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운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운은 1921년 독일에서 설립된 가전제품 회사로, 전기 면도기, 헤어 케어 제품, 주방 가전 등을 생산한다. 1950년대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을 통해 기능성과 기술을 융합한 제품을 선보이며 독일 디자인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2005년 프록터 앤드 갬블에 인수되었고, 현재는 소형 가전, 건강 및 웰빙 제품 등을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하여 운영하고 있다. 브라운은 한국 시장에서 면도기 광고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있으며, 사회 공헌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설립된 기술 기업 - 더글러스 에어크래프트
    더글러스 에어크래프트는 1921년 설립된 미국의 항공기 제조 회사로, 여객기 DC 시리즈와 군용기를 제작했으며, 1967년 맥도넬 항공사와 합병하여 맥도넬 더글러스가 되었다.
  • 1921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미쓰비시 전기
    미쓰비시 전기는 1921년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일본의 전기 및 전자 제품 제조 기업으로, 공공 시스템, 산업 메카트로닉스, 반도체 등을 생산하며, 반도체 공장 건설 및 스포츠, 사회 공헌 활동도 진행한다.
  • 1921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라디오셱
    라디오셱은 1921년 창립된 전자제품 소매업체로, 한때 여러 국가에서 매장을 운영하며 탠디 코퍼레이션 인수 후 자체 브랜드 제품 판매와 개인용 컴퓨터 TRS-80 출시 등으로 성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경영난으로 파산하여 지적 재산권이 매각되었다.
  • 헤센주의 기업 - 오펠
    오펠은 1862년 독일에서 시작하여 재봉틀과 자전거를 생산하다 1898년 자동차 생산을 시작, GM 인수 후 유럽 사업의 중추 역할을 거쳐 현재는 스텔란티스 산하에서 다양한 차종을 생산,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는 독일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 헤센주의 기업 - 웰라
    웰라는 독일에서 시작하여 파마 기기 개발, P&G 인수, KKR 분리 후 스위스에 본사를 둔 헤어케어 전문 기업으로, 염색약 웰라톤 시리즈를 주력으로 사회 공헌 활동도 한다.
브라운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라운 로고
로고
회사 종류자회사
설립일1921년
설립 장소프랑크푸르트, 독일
설립자막스 브라운
본사 위치크론베르크 임 타우누스, 독일
서비스 제공 지역전 세계
주요 인물아흐메드 아불레네인 - 에보 (글로벌 브라운 부사장), 올리버 그라베스 (디자인 총괄), 디터 람스 (디자인 총괄, 1961–1995)
산업
산업 분야제조업
제품전기 면도기
IPL (반영구 제모 기기)
제모기
전동 칫솔
시계
재무 정보
소유주프록터 앤드 갬블 (브랜드 이름 및 그루밍 제품)
사업부
라이선스 업체드롱기 (소형 가전)
카즈 (온도계)
Zeon Ltd. (시계, 손목시계 & 계산기)
기타 정보
홈페이지브라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21년 엔지니어 막스 브라운이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Frankfurt am Mainde)에 작은 공작소를 열면서 브라운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막스 브라운은 라디오 부품을 제조했고, 특수한 플라스틱 재료 사용 등으로 회사는 크게 성장하여 1928년 아읻스타이너 슈트라세 (프랑크푸르트)로 이전했다.

1929년 막스 브라운은 라디오 완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곧이어 독일 최고의 라디오 제조사로 성장했다. 1932년에는 라디오와 녹음기를 융합한 제품을 출시했다.

1935년 브라운 브랜드가 도입되었고, 가운데 A 문자가 도드라진 로고가 만들어졌다. 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막스 브라운은 표음식 철자법(phonography) 성과로 상을 받았다. 3년 뒤, 회사 종업원 수는 1000명에 달했다.

브라운은 고정밀 라디오와 오디오를 계속 제조했고, 1956년 SK-4 레코드 플레이어를 출시하며 하이-파이 오디오와 레코드 플레이어로 명성을 얻었다.

1950년대 브라운은 전기 면도기 "S 50"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38년 설계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1951년 출시된 이 면도기는 얇고 튼튼한 강철 포일(박편)이 장착된 오실레이팅 커터 블록을 특징으로 하며, 이 원리는 현재까지도 사용된다.

