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판정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교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주어진 급수와 비교할 다른 급수를 사용하여 수렴 또는 발산을 판단한다. 급수의 비교 판정법은 두 실수 항 급수의 관계를 통해 수렴과 발산을 판별하며, 절대 수렴의 개념을 확장하여 바나흐 공간 항 급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극한 비교 판정법, 비율 비교 판정법, 이상 적분에도 비교 판정법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렴판정법 -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수학적 정리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수렴 및 발산 급수에 대한 조건과 관계를 제시하며 19세기와 20세기에 아벨, 디니, 프링스하임 등의 수학자들이 기여하여 발전했다. - 수렴판정법 - 디리클레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은 0으로 수렴하는 단조 수열과 유계인 부분합을 갖는 수열의 곱으로 이루어진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급수와 이상 적분, 함수열의 균등 수렴성 판단에도 활용된다.
비교 판정법 | |
---|---|
급수 판정법 | |
이름 | 비교 판정법 |
종류 | 급수 판정법 |
사용 분야 | 무한 급수의 수렴 및 발산 판정 |
설명 | |
내용 | 어떤 급수의 수렴, 발산 여부를 알고 있을 때, 다른 급수와 비교하여 수렴, 발산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비교하는 급수의 일반항의 크기를 비교하여 판정한다. |
관련 개념 | 수렴 발산 무한 급수 |
종류 | 직접 비교 판정법 극한 비교 판정법 |
직접 비교 판정법 | |
설명 | 두 급수 ∑an과 ∑bn에 대해, 모든 n에 대해 0 ≤ an ≤ bn이고 ∑bn이 수렴하면 ∑an도 수렴한다. 또한, 모든 n에 대해 0 ≤ bn ≤ an이고 ∑bn이 발산하면 ∑an도 발산한다. |
극한 비교 판정법 | |
설명 | 두 급수 ∑an과 ∑bn에 대해, lim (n→∞) an/bn = c (0 < c < ∞)이면, ∑an과 ∑bn은 모두 수렴하거나 모두 발산한다. |
2. 급수의 비교 판정법
주어진 급수의 각 항의 크기를 다른 급수의 항과 비교하여 수렴성을 판정한다.
비교 판정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기본적인 비교 판정법이고, 다른 하나는 절대 수렴의 개념을 사용한 비교 판정법이다.[3]
기본 비교 판정법은 실수 항 급수와 바나흐 공간 항 급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 실수 항 급수에 대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 두 실수 항 급수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와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가 주어지고, 충분히 큰 ${\displaystyle n}$에 대하여 ${\displaystyle 0\leq a_{n}\leq b_{n}}$이 성립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이 수렴하면,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도 수렴한다.
-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이 발산하면,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도 발산한다.
- 바나흐 공간 항 급수에 대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isplaystyle \mathbb {K} }$가 실수체 ${\displaystyle \mathbb {R} }$ 또는 복소수체 ${\displaystyle \mathbb {C} }$이고, ${\displaystyle (V,\|{\cdot }\|)}$가 ${\displaystyle \mathbb {K} }$-바나흐 공간이며,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와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가 ${\displaystyle V}$ 항의 급수라고 하자. 만약 충분히 큰 ${\displaystyle n}$에 대하여 ${\displaystyle \|a_{n}\|\leq \|b_{n}\|}$이 성립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이 절대 수렴하면,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도 절대 수렴한다.
- ${\displaystyle \sum_{n=n_{0}}^{\infty }a_{n}}$이 절대 수렴하지 않으면,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도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이때, 두 번째 명제에서 ${\displaystyle \sum_{n=n_{0}}^{\infty }b_{n}}$이 수렴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예를 들어 ${\displaystyle a_{n}=b_{n}={\frac {(-1)^{n-1}}{n}}}$에 대응하는 급수는 조건 수렴한다.
비교 판정법은 실수선의 완비성에만 의존하므로, 바나흐 공간이 아닌 노름 공간에서도 성립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절대 수렴하는 급수가 수렴할 필요는 없다.
