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간 (상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간은 상나라 문정제의 아들이자 주왕의 숙부로, 주왕의 폭정에 맞서 간언하다가 심장을 빼앗겨 죽임을 당했다. 그는 주왕의 총애를 받던 달기의 간계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이후 충신과 재물의 신으로 추앙받았다. 비간의 묘는 허난성 웨이후이에 있으며, 공자가 비석을 세우고 역대 왕조에서 사당을 건립하는 등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또한 《봉신연의》에서 문곡성으로 묘사되며, 정직하고 용감한 애국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나라의 정치인 - 이윤 (상나라)
이윤은 상나라 시대에 탕왕을 보좌하여 하나라를 멸망시키고 상 왕조 건국에 기여했으며, 태갑을 유배하고 섭정하다가 옥정 시대에 사망한 명신으로 평가받는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비간 (상나라) | |
---|---|
기본 정보 | |
![]() | |
성 | 자 (子) |
이름 | 간 (干) |
시호 | 민 (民) |
출생 | 상나라 |
사망 | 기원전 1047년 |
사인 | 주왕에 의해 살해됨 |
다른 이름 | 소사 (少師) 비간 (比干) |
가계 | |
조상 | 황제 |
아버지 | 을정 |
친척 | 기자, 미자계 |
주요 경력 | |
직위 | 소사 태사 |
봉작 | 림공 |
활동 | 간언 순사 |
숭배 | 재신 문갑 |
2. 생애
비간은 상(商)의 28대 군주인 문정(文丁)의 아들이며, 마지막 군주인 주왕(紂王)의 숙부이다. 이름은 비(比)이며, 간(干)이라는 지역에 봉해져 비간(比干)으로 불렸다. 자(子) 성을 사용했기에 자비(子比)라고도 한다. 중국 민간 신앙에서는 글과 재물을 관장하는 문곡성(文曲星)의 화신으로 여겨져 문곡성군(文曲星君)으로 불리기도 하며, 재물을 관장하는 여러 신 중 하나인 재신(財神)으로 숭배받기도 한다. 지금도 중국 춘절에는 비간을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비간은 상나라 말기 왕족이자 재상으로서, 씨는 "자(子)"였다.[1] 그는 조카인 주왕(紂王)을 섬겼으나, 주왕은 총명하고 용맹했음에도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여 신하들의 충고를 듣지 않았다. 특히 달기(妲己)를 총애하며 그녀의 말에 따라 정사를 그르치고 폭정을 일삼았다.
비간은 주왕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목숨을 걸고 간언했으나, 결국 주왕의 분노를 사 죽임을 당했다. 사마천의 ''사기''와 민간 설화에 따르면, 주왕은 "성인의 심장에는 구멍이 일곱 개가 있다는데 확인해 보겠다"며 비간의 심장을 꺼내도록 명령했다고 전해진다.[1] 비간과 같은 충신들의 죽음 이후 상나라의 정치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빠져들었고, 기원전 1046년 주나라 무왕(武王)과의 목야(牧野)의 전투에서 패배한 주왕이 자살하면서 상나라는 멸망했다.
비간이 죽은 후, 그의 부인은 안양 인근 장림산(長林山)으로 피신하여 아들 천(泉)을 낳았다. 훗날 주나라 무왕은 비간의 충절을 기려 그의 아들에게 임씨(林) 성과 견(堅)이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고 전해진다.
비간의 묘는 현재 허난성(河南省) 신샹(新乡)시 웨이후이(衛輝)에 있으며, 은나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대 | 인물 | 내용 |
---|---|---|
주나라 | 무왕 | 봉묘(封墓, 무덤을 봉함) 및 중건 |
춘추 시대 | 공자 | 묘를 찾아 비석 건립 (은비간막(殷比干莫) 글씨 남김) |
북위 | 효문제 | 사당 건립, <황제조은비간묘문(皇帝弔殷比干墓文)> 제작 |
당나라 | 태종 | 은나라 태사(太師)로 추증, <봉은태사비간소(封殷太師比干詔)>, <제은태사비간문(祭殷太師比干文)> 제작 및 묘역 조성 |
원나라 | 인종 조 | 비간 동상, <사수비간묘비(赦修比干墓碑)> 등 제작 |
명나라 | 홍치제 | 사당 중건 (현재 모습의 기초) |
청나라 | 건륭제 | 사당 방문 후 <과은태사묘유작(過殷太師墓有作)> 제작 (해서체 비문) |
이후로도 진(秦), 한(漢), 당(唐), 송(宋) 등 여러 왕조에서 비석을 세워 총 64기의 비석이 묘역에 남아있다. 1993년부터는 웨이후이시 정부 주관으로 매년 비간 기념회가 열리고 있다.