1950년대 중반부터 브라운은 기능성과 기술을 접목한 독일 현대 산업 디자인 개념과 긴밀히 관련되었다. 울름 호흐슐레 퓌어 게스탈퉁(Ulm Hochschule fuer Gestaltungde) 교사 출신 디터 람스가 브라운 디자인 부서장이 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되었다.

1962년 브라운은 Braun AG라는 공개 회사가 되었고, 1967년 질레트 그룹이 과반수 지분을 인수했다.

1970년대 팝 아트 영향으로 브라운 제품은 기능주의적 깔끔함에 밝은 색과 가벼운 터치를 더했다.

1981년 브라운의 오디오 및 하이파이 부서는 Braun Electronic GmbH로 분사되었으나 1990년 사업이 중단되었다. 1980년대 초 브라운은 사진 및 슬라이드 프로젝터 부서를 로베르트 보쉬 GmbH에 매각했다.

1982년 질레트는 브라운을 완전히 통제하기 시작했고, 1984년 브라운은 라이터 생산을 중단하고 질레트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10]

1990년대 중반 브라운은 가정용품 제조업체 선두였으나 수익성 문제에 직면했다. 많은 경쟁사들이 브라운 디자인을 모방하여 저가에 생산했다.[11]

2005년 질레트가 프록터 & 갬블(P&G)에 인수되면서 브라운도 P&G 자회사가 되었다.[6] 2008년 P&G는 미국 시장에서 일부 브라운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17] 2012년 드롱기(De'Longhi)가 브라운 상표 라이선스를 받아 주방 가전 관련 브라운 제품 라인을 인수했다.[18]

2. 1. 설립 초기 (1921년 ~ 1940년대)

1921년, 기계 기술자인 막스 브라운(Max Braun)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작은 기술 공방을 설립했다.[2] 그는 라디오 부품 생산을 시작했고, 1928년 회사는 성장하여 ''Idsteiner Strasse''의 새로운 부지로 이전했다.

1929년, 막스 브라운은 라디오 세트 전체를 생산하기 시작했고, 회사는 독일의 주요 라디오 제조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 1932년에는 라디오와 레코드 플레이어를 결합한 최초의 제품 중 하나인 라디오그램을 출시했다.[3]

1935년,[4] 브라운 브랜드가 도입되었고, "A"가 솟아있는 로고타입의 원형이 탄생했다.[5] 1937년 파리 세계 박람회에서 막스 브라운은 ''축음기 분야의 특별한 업적''으로 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민간 부문의 제품 생산을 중단했다.[6] 1944년, 프랑크푸르트 공장이 거의 파괴되었고, 막스 브라운은 회사를 재건하기 시작했다.[6]

2. 2. 전후 성장과 디자인 혁신 (1950년대 ~ 1960년대)

1950년대 들어 브라운은 오늘날에도 유명한 전기 면도기 생산을 시작했다. 브라운 최초의 전기 면도기인 "S 50"은 1938년에 이미 설계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출시가 지연되었고, 1951년에 출시되었다.[8] 이 전기 면도기는 오실레이팅 커터 블록을 포함하며, 그 위에 장착된 매우 얇고 튼튼한 강철 포일(박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 원리가 현재까지도 브라운의 전기 면도기에 쓰이고 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브라운 브랜드는 기능성과 기술을 접목한 독일의 현대적 산업 디자인 개념과 긴밀히 관련되었다. 당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디자이너는 브라운 디자인 부서의 디터 람스였다. 울름 디자인 학교(Hochschule für Gestaltung Ulm)에서 교사로 일한 바 있는 디터 람스는 브라운 사 입사 후 디자인 부서장이 되었다.

1962년, 브라운은 Braun AG라는 공개 회사가 되었다. 1967년, 질레트 그룹이 회사의 과반수 지분을 인수했다.

2. 3. 변화와 인수 합병 (1970년대 ~ 현재)

1970년대에 브라운은 팝 아트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디자인은 많은 주방 기기 및 가정용 기기에 영감을 주었으며, 기능주의적인 깔끔한 라인은 유지하면서도 밝은 색상과 가벼운 느낌을 추가했다.