절대 수렴을 이용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
- 무한 급수 ${\displaystyle \sum b_{n}}$이 절대 수렴하고, 충분히 큰 모든 ${\displaystyle n}$에 대해 ${\displaystyle |a_{n}|\leq |b_{n}|}$이면, 무한 급수 ${\displaystyle \sum a_{n}}$ 또한 절대 수렴한다.
- 무한 급수 ${\displaystyle \sum b_{n}}$이 절대 수렴하지 않고, 충분히 큰 모든 ${\displaystyle n}$에 대해 ${\displaystyle |b_{n}|\leq |a_{n}|}$이면, 무한 급수 ${\displaystyle \sum a_{n}}$ 또한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더 큰 항을 가진 급수는 때때로 더 작은 항을 가진 급수를 "지배한다"고 말한다.[2]
2. 1. 기본 비교 판정법
비교 판정법은 두 급수의 항의 크기를 비교하여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기본 비교 판정법은 실수 항 급수와 바나흐 공간 항 급수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실수 항 급수에 대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 두 실수 항 급수 와 가 주어지고, 충분히 큰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이 수렴하면, 도 수렴한다.
- 이 발산하면, 도 발산한다.
바나흐 공간 항 급수에 대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이고, 가 -바나흐 공간이며, 와 가 항의 급수라고 하자. 만약 충분히 큰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때, 두 번째 명제에서 이 수렴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에 대응하는 급수는 조건 수렴한다.
비교 판정법은 실수선의 완비성에만 의존하므로, 바나흐 공간이 아닌 노름 공간에서도 성립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절대 수렴하는 급수가 수렴할 필요는 없다.
2. 1. 1. 실수 항 급수
두 실수 항 급수에서, 충분히 큰 n에 대해 한 급수의 항이 다른 급수의 항보다 작거나 같고, 큰 항의 급수가 수렴하면 작은 항의 급수도 수렴한다. 반대로, 작은 항의 급수가 발산하면 큰 항의 급수도 발산한다.다음과 같은 두 실수 항 급수 와 가 주어졌다고 하자. (는 0 또는 1)
어떤 가 존재하여 모든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한다.
- 이 수렴하면, 도 수렴한다.
- 이 발산하면, 도 발산한다.
이를 비교 판정법이라고 한다.[1] 더 큰 항을 가진 급수는 때때로 더 작은 항을 가진 급수를 "지배한다"고 말한다.[2]
예시:
- 은 이 수렴하고, 모든 n에 대해 이므로 수렴한다.
- 은 이 발산하고, 모든 n에 대해 이므로 발산한다.
2. 1. 2. 바나흐 공간 항 급수
바나흐 공간|바나흐 공간한국어 항의 급수에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 충분히 큰 에 대하여, 이다. (즉, 어떤 가 존재하여 모든 에 대하여, 이다.) 만약 라면, 노름은 절댓값이며, 은 이 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두 번째 명제에서, 이 수렴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에 대응하는 급수는 조건 수렴한다.
비교 판정법은 노름 값을 취하는 실수선의 완비성에만 의존하므로, 바나흐 공간이 아닌 노름 공간에서도 성립한다. 하지만 이 경우, 절대 수렴하는 급수가 반드시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2. 2. 극한 비교 판정법
두 급수의 항의 비율의 극한을 이용하여 수렴성을 판정한다. 극한 비교 판정법은 두 급수의 수렴 여부가 서로 필요충분조건임을 보여준다.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두 실수 항 급수 와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 충분히 큰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다.
- 급수 이 수렴한다.
- 급수 이 수렴한다.
2. 3. 비율 비교 판정법
두 급수의 항의 비율을 비교하여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직접 비교 판정법과 달랑베르의 비율 판정법을 결합한 형태이다.[5]- 무한 급수 이 수렴하고, , 이며,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해 이면, 무한 급수 도 수렴한다.
- 무한 급수 이 발산하고, , 이며,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해 이면, 무한 급수 도 발산한다.
이는 달랑베르의 비판정법에 기반한 것이다.
