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드소드는 넓은 칼날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검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7세기 후반에는 기병들이 사용하던 양날의 바스켓 손잡이 베기 검을 구체적으로 지칭했으며, 19세기에는 결투용 검보다 넓은 날을 가진 검을 의미하기도 했다. 브로드소드는 스키아보나, 모튜어리 소드, 스코틀랜드 브로드소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브로드소드 | |
---|---|
개요 | |
종류 | 칼 |
사용 시기 | 16세기 ~ 20세기 초 |
지역 | 유럽 |
형태 | |
칼날 형태 | 다양함 (직선형, 곡선형 등) |
손잡이 보호대 | 바구니 모양 |
역사 및 용도 | |
기원 | 다양한 칼날 형태와 손잡이 보호대에서 유래 |
주 용도 | 군용 결투 의례용 |
관련 검술 | 브로드소드 검술 싱클레어 스타일 |
특징 | |
손잡이 보호 | 바구니 모양의 손잡이 보호대가 손을 보호 |
칼날 길이 | 다양함 |
무게 | 다양함 |
종류 | |
주요 종류 | 클레이모어 브로드소드 싱클레어 세이버 스코틀랜드 브로드소드 발론 소드 모르트 쿠르트팔라스 파라스 슈미트하우어 한트슈페어 |
문화적 의미 | |
상징성 | 용기 명예 기사도 |
대중 문화 | 영화, 소설, 게임 등에서 자주 등장 |
기타 | |
유사 무기 | 군도 세이버 |
펜싱 (독일) | |
독일어 명칭 | Mensur Korbschläger |
2. 명칭
"브로드소드"라는 명칭은 모호하며, 다양한 종류의 검을 지칭할 수 있다. "브로드 소드"에 대한 언급은 11세기부터 존재하지만, 이는 특정 종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넓은 검을 의미하며, 17세기 이전에는 어떤 검의 양식도 ''브로드소드''로 분류되지 않았다.[1]
브로드 소드는 16세기에 진화하여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전쟁터에서 애용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25] 초기의 브로드 소드는 1545년에 침몰한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의 잔해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고증되었다. 철사로 된 가드는 처음에는 간단한 구조였지만 점차 화려한 장식으로 발전했다.[26]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브로드소드"는 당시 기병들이 사용했던 양날의 바스켓 손잡이 베기 검을 구체적으로 지칭하게 되었다. 이것은 민간인들이 선호하는 검, 즉 가늘고 찌르기에 특화된 레이피어와 스몰소드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었다. 이것이 ''브로드소드''의 역사적 정확한 용법이며, 이 명칭은 수집가와 역사적 펜싱 단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1][3]
19세기 역사가들은 당대 결투용 검보다 넓은 날을 가진 검을 "브로드소드"로 지정하는 방식을 따랐다. 이 용어는 부정확하고 비역사적으로 적용되어 세이버 및 커틀러스와 같은 많은 관련 없는 군용 검과 "레이피어나 스몰소드가 아닌 거의 모든 이전 시대의 검"에 사용되었다.[1] 이러한 용법은 판타지 소설과 롤플레잉 게임을 포함한 비전문가 문헌에서 이어져 왔으며, 여기서 "브로드소드"는 종종 중세 검 (예: 롱소드, 바이킹 검)을 일반적인 의미로 지칭한다.[1][3]
3. 형태 및 구조
브로드 소드는 레이피어와 다르게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17세기에는 왈룬 힐트 (Walloon hilt), 싱클레어 힐트 (Sinclair hilt), 스키아보나, 모튜어리 소트 (mortuary sword), 클레이모어, 팔라쉬 (pallasch) 등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27][28][29] 모튜어리 소드와 클레이모어는 영국에서 흔하게 사용되었으며, 18세기 기병용 사브르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30]