1981년, 브라운의 오디오 및 하이파이 부서는 법적으로 독립적인 질레트 자회사인 Braun Electronic GmbH로 분사되었다. Braun Electronic GmbH는 1990년에 사업이 중단되기 전까지 마지막 오디오-fi 세트를 출시했다. 1980년대 초, 브라운은 사진 및 슬라이드 프로젝터 부서를 로베르트 보쉬 GmbH에 매각했다.

1982년, 질레트 그룹은 브라운의 운영을 완전히 통제하여 브라운을 모회사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1984년, 브라운은 라이터 생산을 중단했고, 같은 해에 질레트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10]

1990년대 중반, 브라운은 가정용품 제조업체로서 선두적인 위치를 차지했지만, 수익성 문제와 경쟁 심화에 직면했다. 많은 경쟁사들이 브라운 디자인을 모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면서, 브라운은 판매 손실과 제품 이미지 손상을 겪었다.[11]

2005년, 질레트는 프록터 앤드 갬블(P&G)에 인수되었고, 브라운은 P&G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6] 2008년, P&G는 미국 시장에서 일부 브라운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17] 2012년, 드롱기(De'Longhi)는 브라운 상표를 라이선스 받아 주방 가전 제품을 포함한 브라운의 소형 가전 부문을 인수했다.[18] 한편, 헬렌 오브 트로이의 자회사인 카즈(Kaz)는 브라운의 건강 관련 제품 사업을 담당하게 되었다.[15][16]

3. 주요 제품

브라운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 판매해왔다.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제품군상세 설명비고
면도 및 미용전기 면도기, 이발기, 수염 트리머
구강 관리전동 칫솔 등현재 오랄비 브랜드로 판매
뷰티 케어헤어 케어 제품, 제모기
건강 및 웰빙귀 체온계, 혈압 측정기카즈에서 라이선스 생산
주방 가전커피 메이커, 커피 그라인더, 토스터, 블렌더, 주서 등드롱기에서 라이선스 생산
기타다리미, 시계, 계산기라이선스 생산



브라운 주방기기 KM32


과거에는 고급 라디오, 슬라이드 프로젝터, 광학 기기, 하이파이 사운드 기기 등도 생산했다.[2]

3. 1. 면도 및 미용

브라운의 주요 제품군은 전기 면도기, 이발기, 수염 트리머 등이다. 브라운은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전기 면도기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2017년 현재 일본에서 판매되는 전기 면도기 중 일부는 독일에서, 나머지는 중국에서 생산된다.[36]

''마이크론'' 모델 5410 면도기 (1977)

3. 2. 구강 관리

오랄-비 브랜드로 현재 판매되는 전동 칫솔 제품군을 취급한다.

3. 3. 뷰티 케어

브라운의 뷰티 케어 제품에는 헤어 케어 제품(헤어 드라이어, 스타일러 등)과 제모기가 있다.

3. 4. 건강 및 웰빙

브라운의 건강 및 웰빙 제품군에는 귀 체온계, 혈압 측정기가 있으며, 현재 카즈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하고 있다.[1]

3. 5. 주방 가전

브라운의 주방 가전에는 커피 메이커, 커피 그라인더, 토스터, 블렌더, 주서 등이 있다. 이 제품들은 현재 드롱기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하고 있다.[36] 과거에는 식품 가공기도 생산했었다.

3. 6. 기타

브라운은 현재 다리미, 시계, 계산기를 라이선스 생산하고 있다. 과거에는 고급 라디오, 슬라이드 프로젝터, 광학 기기, 하이파이 사운드 기기 등을 생산했다.[2]

1954년, 브라운은 필름 슬라이드 프로젝터 생산을 시작해 40년 동안 사업의 주축으로 삼았다. 1956년에는 최초의 완전 자동 트레이 필름 슬라이드 프로젝터인 PA 1을 판매했다.[7] 1970년대에 필름 슬라이드 프로젝터 및 하이파이 제품 생산을 중단했다.

