两种潜鸭不完全巢寄生行为 (The behaviour of incomplete brood parasitism of two pochard species)
1992
[24]
서적
Handbook of avian hybrids of the world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5]
웹사이트
More on Baer's Pochard, Baer's-like birds and Hybrids
https://www.eaaflywa[...]
2022-07-29
[26]
논문
Microbiome analysis reveals the significant changes in gut microbiota of diarrheic Baer's Pochards (Aythya baeri)
https://linkinghub.e[...]
[27]
웹사이트
Baer's Pochard Task Force
https://www.eaaflywa[...]
2022-07-31
[28]
간행물
国家林业和草原局 农业农村部公告(2021年第3号)(国家重点保护野生动物名录)(Announcement of the National Forestry and Grassland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Affairs (No. 3 of 2021) (List of National Protected Animals))
http://www.gov.cn/xi[...]
2022-07-26
[29]
뉴스
我国首个青头潜鸭人工种群建立 (The first captive population of Baer's pochard in China was established)
http://env.people.co[...]
2022-08-01
[30]
논문
Shifted to the South, Shifted to the North, but No Expansion: Potential Suitable Habitat Distribution Shift and Conservation Gap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Baer's Pochard (Aythya baeri)
2022-04-30
[31]
간행물
"''Aythya baeri''"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11-28
[32]
서적
アカハジロ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4
[33]
서적
アカハジロ
平凡社
1996
[34]
서적
ガンカモ科の分類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980
[35]
서적
アカハジロ
講談社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