18세기 유럽에서는 가벼운 스몰 소드로 결투를 했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브로드 소드를 사용한 결투가 성행했다. 스코틀랜드식 브로드 소드 검술은 18세기에 여러 교본으로 출판되었다. 이러한 스코틀랜드식 브로드 소드의 후손은 나폴레옹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기병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비슷한 무기로, 1625년 이후 잉글랜드 내전 당시 기병들이 사용했던 베고 찌르기용 모튜어리 소드(mortuary sword)가 있다. 이 양날 검은 길이가 90–105cm 정도 되는 직선형 칼날과 반-바스켓 힐트를 갖추고 있었으며, 힐트는 종종 매우 복잡한 조각과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찰스 1세 국왕(1649년) 처형 이후, 순교한 왕의 얼굴이나 사망 마스크를 묘사한 바스켓 힐트 검이 만들어졌다. 이 검들은 18세기에 "모튜어리 소드"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 용어는 20세기 일부 저술가들에 의해 내전 시대의 광검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14][15] 그러나 힐트에 새겨진 얼굴이 찰스 1세라고 주장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분쟁의 양측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찰스 1세가 사망하기 전에 얼굴 이미지가 나타났기 때문이다.[16]
"모튜어리"라는 이름은 잉글랜드 내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전쟁 영웅들의 무기가 교회에 기증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교회는 검을 검게 칠하고 19세기까지 장례식에 사용했으며, 이후 많은 검이 골동품 시장에 팔렸다.[16]
이 검은 올리버 크롬웰이 선호하는 무기였다. 그가 소유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검은 현재 로열 아머리스에 보관되어 런던 탑에 전시되어 있다. 크롬웰의 소유로 알려진 두 개의 다른 모튜어리 소드는 크롬웰 박물관에, 또 다른 하나는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있다.[17][18] 모튜어리 소드는 1670년경까지 사용되었다.[9]
3. 1. 스키아보나
스키아보나(schiavona)는 16세기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인기를 얻은 르네상스 검이다.[10] 16세기 달마티아 군인의 검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들은 해병대 연대와 베네치아 공작의 근위대를 형성했다. 그 이름은 방어가 주로 ''스키아보니'', 이스트리아 및 달마티아 슬라브족으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에서 유래했다.[8] 이 검은 "고양이 머리 폼멜"과 칼자루와 너클보우에 부착된 여러 잎 모양의 황동 또는 철 막대로 구성된 독특한 핸드가드로 널리 인식되었다.[8]
진정한 광검으로 분류되는 이 전쟁 검은 동시대의 민간용 레이피어보다 넓은 칼날을 가지고 있었다. 레이피어가 주로 찌르기 검인 반면, 스키아보나는 관통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 무게가 있는 베고 찌르기 검이다. 이 검은 바스켓 힐트(상부 가드를 위해 삽입된 퀼론이 있는 경우가 많음)였으며 칼날은 양날이었다. 남아있는 칼날은 93.2cm × 3.4cm × 0.45cm로 측정되며 칼날 길이의 약 1/4을 따라 두 개의 풀러 또는 홈이 있다. 무게는 약 1.1kg으로, 이 칼날은 베기와 찌르기에 모두 유용했다.[11]
스키아보나는 17세기 동안 이탈리아와 거래하는 군대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많은 중기병의 무기였다.[12] 용병과 부유한 민간인 모두에게 인기가 있었고, 금박과 보석으로 장식된 예는 상류층이 패션 액세서리와 방어 무기의 조합으로 착용하기 위해 수입했다.[13]
3. 2. 모튜어리 소드
브로드 소드는 16세기에 진화하여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전쟁터에서 애용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25] 초기의 브로드 소드는 1545년에 침몰한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의 잔해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고증되었다. 철사로 된 가드는 처음에는 간단한 구조였지만 점차 화려한 장식으로 발전했다.[26]
브로드 소드는 레이피어와 다르게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17세기에는 왈룬 힐트 (Walloon hilt), 싱클레어 힐트 (Sinclair hilt), 스키아보나 (schiavona), 모튜어리 소트 (mortuary sword), 클레이모어, 팔라쉬 (pallasch) 등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27][28][29] 모튜어리 소드와 클레이모어는 영국에서 흔하게 사용되었으며, 18세기 기병용 사브르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30]