1981년, 오디오 및 하이파이 부서는 법적으로 독립적인 질레트 자회사인 Braun Electronic GmbH로 분사되었고, 1990년에 사업이 중단되었다. 1980년대 초, 브라운은 사진 및 슬라이드 프로젝터 부서를 로베르트 보쉬 GmbH에 매각했다.

4. 디자인 철학

1950년대 중반부터 브라운 브랜드는 독일 현대 산업 디자인 개념, 그리고 기능성과 기술의 결합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당시 브라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는 디터 람스였다. 그는 울름 조형대학에서 교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브라운 디자인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 람스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걸쳐 독일 디자인 부흥기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

디터 람스는 1995년 은퇴할 때까지 약 30년 동안 브라운 디자인 부서의 책임자로 일했으며, 그가 디자인한 커피 메이커, 계산기, 라디오, 면도기 등 많은 제품은 뉴욕 현대 미술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4. 1. 기능주의와 미니멀리즘

1950년대 중반부터 브라운(Braun) 브랜드는 독일 현대 산업 디자인의 개념, 그리고 기능성과 기술의 결합과 밀접하게 연결되기 시작했다.[19] 1956년 브라운은 첫 번째 디자인 부서를 설립했고, 울름 조형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제품 라인을 개발했다.[20]

브라운 SK 61. '백설공주의 관'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56년, 브라운은 디터 람스와 헤르베르트 린딩거가 디자인하고 한스 구겔로트가 울름 조형대학의 디자인 강사였던 시절 디자인한 SK 4 라디오 (백설공주의 관)를 선보였다.[21][22][23] 람스는 곧 브라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가 되었고,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독일 디자인 르네상스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24][25] 그는 "더 적게, 그러나 더 좋게(Less, but better)"라는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하고 기능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람스는 브라운의 디자인 책임자가 되었고, 그의 영향력은 브라운의 오디오 장비와 "D" 시리즈 (D25–D47) 35mm 슬라이드 프로젝터 등 많은 제품에서 드러났다. 이 제품들은 기능주의적 디자인의 좋은 예시이다.

LE1 정전형 스피커 유닛은 현대 디자인의 또 다른 아이콘이지만 덜 알려져 있다.(기술적 측면은 영국 회사인 QUAD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았다). 디터 람스와 디트리히 룹스는 1970년대 초 디자인 "Phase I, Phase II, and Phase III"을 시작으로 1975년 AB 20, 이후 여러 모델을 공동 작업하며 클래식 브라운 알람 시계 제품군을 만들었다.[26] 이 디자인들은 2005년 브라운에 의해 단종되었다.

1970년대에는 팝 아트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 접근 방식이 브라운 제품에 영감을 주기 시작했고, 여기에는 많은 일반 가정용품과 제품이 포함되었다. 이 시기의 브라운 디자인은 밝은 색상과 가벼운 터치를 통합하면서도 기능주의 철학에 따라 깔끔한 라인을 유지했다.

디터 람스는 1995년 은퇴할 때까지 약 30년 동안 브라운(Braun A.G.)의 디자인 책임자로 재직했으며, 그의 후임은 페터 슈나이더였다. 브라운의 디자인 부서에서 일했던 다른 디자이너로는 게르트 알프레드 뮐러,[27] 라인홀트 바이스, 리하르트 피셔, 로베르트 오버하임, 플로리안 자이퍼트, 하르트비히 칼케, 헤르베르트 히르셰 등이 있다. 람스와 브라운 디자인 부서가 제작한 커피 메이커, 계산기, 라디오, 면도기 등 많은 디자인은 뉴욕 현대 미술관, 퐁피두 센터 등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8]

폴 스미스버질 아블로와 같은 디자이너들과의 최근 협업은 "오늘날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대화를 열려고" 노력했다.[29][30]

4. 2. 디터 람스와 10가지 디자인 원칙

디터 람스는 1950년대 중반부터 브라운 브랜드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19] 그는 울름 조형대학에서 교사로 일했으며, 이후 브라운 디자인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24][25] 1956년 브라운은 첫 번째 디자인 부서를 설립했고, 프리츠 아이힐러가 이 부서를 이끌면서 울름 조형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제품 라인을 개발했다.[20] 같은 해, 브라운은 디터 람스와 헤르베르트 린딩거가 함께 디자인하고 한스 구겔로트가 디자인한 SK 4 라디오그램 ("백설공주 관")을 선보였다.[21][22][23]

람스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독일 디자인 르네상스의 핵심 인물로, 그의 디자인 철학은 기능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24][25] 그의 영향력은 SK-4 레코드 플레이어, "D" 시리즈 슬라이드 프로젝터 등 많은 브라운 제품에 반영되었다.

