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란키오카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란키오카리스는 멸종된 이매갑각류 절지동물의 한 속으로, 몸의 앞부분을 덮는 큰 갑각과 많은 체절로 구성된 몸통, 꼬리마디를 특징으로 한다. 1912년 찰스 E. 레서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프로토카리스의 일종으로 분류되었으나, 1974년 데릭 브릭스에 의해 브란키오카리스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이후 중국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신종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가 추가로 분류되었으며, 이 종은 두 가지 형태형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속명은 아가미를 뜻하는 라틴어와 새우, 게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합성어이며, 종명은 발견 지역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토카리스과 - 토쿰미아
    토쿰미아는 캄브리아기 생물로, 이매패류 갑각과 다수의 부속지를 가지며 저서 섭식 동물로 추정된다.
  • 버지스 셰일 화석 - 피카이아
    피카이아는 캄브리아기 버제스 셰일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4cm의 멸종된 척삭동물로, 척삭과 근육 덩어리를 가지고 있어 초기 척삭동물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버지스 셰일 화석 - 할키에리아류
    할키에리아류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골편으로 덮인 멸종된 동물 분류군으로, 양쪽 끝에 껍데기가 있으며 연체동물, 환형동물, 완족동물 등과의 진화적 관계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캄브리아기 보토마절 말 대량 멸종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삼엽충
    삼엽충은 고생대 캄브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한 절지동물로, 약 5억 2천만 년 전 등장하여 2억 7천만 년 동안 생존하며 바다에 서식했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오파비니아
    오파비니아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로, 5개의 눈, 코, 지느러미를 가진 몸통과 꼬리를 가지며, 절지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어 캄브리아기 대폭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브란키오카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란키오카리스의 모식 표본
브란키오카리스의 모식 표본
브란키오카리스의 복원도
브란키오카리스의 복원도
학명Branchiocaris
분류
진핵생물역
동물계
절지동물문
미분류 강대악류
†히메노카리나목
†프로토카리스과
브란키오카리스속
학명 정보
속 명명자Briggs, 1976
하위 분류
하위 링크
하위 종B. pretiosa Resser, 1929(모식종)
B. ?Yunnanensis Hou, 1987
화석 정보

2. 발견사와 학명의 유래

1912년 학자 찰스 E. 레서가 버지스 셰일에서 화석 표본 5점을 발견한 뒤 논문으로 기고하였는데, 그는 이 화석들을 프로토카리스의 일종으로 보고 '''''P.'' 프레티오사'''(프로토카리스 프레티오사/Protocaris pretiosala)라는 학명을 지어주었다.[1] 1974년이 되어서야 아일랜드의 고생물학자 데릭 브릭스가 버지스 셰일의 동물 발굴탐사에 대한 논문에 깊게 관여했다. 그는 이 화석표본들을 별개의 속인 브란키오카리스속(''B. pretiosa'')에 새로이 배속시켰다.[2] 10년 후, 마오텐산의 오래된 생물화석들 중 브란키오카리스와 닮은 동물 화석 70점 이상이 발견되었고, 1987년에 허우 시안광이 이 화석을 프레티오사 종에서 천만 년 전에 갈라져 나온 신종 '''''B.'' 윈나넨시스'''(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Branchiocaris yunnanensisla)로 분류했다. 일부 보존된 화석들과 거기에서 비롯된 다양한 형태적 차이는 이 종이 프레티오사 종과는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3] 2008년에 러우 및 호 박사가 신종 3종을 발표했지만 이는 현재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의 동종이명으로 여겨지고 있다.[5]

속명 ’브란키오카리스‘는 아가미를 뜻하는 라틴어 ’branchia’와 새우를 뜻하는 그리스어 ‘caris’의 합성어이다.

