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루노 추미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노 추미노는 1923년 로마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출신 물리학자이다.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CERN 등에서 연구했다. 198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물리학 교수로 부임하여 1994년 은퇴했다. 게르하르트 뤼더스와 함께 CPT 정리를 증명했으며, 율리우스 베스와 함께 베스-추미노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을 개발했다.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ICTP 디랙 메달, 대니 하이네만 수학물리상, 막스 플랑크 메달, 위그너 메달, 훔볼트 연구상, 잔 카를로 윅 기념 금메달, 엔리코 페르미 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제자이자 후계자로서 기압계 원리 발견, 토리첼리 정리 증명 등 유체역학에 기여하고 사이클로이드 면적 계산, 토리첼리의 나팔 발견 등 수학 분야에도 업적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동문 - 마리아 몬테소리
    마리아 몬테소리는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의사이자 몬테소리 교육법을 개발한 교육자로, 장애 아동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의 자기 발전 가능성을 중시하는 교육법을 개발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켰으며, 국제 몬테소리 협회 설립 및 아동의 권리와 평화를 위해 헌신하였다.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동문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수리물리학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수리물리학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브루노 추미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브루노 추미노
출생일1923년 4월 28일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왕국
사망일2014년 6월 21일
사망지캘리포니아주 버클리
국적이탈리아
거주지미국
학력
모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경력
직업물리학자
근무지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교
CERN
뉴욕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정보 없음)
학문 지도교수(정보 없음)
주요 업적베스-추미노 모형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베스-추미노 일관성 조건
비선형 대칭에 대한 콜먼-베스-추미노 구성
순수 4D N = 1 초중력
수상
수상 내역디랙 메달 (1987)
하이너먼 상 (1988)
막스 플랑크 메달 (1989)
위그너 메달 (1992)
훔볼트 상 (1992)
엔리코 페르미 상 (2005)
기타 정보
영향(정보 없음)
영향을 준 인물(정보 없음)
종교(정보 없음)
서명(정보 없음)
각주(정보 없음)

2. 생애

1923년 로마에서 태어났다. 이탈리아에서 공부하였으며, 1945년에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 1951년 뉴욕 대학교 조교가 되었으며, 1953년 조교수로 취임했다. 1959년부터 이듬해까지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 소속되었고, 1968년부터 CERN에 소속되었다. 1981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물리학 교수로 부임하였으며, 1994년 은퇴하였다.

게르하르트 뤼더스(Gerhart Lüdersde)와 CPT 정리를 증명하였다. 또한, 율리우스 베스(Julius Wessde)와 같이 베스-추미노 모형(최초의 널리 알려진 4차원 초대칭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등각 장론의 하나)을 발명하였다.

3. 연구 업적

게르하르트 뤼더스와 함께 CPT 정리를 증명하였다. 또한, 율리우스 베스와 함께 베스-추미노 모형(최초의 널리 알려진 4차원 초대칭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등각 장론의 하나)을 개발하였다.[1] 에드워드 위튼, 세르게이 노비코프와 함께 WZW 모형을 구축했다.[1]

3. 1. CPT 정리 증명

게르하르트 뤼더스(Gerhart Lüders)와 함께 CPT 정리를 증명하였다. 또한, 율리우스 베스와 같이 베스-추미노 모형(최초의 널리 알려진 4차원 초대칭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등각 장론의 하나)을 발명하였다.[1]

3. 2. 베스-추미노 모형 개발

율리우스 베스(Julius Wessde)와 함께 베스-추미노 모형(최초의 널리 알려진 4차원 초대칭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등각 장론의 하나)을 발명하였다.[1][2]

3. 3.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개발

율리우스 베스(Julius Wessde)와 함께 베스-추미노 모형(최초의 널리 알려진 4차원 초대칭 모형)과 베스-추미노-위튼 모형(등각 장론의 하나)을 발명하였다. 베스, 에드워드 위튼, 세르게이 노비코프와 함께 WZW 모형을 구축했다.[1]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85년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87년ICTP 디랙 메달
1988년대니 하이네만 수학물리상
1989년막스 플랑크 메달
1992년위그너 메달, 훔볼트 연구상
1999년잔 카를로 윅 기념 금메달
2005년이탈리아 물리학회 엔리코 페르미 상


5. 학력


  • 1940년~1945년: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물리학 박사

참조

[1] 뉴스 Bruno Zumino Dies at 91; Sought to Tie Together Laws of Universe https://www.nytimes.[...] 2014-07-05
[2] 웹사이트 Bruno Zumino, an architect of supersymmetry, dies at 91 http://newscenter.be[...] Berkeley News 2014-06-24
[3] 논문 Connection between Spin and Statistics
[4] 논문 Structure of Phenomenological Lagrangians. I
[5] 논문 Supergauge transformations in four dimensions https://cds.cern.ch/[...]
[6] 간행물 "Consistent supergravity" 1976
[7] 논문 Consequences of anomalous ward identities https://cds.cern.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