디터 람스는 1995년 은퇴할 때까지 약 30년 동안 브라운의 디자인 책임자로 재직했으며, 그의 디자인은 뉴욕 현대 미술관 등 전 세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8]

디터 람스는 자신의 디자인 철학을 다음 10가지 원칙으로 요약했다.

  • 좋은 디자인은 혁신적이다 (Good design is innovative): 기술 발전과 함께 새로운 디자인의 기회를 창출한다.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유용하게 한다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seful): 제품의 기능성과 사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 좋은 디자인은 아름답다 (Good design is aesthetic): 잘 만들어진 제품은 심미적인 만족감을 준다.
  • 좋은 디자인은 제품을 이해하기 쉽게 한다 (Good design makes a product understandable):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을 추구한다.
  • 좋은 디자인은 정직하다 (Good design is honest): 제품의 기능과 가치를 과장하지 않는다.
  • 좋은 디자인은 겸손하다 (Good design is unobtrusive): 제품 자체가 아닌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 좋은 디자인은 오래 지속된다 (Good design is long-lasting): 유행을 타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 좋은 디자인은 마지막 디테일까지 철저하다 (Good design is thorough down to the last detail): 작은 부분까지 세심하게 고려하여 완성도를 높인다.
  • 좋은 디자인은 친환경적이다 (Good desig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을 추구한다.
  • 좋은 디자인은 최소한의 디자인이다 (Good design is as little design as possible):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본질에 집중한다.

4. 3. 팝 아트의 영향 (1970년대)

1970년대에는 팝 아트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 접근 방식이 브라운 제품에 영감을 주기 시작했다. 이러한 디자인은 많은 주방 기기, 가정용 기기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브라운 디자이너들은 기기의 기능주의적 깔끔한 라인은 계속 살리면서도, 밝은 색상과 가벼운 터치 등의 특징을 추가하였다.[26]

5. 한국 시장과 브라운

브라운은 면도기, 제모기, 핸드 블렌더, 전동 칫솔, 적외선 귀 체온계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38] 대한민국에서는 프리미엄 소형 가전 브랜드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전기 면도기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5. 1. 한국 시장 진출과 현황

브라운은 대한민국에서 프리미엄 소형 가전 브랜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기 면도기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과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 브라운 제품은 P&G 코리아를 통해 유통되었으며, 일부 제품군은 드롱기 코리아와 카즈 코리아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5. 2. 마케팅 및 광고

브라운은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유명 연예인을 활용한 광고 캠페인이 눈에 띈다. 예를 들어, 전기 면도기 광고에는 사나다 히로유키, 스즈키 료헤이 등이 출연하여 제품의 우수성을 알렸다.

1981년부터 2003년까지(2008년에 일시적으로 부활) "모닝 리포트"라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광고는 출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브라운 면도기로 면도 후 더 깎이는 수염을 확인하는 내용이었다. 전동 칫솔 광고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일반 칫솔 사용 후 남은 치태를 확인하고 전동 칫솔로 닦는 내용이 등장했다.

2019년부터는 "쉐이빙 리포트"라는 새로운 광고 캠페인이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통해 공개되고 있다.