유타 주에 전시 중인 브란키오사우루스의 화석

2. 1. 초기 발견

1912년 찰스 E. 레서가 버지스 셰일에서 5점의 화석 표본을 최초로 발견하고 프로토카리스 프레티오사/Protocaris pretiosala로 명명하였다.[1] 1974년 데릭 브릭스가 버지스 셰일 동물 발굴탐사에 대한 논문에 깊게 관여하면서 별개의 속인 브란키오카리스속(''B. pretiosa'')으로 재분류되었다.[2]

속명 ‘브란키오카리스’는 아가미를 뜻하는 라틴어 ‘branchia’와 새우를 뜻하는 그리스어 ‘caris’의 합성어이다.

2. 2. 재분류 및 신종 발견

1912년 찰스 E. 레서가 버지스 셰일에서 발견한 5점의 화석 표본은 프로토카리스의 일종인 프로토카리스 프레티오사/Protocaris pretiosala로 분류되었다.[1] 1974년 데릭 브릭스가 버지스 셰일 동물 발굴탐사에 대한 논문에 참여하면서 이 화석들을 별개의 속인 브란키오카리스속(''Branchiocaris'')으로 재분류하였다.[2]

속명 ‘브란키오카리스’는 아가미를 뜻하는 라틴어 ‘branchia’와 새우를 뜻하는 그리스어 ‘caris’의 합성어이다.

1987년, 허우 시안광은 마오텐산에서 발견된 70점 이상의 화석을 바탕으로 신종 '''''B.'' 윈나넨시스'''(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Branchiocaris yunnanensisla)를 발표했다.[3] 이 종은 프레티오사 종에서 천만 년 전에 갈라져 나왔으며, 보존된 화석들과 형태적 차이를 통해 구분된다.[3] 윈나넨시스 종의 종소명은 발굴지인 중국의 윈난성에서 유래했다. 2008년 러우 및 호 박사가 3종의 신종을 발표했지만, 현재는 B. yunnanensis의 동종이명으로 간주된다.[5]

윈나넨시스 종은 한 종에 두 가지 형태형이 공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형태형 A는 갑각이 둥글고 매끄러우며 단순하고 다소 작은 반면, 형태형 B는 액각 부분이 갈라져 있고 갑각이 더 멀리 뻗어 있다. 형태형 A는 형태형 B보다 흔하며, 다른 히메노카리나목 동물들과 달리 성적이형으로 여겨진다.[5]

2. 3. 학명의 유래

속명 '브란키오카리스(Branchiocaris)'는 아가미를 뜻하는 라틴어 'branchia'와 새우를 뜻하는 그리스어 'caris'의 합성어이다.[2] 종소명 ‘프레티오사(pretiosa)’는 "귀중한"을 의미하는 라틴어 ‘pretiosus’의 단수 여성형 주격명사이다.[1] 1912년 학자 찰스 E. 레서가 처음 발견했을 당시, 갑각의 둥글고 매끄러운 형태를 보고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1][4] 종소명 ‘윈나넨시스(yunnanensis)’는 화석 발견지인 중국의 윈난성(云南省)에서 유래했다.[3][5]

3. 특징

브란키오카리스는 중간 크기의 이매갑각형 절지동물로, 몸은 많은 체절로 구성되어 있다.[1][2][3][4] 몸의 절반(앞부분)을 덮는 큰 갑각을 가지고 있으며, 외관상으로는 몸통 앞부분에 더듬이와 집게다리가 각각 한 쌍씩 보인다.[1][2][3][4] 큰턱이 있으며, 몸통 최후방부는 꼬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돌기가 달린 꼬리마디로 끝난다.[1][2][3][4]

=== 브란키오카리스 프레티오사 (B. pretiosa) ===

브란키오카리스 프레티오사(''B. pretiosa'')는 전체 몸길이가 14cm 정도으로 중간급 크기이다. 갑각은 80~90mm로 긴 면적을 차지하며 등지느러미처럼 생긴 구조물이 장식처럼 달려있다. 꼬리마디의 돌기는 길이가 짧다.[1][4]