만약 급수
:
이 절대 수렴하고, ''n''에 의존하지 않는 실수 ''C''가 존재하여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
은 절대 수렴한다. 만약 급수 Σ|''b''''n''|가 발산하고,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Σ|''a''''n''|는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단, 예를 들어 ''a''''n''의 부호가 교대로 바뀌는 경우에는 조건 수렴할 수 있다).
3. 이상 적분의 비교 판정법
이상 적분에서 비교 판정법은 주어진 함수의 크기를 다른 함수의 크기와 비교하여 이상 적분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math>[a,b)</math>에서 정의된 연속 함수인 실수 값 함수 ''f''와 ''g''에 대해, ''b''는 <math>+\infty</math>이거나 ''f''와 ''g''가 각각 수직 점근선을 갖는 실수라고 가정하면,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4]
- 만약 이상 적분 <math>\int_a^b g(x)\,dx</math>가 수렴하고 <math>0 \le f(x) \le g(x)</math> (<math>a \le x < b</math>)이면, 이상 적분 <math>\int_a^b f(x)\,dx</math>도 수렴하며 <math>\int_a^b f(x)\,dx \le \int_a^b g(x)\,dx</math>이다.
- 만약 이상 적분 <math>\int_a^b g(x)\,dx</math>가 발산하고 <math>0 \le g(x) \le f(x)</math> (<math>a \le x < b</math>)이면, 이상 적분 <math>\int_a^b f(x)\,dx</math>도 발산한다.
3. 1. 기본 비교 판정법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두 실수 값 함수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와 는 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 어떤 및 임의의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한다.
적분에 대한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 에서 정의된 연속 함수인 실수 값 함수 ''f''와 ''g''에 대해, ''b''는 이거나 ''f''와 ''g''가 각각 수직 점근선을 갖는 실수라고 가정한다.[4]
- 만약 이상 적분 가 수렴하고 ()이면, 이상 적분 도 수렴하며 이다.
- 만약 이상 적분 가 발산하고 ()이면, 이상 적분 도 발산한다.
4. 관련 정리
극한 비교 판정법은 비교 판정법의 따름정리 중 하나이다.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졌다고 하자.
- 두 실수 항 급수 와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 충분히 큰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다.
- 급수 이 수렴한다.
- 급수 이 수렴한다.
5. 예시
급수
:
를 생각해보자. 라고 하였을 때,
:
이다. 급수 는 수렴하므로, 비율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원래 급수는 수렴한다.[5]
비율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5]
- 무한 급수 이 수렴하고, , 이며,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해 이면, 무한 급수 도 수렴한다.
- 무한 급수 이 발산하고, , 이며,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해 이면, 무한 급수 도 발산한다.
제1종 비교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 만약 급수
:
가 절대 수렴하고, ''n''에 의존하지 않는 실수 ''C''가 존재하여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
는 절대 수렴한다. 이때, ''b''가 ''a''를 "억제한다(dominate)"고 한다. 만약 급수 Σ|''b''''n''|가 발산하고,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Σ|''a''''n''|는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단, 예를 들어 ''a''''n''의 부호가 교대로 바뀌는 경우에는 조건 수렴할 수 있다).
제2종 비교 판정법은 달랑베르의 비판정법에 기반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만약 급수
:
이 절대 수렴하고, ''n''에 의존하지 않는 실수 ''C''가 존재하여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
은 절대 수렴한다. 만약 급수 Σ|''b''''n''|가 발산하고,
:
가 충분히 큰 ''n''에 대해 성립한다면, 급수 Σ|''a''''n''|는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단, 예를 들어 ''a''''n''의 부호가 교대로 바뀌는 경우에는 조건 수렴할 수 있다).
6. 같이 보기
- 수렴 판정법
- 달랑베르의 비율 판정법
- 코시의 근 판정법
- 수렴반경
참조
[1]
서적
Ayres & Mendelson
1999
[2]
서적
Munem & Foulis
1984
[3]
서적
Silverman
1975
[4]
서적
Buck
1965
[5]
서적
Buck
19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