학자 데이비드 샤버그(David Schaberg)는 비간처럼 직언하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인물들의 사례가 후대 정치인들이 군주에게 반대 의견을 표할 때 좀 더 간접적인 방식을 선호하게 되는 경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2]
2. 1. 주왕의 폭정과 간언
상나라의 마지막 군주 주왕(紂王)은 총명하고 용맹하였으나,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믿어 신하들의 충고를 듣지 않았다. 하남성 남부의 유소(有蘇)씨를 토벌한 후 얻은 달기(妲己)를 매우 총애하여 그녀의 말이라면 무엇이든 들어주었다. 이로 인해 주왕은 주색에 깊이 빠지고 점점 광폭해져 신하들의 말을 무시하기 시작했다. 주왕은 달기를 멀리하라고 간언하는 충신들을 처형하였고, 이로 인해 충성스러운 신하들은 조정을 떠나고 권력을 탐하는 무리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주왕의 숙부이자 상나라 왕족이었던 비간(比干)은 이러한 상황을 바로잡고자 주왕에게 계속해서 간언했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미자와 같은 다른 신하들이 간언을 포기하고 물러난 것과 달리, 비간은 죽음을 각오하고 신하로서 옳은 말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주왕의 잘못된 행동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비간의 계속되는 간언에 분노한 주왕은 그의 처형을 명령했다. 민간 설화와 ''사기'' 기록에 따르면, 주왕은 "성인(聖人)의 심장에는 구멍이 일곱 개나 있다고 들었다"며 실제로 그러한지 확인하겠다면서 비간의 심장을 꺼내도록 했다고 전해진다.[1]
비간의 죽음 이후 상나라의 정치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빠져들었고, 결국 기원전 1046년 주나라 무왕(武王)과의 목야(牧野)의 전투에서 패배한 주왕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학자 데이비드 샤버그(David Schaberg)는 비간과 같이 직언하다 비참한 최후를 맞은 인물들의 사례가 후대의 정치인들이 통치자에게 반대 의견을 표할 때 좀 더 간접적인 방식을 선호하게 되는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2]
2. 2. 죽음과 상나라 멸망
상(商)의 마지막 군주 주왕(紂王)은 총명하고 용맹하였으나 자신의 능력을 지나치게 믿어 신하들의 충고를 듣지 않았다. 하남성 남부의 유소씨를 정벌하고 얻은 달기(妲己)를 총애하여 그녀의 말이라면 무엇이든 들어주었고, 주색에 빠져 점점 광폭해졌다. 달기를 멀리하라고 간언하는 충신들을 처형하면서 조정에는 권력을 탐하는 무리들만 남게 되었다.주왕의 숙부이자 상나라의 재상이었던 비간(比干)은 주왕에게 정치를 바로잡을 것을 여러 차례 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주왕의 또 다른 신하 미자는 여러 번 충고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정을 떠났다. 그러나 비간은 신하로서 죽음을 각오하고 옳은 말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계속해서 주왕의 잘못된 행동을 강하게 비판했다. 결국 분노한 주왕은 비간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민간 설화에서는 주왕이 "성인(聖人)의 심장에는 구멍이 일곱 개나 있다고 들었다"며 이를 확인하겠다면서 비간의 심장을 꺼내도록 명령했다고 전해진다.[1]
비간의 죽음 이후 상나라의 정치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빠져들었다. 기원전 1046년, 주왕은 주나라 무왕(武王)과의 목야(牧野)의 전투에서 패배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로써 상나라는 멸망하였다.