; CM 출연자

참조

[1] 웹사이트 Braun history, In-depth https://assets.ctfas[...] 2023-08-09
[2] 웹사이트 A new history of Braun charts the company's path to ultimate modernist manufacturer https://www.wallpape[...] 2023-12-20
[3] 웹사이트 A History of Braun Design, Part 3: Audio Products https://www.core77.c[...] 2024-05-24
[4] 웹사이트 Key dates http://www.company-h[...]
[5] 웹사이트 “Around the world in 90 years”: The history of the Braun brand from 1921 to today http://www.braun.com[...] 2018-10-09
[6] 웹사이트 Braun 1960s v. Apple 2000s: Which Was The Greatest Corporate Design Culture? https://www.forbes.c[...] 2019-10-10
[7] 웹사이트 Slide projector (D40) designed by Dieter Rams and made by Braun, 1961 https://www.vads.ac.[...] 2023-01-17
[8] 웹사이트 Shaver Companies Histories http://menshair.guid[...] 2007-08-31
[9] 웹사이트 LECTRON.info – The Ultimate LECTRON Information Resource and Online Museum http://lectron.info/
[10] 웹사이트 Braun Is Proving They're More Than Just a Toothbrush & Shaving Brand https://observer.com[...] 2019-10-10
[11] 뉴스 Braun Sieht Bei Kopien Rot Süddeutsche Zeitung 1997-03-01
[12] 뉴스 Die Braun AG firmiert zur GmbH um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1998-09-24
[13] 뉴스 Gillette-Ertrag leidet unter Schwierigkeiten bei Brau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1999-07-17
[14] 뉴스 £"Gillette sucht Käufer für Teile von Braun"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00-02-24
[15] 웹사이트 Braun Consumer Service spare parts use instructions manuals for electrical appliances beauty care products kitchen household blenders juicers coffee makers irons https://www.service.[...] Braun 2021-04-04
[16] 웹사이트 Helen of Troy (HELE) Acquires Vicks VapoSteam from P&G – Analyst Blog https://www.nasdaq.c[...] Nasdaq 2021-04-04
[17] 웹사이트 Bye, Bye Braun http://www.foodandwi[...] foodandwine.com 2008-01-30
[18]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investors.del[...] 2019-06-02
[19] 서적 Braun: 50 Jahre Produktinnovationen DuMont Literatuar und Kunst Verlag 2005
[20] 서적 Design: History, Theory And Practice Of Product Design Birkhäuser Publishing 2005
[21] 웹사이트 A History of Braun Design, Part 3: Audio Products https://www.core77.c[...] 2023-01-26
[22] 웹사이트 Vitsœ's 'The Strong collection' Gives an Intimate Glance Into the World of Braun Product Design https://www.core77.c[...] 2023-08-15
[23] 서적 Systemdesign Bahnbrecher: Hans Gugelot 1920–1965 Birkhäuser Publishing 1987
[24] 웹사이트 Dieter Rams https://designmuseum[...]
[25] 웹사이트 Dieter Rams – About Vitsœ – Vitsœ https://www.vitsoe.c[...]
[26] 웹사이트 A History of Braun Design, Part 2: Timepieces https://www.core77.c[...] 2023-01-26
[27] 웹사이트 A. Braun and Müller – Developing the Braun KM 3 kitchen machine https://www.designun[...] 2023-02-27
[28] 웹사이트 Roland Ullmann (1948, Allemagne), Rasoir Micron, 1977 https://www.centrepo[...] 2024-08-01
[29] 웹사이트 Braun and Virgil Abloh join forces on a new alarm clock design https://www.wallpape[...] 2024-03-04
[30] 웹사이트 Introducing: Braun And Paul Smith Collaborate On Two New Watches https://www.hodinkee[...] 2024-03-04
[31] 웹사이트 A History of Braun Design, Part 4: Kitchen Appliances https://www.core77.c[...] 2023-01-26
[32] 웹사이트 Braun Nizo S55 https://www.filmkorn[...] 2023-01-28
[33] 웹사이트 braun audio 310 classical stereo systems from the 70s by Dieter Rams https://braunaudio.d[...] 2022-12-04
[34] 웹사이트 iF Design - Braun-Tischfeuerzeuge, T3 https://ifdesign.com[...] 2024-08-15
[35] 문서
[36] 웹사이트 브라운 멀티퀵제품 판매 회사 변경 알림 http://www.delonghi.[...] 2013-03-19
[37] 문서 독일어 발음은 브라운이 아니라 브로운에 가깝다.
[38] 웹인용 Facts & Figures http://www.braun.com[...] 2007-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