18세기 유럽에서는 가벼운 스몰 소드로 결투를 했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브로드 소드를 사용한 결투가 성행했다. 스코틀랜드식 브로드 소드 검술은 18세기에 여러 교본으로 출판되었다. 이러한 스코틀랜드식 브로드 소드의 후손은 나폴레옹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기병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비슷한 무기로, 1625년 이후 잉글랜드 내전 당시 기병들이 사용했던 베고 찌르기용 모튜어리 소드(mortuary sword)가 있다. 이 양날 검은 길이가 90–105cm 정도 되는 직선형 칼날과 반-바스켓 힐트를 갖추고 있었으며, 힐트는 종종 매우 복잡한 조각과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찰스 1세 국왕(1649년) 처형 이후, 순교한 왕의 얼굴이나 사망 마스크를 묘사한 바스켓 힐트 검이 만들어졌다. 이 검들은 18세기에 "모튜어리 소드"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 용어는 20세기 일부 저술가들에 의해 내전 시대의 광검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14][15] 그러나 힐트에 새겨진 얼굴이 찰스 1세라고 주장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분쟁의 양측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찰스 1세가 사망하기 전에 얼굴 이미지가 나타났기 때문이다.[16]
"모튜어리"라는 이름은 잉글랜드 내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전쟁 영웅들의 무기가 교회에 기증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교회는 검을 검게 칠하고 19세기까지 장례식에 사용했으며, 이후 많은 검이 골동품 시장에 팔렸다.[16]
이 검은 올리버 크롬웰이 선호하는 무기였다. 그가 소유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검은 현재 로열 아머리스에 보관되어 런던 탑에 전시되어 있다. 크롬웰의 소유로 알려진 두 개의 다른 모튜어리 소드는 크롬웰 박물관에, 또 다른 하나는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있다.[17][18] 모튜어리 소드는 1670년경까지 사용되었다.[9]
3. 3. 스코틀랜드 브로드소드
브로드소드는 16세기에 진화하여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인기가 많았다.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전쟁터에서 애용하였다.
이러한 초기의 브로드소드는 1545년에 침몰하였던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의 잔해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전에 브로드소드의 최초의 등장을 고증하였던 시기는 잉글랜드 내전의 시기였다.[25] 철사로 된 가드는 처음에 간단한 구조로 되었지만 나중에 점점 화려한 장식으로 형성하였다.[26]
브로드소드는 에스파다 로페라 또는 스파다 다 라토에서 진화하였던 같은 시기의 가벼운 민간인용 검인 레이피어와 다르게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17세기에 들어면서 유럽의 몇몇의 지역 마다 발전하였던 브로드소드처럼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 그 예로 왈룬 힐트 (Walloon hilt), 싱클레어 힐트 (Sinclair hilt), 스키아보나, 모튜어리 소트 (mortuary sword), 클레이모어, 팔라쉬 (pallasch) 등이 있었다.[27][28][29] 모튜어리 소드와 클레이모어의 두 형태는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수입하든 국내에서 제작했든 영국에서 흔하였다. 그들이 18세기 기병용 사브르의 형태를 영향을 주었다.[30]
18세기쯤 유럽에서 흥하였던 결투는 가벼운 스몰 소드로 행하였지만 브로드소드로 행하였던 결투는 스코틀랜드에서 흥하였다.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로 싸우는 검술은 18세기에서 몇몇의 교본으로 출판하였다. 이러한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의 후손은 (비록 작아진 백소드의 형태이지만) 나폴레옹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기병 사이에 쓰였다.
17세기 말과 18세기 초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씨족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된 무기는 스코틀랜드 바스켓 힐트 브로드소드였으며, 일반적으로 게일어로 "큰 검"을 의미하는 클레이모어(claidheamh mór)로 알려져 있었다.