비간의 부인은 비간이 죽은 후 안양 인근 장림산(長林山)으로 피신하여 아들 천(泉)을 낳았다. 훗날 무왕은 상나라를 멸망시킨 뒤 비간의 충절을 기려 그의 아들에게 임씨(林) 성과 견(堅)이라는 이름을 내려주었다.
비간의 묘는 현재의 허난성(河南省) 신샹(新乡)시 웨이후이(衛輝)에 있다. 이 묘는 은나라 후기에 만들어졌으며, 주나라 무왕이 봉분을 쌓고 중건하였다. 공자(孔子)는 이곳을 찾아 비석을 세우고 '은비간막(殷比干莫)'이라는 글씨를 남겼다. 이후 진(秦), 한(漢), 당(唐), 송(宋) 등 여러 왕조에서 비석을 세워 총 64기가 전해진다. 북위 효문제는 사당을 세우고 <황제조은비간묘문>을 만들었으며, 당나라 태종은 비간을 은나라 태사로 봉하고 제문 내용을 담은 <봉은태사비간소>, <제은태사비간문> 비석을 세웠다. 원나라 인종 때에는 비간 동상과 <사수비간묘비> 등이 만들어졌고, 명나라 홍치제(弘治帝)는 사당을 중건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했다. 청나라 건륭제(乾隆帝)는 <과은태사묘유작>이라는 해서체 비문을 남겼다. 1993년부터 웨이후이시 정부는 매년 비간 기념회를 개최하고 있다.
데이비드 샤버그(David Schaberg)는 후대의 정치인들이 통치자에게 반대 의견을 표할 때 간접적인 방식을 선호하게 된 것은 비간과 같이 직언하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인물들의 영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2]
3. 사후 추앙
공자는 《논어》에서 비간을 위자(微子), 기자(箕子)와 함께 상나라의 "삼현(三賢)" 중 한 명으로 존경하며 언급했다.[3] 이후 비간은 진실한 조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忠臣)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춘추 시대 오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오자서는 자결을 명받았을 때, "내 죽음 이후, 후세 사람들은 분명 내가 충성스러웠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들은 나를 하나라와 은나라(즉, 상나라) 시대의 관룡봉과 비간의 반열에 올려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4] 또한 제나라의 제 민공을 섬기던 호원(胡元)은 처형될 위기에 처하자 비간과 오자서를 언급하며 "은나라에는 비간이 있었고, 오나라에는 자서가 있었으며, [지금] 제나라에는 호원이 있다. [이 나라는] 적절한 말을 사용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말하는 사람을 동쪽 문에서 처형했다. 처형당함으로써, 나는 저 두 분과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겠다"고 말했다.[4]
중국의 역사가 판원란(范文瀾)은 비간을 관룡봉, 굴원, 제갈량, 위징과 더불어 중국 역사상 위대한 정직하고 용감한 애국자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3. 1. 문곡성 및 재신
비간이 처형된 이유에 대해 후대의 기록에는 주왕의 후궁인 달기의 요청 때문이라는 내용이 추가되었다.[5] 달기는 비간이 백성을 위해 쓰여야 할 재물이 낭비되고 있다고 주왕에게 간언한 것에 반대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비간이 재신(財神), 즉 재물의 신으로 추앙받는 배경이 되었다.[5] 이와 관련된 내용은 명나라 시대의 유명 소설인 ''봉신연의''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강자아가 그를 문곡성(文曲星, '문학의 별')으로 임명했다고 묘사된다.[6] 봉신계획이 마무리된 후 실제로 강자아는 비간을 오두정신(五斗正神) 중 하나인 '''북두성군'''(北斗星君)의 '''문곡'''(文曲)에 임명했다.[8]3. 2. 묘역과 기념 사업
비간의 묘역은 현재 허난성 신샹시 웨이후이에 위치해 있다. 이 묘역은 은나라 후기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이후 주나라 무왕이 봉묘(封墓)하고 중건하였다.공자는 비간의 묘를 찾아 비석을 세웠는데, 그 비석에는 은나라의 비간이 이곳에 잠들었다는 의미의 '은비간막'(殷比干莫)이라는 글씨를 남겼다. 공자가 비문을 남긴 이후로, 진, 한, 당, 송을 비롯한 중국의 여러 왕조에서 이곳에 비석을 세웠으며, 총 64개의 비석이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시대별 주요 기념 사업은 다음과 같다.