종소명 ‘프레티오사’는 귀중하다는 의미를 가진 프레티오수스/pretiosusla의 단수 여성형 주격명사이다.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당시 레서 박사가 이 종을 연구할 때에 그 갑각의 모습이 둥글고 매끄럽게 생겨 보인다는 개인 판단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 (B. yunnanensis) ===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B. yunnanensis'')는 단 한 점의 껍질 화석만이 발견되었으며, 갑각이 몸을 좀 더 넓게 감싸는 것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5] 중국에서 발견된 이 종은 한 종에 공존하는 두 가지 형태형(A, B)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5] 형태형 A는 갑각이 둥글고 매끄럽고 단순하며 다소 작은 반면, 형태형 B는 액각 부분이 갈라져 있고 갑각은 더 멀리 뻗어 있다.[5] 형태형 A는 보통 형태형 B보다 더 흔하며, 다른 히메노카리나목 동물들과는 달리 성적이형인 것으로 추정된다.[5]

종소명은 발굴지인 중국의 윈난성에서 유래했다.

3. 1. 전체적인 특징

브란키오카리스는 중간 크기의 이매갑각형 절지동물로, 몸은 많은 체절로 구성되어 있다.[1][2][3][4] 몸의 절반(앞부분)을 덮는 큰 갑각을 가지고 있으며, 외관상으로는 몸통 앞부분에 더듬이와 집게다리가 각각 한 쌍씩 보인다.[1][2][3][4] 큰턱이 있으며, 몸통 최후방부는 꼬리를 형성하는 두 개의 돌기가 달린 꼬리마디로 끝난다.[1][2][3][4]

3. 2. 브란키오카리스 프레티오사 (B. pretiosa)

브란키오카리스 프레티오사(''B. pretiosa'')는 전체 몸길이가 14cm 정도으로 중간급 크기이다. 갑각은 80~90mm로 긴 면적을 차지하며 등지느러미처럼 생긴 구조물이 장식처럼 달려있다. 꼬리마디의 돌기는 길이가 짧다.[1][4]

종소명 ‘프레티오사’는 귀중하다는 의미를 가진 프레티오수스/pretiosusla의 단수 여성형 주격명사이다.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당시 레서 박사가 이 종을 연구할 때에 그 갑각의 모습이 둥글고 매끄럽게 생겨 보인다는 개인 판단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3. 3.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 (B. yunnanensis)

브란키오카리스 윈나넨시스(''B. yunnanensis'')는 단 한 점의 껍질 화석만이 발견되었으며, 갑각이 몸을 좀 더 넓게 감싸는 것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5] 중국에서 발견된 이 종은 한 종에 공존하는 두 가지 형태형(A, B)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5] 형태형 A는 갑각이 둥글고 매끄럽고 단순하며 다소 작은 반면, 형태형 B는 액각 부분이 갈라져 있고 갑각은 더 멀리 뻗어 있다.[5] 형태형 A는 보통 형태형 B보다 더 흔하며, 다른 히메노카리나목 동물들과는 달리 성적이형인 것으로 추정된다.[5]

종소명은 발굴지인 중국의 윈난성에서 유래했다.

4. 한국과의 관련성 (추가 제안)

참조

[1] 저널 New Lower and Middle Cambrian Crustacea http://dx.doi.org/10[...] 2022-08-23
[2] 저널 The Arthropod Branchiocaris N. Gen.,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http://dx.doi.org/10[...] Natural Resources Canada/CMSS/Information Management 2022-08-23
[3] 저널 Three new large arthropods from the Lower Cambrian, Chengjiang, eastern Yunnan. Acta Palaeontologica Sinica 1987
[4] 저널 Burgess Shale fossils illustrate the origin of the mandibulate body plan https://www.nature.c[...] 2022-08-24
[5] 저널 Dimorphism of Bivalved Arthropod Branchiocaris? Yunnanensi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Biota, South China https://onlinelibrar[...] 2022-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