일부 저자는 가상 게일어 claidheamh beag "작은 검"에서 유래한 클레이베그(claybeg)를 대신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용법과 일치하지 않는다. R. A. 암스트롱의 게일어 사전(1825)에 따르면 claidheamh mór "큰/거대한 검"은 "브로드소드"로 번역되고, claidheamh dà làimh는 "양손 검"으로 번역되는 반면, claidheamh beag "작은 검"은 "빌보"의 번역으로 주어진다.[19]
3. 4. 싱클레어 힐트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브로드소드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애용하였다.[25] 초기 브로드소드는 1545년에 침몰한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 잔해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처음에는 철사로 된 가드가 단순한 형태였으나 점차 화려한 장식으로 발전하였다.[26]
브로드소드는 에스파다 로페라나 스파다 다 라토에서 진화한 가벼운 민간용 검인 레이피어와는 달리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17세기에는 왈룬 힐트, 싱클레어 힐트, 스키아보나, 모튜어리 소드, 클레이모어, 팔라쉬 등 지역별로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27][28][29] 모튜어리 소드와 클레이모어는 영국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18세기 기병용 사브르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30]
18세기 유럽에서는 가벼운 스몰 소드를 이용한 결투가 주를 이루었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브로드소드를 사용한 결투가 성행하였다. 18세기에는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 검술 교본이 출판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는 백소드 형태로 작아졌지만 나폴레옹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기병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싱클레어 힐트"라는 명칭은 19세기 후반 빅토리아 시대 골동품 수집가들이 스칸디나비아 검을 지칭하던 용어로, 17세기와 18세기 스코틀랜드 고지대에서 사용된 검과 유사성을 보인다. 이 명칭은 크린겐 전투에서 사망한 스코틀랜드 용병 조지 신클레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3. 5. 왈론 소드
브로드 소드는 16세기에 진화하여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인기가 많았다.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전쟁터에서 애용하였다.[25] 초기 브로드소드는 1545년에 침몰한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의 잔해에서 발견되었다.[25] 철사로 된 가드는 처음에는 간단한 구조였지만, 점차 화려한 장식으로 발전하였다.[26]
브로드 소드는 에스파다 로페라 또는 스파다 다 라토에서 진화한 같은 시기의 가벼운 민간인용 검인 레이피어와는 달리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17세기에는 유럽 각지에서 발전한 브로드소드처럼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 그 예로는 왈룬 힐트 (Walloon hilt), 싱클레어 힐트 (Sinclair hilt), 스키아보나 (schiavona), 모튜어리 소트 (mortuary sword), 클레이모어, 팔라쉬 (pallasch) 등이 있다.[27][28][29]
'''왈론 검'''(épée wallone)[20] 또는 '''하우데겐'''(hewing sword, 베는 검)은 30년 전쟁과 바로크 시대에 초기 근대 독일, 초기 근대 스위스, 네덜란드 공화국, 스웨덴 제국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역사가이자 검 유형학자인 에워트 오크샷은 이 검의 기원이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발전하기 전에 영국에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왈론 검은 군인과 민간 귀족 모두에게 선호되었으며[21], 엄지 고리가 있어 양손잡이 검이 아니었다. 가장 일반적인 손잡이 유형은 이중 쉘 가드와 하프 바스켓을 특징으로 하지만, 쉘과 싱글 너클-보우에서 풀 바스켓에 이르는 손 보호 장치가 있는 예도 존재한다.[22]
1672년 네덜란드에서 벌인 전투 이후, 프랑스는 이 무기를 자국의 첫 번째 제식 검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23] 이 디자인의 무기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시대부터 1850년대까지 스웨덴군에도 지급되었다.[24]
4. 스코틀랜드 검술
브로드소드는 16세기에 진화하여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인기가 많았다. 특히 나폴레옹 시대의 중기병이 전쟁터에서 애용하였다.
초기 브로드소드는 1545년에 침몰한 영국 해군의 메리 로즈 호의 잔해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전에 브로드소드의 최초 등장을 고증한 시기는 잉글랜드 내전이었다.[25] 철사로 된 가드는 처음에는 간단한 구조였지만 나중에는 점점 화려한 장식으로 변화하였다.[26]
브로드소드는 에스파다 로페라 또는 스파다 다 라토에서 진화한 같은 시기의 가벼운 민간인용 검인 레이피어와 다르게 무거운 군사용 검이었다. 레이피어의 칼날이 가늘어져서 찌르기용으로 진화한 반면, 무거운 칼날을 지닌 검은 브로드소드라고 불렀다.
17세기에는 유럽의 몇몇 지역마다 발전한 브로드소드처럼 독특한 가드가 나타났다. 그 예로 왈룬 힐트 (Walloon hilt), 싱클레어 힐트 (Sinclair hilt), 스키아보나 (schiavona), 모튜어리 소트 (mortuary sword), 클레이모어, 팔라쉬 (pallasch) 등이 있었다.[27][28][29] 모튜어리 소드와 클레이모어의 두 형태는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수입하든 국내에서 제작했든 영국에서 흔하였다. 이들은 18세기 기병용 사브르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다.[30]
18세기쯤 유럽에서 흥행한 결투는 가벼운 스몰 소드로 행하였지만, 브로드소드로 행한 결투는 스코틀랜드에서 흥행하였다.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로 싸우는 검술은 18세기에 몇몇 교본으로 출판하였다. 이러한 스코틀랜드식 브로드소드의 후손은 (비록 작아진 백소드의 형태이지만) 나폴레옹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기병 사이에 쓰였다.