시대 | 인물/기관 | 주요 내용 |
---|---|---|
은나라 후기 | - | 묘역 조성 |
주나라 | 무왕 | 봉묘, 중건 |
춘추 시대 | 공자 | 묘 방문, 비석 건립 (은비간막 글씨 남김) |
북위 | 효문제 | 사당 건립, <황제조은비간묘문> 제작 |
당나라 | 태종 | 비간을 은나라 태사로 봉함, 제문 비석(<봉은태사비간소>, <제은태사비간문>) 제작 및 조성 |
원나라 | 인종 조 몽골 유민 | 비간 동상 및 <사수비간묘비> 등 비석 제작 |
명나라 | 홍치제 | 사당 중건 (현재 전해지는 건축 양식 추가) |
청나라 | 건륭제 | <과은태사묘유작> 제작, 해서체 비문 새김 |
현대 | 웨이후이시 정부 | 매년 비간 기념회 개최 (1993년~) |
웨이후이시 정부는 1993년부터 매년 비간을 기리는 기념회를 개최하고 있다.
3. 3. 한국 임씨의 시조
비간(比干)의 부인은 남편이 죽은 후 안양 근처로 피신하여 장림산(長林山)이라는 곳에서 아들을 낳았다. 아들의 이름은 천(泉)이라고 지었다. 이후 주나라의 무왕은 비간의 아들에게 임씨(林) 성과 함께 견(堅)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내려주었다.4. 평가
《논어》에서, 공자는 비간을 위자, 기자와 함께 상나라의 "삼현(三賢)" 중 한 명으로 꼽으며 존경을 표했다.[3] 이후 비간은 옳은 말을 하기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은 충신(忠臣)의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춘추 시대 오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오자서는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충성심이 하나라의 관룡봉이나 상나라의 비간과 같은 반열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4] 또한 제나라의 제 민공을 섬기다 처형당한 호원(胡元) 역시 자신을 비간, 오자서와 같은 충신에 비유하며 죽음을 맞이했다.[4]
현대 중국의 역사가 판원란은 비간을 관룡봉, 굴원, 제갈량, 위징 등과 함께 중국 역사상 위대한 정직하고 용감한 애국자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5. 봉신연의에서의 비간
주왕의 숙부로서 오랫동안 그를 보필하였으나, 주왕은 새로 들인 후궁 달기의 주술에 걸려 폭군이 되었다. 이에 새로 궁에 들어온 강자아의 힘을 빌려 달기의 정체를 알아낸 뒤 그녀를 죽이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자신의 병을 고치기 위해 영롱심(玲珑心)이 필요하다는 달기의 거짓말에 속아, 심장을 꺼내려는 주왕 앞에서 스스로 배를 가르고 심장을 내주었다.
심장이 없었음에도 강자아의 술법 덕분에 잠시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으나, 성 밖에서 야채를 파는 노파와 무심채(無心菜, 속이 빈 채소)에 대해 이야기하던 중 결국 숨을 거두었다.
봉신계획이 끝난 후, 강자아는 비간을 오두정신(五斗正神) 중 하나인 북두성군(北斗星君)의 문곡(文曲)으로 임명했다.[8]
참조
[1]
서적
The Grand Scribe's Records, Volume I: The Basic Annals of Pre-Han China.
https://www.hup.harv[...]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2]
서적
Text and Ritual in Early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3]
서적
Analects: With Selections from Traditional Commentaries
https://www.hackettp[...]
Hackett Publishing
2003
[4]
서적
Public Memory in Early China
https://www.hup.harv[...]
Harvard-Yenching Institute
2014
[5]
간행물
Living Wealth Gods in the Chinese Popular Print Tradition
http://www.artibusas[...]
2022-01-10
[6]
서적
Mémoires de la cour céleste: mythologie populaire chinoise
https://books.google[...]
Ed. Kwok On
1997
[7]
뉴스
比干与比干庙
http://news.xinhuane[...]
[8]
문서
《봉신연의》 장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