5. 중국의 도(刀)와의 번역 문제
번역 과정에서 잘못 번역한 것으로 유럽 입장에서 도는 사실 사브르라고 번역해야 옳다.
6. 한국의 도검과의 비교 (한국의 관점)
6. 1. 조선 후기 환도
6. 2. 임진왜란 시기 조·명 연합군과 일본군의 도검
7. 현대의 사용
참조
[1]
웹사이트
Broadsword or Broad Sword? Settling the Question of What's in a Name
http://www.thearma.o[...]
2022
[2]
문서
see [[:de:Korbschläger|Korbschläger]] article in German Wikipedia.
[3]
웹사이트
Longsword vs Broadsword
https://www.bladespr[...]
2019-07-10
[4]
웹사이트
Sword from Mary Rose on display
http://news.bbc.co.u[...]
2007-07-26
[5]
서적
The Sword in the Age of Chivalry
Boydell Press
1998
[6]
간행물
Swords
1911
[7]
웹사이트
Forms of European Edged Weaponry
http://www.myarmoury[...]
2024
[8]
웹사이트
Spotlight: The ''Schiavona'' and its influences
http://myarmoury.com[...]
[9]
웹사이트
Mortuary Hilt Sword
http://www.myarmoury[...]
[10]
웹사이트
The Schiavona, A 17th century Masterpiece
http://users.skynet.[...]
2008-12-08
[11]
웹사이트
Schiavona - Historical Reference (Currently Unavailable)
https://www.reliks.c[...]
[12]
웹사이트
Schiavona
https://everything2.[...]
2008-05-29
[13]
웹사이트
Antique and Replica Schiavonas
https://www.thearma.[...]
2022
[14]
서적
Swords & daggers
Ward Lock
1967
[15]
웹사이트
Mortuary Sword
https://www.futuremu[...]
[16]
서적
British Military Swords, 1600 to 1660 The English Civil Wars and the Birth of the British Standing Army
Andrew Mowbray Publishers
2013-05-01
[17]
웹사이트
Arms and Armour {{!}} Key Collections {{!}} Key Collections {{!}} Cromwell
https://www.cromwell[...]
[18]
웹사이트
Broadsword of Oliver Cromwell
https://philamuseum.[...]
[19]
문서
A Gaelic Dictionary, p. 120. see also Wagner, Paul; Christopher Thompson (2005). "The words "claymore" and "broadsword"". SPADA. Highland Village, Texas: The Chivalry Bookshelf. 2: 111–117.. Dwelly's Illustrated Gaelic to English Dictionary (Gairm Publications, Glasgow, 1988, p. 202); Culloden – The Swords and the Sorrows (The National Trust for Scotland, Glasgow, 1996).
[20]
문서
Vladimir Brnardic, Darko Pavlovic, ''Imperial Armies of the Thirty Years' War (2): Cavalry'', [[Osprey Publishing]], 2010,
[21]
웹사이트
Pappenheimer Sword
http://www.myarmoury[...]
[22]
웹사이트
European XVIIe Century Cavalry Walloon Broadsword
http://swordscollect[...]
[23]
웹사이트
Walloon Swords
http://myarmoury.com[...]
[24]
웹사이트
Armemuseum - Varjor
http://www.sfhm.se/t[...]
[25]
뉴스
Sword from Mary Rose on display
http://news.bbc.co.u[...]
BBC 뉴스
2007-07-26
[26]
서적
The Sword in the Age of Chivalry
Boydell Press
1964
[27]
서적
The Encyclopaedia of Sport & Games
1911
[28]
웹인용
Forms of European Edged Weaponry
http://www.myarmoury[...]
MyArmoury.com
[29]
웹인용
The Schiavona and its influences
http://www.myarmoury[...]
MyArmoury.com
[30]
웹인용
Armour Class Mortuary Hilt Sword
http://www.myarmoury[...]
MyArmoury.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